KR20040012256A -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256A
KR20040012256A KR1020020045742A KR20020045742A KR20040012256A KR 20040012256 A KR20040012256 A KR 20040012256A KR 1020020045742 A KR1020020045742 A KR 1020020045742A KR 20020045742 A KR20020045742 A KR 20020045742A KR 20040012256 A KR20040012256 A KR 20040012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ingerprint
user
fingerprint data
compa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6173B1 (ko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20045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17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2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주차 시스템은, 차량을 수용하기 위해 다수의 팔레트를 구비하는 차량 수용 수단; 상기 차량 수용 수단에 차량을 입고하고, 상기 차량 수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 차량 번호 및 사용자의 지문 입력을 위한 다수의 버튼 및 지문 판독 창을 구비하는 조작 수단; 상기 차량 수용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차량 수용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조작 수단 및 상기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조작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차량 번호 데이터 또는 지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지문 인식을 통해 차량 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자신의 차량을 손쉽게 주차 설비 내에 입고할 수 있고, 차량 번호를 기억하지 않고도 입고된 차량을 손쉽게 찾아 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PARK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사용자가 주차 설비 내에 차량을 입고 또는 출고할 때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입고 또는 출고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 시스템(Parking System)은 좁은 공간에 많은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승강 장치를 이용한 상하 다단식 주차 시스템 등이 있으며, 주차 공간이 협소한 대형 건물이나 주차 시설을 갖춘 주차장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차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주차 시스템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주차 시스템은 사용자가 주차 설비(50) 내의 팔레트(pallet)호출을 위한 조작반(10)과, 조작반(10)으로부터 조작 신호에 따라 각 팔레트의 입/출고 상태 및 운전 상태를 검출하고 제어하는 제어반(20)과, 팔레트에 차량을 입/출고할 때 안전이나 운행을 위해 필요한 다수의 스위치를 가지는 외부 스위치 입력부(30)와, 모터 등의 동작으로 주차 설비(50)내의 팔레트를 기동하는 외부 장치(40)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주차 설비(50)내의 팔레트에 차량을 입고하고(S10), 조작반(10)의 번호 입력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눌러 입고할 차량 번호를 입력한다(S11). 차량 번호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조작반(10)에 있는 소정의 입고 버튼을 누른다(S12). 이어서, 사용자가 조작반(10)의 소정의 운전 버튼을 누르면(S13), 제어반(20)은 조작반(10)을 통해 입력된 차량 번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차량 번호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하고(S14), 주차 설비(50)내에 차량 입고를 완료한다(S15).
사용자가 입고된 차량을 출고하고자 할 때,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작반(10)의 번호 입력 버튼을 통해 차량 번호를 입력한다(S20). 사용자가 차량 번호 입력 후 출고 버튼을 누르고(S21), 이어서 조작반(10)의 운전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른다(S22). 제어반(20)은 조작반(10)을 통해 입력된 차량 번호 데이터와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번호 데이터를 비교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입력한 차량 번호와 동일한 차량 번호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S23). 제어반(20)의 검색 결과 동일한 차량 번호가 메모리에 존재하면, 제어반(20)은 외부 장치(40)를 기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외부 장치(4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주차 설비(50)내에 입고되어 있는 차량을 출고할 수 있도록 주차 설비(50)를 기동한다. 주차 설비(50)의 기동에 따라, 주차 설비(50)내에 있는 차량이 출고되고(S24), 주차 설비(50)로부터 차량 출고가 완료되면, 제어반(20)은 차량 번호를 메모리에서 삭제한다(S25).
