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0051A - 간이 차량견인장치 - Google Patents

간이 차량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0051A
KR20040010051A KR1020030007049A KR20030007049A KR20040010051A KR 20040010051 A KR20040010051 A KR 20040010051A KR 1020030007049 A KR1020030007049 A KR 1020030007049A KR 20030007049 A KR20030007049 A KR 20030007049A KR 20040010051 A KR20040010051 A KR 20040010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frame
spring
tow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규민
Original Assignee
오성희
오규민
김종순
이기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희, 오규민, 김종순, 이기춘 filed Critical 오성희
Priority to KR1020030007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0051A/ko
Publication of KR2004001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05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243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protection in case of crash, collision, impac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8Tow rop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후미에 장착되는 것으로 유사시 다른 고장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간이 차량견인장치이다. 본 발명의 간이 차량견인 장치는 제1몸체와 제2몸체와 제3몸체로 구성된다. 제1몸체는 태엽스프링(WINDUP SPRING)을 내장하고 태엽스프링의 작용으로 회전복원력을 얻는 스풀(SPOOL)부와, 상기 스풀에 의하여 기어로 연동되고 견인줄을 정리하고 길이를 조정하는 견인줄조절부와, 스풀부와 견인줄조절부를 결합하고 지지하는 프레임부로 구성된다. 제2몸체와 제3몸체는 제1몸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로서 제2몸체는 스풀이 장착되어 있는 제1몸체를 안장하면서 제1몸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제3몸체는 상기 제2몸체를 지지하고, 제2몸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호이탈을 방지하는 장치 및 전체 몸체의 좌우회전시 회전복원력을 갖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간이 차량견인장치는 견인줄조절장치를 갖고 있어서 견인중 견인차량과 피견인 차량간의 간격변동으로 인한 견인줄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자체 완충장치를 장착하고 있어서 견인시 견인차량이나 피견인차량 모두 순간적인 견인발진으로 인한 충격으로 부터 오는 엔진 임펙트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간이 차량견인장치{LIGHT-HANDY VEHICLE TOW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후미에 장착되는 것으로 유사시 다른 고장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간이 차량견인장치이다.
차량을 견인하게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사고에 의한 견인이고, 둘째는 차량결함 및 연료, 냉각수 고갈 등 차량 안전점검미비에 따른 고장으로 대별할 수 있다.
사고에 의한 견인의 경우에는 마땅히 견인차량(렉카)에 의하여 견인되어야하고,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안전점검미비나 차량결함 등 경미한 고장으로 인한 견인의 경우에는 가까운 거리에 있는 정비업체까지만 견인하여 도와주면 사고예방은 물론 경비절감, 시간절약을 기할 수 있고, 인간적 유대도 기할 수 있어서 운전문화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대부분의 차량에 고장차를 견인할 만한 튼튼한 견인줄이 없고, 가사로프가 있다고 하더라도 견인시 차량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곤란하므로 견인줄의 늘어짐이나 견인차량 발진시 충격 등으로 차량에 무리가 가해지므로 서로 피하게 되는 것이 현실임.
로프를 연결하고 견인차량의 발진시 견인차량과 피견인차량에 주는 충격을 방지하고, 견인상황에 따라 차량간격 즉 견인줄의 최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갖고 견인시 차량간격이 좁혀질 때 견인줄의 늘어짐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면 4륜구동 및 S.U.V.차량에 견인장치를 장착하여 운행함으로써 길거리에서 불시에 사소한 고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운전자에게 쉽게 도움을 줄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장치를 고안하게 됨.
도1 : 본 발명 간이 차량견인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2 : 전체 몸체의 우측면도
도3 : 스풀부의 우측 단면구조도
도4 : 견인줄조절부의 정면 구조도
도5 : 스토퍼구동줄의 연결 및 작용도
도6 : 견인시 완충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중요부분의 설명
100 제1몸체, 200 제2몸체, 300 제3몸체, 110 스풀부, 120 견인줄조절부, 130 지1몸체 프레임부, 이하 하위단계의 세부도면부호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부기함.
