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963A -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1963A
KR20040011963A KR1020020045294A KR20020045294A KR20040011963A KR 20040011963 A KR20040011963 A KR 20040011963A KR 1020020045294 A KR1020020045294 A KR 1020020045294A KR 20020045294 A KR20020045294 A KR 20020045294A KR 20040011963 A KR20040011963 A KR 20040011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wall
coupling
fix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5700B1 (ko
Inventor
강명환
김귀환
Original Assignee
강명환
김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환, 김귀환 filed Critical 강명환
Priority to KR10-2002-0045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70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04G11/12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of elements and beams which are mounted during erection of the shuttering to brace or couple the elements
    • E04G11/14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of elements and beams which are mounted during erection of the shuttering to brace or couple the elements with beams arranged in alignment with and between the elements and form also the shuttering 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벽체의 미관과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면(BS)에 고정된 바닥합판(V')의 상면(s1)에 고정되는 알루미늄 기초가름대(58)와, 기초가름대(58)의 상면에 직립하는 상·하단 거푸집(51)(50)과, 상단 거푸집(51)의 배면 상단부를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단 수평지지대(55)와, 상기 하단 거푸집(50) 하부 배면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는 하부 수평지지대(54)와, 상·하단 거푸집(51)(50)의 경계선을 따라 그 배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중단 수평지지대(53)로 이루어진 전면 거푸집과; 벽체(W)를 중심으로 상호 전면이 대향하며, 상기 전면 거푸집과 동일한 구조이고, 다수의 연결편(56)들에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전면 거푸집과 결합되는 후면 거푸집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본 발명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는 알루미늄 기초가름대를 거푸집과 시스템화하므로서 벽체 하단부의 직진도 및 마감 상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상기 알루미늄 기초가름대는 바닥에 깔리는 합판을 보호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거푸집용 기초 설치가 손쉽운 동시에 지초 설치용 목재를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터치식 지지대고정구와 수직직진도를 맞출 수 있는 중앙 지지대고정구를 사용하므로써, 수평지지대를 3본만 사용하고 별도의 수직지지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지지대의 설치가 간편하면서 설치 시간이 현저히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The structure of Al-forms constructed for a wall}
본 발명은 다층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들을 상·하 2단으로 하여 벽체의 길이만큼 좌·우로 펼쳐 연결한 후 서로 대향하도록 바닥에 세운 한 쌍의 벽체 전·후면 거푸집으로 구성되는 벽체용 거푸집에서, 벽체면에 밀착되는 상기 전·후면 거푸집의 각 하단면과 바닥 사이에 벽체 하단부의 직진도 유지와 마감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알루미늄재 기초 가름대를 구비하고, 벽체면에 밀착되는 상기 전·후면 거푸집의 벽체측 각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각각을 구성하는 단위 거푸집판넬들의 수평직진도를 맞추기 위한 수평지지대를 전·후면 거푸집의 각 배면 상단 및 하부에 1본씩 설치한 후 원터치식 지지대고정구로 고정시키며, 각 상·하단 거푸집의 경계부를 따라 그 배면에 설치되는 중단 수평지지대는 종래 수직지지대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중앙 지지대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므로써, 거푸집의 설치 구조를 단순화하고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벽체의 미관 및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이나 구축물의 공사시 콘크리트 벽체는, 내부 공간이 벽체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을 먼저 만든 후,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거푸집'이라 불리우는 상기 '틀'은 일반적으로 단위 거푸집판넬이라고 불리는 사각 판상의 판넬을 다수 연결하여 만들어진다.
따라서, 벽체의 형성은 다수의 단위 거푸집판넬들을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채울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형틀인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본 발명과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거푸집의 용어에 대한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거푸집에 대한 용어를 정의한다.
