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2618A - 틸팅가능 의자 - Google Patents

틸팅가능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2618A
KR20000032618A KR1019980049123A KR19980049123A KR20000032618A KR 20000032618 A KR20000032618 A KR 20000032618A KR 1019980049123 A KR1019980049123 A KR 1019980049123A KR 19980049123 A KR19980049123 A KR 19980049123A KR 20000032618 A KR20000032618 A KR 20000032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oupled
pair
suppor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4443B1 (ko
Inventor
권동열
Original Assignee
권동열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동열,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권동열
Priority to KR101998004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443B1/ko
Publication of KR2000003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2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shell-shape seat and back-rest unit, e.g. having arm 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6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directly under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팅가능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부(30)와 등받이부(32)가 일체로 되어 등받이부(32)에 사용자가 힘을 가함에 따라 뒤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받침판(34)과; 상기 등받이부(32)의 외면의 중간부에 가로방향으로 밀착되게 결합되는 등받이 지지부(38)와, 상기 등받이 지지부(38)의 좌우측 양단에서 바닥면을 향해 하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후방레그부(42)(42')와, 상기 후방레그부(42)(42')의 바닥면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전방으로 바닥면을 따라 연장된 한쌍의 바닥부(44)(44')와, 상기 바닥부(44)(44')의 전방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전방레그부(46)(46')와, 상기 전방레그부(46)(46')의 상측양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어 이어져 상기 시트부(30)의 앞측을 지지하는 시트전방 지지부(48)와, 상기 한쌍의 후방레그부(42)(42')의 각 중간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시트부(30)의 후측을 지지하는 시트후방 지지부(50)로 이루어진 프레임(36)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등받이부(32) 외면과 시트부(30) 저면에 각각 프랜지와 결합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뒤로 틸팅할 시에 등받이가 자연스럽게 뒤로 젖혀짐으로써 사용자를 편하게 하고, 틸팅시에 사용자에 따른 틸팅강도 및 틸팅범위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적은 힘으로도 틸팅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틸팅가능 의자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틸팅(tilting)할 수 있는 공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는 사무실이나 서재와 같은 개인업무공간에서 사용되며 다기능과 고가를 특징으로 하는 의자와, 회의실이나 강의실 등 대규모 공간에서 공용되는 의자로 이분되고 있다.
전자의 개인용 사무의자는 대부분 장시간의 업무에도 피로감을 덜 느끼도록 등을 등받이에 기댔을 때 뒤로 젖혀지는 틸트기능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는 스프링이나 탄성을 가진 소재로 된 별도의 틸트구조를 필요로 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다.
후자의 공용 사무의자는 지지기능을 하는 프레임에 등받이판과 시트판이 견고히 결합되어 단순한 착석기능만을 갖추고 저가임을 특징으로 하나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용 사무의자에 의하면, 시트판이 뒤로 젖혀지지 않게 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착석시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가 온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신체적 피로감을 해소하기 위해 등을 뒤로 젖히는 스트레칭을 하게 되면, 고정된 형상의 등받이에 의해 목부만 뒤로 젖혀지게 되므로, 스트레칭의 효과도 반감되어 피로감 해소효과가 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등받이가 뒤로 젖혀짐에 의해 프레임이 변형하여 틸팅되게 하므로써 사용자가 스트레칭을 용이하게 하여 피로감을 해소시킬 수 있는 틸팅가능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틸팅시에 사용자에 따른 틸팅강도 및 틸팅범위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적은 힘으로도 틸팅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틸팅가능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물품을 재치하기 위한 선반이나 필기를 하기 위한 필경대가 틸팅기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문제없이 고유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하는 틸팅가능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틸팅가능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틸팅가능 의자의 분리사시도,
도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틸팅가능 의자의 입면도,