본 발명의 간이 차량견인 장치는 제1몸체와 제2몸체와 제3몸체로 구성된다.
제1몸체는 태엽스프링(WINDUP SPRING)을 내장하고 태엽스프링의 작용으로 회전복원력을 얻는 스풀(SPOOL)부와, 상기 스풀에 의하여 기어로 연동되고 견인줄을 정리하고 길이를 조정하는 견인줄조절부와, 스풀부와 견인줄조절부를 결합하고 지지하는 프레임부로 구성된다.
제2몸체와 제3몸체는 제1몸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로서 제2몸체는 스풀이 장착되어 있는 제1몸체를 안장하면서 제1몸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제3몸체는 상기 제2몸체를 지지하고, 제2몸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호이탈을 방지하는 장치 및 전체 몸체의 좌우회전시 회전복원력을 갖는 수단을 구비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간이 차량견인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도면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 간이 차량견인장치의 전체 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제1몸체(100)는 스풀(SPOOL)부(110)와, 견인줄조절부(120)와, 상기 스풀부와 견인줄조절부를 결합하고 지지하는 프레임부(130)로 구성된다.
도2는 전체 몸체의 우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3은 스풀부(110)의 우측 단면구조를 중심으로 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몸체의 스풀부(110)는 스풀(SPOOL)의 회전복원력을 얻기위한 태엽스프링(WINDUP SPRING,111a,111b)과, 상기 태엽스프링을 양단에 장착한 스프링샤프트(SPRING SHAFT,112, 이하 샤프트라 한다)와, 상기 샤프트를 내장한 스풀(SPOOL,113)과, 양 태엽스프링의 다른 끝단이 고착되고 정지홈(STOP HOME,115a)을 갖는 스풀날개(SPOOL FLIER,115)와, 상기 스풀에 고정되어 감기는 견인줄(ROPE,116)과, 상기 스풀날개의 일단(본 발명에서는 좌단 스풀날개)에 고착되어 스풀의 회전으로 구동되는 직렬로 연결되는 3개의 평기어(SPUR GEAR,117a,117b,117c)로 구성된다.
도4는 견인줄조절부(120)의 정면 구조도를 중심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5는 스토퍼구동줄(127)의 연결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몸체의 견인줄조절부(120)는 상기 3개의 평기어로 연동되는 원동절인 원통형 캠(CAM,121)과, 상기 캠의 종동절인 캠키박스(CAM KEY BOX,122)에 일체로 결합된 밧줄고리(123)와, 상기 밧줄고리의 횡(좌우)운동을 정리하는 전방상부 지지봉(133a)에 난 홈(BAR HOME,124)과, 밧줄길이 조정판 조절볼트(125)와, 상기 조절볼트 아래에 제1몸체 양 내부프레임에 설치되며 좌측은 낮고 적게, 우측은 높고 크게 유격을 갖도록 설계된 경사형 밧줄길이 조정판(126,이하 조정판이라 한다)과, 조정판 일단(본 발명에서는 우측단)에 부착된 스토퍼(STOPPER)구동줄(127)과 도르레(128), 상기 스토퍼 구동줄에 감기어 회전하는 돌기(129a)가 달린 스토퍼(STOPPER,129)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100)의 스풀부(110)와 견인줄조절(120)를 결합하고 지지하는 프레임부(130)는 샤프트(112)를 양단에서 고정하고 스풀(113)을 보호하는 내부프레임(131a,131b).외부프레임(132a,132b)과, 상기 내.외부프레임을 결합하고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각각 1쌍씩의 삽입링(136)을 갖는 전후 상하 2쌍(4개)의 프레임 지지봉(IRON BAR,133a,133b,133c,133d)과, 상기 1쌍의 외부프레임의 양측면에 고착되고 제2몸체와 좌우 유격을 갖도록 장치되는 각각 2쌍(4개)의 키볼트(KEY BOLT, 134a, 134b, 134c, 134d)로 구성된다.