그러나,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종래의 주차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을 입/출고하기 위해서 조작반(10)의 번호 입력 장치를 통해 차량 번호 4자리를 직접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차량 입고 후 출고 시에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 번호를 잊어버리고 출고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이때에는 주차 설비(50)내에 입고되어 있는 차량을 하나씩 출고하면서 자신의 차량을 찾아 출고하거나 주차 시스템의 관리자가 주차 설비(50)에 입고되어 있는 차량을 일일이 확인하여 사용자의 차량과 동일한 차량을 찾아서 출고할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지문 인식을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차량을 입고 또는 출고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기존과 같이 차량 번호를 사용해서도 차량의 입고 또는 출고가 가능하도록 하는 주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 설비에 입고할 때 원하는 경우 동행자의 지문도 함께 입력함으로써 출고 시 사용자는 물론 동행자를 통해서도 차량을 출고할 수 있는 주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차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주차 시스템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조작 패널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입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출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조작부
200 : 외부 스위치 입력부
300 : 제어부
400 : 외부 장치 구동부
500 : 주차 설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주차 시스템은, 차량을 수용하기 위해 다수의 팔레트를 구비하는 차량 수용 수단; 상기 차량 수용 수단에 차량을 입고하고, 상기 차량 수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 차량 번호 및 사용자의 지문 입력을 위한 다수의 버튼 및 지문 판독 창을 구비하는 조작 수단; 상기 차량 수용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차량 수용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조작 수단 및 상기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조작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차량 번호 데이터 또는 지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주차 시스템 제어 방법은, 다수의 팔레트를 구비하는 주차 설비에 차량을 입고하고 상기 주차 설비로부터 상기 차량을 출고할 수 있는 주차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차량 번호 또는 지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상기 주차 설비에 입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고된 상기 차량을 상기 주차 설비로부터 출고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차량 번호 또는 지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 번호 또는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설비로부터 차량을 출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은 조작부(100), 외부 스위치 입력부(200), 제어부(300), 외부 장치 구동부(400) 및 주차 설비(500)를 포함한다. 조작부(100)는 사용자 또는 동행자가 차량 번호 또는 지문을 입력하여 차량을 입/출고시킬 수 있도록 하며, 조작 패널부(110), 키입력 처리 모듈(120), 외부 표시 모듈(130), 지문 입력 모듈(140) 및 제1 통신 모듈(150)을 포함한다. 조작 패널부(110)는 사용자 또는 동행자가 지문을 입력하거나 차량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입력 키 및 다수의 기능키를 포함한다. 도 4는 도3의 조작 패널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인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부(110)는 조작 버튼(111), 외부 표시창(112), 동행자 지문입력 선택버튼(113) 및 지문 판독창(114)을 포함한다. 조작 버튼(111)은 번호 입력 버튼(111-1), 입/출고 버튼(111-2) 및 운전 버튼(111-3)을 포함하며, 사용자 또는 동행자가 차량 번호를 입력하거나 차량의 입/출고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표시창(112)은 사용자 또는 동행자가 입력한 차량 번호를 확인하거나, 차량의 입/출고 동작 시에 발생하는 동작 에러 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외부 표시창(112)은 차량 번호 이외에 지문 인식 및 조작 상태에 대한 진행 결과를 외부에 표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표시 소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동행자 지문입력 선택버튼(113)은 동행자가 차량의 입/출고 시에 지문을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지문 판독창(114)은 사용자 또는 동행자의 지문을 입력받는다.