도4은 도1의 시트부와 프레임의 결합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상세 사시도,
도5은 도1의 등받이부와 프레임의 결합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상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틸팅가능 의자의 틸팅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틸팅가능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틸팅가능 의자의 분리상태도,
도9은 도7의 선반의 장착 순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틸팅가능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틸팅가능 의자의 분리상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틸팅가능 의자의 필경대를 젖힌 상태도,
도13는 도11의 지지대의 결합상태도,
도14는 도13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15은 도13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선반과 필경대가 동시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틸팅가능 의자의 틸팅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시트부 32 : 등받이부
34 : 받침판 36 : 프레임
38 : 등받이 지지부 40, 40' : 수평연장부
42, 42' : 후방레그부 44, 44' : 바닥부
46, 46' : 전방레그부 48 : 시트전방 지지부
50 : 시트후방 지지부 52, 52' : 팔 받침대
56 : 요입부 58, 58' : 플랜지
60 : 장공 64 : 프랜지군
70 : 제1결합구 74 : 제2결합구
78 : 홈 80 : 걸림부
81 : 꼬리부 82, 82' : 부시
84 : 제3결합구 100 : 선반
102 : 전방수평부 104, 104' : 수평걸이대
105,105',106 : 세로봉 114: 후방걸이대
122 : 지지대 124 : 필경대
126 : 제1고정브라켓 128 : 제2고정브라켓
132 : 띠홈 142 : 볼록부
150 : 꺽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틸팅가능 의자는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일체로 되어 등받이부에 사용자가 힘을 가함에 따라 뒤로 탄성적을 변형되는 받침판과; 상기 등받이부의 외면의 중간부에 가로방향으로 밀착되게 결합되는 등받이지지부와, 상기 등받이지지부의 좌우측 양단에서 바닥면을 향해 하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후방레그부와, 상기 후방레그부의 바닥면 단부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바닥면을 따라 연장된 한쌍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방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전방레그부와, 상기 전방레그부의 상측양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어 이어져 상기 시트부의 앞측을 지지하는 시트전방 지지부와, 상기 한쌍의 후방레그부의 각 중간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시트부의 후측을 지지하는 시트후방지지부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등받이부 외면과 시트부 저면에 각각 프랜지와 결합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의 외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프랜지로 이루어지는 프랜지군과, 상기 프랜지군에 상기 등받이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끼워지며 서로 착탈가능케 결합되는 한쌍의 부시와, 상기 프랜지군의 프랜지사이에 끼워지도록 다수의 맞물림 날개가 형성되어 상기 프랜지군에 고정되어 있는 제3결합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시트부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쌍으로 된 프랜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프랜지의 전방에는 제1결합구가 상기 시트전방지지부를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프랜지의 후방에는 시트후방지지부가 걸리도록 제2결합구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결합구는 머리부에서 후측으로 꼬리부가 달려 있고, 상기 꼬리부의 끝부분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시트후방지지부가 상기 머리부와 걸림돌기사이의 범위에서 꼬리부를 타고 미끄러지게 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의 등받이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의자를 용이하게 들도록 다수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만나는 부위는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입부가 형성된 곳에는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잘록하게 요입되어 등받이부에 사용자의 등이 압력을 가할 시에 크게 변형됨과 동시에 파손이 되지 않게 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의 시트부의 앞측단이 하측으로 구부려진 곡면으로 형성되어 시트부의 앞측단이 사용자의 허벅지를 압박하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는 신발이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신발의 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다른 의자를 용이하게 걸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전방레그부의 각 중간부에서 마주보게 상기 시트전방지지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서로 이어져 이루어 지는 전방수평부와, 그 앞측은 상기 전방수평부에 걸리고 그 후측은 상기 시트후방지지부에 걸리는 선반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선반은 상기 전방수평부에 걸리는 수평걸이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걸이대의 후측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부를 가진 후방걸이대가 회전가능케 결합되어 상기 시트후방지지부에 걸리어 있다.