벽체 시공용 거푸집은 벽체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각 부분은 상·하단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상·하단은 다수의 단위 판넬로 분리되는 바, 상기 각 단위 판넬을 '단위 거푸집판넬', 단위 거푸집판넬이 좌·우로 결합되어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상단 거푸집', 하단에 위치한 것을 '하단 거푸집', 상·하단 거푸집을 구성하는 다수 단위 거푸집판넬의 전면들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단위 거푸집판넬들을 연결시키는 각종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결합되므로써 벽체의 양 면인 전·후면에 밀착되는 것을 각각 '전면 거푸집' 및 '후면 거푸집'이라하고, 상기 전면 거푸집과 후면 거푸집이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상호 전면이 대향하도록 기타 부재를 포함하여 결합된 전체를 '거푸집'이라 한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을 구성하는 종래 단위 거푸집판넬의 재료로는 주로 목재가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목재 단위 거푸집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목재 합판의 배면에 다수의 각형 목재 바(bar)가 못질되어 구성된 목재 단위 거푸집판넬 다수를, 벽체나 기둥의 뼈대가 되는 철근 조립부 외부에 연결조립하여 내·외벽 또는 기둥 등의 형상과 같은 내부 공간을 갖는 틀인 거푸집을 형성한 후,그 내부 공간에 콘트리트를 채워넣어 양생시킨 다음 상기 거푸집을 이루고 있는 단위 거푸집판넬들을 벽체로부터 떼어 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목재 단위 거푸집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시에는 단위 거푸집판넬들간의 연결조립이 못질 또는 와이어의 조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되며,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의 철거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그리고, 목재 단위 거푸집판넬은 합판의 배면에 각형 목재 바가 보강되어 있기는 하나, 목재의 특성상 거푸집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변형되기 쉬우며, 벽체의 규모가 클수록 그러한 경향은 더웅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벽체의 외면이 평탄면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재 단위 거푸집판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만든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채우기전 별도의 보강재로 상기 단위 거푸집판넬들을 보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거푸집의 설치 및 철거 과정에서 단위 거푸집판넬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아서 반복하여 재사용되는 횟수가 극히 제한되어 그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또한, 파손되어 못쓰게 된 목재 단위 거푸집판넬은 주로 소각을 통해서 처리되었으나, 최근에는 소각시 발생되는 연기가 공해 요인으로 작용하게 됨에 따라 그 처리를 위해 별도의 비용이 추가되는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거푸집용 목재 단위 거푸집판넬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재나 알루미늄 합금(이하 '알루미늄'이라고만 함)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재 단위 거푸집판넬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상기 철재 단위 거푸집판넬의 경우에는 그 중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핸들링이 어려워 거푸집 설치 작업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녹이 쉽게 발생되고 녹에 의한 내구성 저하가 크기 때문에 보관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철재 단위 거푸집판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으로써, 철재 단위 거푸집판넬에 비하여 무게가 매우 가벼울 뿐 아니라, 자체 강성이 크기 때문에 목재 단위 거푸집판넬에 비해 콘크리트 압력에 의한 변형이 거의 없어 양생되어 나오는 벽체의 품질이 우수하고 설치 및 철거 작업이 용이하고,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여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철재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단위 거푸집판넬을 사용한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는 설치에 따른 여러가지 단점들을 가지고 있는 바, 그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종래 금속 단위 거푸집판넬의 부분 사시도를, 도 2에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금속 단위 거푸집판넬(1)은 길이 방향을 따라 내면에 직립한 리브(R)를 제외하면 "ㄷ"자형 단면을 갖는 2쌍의 금속부재(11)로 4각 프레임을 만들고, 그 내면을 따라 직립한 상기 리브(R)에 판재(B)를 올려 놓고 판재의 전면과 상기 금속부재의 폭방향 선단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고정시킨 구조이며, 각 금속부재(11)의 폭 방향 중앙에는 거푸집과 거푸집을 연결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는 다수의 결합공(H)들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금속 단위 거푸집판넬(1)을 사용하여 설치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벽체(W)를 중심으로 상호 전면이 대향되도록 세워진 전·후면 거푸집(21)(21') 놓여지는 각 바닥면에는 목재 판재나 각목 등을 다수 적층시킨 목재기초(22)가 설치되며, 상층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합판(V)을 못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각목(T)이 각 전·후면 거푸집(21)(21') 배면 상단부에 수평으로 설치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전·후면 거푸집(21)(21')의 배면에는 단위 거푸집판넬들을 수직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4본의 수평지지대(S1)가, 수직으로 다수의 수직지지대(S2)가 분리가능하게 고정결합되며, 상기 수평지지대(S1)와 수직지지대(S2)로는 통상적으로 강 파이프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금속 단위 거푸집판넬들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종래 벽체용 거푸집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갖게 된다.
첫째, 전·후면 거푸집의 각 하단부에 설치되는 목재기초(22)는 다수의 목재를 이용하므로써, 벽체와 밀착되게 되는 목재기초의 단면과 높이를 평탄하게 맞추기 어려워 단위 거푸집판넬들 간의 수평도와 수직도를 맞추기 어려워 거푸집의 설치 작업성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최종 형성되는 벽체면의 정밀도가 떨어지게 된다.