키입력 처리 모듈(120)은 사용자 또는 동행자가 조작 패널부(110)의 번호 입력 버튼(111-1) 또는 입/출고 버튼(111-2) 또는 운전 버튼(111-3)을 선택하면, 사용자 또는 동행자에 의해 선택된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고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외부 표시 모듈(130)은 LED, LCD등의 외부 표시창(112)과 연결되어, 사용자 또는 동행자가 입력한 차량 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를 하여 외부 표시창(112)에 표시하며, 차량의 입/출고 동작 시에 발생하는 동작 에러 상태를 표시한다. 지문 입력 모듈(140)은 주차 설비(500)에 차량을 입/출고할 때 지문 판독창(114)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또는 동행자의 지문을 스캔(scan)하고 스캔된 지문 데이터(또는 스캔된 지문 이미지 데이터, 이하에서 지문 데이터라 통칭함)를 처리한다. 제1 통신 모듈(150)은 사용자 또는 동행자의 조작에 의해 모튤(120,130,140)을 통해 처리된 데이터를 제어부(300)에 송신하거나 제어부(3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외부 스위치 입력부(200)는 차량을 주차 설비(500)내의 팔레트(도시하지 않음)에 입/출고할 때 안전 및 주차 설비 내의 팔레트 운행을 위해 필요한 하나 이상의 동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제어부(300)는 조작부(100)로부터 사용자 또는 동행자가 입력한 차량 번호 또는 지문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차 설비(500)내에 있는 팔레트의 차량 입/출고 상태 및 팔레트의 운전 상태를 검출하며, 검출된 결과에 따라 주차 설비(500)에 차량을 입고하거나 입고된 차량을 출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제2 통신 모듈(310), 지문 인식 모듈(320), 씨피유(CPU : Central Processing Unit, 이하 CPU라 칭함)(330), 메모리(340) 및 입출력 모듈(350)을 포함한다. 제2 통신 모듈(310)은 조작부(100)의 제1 통신 모듈(150)과 사용자 선택 사항 또는 입력된 지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차량 번호 또는 지문 인식에 따른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지문 인식 모듈(320)은 제2 통신 모듈(310)로부터 수신한 지문 데이터를 인식한다. 이때, 지문 인식 모듈(320)은 주차 설비(500)의 보수를 담당하는 관리자에 의해 지문 판독창(114) 및 지문 입력 모듈(140)을 통해 제공되는 지문을 인식할 수도 있다. CPU(330)는 지문 인식 모듈(320)로부터 인식된 지문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고유번호를 생성하고 주차 시스템의 제반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메모리(340)는 CPU(3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차량 번호 또는 인식된 사용자 또는 동행자의 지문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에 할당된 고유번호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340)는 마스터 키(master key)처럼 주차 설비(600) 및 시스템의 보수 점검 시에 보수 담당자에 의해 보수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주차 요원 또는 관리자의 지문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출력 모듈(350)은 차량의 입/출고 시에 발생하는 안전 운전에 필요한 체크 데이터를 외부 스위치 입력부(200)에 출력하거나, 외부 스위치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받는다. 외부 출력 모듈(360)은 CPU(300)의 제어하에 모터(도시하지 않음)등을 구비하는 외부 장치 구동부(4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외부 장치 구동부(400)는 제어부(300)로부터의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 등을 동작시켜 주차 설비(500)를 기동한다. 주차 설비(500)는 사용자에 의해 입고되거나 출력되는 차량을 하나 이상의 팔레트에 보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주차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입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주차 설비(500)내에 있는 팔레트에 차량을 입고한 후(S100), 조작 버튼(111)의 운전 버튼(111-3)을 누르고 번호 입력 버튼(111-1)을 눌러 차량 번호를 입력하거나, 지문 판독창(114)을 통해 지문을 입력한다(S110). 조작부(100)의 조작 패널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결과 신호를 차량 번호 입력인지 지문 입력인지에 따라 키입력 처리 모듈(120) 또는 지문 입력모듈(140)에 각각 전달한다. 키입력 처리 모듈(120) 또는 지문 입력 모듈(140)은 각각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번호 또는 지문 데이터를 처리한 후 제1 통신 모듈(150)을 통해 제어부(300)의 제2 통신 모듈(310)에 전송한다. 제어부(300)의 CPU(330)는 제2 통신 모듈(140)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현재 입력되는 데이터가 차량 번호 입력인지 지문 입력인지를 체크한다(S120). 만일, 입력된 데이터가 차량 번호이면, CPU(330)는 사용자가 입/출고 버튼(111-2)중에서 입고 버튼을 눌렀는지 감지한다(S130). 이어서, CPU(330)는 사용자가 운전 버튼(111-3)을 눌렀는지를 감지한다(S140). 운전 버튼(111-3)누름이 감지되면, CPU(330)는 외부 스위치 입력부(200)로부터 전달된 입고 팔레트의 번호와 연계하여 입력된 차량 번호를 메모리(340)에 저장하고(S150), 단계(S160)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차량 번호 또는 지문 입력 체크 단계(S120)에서, 사용자가 도 4에 도시한 지문 판독창(114)에 지문을 입력하면, 지문 입력 모듈(140)은 입력된 지문 이미지르 처리하고 처리된 지문 데이터를 제1 통신 모듈(150) 및 제2 통신 모듈(310)을 통해 CPU(330)로 전송한다. CPU(330)는 제2 통신 모듈(310)로부터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수신하면, 지문 인식 모듈(320)에 제어 신호를 발생한 후 지문 인식 모듈(320)로 하여금 수신된 사용자 지문 데이터를 인식하도록 한다. 