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8696A -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 - Google Patents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8696A
KR20040008696A KR1020020042367A KR20020042367A KR20040008696A KR 20040008696 A KR20040008696 A KR 20040008696A KR 1020020042367 A KR1020020042367 A KR 1020020042367A KR 20020042367 A KR20020042367 A KR 20020042367A KR 20040008696 A KR20040008696 A KR 20040008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pack
handle
handle hole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학문
최덕삼
Original Assignee
최학문
최덕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학문, 최덕삼 filed Critical 최학문
Priority to KR1020020042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8696A/ko
Publication of KR20040008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6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의실이나 학교교실에서 널리 사용되는 학생용 하이팩의자의 등받이에 일정크기를 갖는 손잡이부를 관통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한손으로 쉽게 의자를 들어 옮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자의 이동이나 취급이 용이하게 하여 하이팩의자의 사용성을 좋게 한 것으로, 의자 프레임(2) 상에 의자 본체(1)의 시트받침(12)이 부착 설치되는 하이팩의자(A)에 있어서, 상기 의자 본체(1)의 등받이(11) 상부 중앙에는, 일정크기의 손잡이공(11a)을 관통 형성하고 이 손잡이공(11a) 내주면에는 별도의 마감부재(11b)를 끼워 설치하여서되는 손잡이부(11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이다.

Description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hi-pack type chair with a grip hole}
본 발명은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의실이나 학교교실에서 널리 사용되는 학생용 하이팩의자의 등받이에 일정크기를 갖는 손잡이부를 관통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한손으로 쉽게 의자를 들어 옮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자의 이동이나 취급이 용이하게 하여 하이팩의자의 사용성을 좋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교실 등에서 학생용 걸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하이팩의자의 경우, 하이팩의자의 구조적 특성상 등받이 판에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것이어서, 학생들이 의자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의자를 들어 옮기는 등 의자를 이동시키려하는 경우, 반드시 두손을 사용하여야할 뿐만 아니라 그나마 의자를 옮기기 위한 자세도 엉거주춤한 상태에서 의자를 들어 옮겨야 하므로 의자를 들어 옮기는데 많은 수고와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손잡이가 전혀 구비되지 못해 그 사용이 불편하였던 종래의 하이팩의자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이팩의자를 이루는 등받이의 대략 상부 중앙에 네손가락이 통과될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내주면이 별도의 마감부재로 마감 처리되는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함으로써 하이팩의자 고유의 기본 기능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한손만으로도 하이팩의자를 쉽게 들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하이팩의자의 사용성을 크게 높인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팩의자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팩의자의 손잡이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팩의자의 다른 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의자 본체2:의자 프레임
11:등받이11A:손잡이부
11a:손잡이공11b:마감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는, 의자 프레임(2) 상에 의자 본체(1)의 시트받침(12)이 부착 설치되는 하이팩의자(A)에 있어서, 상기 의자 본체(1)의 등받이(11) 상부 중앙에는, 일정크기의 손잡이공(11a)을 관통 형성하고 이 손잡이공(11a) 내주면에는 별도의 마감부재(11b)를 끼워 설치하여서되는 손잡이부(11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관통손잡이를 형성한 하이팩의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관통손잡이를 형성한 하이팩의자의 손잡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팩의자(A)는 의자 프레임(2) 상에 시트받침(12)이 부착 설치되도록 하는 의자 본체(1)의 등받이(11) 상부 중앙에 대략 트랙형의 손잡이부(11A)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11A)는 손잡이공(11a)과 이 손잡이공(11a)의 내주면에 끼워 설치되는 마감부재(11b)로 되어 손잡이부(11A)를 이용하여 하이팩의자(A)를 한손으로 쉽게 들어 옮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하이팩의자(A)의 전체적인 미감향상을 도모하고 손잡이공(11a)에 손을 집어넣는 과정에서 손이 직접 하이팩의자(A)의 손잡이공(11a)과 접촉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되는 마감부재(11b)를 상기 손잡이공(11a) 내주면에 끼워 설치함으로써 손가락이 손잡이공(11a) 내주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막아 부드러운 감촉을 갖도록 하여 손잡이부(11A)의 이용에 거부감이 없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팩의자(A)는 의자 프레임(2) 상에 시트받침(12)이 부착 설치되는 의자 본체(1)의 등받이(11) 상부 중앙에 손잡이부(11A)를 형성함으로써 강의실이나 학교교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학생용 의자를 필요에 따라 한손만으로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들어 옮길 수 있게 되므로 의자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11)에 관통 형성되는 손잡이공(11a) 내주면에 필요에 따라 별도의 마감부재(11b)를 끼워 설치하지 않고 손잡이공(11a)만으로 손잡이부(11A)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 경우 구성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의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되는 등 손잡이부(11A)의 실시형태를 특정형태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에 의하면, 하이팩의자의 등받이에 네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손잡이공을 관통 형성하고 이 손잡이공 내주면을 별도의 마감부재로 마감 처리한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한손으로 하이팩의자를 간편히 들어 옮길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하이팩의자의 사용성을 좋게 함으로써 하이팩의자의 사용수명 연장과 함께 학생들의 학습능률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의자 프레임(2) 상에 의자 본체(1)의 시트받침(12)이 부착 설치되는 하이팩의자(A)에 있어서,
    상기 의자 본체(1)의 등받이(11) 상부 중앙에는, 일정크기의 손잡이공(11a)을 관통 형성하고 이 손잡이공(11a) 내주면에는 별도의 마감부재(11b)를 끼워 설치하여서되는 손잡이부(11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
KR1020020042367A 2002-07-19 2002-07-19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 KR20040008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367A KR20040008696A (ko) 2002-07-19 2002-07-19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367A KR20040008696A (ko) 2002-07-19 2002-07-19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523U Division KR200292546Y1 (ko) 2002-07-19 2002-07-19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696A true KR20040008696A (ko) 2004-01-31