둘째, 각 전·후면 거푸집의 배면 상단부에 고정되는 각목(T)은 일반적으로철사 등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그 위치가 완전히 고정되지 못하여 상층 슬라브용 합판(V)을 못질하여 고정시키고자 할 때 상기 각목(T)이 상·하로 유동하여 못질을 하기 어렵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목(T)의 저면과 바닥면 사이에 지지대를 설치하기도 하나, 이러한 경우에는 거푸집 설치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셋째, 각 전·후면 거푸집의 배면에 고정시켜야 하는 수평지지대(S1)와 수직지지대(S2)의 교차 부위가 많고, 고리형 부재 내지는 철사 등으로 교차 부위를 고정시키므로써 지지대 고정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넷째, 인접한 단위 거푸집판넬들을 연결하기 위한 결합공(H)이 일자형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연결핀(P)을 인접한 두 단위 거푸집판넬들의 상기 결합공(H)들에 함께 관통시킨 후, 상기 연결핀(P)에 구비된 고정공(h)에 상기 연결핀(P)과 동일한 형상의 판상 고정핀(도면 미도시)을 관통시켜 연결핀(P)을 고정시키므로써 인접 단위 거푸집판넬들을 연결하게 되는 바, 헤드부를 제외한 몸체 부분의 폭과 두께가 일정한 연결핀과 고정핀을 사용하기 때문에 결합공과 연결핀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밀착되도록 가공되기 어려우며, 또한 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연결핀과 고정핀이 변형되거나 외주면이 마모되어 결합공(H)의 내주면과 연결핀(P)의 외주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인접한 단위 거푸집판넬들이 서로 유동가능하게 되어 단위 거푸집판넬들의 전면들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못하여 벽체면이 고르지 못하게 되거나, 인접 거푸집들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콘크리트가 스며들게 되므로써 거푸집 해체를 어렵게 한다.
다섯째, 금속 단위 거푸집판넬(1)의 외곽 형상을 이루는 금속부재(11)는 한 쌍씩의 가로 및 세로 부재(11A)(11B)로 구성되고, 각 부재의 양단부는 직각을 이루며, 각 부재들의 각 단부들 역시 직교하여 사각 형상의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금속 단위 거푸집판넬(1)은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 부재의 길이를 고정시킨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부재(11A)의 양 단면이 평행한 두 세로부재(11B)의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 또는 그 반대의 상태로 용접된다.
따라서, 가로 및 세로 부재(11A)(11B)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홈(G)이 없는 경우는 물론, 홈(G)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가로부재(11A)의 외면에 형성된 홈(G)의 양 단부가 세로부재(11B)의 내면단부에 의해 막혀지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금속 단위 거푸집판넬(1)의 세로부재(11B) 하단면과 하단 금속 단위 거푸집판넬(1')의 세로부재(11'B) 상단면이 밀착하게 되고, 상·하단 단위 거푸집판넬의 경계선이 되는 밀착부(S)는 단위 거푸집판넬의 두께 전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게 되므로써, 거푸집의 해체를 어렵게 만들뿐 아니라, 상기 밀착부(S)의 접촉면에 이물질 등이 부착되면 단위 거푸집판넬들의 연결 정밀도가 떨어지고 단위 거푸집판넬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콘크리트가 새어나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금속 단위 거푸집판넬을 사용한 벽체 시공용 거푸집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거푸집 하단면에 벽체 하단면의 정밀한 시공과 마감을 위한 부재를 거푸집과 함께 시스템화하고, 슬라브 고정용 각목과 거푸집의 수평직진도를 위한 수평지지대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수직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고정구를 개발하여 적용하므로써, 거푸집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금속 단위 거푸집판넬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종래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를 보인 것으로,
(가)는 부분 사시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단위 거푸집판넬 결합용 연결핀의 사시도.
도 4는 종래 단위 거푸집판넬의 상·하단 적층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구조를 이루는 하단 거푸집과 기초가름대의 부분 결합도.
도 7은 본 발명 구조에 사용된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구조를 이루는 상단 단위 거푸집판넬의 해체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 구조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보호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구조를 구성하는 지지대고정구를 보인 것으로,
(가)는 측면도이고,
(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단위 거푸집판넬의 결합용 부재를 보인 것으로,
(가)는 연결핀의 사시도이고,
(나)는 고정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구조를 구성하는 중앙 지지대고정구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구조를 구성하는 중앙 지지대고정구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F. 단위 거푸집판넬 11. 금속부재 21. 전면 거푸집
21'. 후면 거푸집 22. 목재기초 50. 하단 거푸집
51. 상단 거푸집 52. 중앙 지지대고정구 53. 중단 수평지지대
54. 하부 수평지지대 55. 상단 수평지지대 56. 연결편
57. 지지대고정구 A. 결합플렌지 B. 판재
D. 판상결합편 G. 홈 g. 결합홈
H,H'. 결합공 N. 못 P,P',P". 연결핀
p". 고정핀 R. 리브 T. 각목
t. 기어 V,V'. 합판 W. 벽체