제1몸체(100)의 작용의 특징은 태엽스프링(111)의 작용으로 견인을 위하여 풀린 견인줄(116)을 되감는 스풀(113)이 회전복원력을 얻고, 동시에 스풀(113)의 회전운동으로 구동되는 원통형 캠(121)의 작용으로 견인줄(116)이 스풀에 좌우로 균형을 이루며 고르게 감기고 풀리는 견인줄 정리감기와, 캠 키박스(122)의 좌우운동을 경사형 조정판(126)의 상하운동으로 전환하여 스토퍼구동줄(127)에 연결하고, 상기 구동줄이 도르레(128)를 통하여 돌기(129a)가 달린 스토퍼(129)를 회전시키고, 상기 스토퍼 회전시 돌기(129a)가 스풀날개(115)의 정지홈(115a)에 걸리게 하여 스풀(113)을 정지시킴으로써 견인줄(116)의 길이(견인차량의 거리)를 견인상황에 따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장치다.
다음으로 제2몸체(200)는 제1몸체를 안장하는 프레임(210)과, 상기 제2몸체의 전방 프레임(211) 및 하부로 난 1쌍의 이탈방지 볼트너트(212a, 212b)와, 제2몸체의 프레임(210)을 강화하고 제1몸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후상하 3개의 프레임 지지봉(213a,213b,213c)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제1몸체의 키볼트(134a,134b,134c,134d)와 결합하기 위한 횡유격이 있는 양측면의 관통홈(THROUGH HOME,215a,215b)과, 제3몸체를 결합하기 위한 각각 1쌍의 키볼트(214a,214b,214c,214d)와, 상기 전방 프레임(211)과 제1몸체의 전방하단의 지지봉(133c)을 견제하는 2개 이상의 압축스프링(216a, 216b)으로 구성된다. 이 때제1몸체의 프레임(130)과 제2몸체의 프레임(210)은 제2몸체의 프레임에 설치된 양측면의 횡유격이 있는 관통홈(215a,215b)을 통하여 제1몸체의 프레임(130)의 양측면에 결합된 각각 2쌍의 키볼트(134a,134b,234c,134d)로 전후 유격을 갖도록 결합되며, 상기 키볼트와 제2몸체의 지지봉(213a,213b,213c)은 압축스프링(216a,216b)이 압축 또는 이완될 때 제1몸체의 이탈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제3몸체(300)는 제2몸체를 안장하는 프레임(310)과,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제2몸체의 좌우 각1쌍의 키볼트(214a,214b,214c,214d)와 결합하기 위한 횡유격 관통홈(315a,315b)과, 제3몸체의 프레임을 강화하는 후방프레임 지지봉(313)과, 제2몸체의 양측면 프레임(210)과 제3몸체의 양 측면 프레임(310)을 양 측면에서 인장하는 2개 이상의 인장스프링(316a,316b)과, 상기 제3몸체의 중앙부에 볼베어링 장치(317)를 갖고 차체와 결합되어 전체몸체를 지지하는 하체기판(318)과, 상기 프레임(310)의 후면부에 전체 몸체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고 몸체를 정위치에 복원되도록 하는 차체와 연결되는 1쌍의 몸체복원스프링(319a,319b)으로 구성된다. 제2몸체의 프레임(210)과 제3몸체의 프레임(310)은 양측면의 횡유격이 있는 관통홈(315a,315b)을 통하여 제2몸체의 프레임(210)과 결합되는 좌우 각1쌍의 키볼트(214a,214b,214c,214d)로 전후 유격을 갖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몸체의 프레임(210)과 결합되는 좌우 각1쌍의 키볼트와 제2몸체의 전방 하부의 이탈방지 볼트너트(212a,212b)와 제3몸체의 지지봉(313)은 상기 2개의 인장스프링(316a,316b)이 압축 또는 이완될 때 제2몸체의 이탈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간이 차량견인장치는 차량후미에 장착하여 고장차량인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장치로서 견인을 하기 위하여 본 장치에 장치된 견인줄의 한 쪽 끝을 피견인차량에 고정한 후 견인차량을 발진하게 되면 본 장치의 스풀(113)에 감겨져있는 견인줄(116)이 미리 조정된 일정한 거리에서 풀림을 정지하게 되어 견인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풀(113)에 감긴 견인줄(116)이 풀릴 때 스풀 내부에 장치되어 있는 태엽스프링(111a,111b)이 감기게 된다.