지문 데이터 인식이 완료되면, CPU(330)는 인식된 지문 데이터에 부합하는 고유번호를 생성한다(S170). CPU(330)는 인식된 지문 데이터 및 그에 대응하는 생성된 고유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180). 이때, CPU(330)는 외부 스위치 입력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입고가 가능한 팔레트의 상태를 체크하여, 차량을 입고할 팔레트의 번호와 생성된 고유번호를 연계하여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어서, CPU(330)는 도 4에 도시된 동행자 지문입력 선택버튼(113)이 온(On) 되었는지를 체크한다(S190). 만일, 동행자 지문입력 선택버튼(113)이 온 되지 않았으면 단계(S230)로 바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즉, 동행자 지문입력 선택버튼(113)이 온 되었으면, CPU(330)는 제2 통신 모듈(310)과 제1 통신 모듈(150)을 거쳐 지문 입력 모듈(140)에 동행자의 지문을 입력받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동행자에 의해 지문 판독창(114)에 지문이 입력되면, 지문 입력 모듈(140)은 지문 판독창(114)을 통해 동행자의 지문을 스캔하고, 스캔된 동행자의 지문 이미지를 처리한 후 지문 데이터를 제1 및 제2 통신 모듈(150,310)을 통해 지문 인식 모듈(320)에 전송한다. 지문 인식 모듈(320)은 제1 통신 모듈(150)을 통해 제2 통신 모듈(310)에 수신된 지문 데이터를 전달받아 동행자의 지문 데이터를 인식한다(S200). 지문 인식이 완료되면, CPU(330)는 지문 인식 모듈(320)에 의해 인식된 지문 데이터를 근거로 동행자 지문의 고유번호를 생성한다(S210). CPU(330)는 생성된 동행자 지문의 고유번호 및 지문 데이터를 메모리(340)에 저장한다(S220). 이처럼, 동행자의 지문을 동시에 입력하여 저장해두면, 사용자 대신에 동행자도 차량을 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1인의 동행자에 대한 지문을 인식하고 지문 데이터를 메모리(340)에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1인 이상의 동행자에 대해서 지문을 인식하여 인식한 지문 데이터를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340)에 지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220)를 수행하였거나단계(S190)에서 동행자 지문입력 선택버튼(113)이 온 되지 않은 경우, CPU(330)는 사용자가 운전 버튼(111-3)을 눌렀는지를 체크하고(S230), 운전 버튼(111-3)이 눌려졌으면 입고 동작 단계(S160)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S150)에서 메모리(340)에 차량 번호를 저장하거나 단계(S230)에서 운전 버튼 입력이 감지된 경우, CPU(330)는 외부 출력 모듈(420)을 통해 차량의 입고를 위한 운전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S160), 외부 출력 모듈(360)을 통해 외부 장치 구동부(400)에 전달한다. 외부 장치 구동부(400)는 CPU(330)로부터 외부 출력 모듈(360)을 통해 차량을 입고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모터 등의 구동 장치를 구동시켜 주차 설비(500)가 차량의 입고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240). 그 다음, CPU(330)는 외부 스위치 입력부(200)의 다수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감지되는 입고 진행 결과를 수신하여 차량 입고가 완료되었는지를 체크하고(S250), 입고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단계(S160)로 리턴 하여 입고가 완료될 때까지 입고 동작을 계속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고 제어 방법은 차량 번호와 지문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차량을 입고하지만, 차량 번호를 입력받지 않고 지문 데이터만을 입력받아 차량을 입고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출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전 버튼(111-3)을 누르고 번호 입력 버튼(111-1)을 이용해 차량 번호를 입력하거나 지문 입력창(132)에 지문을 입력하면(S300), CPU(330)는 제1 통신 모듈(150)을 통해 전송된 입력 데이터를 제2 통신 모듈(310)을 통해 수신하여 입력된 데이터가 차량 번호인지 지문 입력 데이터인지를 체크한다(S310).
입력된 데이터가 차량 번호이면, CPU(330)는 사용자가 입/출고 버튼(111-2)중 출고 버튼을 눌렀는지를 감지한다(S320). 출고 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CPU(330)는 사용자가 운전 버튼(111-3)을 눌렀는지를 다시 감지한다(S330). 운전 버튼(111-3)의 누름이 감지되면, CPU(330)는 메모리(340)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차량 번호와 동일한 차량 번호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S340). CPU(330)는 동일 차량 번호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S350), 동일 차량 번호가 존재하면 단계(S360)로 진행하며, 만일, 동일 차량 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CPU(330)는 동일 차량 번호가 메모리(340)에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이상 발생 제어 신호를 외부 표시 모듈(130)에 전달하고, 외부 표시 모듈(130)은 외부 표시창(112)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351).