BS. 바닥면 cs. 만곡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벽체 하단면 시공을 위한 알루미늄 기초가름대와, 슬라브를 위한 합판 고정용 각목의 보호대 및 수평지지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2종류의 지지대고정구와, 양 단면부가 45도 경사를 이루는 두 쌍의 알루미늄 부재가 직각으로 결합되어 사각형의 외곽 형상을 이루는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는, 바닥에 벽체의 두께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벽체의 길이만큼 평행하게 깔리는 한 쌍의 목재 합판 위에 각각 놓이는 알루미늄 기초가름대의 각 상면에, 다수의 단위 거푸집판넬들로 구성된 전·후면 거푸집의 각 하단면이 밀착결합되고, 전·후면 거푸집의 각 상단, 하부 및 상·하단 거푸집 경계를 따라 그 배면에 3본의 수평지지대가 고정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거푸집 상단 배면의 수평지지대는 각목과 "ㄷ"자형 알루미늄 보호대로 구성되는 바, 상기 각목은 알루미늄 보호대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되므로써, 슬라브 시용공 합판의 고정과 함께 상단 거푸집을 구성하는 단위 거푸집판넬들의 수평직진도를 맞추는 역할도 수행하게 되며, 상·하단 거푸집의 경계부와 하단 거푸집의 하부에 사용되는 수평지지대는 금속재 각파이프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 및 하부 수평지지대는 원터치식 지지대고정구에 의해 손쉽게 고정되며, 상·하단 거푸집의 배면 경계부를 따라 설치되는 중단 수평지지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중앙 지지대고정구는, 중단 수평지지대의 고정 뿐 아니라, 상·하단 거푸집의 수직직진도를 맞추기 위한 종래 수직지지대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푸집 구조를 구성하는 단위 거푸집판넬들은 원형 단면의 연결핀과 이 연결핀에 구비된 고정공에 관통삽입되는 삼각 형상의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므로써, 상기 고정핀의 경사면이 연결핀의 고정공에 깊이 관통될수록 인접한 두 단위 거푸집판넬의 두 외곽부재가 개재된 상태에서 타측 부재의 내측에서 부터 결합공을 통하여 타측 부재의 내면측으로 관통되는 연결핀을, 타측 부재 내면측에서 결합된은 고정핀 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연결핀의 헤드부와 고정핀 사이에 개재된 두 인접 거푸집들의 두 외곽부재를 틈새 없이 밀착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단위 거푸집판넬의 외곽 형상을 이루는 외곽부재는, 각기 한 쌍씩의 가로 및 세로부재로 구성되며, 각 부재의 길이 방향 양 단면이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45°를 이루는 상태로 경사진 상태에서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의 단면부가 직각으로 결합되므로써, 각 부재의 외면에 외면을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홈의 양 단부가 타 부재의 내면 양 단부에 의해 막히지 않고 개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5에 본 발명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단면도를, 도 6에 하단 거푸집과 기초가름대의 결합사시도를, 도 7에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설치 구조는, 벽체(W) 하단부와 바닥면(BS)의 경계부를 따라 바닥면(BS) 위에 고정되는 바닥합판(V')의 상면(s1)과 벽체측 상부 측면(s2)에 저면과 내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바닥합판(V')의 상면(s1)에 고정되는 바형 알루미늄 기초가름대(58)와; 상기 기초가름대(58)의 상면에 직립하며 사각형의 외곽 형상을 하는 다수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F)들의 각 전면들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벽체(W)의 길이만큼 좌·우로 결합된 하단 거푸집(50)과; 하단 거푸집(50)의 상단면에 상호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적층되며 상기 하단 거푸집(5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상단 거푸집(51)과; 상단 거푸집(51)의 상단부에 저면이 놓여지는 상층 슬라브 시공용 합판(V)을 고정시키기위하여 상단 거푸집(51)과 각 상단부가 일치되도록 상단 거푸집(51)의 배면 상단부를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향개방된 "ㄷ"자형 단면을 갖는 바형 알루미늄 보호대(55A)와 그 요홈에 밀착삽입되는 각목(T)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원터치식 지지대고정구(57)에 의해상기 상단 거푸집(51)에 고정되는 상단 수평지지대(55)와; 상기 하단 거푸집(50)의 하부 배면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며,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원터치식 지지대고정구(57)에 의해 상기 하단 거푸집(50)에 고정되는 하부 수평지지대(54)와; 상기 상단 거푸집(51)과 하단 거푸집(50)의 경계선을 따라 상·하단 거푸집(51)(50)의 배면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며,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중앙 지지대고정구(52)에 의해 상·하단 거푸집(51)(50)에 함께 밀착고정되는 중단 수평지지대(53)로 이루어진 전면 거푸집과;
벽체(W)를 중심으로 상호 전면이 대향하며, 상기 전면 거푸집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다수의 연결편(56)들에 의해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호 전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전면 거푸집에 결합되는 후면 거푸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거푸집의 구조가 갖는 특징을, 전면 거푸집을 대상으로 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초가름대(58)는, 하향 개방된 "ㄷ"자형 단면을 가지며, 일측단부에는 외측으로 직립한 외측리브(R1)가, 타측단부에는 하측으로 계속 연장되는 하측리브(R3)와 내측으로 직립한 내측리브(R2)가 우·하측이 개방된 "ㄱ"자 형상으로 분기되어 연장형성되므로써, 바닥면(BS)에 벽체(W)의 길이만큼 놓여진 바닥합판(V')의 벽체(W)측 상면(s1)에 상기 내측리브(R2) 저면이 밀착되고, 벽체(W)에 밀착되며 상기 상면(s1)과 만나는 측면(s2) 상부에는 하측리브(R3)의 내면이 밀착되며, 상기 내측리브(R2) 저면이 밀착된 벽체(W)측 상면(s1)과 이격된 상면(s1)에 상기 외측리브(R1)의 저면이 밀착된다. 또한, 상기 외측리브(R1)의 폭방향 중앙에는 리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는 다수의 통공(h')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합판(V')은 못(N) 등에 의해 바닥에 고정되고, 기초가름대(58) 역시 상기 통공(h')을 통하여 못(N) 등에 의해 바닥합판(V')의 상면에 밀착고정되며, 상기 기초가름대(58) 상단면에 직립하게 설치되는 하단 거푸집(50)은, 이를 구성하는 각 단위 거푸집판넬(F)의 하단면과 기초가름대(58)의 상단면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H')을 관통하는 연결핀(P')에 의해 상기 기초가름대(58)의 상면에 직립하여 분리가능하게 고정결합된다.