견인 운행중 차량간격과 피견인차량의 간격이 좁아져서 견인줄(116)이 느슨해지면 이전에 견인줄이 풀릴 때 감긴 태엽스프링(111a,111b)의 복원력으로 자동으로 견인줄(116)을 스풀(113)에 되감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풀의 견인줄(116)이 풀리거나 되감길 때 스풀날개(115)에 결합된 평기어(117a,117b,117c)를 통하여 본 장치 전면에 설치된 원통형 캠(121)이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 장치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첫째, 캠의 키박스(122) 속의 키의 작용으로 인하여 기어를 통하여 캠에 전달된 회전운동이 키박스(122)의 좌우 왕복운동으로 바뀌면서 스풀(113)에 견인줄(116)이 풀리거나 감길 때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순서대로 견인줄을 풀고 감음으로써 견인줄(116)의 엉김이나 스풀(113)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키박스(122)에 일체로 장치된 조정판 조절볼트(125)를 죄면 키박스가 최초의 조절볼트지점(본 발명에서 좌측지점)에서 우측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조절볼트의 하단부가 좌측은 낮고 우측은 높게 설계된 조정판(126)을 압박하여 조정판(126)의 높은 부분(우측부분)이 상하운동으로 바뀌게 되고, 이때 조정판(126)의우측 끝에 부착된 스토퍼구동줄(127)에 조정판 우측 끝단의 상하운동이 연결되면 스토퍼구동줄이 당겨져서 도르레(128)를 통하여 몸체1의 후미에 설치된 스톱퍼(129)를 돌려 주게 되는 바, 이 때 스톱퍼(129)가 회전되면서 스토퍼에 일체로 부착된 돌기(129a)가 스풀날개(115)에 장치된 정지홈(115a)에 걸리게 되면서 스풀(113)은 정지하게 되고 견인줄(116)은 더 이상 풀리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제1몸체에서 제2몸체 및 제3몸체로 연결되는 2단계 충격완충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견인줄(116)이 스풀(113)에서 풀려서 일정거리에서 정지될 때 최초로 피견인 차량에 힘이 전달되는데 정지된 물체(피견인차량)의 관성상 필연적으로 일시적인 충격이 가하여 질 수 밖에 없는데 이를 완충하기 위하여 압축스프링(216a,216b)을 이용한 제1완충장치와 인장스프링(316a,316b)을 이용한 제2완충장치를 통하여 2단계로 충격을 완충한다.