그러나, 차량 번호 또는 지문 입력 체크 단계(S310)에서, 만일, 입력된 데이터가 지문 입력 데이터이면, CPU(330)는 사용자에 의해 운전 버튼(111-3)이 눌려졌는지를 감지한다(S370). 운전 버튼(111-3)이 눌려졌으면, CPU(330)는 메모리(340)에서 입력된 지문 데이터와 동일한 지문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S380). CPU(330)는 동일 지문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S390), 메모리(340)에 동일한 지문 데이터가 존재하면, 동일 지문에 할당된 고유번호와 연계된 해당 팔레트를 호출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S400). 해당 팔레트의 호출 제어 신호를 발생한 후, CPU(330)는 차량의 출고를 위한 출고 동작 제어 신호 발생 단계(S360)로 진행한다. 단계(S360)에서는 단계(S350)에서 동일 차량 번호가 존재하거나 또는 단계(S400)에서 해당 팔레트 호출 제어 신호를 발생한 후, CPU(330)에 의해 출고 동작 제어 신호가 발생된다. 그러나, 만일 메모리(340)에 동일한 지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CPU(330)는 이상 발생 표시 단계(S351)로 리턴 한다. 이처럼, 입고된 차량을 주차 설비(600)로부터 출고할 때 차량 번호를 사용자가 기억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차량을 손쉽게 찾아 출고할 수 있다.
출고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출력 모듈(360)은 출고 동작 제어 신호를 외부 장치 구동부(400)에 전달한다. 외부 장치 구동부(400)는 수신한 출고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 등의 구동 장치를 구동하여 주차 설비(500)내의 해당 팔레트에 입고되어 있는 차량을 소정의 출고 절차에 따라 출고 동작을 진행하도록 한다(S410). CPU(330)는 외부 스위치 입력부(200)의 다수의 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는 출고 진행 결과를 수신해 팔레트에서 차량의 출고가 완료되었는지를 체크하여(S420), 출고가 완료되었으면 메모리(340)에 저장된 차량 번호 또는 지문 데이터를 삭제(S430)하고, 출고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단계(S360)로 리턴 하여 출고가 완료될 때까지 출고 동작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40)에는 주차 요원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 대한 지문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어서, 주차 설비 및 시스템의 보수 점검 시에 주차 요원 또는 관리자가 지문을 마스터키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지문이 등록되어 있는 보수 담당자가 아니면 주차 설비 및 시스템의 보수 조작을 할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스템 임의조작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운전 버튼(111-3)만을 사용하여 차량을 입출고 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주차 시스템의 조작 패널부(110)에서 입/출고 버튼(111-2)을 사용하지 않고 운전 버튼(111-3)만을 이용하여 차량을 입출고 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차량 번호 또는 지문을 입력한 후 운전 버튼(111-3)을 누르면, CPU(330)는 메모리(340)에 입력된 차량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만일, 메모리(340)에 차량 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CPU(330)는 현재의 상태가 차량을 출고하기 위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팔레트에 입고되어 있는 차량을 출고하도록 제어하고, 메모리(340)에 차량 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현재의 상태가 차량을 팔레트에 입고하기 위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을 팔레트에 입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실시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전술한 내용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지문 인식을 이용한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통해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 설비에 입고할 때 차량의 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자신의 차량을 손쉽게 입고할 수 있고, 입고된 차량을 주차 설비로부터 출고할 때 차량 번호를 기억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차량을 손쉽게 찾아 출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 설비에 입고할 때 동행자의 지문을 동시에 입력함으로써, 출고 시 사용자가 직접 차량을 출고할 필요 없이 동행한 사람을 통해 차량을 출고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주차 설비 및 시스템의 보수 점검 시에도 지문이 등록되어 있는 보수 담당자가 아니면 보수 조작을 할 수 없도록 하여, 주차 시스템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시스템 임의조작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을 수용하기 위해 다수의 팔레트를 구비하는 차량 수용 수단;
    상기 차량 수용 수단에 차량을 입고하고, 상기 차량 수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 차량 번호 및 사용자의 지문 입력을 위한 다수의 버튼 및 지문 판독 창을 구비하는 조작 수단;
    상기 차량 수용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차량 수용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조작 수단 및 상기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조작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차량 번호 데이터 또는 지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주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에 포함된 상기 지문 판독창은
    상기 사용자의 동행자에 의해 사용 가능하며,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동행자가 상기 지문 판독 창을 통해 지문을 입력하기 전에 상기 동행자의 지문 입력을 예고하기 위한 동행자 지문 입력 버튼을 더 포함하는 주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디스플레이 수단;
    상기 차량 번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 하는 번호 입력 수단;
    상기 사용자 및/또는 동행자의 지문 데이터를 입력받아 신호처리 하기 위한 지문 입력 수단; 및
    상기 차량 번호, 상기 지문 데이터에 대한 인식 결과 및 상기 조작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신호처리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주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번호 입력 또는 상기 지문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차량을 입/출고하고자 하는 사용자 및/또는 동행자의 지문 데이터 및/또는 차량 번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지문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지문 데이터와 연계된 고유번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사용자 및/또는 동행자의 차량 번호 데이터 또는 지문 데이터 및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저장된 지문 데이터 및 고유번호 및/또는 상기 차량 번호 데이터에 근거해, 상기 차량의 입/출고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 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주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주차 시스템의 보수를 담당하는 관리자의 지문 데이터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주차 시스템의 오동작시 또는 상태 점검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관리자의 지문 데이터를 판별하여 보수 관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주차 시스템.