이때, 하단 거푸집(50)을 구성하는 단위 거푸집판넬(F)의 하단면과 상기 기초가름대(58)의 상면에는 각 면을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홈(G)이 각각 형성되어 하단 거푸집(50)과 기초가름대(58)의 밀착은, 기초가름대(58)의 전길이에 걸쳐 경계면인 상면의 폭방향 양 단부에서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위 거푸집판넬(F)은 한 쌍씩의 가로부재(f1)와 세로부재(f2)에 의해 사각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각 부재의 양단면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45°의 경사면을 이루고, 두 경사면이 밀착되어 직각이 되는 모서리를 이루게 되기 때문에, 일측 부재의 외면을 가로지르는 홈(G)의 양 단부가 상호 직각으로 만나는 종래 단위 거푸집판넬(1)과 달리 타 부재의 내면단부에 의해 막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단 거푸집(50)과 기초가름대(58)와 같이 상단 거푸집(51)과 하단 거푸집(50)의 경우에도 경계부의 폭방향 양 단부에서만 밀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상기 홈(G)에 의해 상호 접촉면이 감소되므로써 접촉면에 이물질 등이 부착될 가능성이 감소되어 상호 직접적인 밀착이 가능하여 수평수직도가 정확하게 되며, 거푸집 해체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 단위 거푸집판넬(F1)의 하단부를 벽체로부터 다소 분리시키기만 하여도 상기 상부측 단위 거푸집판넬(F1)의 하단부 벽체측 모서리가 하부측 단위 거푸집판넬(F2)의 상단면 홈(G)으로 들어가면서 기울게 되기 때문에 상부측 단위 거푸집판넬(F1)의 해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거푸집판넬(F)의 외곽형상을 이루는 각기 한 쌍씩의 네 부재(f1)(f2)의 홈(G)을 제외한 폭방향 양단부 외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공(H')이 형성된 동일한 위치의 폭방향 양 단부 외면을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결합홈(g)들이 다수 구비되며, 이 결합홈(g)을 통하여 상호 대향하는 전·후면 거푸집이 밴드형 연결편(56)에 의해 연결되고, 지지대고정구(57) 등이 결합된다.
또한, 단위 거푸집판넬들을 결합시키고, 각종 고정구 및 연결편들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 부재(f1)(f2)에 관통형성된 다수의 결합공(H')은, 종래 일자형 결합공(H)과 달리 일자형 결합공과 일자형 결합공의 길이보다 짧은 직경을 갖는 원형 결합공의 각 중심이 일치되어 겹쳐진 형상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위 거푸집판넬에 구비된 상기 결합공(H')은 종래의 판상 연결핀(P)과 도 11에 도시된 원형 단면의 연결핀(P")을 함께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원형 단면의 연결핀(P")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원형 단면의 연결핀(P")은 삼각 형상의 판상 고정핀(p")과 함께 사용되며, 상기 고정핀(p")이 상기 원형 단면의 연결핀(P")에 구비된 연결핀 고정공(h)을 관통할 때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폭에 의해 상기 연결핀(P")을 잡아당기게되므로써 인접 단위 거푸집판넬들이 틈새 없이 밀착된다.
상단 수평지지대(55)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보호대(55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개방된 "ㄷ"자형 단면을 갖는 바(bar)로서, 그 내부에 각목(T)이 밀착삽입되며, 평행한 두 측면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h')들이 길이 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통공(h')을 통하여 못 등에 의해 각목(T)이 보호대(55A)에 고정되므로써, 외부로 드러나는 각목(T) 상면에 상층 슬라브 시공용 합판(W)이 놓여진 상태에서 못에 의해 합판(W)이 상기 각목(T)에 고정된다.