상기 등받이지지부의 좌우측 양단에서 상기 시트부와 평행하게 소정거리로 연장된 한쌍의 수평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후방레그부는 상기 수평연장부의 단부에서 바닥면을 향해 구부려지게 연장되며, 시트전방지지부와 전방레그부가 만나는 곳에는 지지대가 결합되어 상측으로 상기 수평연장부의 높이까지 연장되고, 수평연장부와 상기 지지대에는 필기를 용이하게 하도록 필경대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측부는 제1고정브라켓에 의해 상기 필경대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연장부은 제2고정브라켓에 의해 상기 필경대에 결합되어 있되, 상기 제1고정브라켓은 지지대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틸팅시 상기 지지대와의 상대운동이 구속되고,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틸팅시 상기 수평연장부와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추가로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틸팅가능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틸팅가능 의자는 시트부(30)와 등받이부(32)가 일체로 되어 등받이부(32)에 사용자가 힘을 가함에 따라 뒤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받침판(34)과, 상기 받침판(34)을 지지/유지하는 프레임(36)으로 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36)은 탄성을 가진 금속재의 봉이 연결되어 이루어 지며, 상기 등받이부(32)의 외면의 중간부에 가로방향으로 밀착되게 결합되고 곡면형상의 등받이부에 맞도록 곡선으로 된 등받이지지부(38)와, 상기 등받이지지부(38)의 좌우측 양단에서 상기 시트부(30)와 평행하게 소정거리로 연장된 한쌍의 수평연장부(40)(40')와, 상기 수평연장부(40)(40')의 단부에서 바닥면을 향해 구부려지게 하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후방레그부(42)(42')와, 상기 후방레그부(42)(42')의 바닥면 단부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바닥면을 따라 연장된 한쌍의 바닥부(44)(44')와, 상기 바닥부(44)(44')의 전방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전방레그부(46)(46')와, 상기 전방레그부(46)(46')의 상측양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어 이어져 상기 시트부(30)의 앞측을 지지하는 시트전방 지지부(48)와, 상기 한쌍의 후방레그부(42)의 각 중간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시트부(30)의 후측을 지지하는 시트후방 지지부(5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수평연장부(40)(40')에는 팔을 받치도록 팔 받침대(52)(52')가 상측에서 씌워져 있고, 한쌍의 바닥부(44)(44')의 양측부에는 바닥부(44)(44')가 직접 바닥에 닿지 않고 의자간 연결이 가능하도록 신발(54)이 하측에서 끼워져 있다.
도2도에서는 상기 받침판(34)을 상기 프레임(36)에 결합하는 결합구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34)은 시트부(30)의 앞측단이 하측으로 구부려진 곡면으로 형성되어 시트부의 앞측단이 사용자의 허벅지와 접촉감이 좋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부(30)와 등받이부(32)가 만나는 부위는 측면에서 보아 후측으로 움푹 파여진 요입부(56)의 윤곽을 하고 있어 등받이부(32)에 사용자의 등이 압력을 가할 시에 크게 변형됨과 동시에 파손이 되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요입부(56)는 등받이부(32)의 큰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요입부(56)가 형성된 곳에는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요입되어 잘록하게 되어 있어, 등받이부(32)에 사용자의 등이 압력을 가할 시에 용이하게 변형하게 되어 있다.