Family

ID=3731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367A KR20040008696A (ko) 2002-07-19 2002-07-19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869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488U (ko) * 1993-12-14 1995-07-20 좌판이 부설된 등받이
KR970036431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버스용 승객 의자
KR19980032819U (ko) * 1996-12-05 1998-09-05 한정순 어린이용 조립식 의자
KR20000032618A (ko) * 1998-11-16 2000-06-15 권동열 틸팅가능 의자
KR20000016277U (ko) * 1999-01-28 2000-08-25 정해차어 좌의자
KR200263326Y1 (ko) * 2001-11-09 2002-02-04 전덕현 등판시트와 받침시트가 연계 작동하는 의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488U (ko) * 1993-12-14 1995-07-20 좌판이 부설된 등받이
KR970036431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버스용 승객 의자
KR19980032819U (ko) * 1996-12-05 1998-09-05 한정순 어린이용 조립식 의자
KR20000032618A (ko) * 1998-11-16 2000-06-15 권동열 틸팅가능 의자
KR20000016277U (ko) * 1999-01-28 2000-08-25 정해차어 좌의자
KR200263326Y1 (ko) * 2001-11-09 2002-02-04 전덕현 등판시트와 받침시트가 연계 작동하는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3607A (en) Chair attached computer keyboard holder
ATE469581T1 (de) Tragbare rückenlehnenstruktur
KR101297499B1 (ko) 자세교정장치
KR200292546Y1 (ko)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
GB0301962D0 (en) The ashley chair
KR20040008696A (ko)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
US20070069096A1 (en) Ergonomic laterally-pitched PC-mouse w/magnetic-cling & retrofit-kit
KR200432769Y1 (ko) 독서대 일체형 책상
CN211264546U (zh) 一种思政课智能互动答题器
WO2005006917A3 (en) Task chair
KR200329261Y1 (ko) 앞가림막을 구비한 학생용 책상
KR20220058114A (ko) 학생들이 편하게 앉은 의자
KR200163200Y1 (ko) 책상의높낮이조절장치
KR200413852Y1 (ko) 수강용 책상
KR101492186B1 (ko) 독서대 겸용 책상
KR200279321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학생용 책상
KR200427506Y1 (ko) 의자용 앉은 자세 고정구
KR101481531B1 (ko) 사무 의자용 연결 장치
KR200492947Y1 (ko) 학습 집중력 향상장치
JP6945891B1 (ja) 折り畳み式パーテーション
CN209965762U (zh) 一种高中生公开课教学用组合凳
JPH0316664Y2 (ko)
KR200303632Y1 (ko) 보조 책상
KR200243565Y1 (ko) 의자
JP1710490S (ja) 跳躍具用クッショ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