상단 및 하부 수평지지대(55)(54)를 상·하단 거푸집(51)(50)의 배면에 밀착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대고정구(57)는 원터치식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의 일측 변을 회전축으로 하여 내부측으로 만곡면(cs)이 형성된 몸체(57A)와;
상기 몸체 만곡면(cs)과 만나지 않는 몸체 전면(s3)의 상·하 단부에 배면이 각각 부착되는 두 판상 결합편(D)의 각 양 단부에 상호 평행하고 상·하로 개방되도록 리브(R)가 각각 직립하여 연장형성되므로써 "ㄷ"자형 단면을 갖는 한 쌍의 고정편(57B1)과, 두 고정편(57B1) 사이의 상기 몸체 전면(s3)에 배면이 부착되며 인접한 두 단위 거푸집판넬(F)의 각 대향 결합홈(g)이 합쳐진 관통공에 삽입관통되고 거푸집과의 결합을 위한 통공(h')이 형성된 결합플렌지(A)가 중앙부에 직립형성된 판상의 지지편(57B2)으로 구성된 결합체(57B)와;
상기 몸체의 상면(s4)에 고정결합된 원통형 회전가이드(57C1)와, 회전가이드(57C1)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단부에 산의 연결선이 반원호상을 그리는 고정톱니들이 형성된 고정기어(t)가 구비된 로드형 고정레버(57C2)로 이루어진 회전체(57C)로 구성된다.
즉, 상기 결합플렌지(A)를 인접한 두 단위 거푸집판넬(F)의 각 대향 결합홈(g)이 합쳐진 관통공에 삽입관통시키고, 도 11에 도시된 원형 단면의 연결핀(P")을 서로 일치된 상기 단위 거푸집판넬(F)과 결합플렌지(A)의 결합공(H')과 통공(h')에 관통시킨 후, 원형 단면 연결핀의 고정공(h)을 관통하는 삼각 형상의 고정핀(p")을 사용하여 상기 원형 단면의 연결핀(P")을 고정시키므로써, 상기 지지대고정구(57)를 거푸집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레버(57C2)를 회전시켜 지지대고정구(57)의 상면(s4)에 놓여진 상단 및 하부 수평지지대(55)(54)를 거푸집의 배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중단 수평지지대(53)를 고정시키는 중앙 지지대고정구(52)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상·하단 네 단위 거푸집판넬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설치되어 중단 수평지지대의 고정 뿐 아니라, 상·하단 단위 거푸집판넬의 수직직진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하 방향과 전방측으로 개방되도록 "ㄷ"자형 단면을 가지며, 서로 상·하로 이격된 상태에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통공(h')이 구비된 결합플렌지(A)가 폭방향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직립형성된 상·하 한 쌍의 결합바(52A)와;
상기 두 결합바(52A)의 배면(s5)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전방측 외주연부가 부착되며, 두 결합바(52A)의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외주연부가 상기 결합플렌지(A)의 반대 방향으로 파여져 요홈을 이루는 판상의 몸체(52B)와;
상기 두 결합바(52A)의 배면(s5)에 부착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몸체(52B)의 전체 외주연부에 폭방향 중심면이 직각으로 부착되며, 상기 결합바(52A)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보강리브(52C)와;
상기 몸체(52B) 요홈의 외주연부 중앙과 그 폭방향 반대측 외주연부 사이를 나사결합하며 관통하는 조임로드(52D2)의 상기 요홈측 단부에 조임판(52D1)이 결합되고 반대측 단부에는 조임핸들(52D3)이 구비된 조임기(52D)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 지지대고정구(52)는, 인접한 상·하단으로 인접한 네장의 단위 거푸집판넬(F3,F4)(F5, F6)이 만나는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여 한 쌍씩의 인접 상·하단 단위 거푸집판넬 사이에 각 단위 거푸집판넬 측면의 결합홈(g)이 합쳐져 형성되는 상·하단 거푸집의 각 관통공에 상기 상·하 결합플렌지(A)가 삽입결합된다.