본 발명의 간이 차량견인장치는 스풀(113)이 장착되어 있는 제1몸체와, 제1몸체를 안장하는 제2몸체와, 그리고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지지하면서 좌우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제3몸체가 견인으로 인한 충격시마다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도6은 본 발명의 간이 차량견인장치의 작동시 즉 견인시 제1 및 제2완충장치의 작동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충격완충장치는 제1몸체(100)에서 제2몸체(20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장치로서 그 구성과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1몸체(100)의 프레임(130)에 장치된 키볼트(134a,134b,134c,134d)를 제2몸체(200)의 관통홈(215a,215b)에 삽입하고, 제1몸체의 전방 하단의 지지봉(133c)과 제2몸체의 전방 프레임(211)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2개 이상의 압축스프링(216a,216b)을 장착하여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고, 상기 압축스프링(216a,216b)의 압축시 이동되는 제1몸체를 제1몸체의 프레임에 장치된 키볼트(134a,134b,134c,134d)가 제2몸체의 관통홈(215a,215b)을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써 제1몸체를 상하전후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몸체에 설치된 프레임(211) 및 지지봉(213a,213b,213c)도 보조적으로 제1몸체(100)의 전후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충격완충장치는 제2몸체(200)에서 제3몸체(30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장치로서 그 구성과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2몸체(200)의 프레임(210)에 장치된 키볼트(214a,214b,214c,214d)를 제3몸체의 관통홈(315a,315b)에 삽입하고, 제2몸체 프레임(210)의 양 측면과 제3몸체 프레임(310)의 양 측면 사이에는 각각 충격을 흡수하는 2개 이상의 인장스프링(316a,316b)을 장착하여 제2몸체와 제3몸체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고, 상기 인장스프링(316a,316b)의 인장시 이동되는 제2몸체(200)를 제2몸체의 프레임에 장치된 키볼트(214a,214b,214c,214d)가 제3몸체의 관통홈(315a,315b)을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써 제2몸체(200)를 상하전후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몸체 전방 하부의 이탈방지 볼트너트(212a,212b)와 제3몸체에 설치된 후방 프레임 지지봉(313)도 보조적으로 제2몸체의 전후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차량견인중 좌.우 회전을 하여야 할 경우 견인차량과 피견인차량과의 각도가 발생하게 되는데 회전시에는 본 발명의 간이 견인장치가 각도를 가지고 회전하고, 회전이 종료된 뒤에는 제3몸체(300)의 프레임 후면부에 장치된 몸체 복원용 스프링(319a, 319b)의 작용으로 몸체가 언제나 정위치로 복원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간이 차량견인장치는 견인줄조절장치를 갖고 있어서 견인중 견인차량과 피견인차량간의 간격변동으로 인하여 견인줄이 늘어져서 2차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자체 완충장치를 장착하고 있어서 견인시 견인차량이나 피견인차량 모두 순간적인 견인발진으로 인한 충격으로 부터 오는 엔진 임펙트를 줄일 수 있다.
통상의 경미한 차량고장으로 인하여 간이 견인이 필요한 때 즉시 간편하게 견인할 수 있고, 별도로 와이어나 로프를 비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특히 산간 오지 등에서 불시의 사소한 고장으로 인하여 곤란에 처한 다른 차량과 운전자를 간편하게 도울 수 있어서 레저용 차량의 기능성 차량인테리어 제품으로 장착하면 고장차량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차량견인 장치에 있어서 태엽스프링(WINDUP SPRING)을 내장하고 태엽스프링의 작용으로 회전복원력을 얻는 스풀(SPOOL)부와, 상기 스풀에 의하여 기어로 연동되고 견인줄을 정리하고 길이를 조정하는 견인줄조절부와, 상기 스풀부와 견인줄조절부를 결합하고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상호 이탈을 방지하는 프레임과, 키볼트와, 관통홈과, 지지봉과,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상호 이탈을 방지하는 프레임과, 관통홈과, 지지봉과, 인장스프링과, 몸체 전체를 지지하고 좌우회전시 회전복원력을 갖는 하체기판과, 몸체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제3몸체로 구성되는 충격완충장치를 갖는 간이 차량견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풀부는 스풀의 회전복원력을 얻기위한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을 양단에 장착한 스프링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내장한 스풀과; 양 태엽스프링의 끝단이 고착되고 정지홈을 갖는 스풀날개와; 상기 스풀에 고정되어 감기는 견인줄과; 상기 스풀날개에 고착되어 스풀의 회전으로 구동되는 평기어를 포함하는 스풀부를 특징으로 하는 간이 차량 견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견인줄조절부는 스풀의 회전으로 구동되고 평기어로 연동되는 원통형 캠과; 상기 캠의 키박스에 일체로 결합된 밧줄고리와; 상기 밧줄고리의횡방향(좌우)운동을 정리하는 전방상부 지지봉홈과; 밧줄길이 조정판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 아래에 제1몸체 양 내부프레임에 설치되며 좌측은 낮고 적게, 우측은 높고 크게 유격을 갖도록 설계된 경사형 밧줄길이 조정판과; 조정판에 부착된 스토퍼구동줄과 도르레; 상기 스토퍼 구동줄에 감기어 회전하는 돌기가 달린 스토퍼를 포함하는 견인줄조절부를 특징으로 하는 간이 차량 견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스풀부와 견인줄조절부를 결합하고 지지하는 프레임부는 샤프트를 양단에서 고정하고 스풀을 보호하는 각각 1쌍씩의 내.외부프레임과; 상기 내.외부프레임을 결합하고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삽입링을 갖는 전후 상하 2쌍(4개)의 프레임 지지봉과; 상기 1쌍의 외부프레임의 양측면에 고착되어 제2몸체와 좌우 유격을 갖도록 장치되는 각각 2쌍(4개)의 키볼트를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특징으로 하는 간이 차량 견인장치.