상기 시트부(30)와 등받이부(32)는 각각 사용자의 둔부와 등부에 적합한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시트부(30)의 저면에는 상기 프레임(36)의 시트전방지지부(48)와 시트후방지지부(50)에 결합되도록 시트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플랜지(58)(5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플랜지(58)(58')는 시트부(30)의 폭방향으로 2곳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플랜지(58)(58')는 후술하는 제1, 제2결합구가 사이에 끼워지는 폭간격으로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부(32) 및 상기 요입부(56)에는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60)이 등받이부(32)의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32)의 외면에는 상기 프레임(36)의 등받이지지부(38)에 결합되도록 등받이부(32)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프랜지(62)가 등받이부(32)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프랜지군(6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랜지군(64)은 상기 등받이부(32)의 폭방향으로 2곳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랜지(62)는 후술하는 제3결합구의 각 날개가 사이에 끼워지는 폭간격으로 위치하여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36)의 등받이 지지부(38)는 상기 등받이부(32)의 외면 윤곽과 동일한 곡선을 이루고 있다. 상기 수평연장부(40)의 길이가 길면 의자를 포개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상기 수평연장부(40)의 길이는 시트부(30) 길이의 1/3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전방지지부(48)와 상기 시트후방 지지부(50)의 레벨은 대체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시트후방 지지부(50)는 상기 후방레그부(42)(42')에서 좌하방향으로 약간 돌출한 다음, 상기 시트전방 지지부(48)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팔 받침대(52)(52') 및 상기 신발(54)(54')는 플라스틱재로서, 프레임(36)의 봉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으로 된 홈띠(68)(66)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연장부(40)(40') 및 바닥부(44)(44')에 끼워져 있다. 이때, 상기 홈띠(68)(66)를 단면으로 볼 때 반원보다 약간 큰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연장부(40)(40') 및 바닥부(44)(44')의 봉에 홈띠(68)(66)를 맞추어 각각 팔 받침대(52)(52') 및 신발(54)(54')을 밀어 넣으면, 플라스틱재로 된 팔 받침대(52)(52') 및 신발(54)(54')의 홈띠(68)(66)는 벌어져 용이하게 끼워지고, 끼운 후에는 탄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신발(54)(54')은 바닥부(44)(44')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신발(54)(54')의 측면에는 걸림돌기(69)(6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44)(44')의 양측에 결합된 걸림돌기(69)(69')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다른의자의 신발에 용이하게 걸리게 되어 있다.
도4은 본 발명의 시트부와 프레임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시트부의 저면에서 바라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30)의 저면에 형성된 프랜지(58)(58')사이의 전방부에는 상기 시트전방지지부(48)를 결합하도록 제1결합구(70)가 프랜지(58)(58')사이에 끼워져, 체결부재(72)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프랜지(58)(58')의 후방부에는 상기 시트후방지지부(50)가 걸리도록 제2결합구(74)가 프랜지(58)(58')사에에 끼워져, 체결부재(76)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프랜지(58)(58')의 전방부에는 상기 시트전방지지부(48)가 용이하게 수용되어 걸리도록 후측이 경사지게 직선으로 되고 앞측이 원호를 이룬 홈(7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랜지(58)(58')의 후방부에는 상기 시트후방지지부(50)가 앞측으로 밀리지 않게 지지되도록 걸림부(80)가 형성되어, 이 걸림부(80)의 후측부는 상기 시트후방지지부(50)가 후측에서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낮게 따져 있다.
상기 제1결합구(70)는 양측이 볼록하게 되고 그 중간부가 요입된 형상으로 되어, 요입된 부위에는 상기 시트전방지지부(48)가 끼워지게 되어 있고, 상기 제2결합구(74)는 통형의 머리부에서 후측으로 꼬리부(81)가 달려 있고, 상기 꼬리부(81)의 끝부분에는 걸림돌기(83)이 형성되어 미끄러지는 범위를 제한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머리부와 꼬리부가 만나는 곳에 상기 시트후방지지부(50)가 걸리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결합구(74)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꼬리부(81)의 외면은 상기 프레임의 걸림부(80)의 후측부보다 약간 높고 볼록하게 되어 있다.