즉, 상기 중앙 지지대고정구(52) 및 지지대고정구(57)의 각 결합플렌지(A)가 두 인접 단위 거푸집판넬들의 상기 각 결합홈(g)이 합쳐진 관통공으로 삽입된 후, 연결핀(P")을 상기 결합홈(g) 방향과 직교하는 단위 거푸집판넬 외곽부재의 일측 결합공(H)으로부터 상기 결합홈(g)과 인접한 타측 단위 거푸집판넬 외곽부재의 결합공(H)에 관통시키고, 이 연결핀(P")에 구비된 고정공(h)에 삼각 형상의 고정핀(p")을 관통결합시키므로써, 두 인접 단위 거푸집판넬 사이에 상기 중앙 지지대고정구(52) 및 지지대고정구(57)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하단 거푸집의 경계부를 따라 설치되는 중단 수평지지대(53)는 상기 중앙 지지대고정구(52)의 두 결합플렌지(A)와 조임판(52D1) 사이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조임기(52D)를 조이게 되면 상기 중단 수평지지대(53)는 상·하단 거푸집의 경계부 배면에 밀착되면서 상·하단 거푸집의 수평직진도를 맞추면서 상·하단 거푸집의 경계부 전면을 동일 평면상으로 유지시키게 되며, 상기 상·하 보강리브(52C)는 상·하단 거푸집의 수직직진도를 맞추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는 알루미늄 기초가름대를 거푸집과 시스템화하므로서 벽체 하단부의 직진도 및 마감 상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상기 알루미늄 기초가름대는 바닥에 깔리는 합판을 보호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거푸집용 기초 설치가 손쉽운 동시에 지초 설치용 목재를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원터치식 지지대고정구와 수직직진도를 맞출 수 있는 중앙 지지대고정구를 사용하므로써, 수평지지대를 3본만 사용하고 별도의 수직지지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지지대의 설치가 간편하면서 설치 시간이 현저히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재 각목 보호대를 사용하므로써 상층 슬라브 시공용 합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각목을 반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원형 단면 연결핀과 삼각 형상 고정핀을 사용하므로써 단위 거푸집판넬 사이의 밀착력이 향상되어 단위 거푸집판넬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어 벽체면의 표면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Claims (6)

  1. 다수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들로 이루어진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벽체(W) 하단부와 바닥면(BS)의 경계부를 따라 바닥면(BS)에 고정된 바닥합판(V')의 상면(s1)에 고정되는 알루미늄 기초가름대(58)와; 기초가름대(58)의 상면에 직립하며 사각형의 외곽 형상을 하는 다수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F)들의 각 전면들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벽체(W)의 길이만큼 좌·우로 결합된 하단 거푸집(50)과; 상기 하단 거푸집(50)의 상단면에 상호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적층되며 상기 하단 거푸집(5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상단 거푸집(51)과; 상기 상단 거푸집(51)과 상호 상단부가 일치되도록 상단 거푸집(51)의 배면 상단부를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향개방된 "ㄷ"자형 단면을 갖는 알루미늄 보호대(55A)와 그 요홈에 밀착삽입되는 각목(T)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원터치식 지지대고정구(57)에 의해 상단 거푸집(51)에 고정되는 상단 수평지지대(55)와; 하단 거푸집(50) 하부 배면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며,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원터치식 지지대고정구(57)에 의해 상기 하단 거푸집(50)에 고정되는 하부 수평지지대(54)와; 상기 상단 거푸집(51)과 하단 거푸집(50)의 경계선을 따라 상·하단 거푸집(51)(50)의 배면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며,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중앙 지지대고정구(52)에 의해 상·하단 거푸집(51)(50)에 동시 고정되는 중단 수평지지대(53)로 이루어진 전면 거푸집과;
    벽체(W)를 중심으로 상호 전면이 대향하며, 상기 전면 거푸집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다수의 연결편(56)들에 의해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호 전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전면 거푸집에 결합되는 후면 거푸집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가름대(58)는, 하향 개방된 "ㄷ"자형 단면을 가지며, 일측단부에는 외측으로 직립한 외측리브(R1)가, 타측단부에는 하측으로 계속 연장되는 하측리브(R3)와 내측으로 직립한 내측리브(R2)가 "ㄱ"자 형상으로 분기되어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F)은 한 쌍씩의 가로부재(f1)와 세로부재(f2)에 의해 사각형상을 이루며, 각 부재의 양단면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45°의 경사면을 이루고, 각 부재의 외면에는 외면을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홈(G)과, 일자형 결합공과 일자형 결합공의 길이보다 짧은 직경을 갖는 원형 결합공의 각 중심이 일치되어 겹쳐진 형상을 하는 다수의 결합공(H')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보호대(55A)는 상향개방된 "ㄷ"자형 단면을가지며, 평행한 두 측면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h')들이 길이 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고정구(57)는 육면체의 일측 변을 회전축으로 하여 내부측으로 만곡면(cs)이 형성된 몸체(57A)와;
    상기 만곡면(cs)과 만나지 않는 몸체 전면(s3)의 상·하 단부에 배면이 각각 부착되는 두 판상 결합편(D)의 각 양 단부에 상호 평행하고 상·하로 개방되도록 리브(R)가 각각 직립하여 연장형성된 한 쌍의 고정편(57B1)과, 두 고정편(57B1) 사이의 상기 몸체 전면(s3)에 배면이 부착되며 통공(h')이 관통형성된 결합플렌지(A)가 중앙부에 직립형성된 지지편(57B2)으로 구성된 결합체(57B)와;
    상기 몸체(57A)의 상면(s4)에 고정결합된 원통형 회전가이드(57C1)와, 회전가이드(57C1)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단부에 산의 연결선이 반 원호상을 그리는 고정톱니들이 형성된 고정기어(t)가 구비된 로드형 고정레버(57C2)로 이루어진 회전체(57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대고정구(52)는 상·하 방향과 전방측으로 개방된 "ㄷ"자형 단면을 가지며,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상·하로 이격되고,통공(h')이 구비된 결합플렌지(A)가 폭방향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직립형성된 상·하 한 쌍의 결합바(52A)와;