KR1020030007049A 2003-02-04 2003-02-04 간이 차량견인장치 KR20040010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049A KR20040010051A (ko) 2003-02-04 2003-02-04 간이 차량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049A KR20040010051A (ko) 2003-02-04 2003-02-04 간이 차량견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128U Division KR200291979Y1 (ko) 2002-07-24 2002-07-24 간이 차량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051A true KR20040010051A (ko) 2004-01-31

Family

ID=3731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049A KR20040010051A (ko) 2003-02-04 2003-02-04 간이 차량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00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0114A (zh) * 2018-12-07 2019-03-22 大连海洋明天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下紧急事故牵引机及方法
CN112140815A (zh) * 2020-10-10 2020-12-29 衡阳智电客车有限责任公司 一种st纯电动朝觐车用隐藏式牵引钩
CN112297728A (zh) * 2019-10-25 2021-02-02 宁海县宏瑞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使用寿命长的汽车用拖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0114A (zh) * 2018-12-07 2019-03-22 大连海洋明天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下紧急事故牵引机及方法
CN112297728A (zh) * 2019-10-25 2021-02-02 宁海县宏瑞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使用寿命长的汽车用拖钩
CN112140815A (zh) * 2020-10-10 2020-12-29 衡阳智电客车有限责任公司 一种st纯电动朝觐车用隐藏式牵引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59860U (zh) 车辆悬架系统刚性锁定机构
CN204847161U (zh) 带式输送机上的滚筒张紧机构
KR20040010051A (ko) 간이 차량견인장치
KR200291979Y1 (ko) 간이 차량견인장치
CN113422321B (zh) 一种输电网的电缆辅助安装设备
CN205223912U (zh) 一种无轨胶轮车失速保护系统阻拦索装置
CN208036466U (zh) 一种可穿戴履带式雪地行驶装置
CN102765430A (zh) 履带组合张紧机构
CN102219007A (zh) 用于将翻车保护杆或类似附着部件紧固到车辆上的装置
CN107323468A (zh) 一种具有减震装置的山地果园牵引式双轨运输机
DE1556864A1 (de) Motorhalterung und Riemenantrieb
CN208469966U (zh) 一种驾驶室后悬置结构
JPH06316233A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05416426A (zh) 一种挖掘机履带张紧装置
CN206815166U (zh) 一种道路桥梁伸缩减震缓冲装置
CN113292024B (zh) 钢丝绳紧绳装置及作业机械
CN214938846U (zh) 轨道接缝装置、轨道接缝设备及轨道
CN209650379U (zh) 打包机液压折叠牵引机构
JPS5913262Y2 (ja) 織機の開口装置
CN216105339U (zh) 一种弹簧张力器
CN101469747B (zh) 带式制动器的制动方式及其制动器
CN208669056U (zh) 一种立体车库用防坠落减速机构
US2604317A (en) Spring suspension
CN214816406U (zh) 一种骑马螺母拆装机
CN216341105U (zh) 一种用于建筑外围方便安装的防坠落安全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