  6. 다수의 팔레트를 구비하는 주차 설비에 차량을 입고하고 상기 주차 설비로부터 상기 차량을 출고할 수 있는 주차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차량 번호 또는 지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상기 주차 설비에 입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고된 상기 차량을 상기 주차 설비로부터 출고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차량 번호 또는 지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 번호 또는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설비로부터 차량을 출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차 시스템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 및 상기 출고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동행자로부터 지문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상기 주차 설비에 입고하고 상기 차량을 상기 주차 설비로부터 출고하도록 제어하는 주차 시스템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지문 데이터를 인식하여 제1 고유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동행자의 지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동행자에 대한 지문 데이터를 인식하여 상기 제1 고유 번호와 연계된 제2 고유 번호를 생성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시스템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고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 또는 동행자의 지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또는 동행자에 대한 지문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지문 데이터와 동일한 지문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로부터 검색되면, 상기 차량을 상기 팔레트로부터 출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시스템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고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 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번호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된 차량 번호와 동일한 차량 번호가 검색되면 상기 팔레트로부터 상기 차량을 출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020045742A 2002-08-02 2002-08-02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856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742A KR100856173B1 (ko) 2002-08-02 2002-08-02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742A KR100856173B1 (ko) 2002-08-02 2002-08-02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256A true KR20040012256A (ko) 2004-02-11
KR100856173B1 KR100856173B1 (ko) 2008-09-03

Family

ID=3732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742A KR100856173B1 (ko) 2002-08-02 2002-08-02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516B1 (ko) * 2005-09-06 2006-06-07 (주)유니파이브테크 지문인식을 이용한 통합주차관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616A (ko) * 1998-08-11 2000-03-06 이종수 다단 승강 횡행식 주차 시스템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94480B1 (ko) * 2000-10-20 2003-08-09 정보영 원격 무인주차 제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516B1 (ko) * 2005-09-06 2006-06-07 (주)유니파이브테크 지문인식을 이용한 통합주차관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173B1 (ko)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776B1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방법 및 그 장치
US20150273704A1 (en) Robot system for determining operator by biometric authentication
US20110225056A1 (en) Checkout apparatus and mode switching method
KR100856173B1 (ko)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7529839B2 (ja) 駐車装置の制御機器とその制御方法
JP6626389B2 (ja) 機械式駐車設備の制御方法と機械式駐車設備
JP2000204810A (ja) 物品収納ロッカ―
JP4845376B2 (ja) 可搬型端末装置の保管・管理方法およびその保管・管理装置
JP3623692B2 (ja) 情報処理装置
JP7468580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361550B2 (ja) エレベータ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リーダ装置
JP7358971B2 (ja) 入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29611B2 (ja) 格納物管理システム及び格納物管理方法
CN1329608C (zh) 立体停车装置
WO2024090482A1 (ja) 機械式駐車装置の操作方法及び操作装置
JP7159066B2 (ja) 機械式駐車設備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0257115B1 (ko) 엘리베이터식 주차설비의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출고 예약운전방법
JP5129585B2 (ja) 物品監視装置の機能解除装置
JPH119428A (ja) 宅配物集合保管システム
JP2001262854A (ja) 異車種混載型立体駐車装置
JP4276769B2 (ja) 機械式駐車装置
TW202434789A (zh) 機械式停車裝置的操作方法及操作裝置
JPH10255199A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JPH04251009A (ja) 自動倉庫
KR101021888B1 (ko)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