    상기 두 결합바(52A)의 배면(s5)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전방측 외주연부가 부착되며, 두 결합바(52A)의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외주연부가 상기 결합플렌지(A)의 반대 방향으로 파여져 요홈을 이루는 판상의 몸체(52B)와;
    상기 두 결합바(52A)의 배면(s5)에 부착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몸체(52B)의 전체 외주연부에 폭방향 중심면이 직각이 되도록 부착되는 보강리브(52C)와;
    상기 몸체(52B) 요홈의 외주연부 중앙과 반대측 외주연부 사이를 나사결합하며 관통하는 조임로드(52D2)의 상기 요홈측 단부에 조임판(52D1)이 결합되고 반대측 단부에는 조임핸들(52D3)이 구비된 조임기(52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KR10-2002-0045294A 2002-07-31 2002-07-31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KR100475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294A KR100475700B1 (ko) 2002-07-31 2002-07-31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294A KR100475700B1 (ko) 2002-07-31 2002-07-31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963A true KR20040011963A (ko) 2004-02-11
KR100475700B1 KR100475700B1 (ko) 2005-03-10

Family

ID=3731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294A KR100475700B1 (ko) 2002-07-31 2002-07-31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7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3939A (zh) * 2019-02-15 2019-06-07 崔平 一种节肢式建筑用铝模及其支撑装置
CN114562103A (zh) * 2022-03-16 2022-05-31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铝模板装配用底角板及其使用方法
CN117967040A (zh) * 2024-03-28 2024-05-03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构造柱支模结构及其专用模板和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728B1 (ko) 2005-12-28 2007-08-14 주식회사 광진건업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시스템
KR100770958B1 (ko) * 2006-05-10 2007-10-30 박정진 거푸집용 합성패널
KR100758627B1 (ko) 2006-07-04 2007-09-13 박형국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KR100904889B1 (ko) 2007-10-18 2009-06-29 미래테크(주) 형틀 모서리 연결 압착구
KR102022185B1 (ko) * 2018-03-08 2019-11-04 이익형 거푸집용 목재 지지대 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106Y1 (ko) * 1997-12-10 2000-05-01 서운수 콘크리트벽과 스라브용 거푸집구조
KR200209620Y1 (ko) * 2000-08-17 2001-01-15 허원태 콘크리트거푸집용 팀버브라켓트
KR200233682Y1 (ko) * 2001-03-20 2001-10-08 태성판넬 주식회사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KR200292760Y1 (ko) * 2002-07-31 2002-10-25 강명환 거푸집 기초가름대
KR200292762Y1 (ko) * 2002-07-31 2002-10-25 강명환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200292761Y1 (ko) * 2002-07-31 2002-10-25 강명환 거푸집 설치용 수평지지대 고정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3939A (zh) * 2019-02-15 2019-06-07 崔平 一种节肢式建筑用铝模及其支撑装置
CN109853939B (zh) * 2019-02-15 2020-12-22 合迪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节肢式建筑用铝模及其支撑装置
CN114562103A (zh) * 2022-03-16 2022-05-31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铝模板装配用底角板及其使用方法
CN114562103B (zh) * 2022-03-16 2023-09-19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铝模板装配用底角板及其使用方法
CN117967040A (zh) * 2024-03-28 2024-05-03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构造柱支模结构及其专用模板和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5700B1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26936A (zh) 方形劲性柱装配式截面可调模板体系及其施工方法
CN109972837A (zh) 一种木框模板及其使用方法
KR100475700B1 (ko)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US3609935A (en) Permanent form for precast tilt-up concrete modules and process
KR100484513B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KR100484512B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JP2004068385A (ja) 鋼管柱建方用調整構造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200303949Y1 (ko)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데크지지대
KR200303775Y1 (ko) 내벽거푸집 설치용 기초가름대
KR200380884Y1 (ko) 데크판넬 연결용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KR200292761Y1 (ko) 거푸집 설치용 수평지지대 고정구
KR200292760Y1 (ko) 거푸집 기초가름대
KR101202296B1 (ko) 조립식 거푸집
RU108472U1 (ru) Опалубка поддерживающая для сборного 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кесонного типа
KR200209599Y1 (ko) 조립식 계단거푸집
KR200291526Y1 (ko) 거푸집용 판넬
CN217292740U (zh) 一种圆柱定型木制模板结构
KR200375081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거푸집 설치 구조
JP5697785B1 (ja) コンクリート補強壁構築方法
JPH11193572A (ja) 木造建築用の接合金具
KR20040030756A (ko) (철판)으로 테두리를 보강한 콘크리트 블록
KR101165587B1 (ko) 토목 건축용 다용도 패널
KR101109492B1 (ko) 거푸집 판넬의 조립틀 구조
KR200375082Y1 (ko)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