도5은 본 발명의 등받이부와 프레임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등받이부의 후면에서 바라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32)의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프랜지(62)로 이루어진 프랜지군(64)은 양측의 산봉우리 사이에 골짜기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프랜지군(64)은 3개의 프랜지(6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랜지군(64)의 골짜기에는 분리가능케 결합되는 한쌍의 부시(82)(82')가 프레임의 등받이지지부(38)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끼워지고, 제3결합구(84)가 상기 부시(82)(82')를 감싸 체결부재(86)에 의해 상기 프랜지군(6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일측부시(82)의 외주면에는 상기 프랜지(62)의 사이 간격(C)에 끼워지도록 돌출부(8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부시(82)의 단면에는 타측부시(82')의 후술하는 걸림돌기가 끼워지도록 걸림구멍(9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타측부시(82')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결합구(84)의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홈에 끼워지도록 돌출부(9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측부시(82')의 단면에는 일측부시(82)의 걸림구멍(90)에 끼워지도록 걸림돌기(9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부시(82)(82')는 아세탈 사출물로 되어 있다.
상기 제3결합구(84)는 측면에서 보아 반달고리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양단부에는 상기 프랜지군(64)의 산봉우리 부위에 끼워지도록 다수의 맞물림 날개(96)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체결부재(86)가 체결되도록 체결구멍(9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적층가능한 가요성 의자에서, 사용자가 등받이부(32)에 기대어 힘을 가하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선의 상태에서 점선의 상태로 의자가 변하게 된다.
즉, 등받이부(32)가 후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프레임(36)의 바닥부(44)의 양단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레그부(46)와 후방레그부(4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어지고, 이때 발생하는 프레임(36)의 탄성 및 받침판(34)의 탄성이 틸팅강도를 유발하게 되고, 등받이부(32)는 연속된 곡면을 유지하므로, 틸팅할 시에 사용자의 등을 압박하지 않게 하여 사용자를 편하게 하게 된다.
그리고, 틸팅시에 상기 시트후방지지부(50)는 상기 제2결합구(74)의 꼬리부(81)의 외면의 따라 미끄러 지므로, 시트부(30)의 후측을 받치게 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시트후방지지부(50)가 미끄러지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은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증감되므로 틸팅강도를 조절하게 되며, 일정한 각도로 미끄러지면 상기 시트후방지지부(50)가 상기 걸림돌기(83)에 걸려 틸팅범위가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후방지지부 및 제2결합구는 틸팅범위를 제한하여 등받이부가 과도하게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등받이지지부(38)은 등받이부(32)에 대해 피봇된다.
그리고, 시트후방지지부(55)와 상기 제2결합구(74)사이에는 지속적인 마찰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틸팅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힘을 들일 필요가 없다. 이는 전문용어로 무한-로킹효과에 의한 등판의 복원력 상쇄로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틸팅시 상기 등받이지지부(38)가 등받이부(32)에 대해 피봇되는데, 이때, 등받이지지부(38)는 곡선을 이루고 있으나 아세탈 재질로 된 한쌍의 부시(82)(82')는 곡선의 등받이지지부(38)에 부분적인 직선동축구간을 만들게 하여 피봇으로 인한 마찰력과 마모가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44)(44')에 끼워진 신발(54)(54')의 걸림돌기(69)(69')에는 다른 의자의 걸림돌기가 끼워져 서로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의한 적층가능한 가요성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시트부(30)의 하측에 의자를 사용하는 자의 소지품을 용이하게 재치하도록 선반(100)이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한쌍의 전방레그부(46)의 각 중간부에서 마주보게 상기 시트전방지지부(48)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서로 이어져 이루어 지는 전방수평부(102)가 구비되고 상기 선반(100)의 앞측은 상기 전방수평부(102)에 걸리고 선반(100)의 후측은 상기 시트후방지지부(50)에 걸리어 선반(10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방수평부(102)는 후측으로 볼록하게 구부려져 곡선을 이루고 있다.
상기 선반(100)은 상기 전방수평부(102)에 걸리는 수평걸이대(104)(104')사이에 가는 철사형태로 페곡선을 이룬 세로봉(105)(105')(106)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세로봉(105)(105')(106)을 가로봉(108)이 서로 이어주며, 상기 수평걸이대(104)(104')의 후단에는 상기 가로봉(108)과 평행한 중간부(110)를 가지며 이 중간부(110)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부(112)를 가진 후방걸이대(114)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수평걸이대(104)(104')는 그 앞측에서 서로 멀어지게 벌어져 선반이 좌우로 유동되지 않으며, 그 단부에 앞측고리(116)(116')가 형성되어 이 앞측고리(116)(116')가 상기 전방수평부(102)의 양단부에 걸리게 되어 있고, 그 후단에는 후측고리(118)(118')가 형성되어 이 후측고리(118)(118')에 상기 후방걸이대(114)의 절곡부가 회전되게 결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세로봉(105)(105')의 후단은 상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세로봉(106)의 앞측단은 조립후 틸팅시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후측단은 상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세로봉(106)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앞측단은 상기 전방수평부(102)에 걸리어 구속된다.
상기 후방걸이대(114)의 단부에는 상기 시트후방지지부(50)의 양단에 걸리도록 고리(120)(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반(100)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수평걸이대(104)(104')의 앞측고리(116)를 전방수평부(102)의 양단에 건 다음, 후방걸이대(114)를 후방레그부(42)(42')측으로 당긴 후, 후방걸이대(114)의 수직부(112)(112')를 반시계방향으로 위로 돌려 그 고리(120)를 시트후방지지부(50)의 양측단에 걸면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선반(100)에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각종 물품을 용이하게 재치할 수 있고 조립후에는 견고하면서도, 본 의자가 틸팅기능을 발휘할 때 선반의 고정장치로 인한 장애 발생이 전혀 없다.
도10 및 도12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의한 적층가능한 가요성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시트전방지지부(48)와 전방레그부(46')가 만나는 곳에는 상측으로 상기 수평연장부(40')의 높이까지 연장된 지지대(122)가 결합되어, 상기 수평연장부(40')와 상기 지지대(122)에는 판으로 된 필경대(124)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필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필경대(124)의 저면에는 제1고정브라켓(126) 및 제2고정브라켓(128)이 체결부재(125)에 의해 상기 수평연장부(40') 및 상기 지지대(122)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22)는 상기 전방레그부(46)의 상부에 고정된 다음, 상승하여 수평으로 절곡되어 평면상으로 꼭지점이 곡선을 이룬 삼각형을 형성한 뒤, 상승부와 인접하여 하강한 다음, 상기 시트전방지지부(48)에서 절곡되어 상기 시트전방지지부(48)에 고정된 봉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2)의 삼각형부의 직선부(129)에는 틸팅시 상기 필경대(124)와 지지대(122)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돌기(131)가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브라켓(126)은 지지대(122)의 삼각형부 모서리에 구속하게 되어 있다.
상기 필경대(124)는 바깥윤곽선이 직선을 이루고 안윤곽선이 탁구라켓의 윤곽을 이룬 판으로 되어 있고, 직선윤곽선에 치우친 곳에 상기 제1고정브라켓(126) 및 제2고정브라켓(128)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경대의 앞측상면에는 일부가 돌출된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30)에는 볼펜등의 필기구가 수용되어 이동하지 않도록 요입된 띠홈(132)이 필경대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브라켓(126)은 그 중간부에 상기 지지대의 직선부(129)가 닿는 저어널부(134)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플랜지(136)(136')가 구비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브라켓(128)은 덮개(138)와 몸체(140)가 연결부(142)에 의해 연결되어 접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140)의 저어널부(143)에 상기 수평연장부(40')가 수용된 후 상기 덮개(138)을 회전시켜 수평연장부(40')를 덮은 후, 체결부재(125)에 의해 필경대(124)의 저면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제2고정브라켓(128)이 결합되는 수평연장부(40')에는 팔 받침대가 제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저어널부(143)에는 상기 수평연장부(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볼록부(144)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140)의 외면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138)에도 상기 덮었을 때 상기 수평연장부(40')에 접촉하도록 볼록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브라켓(126) 및 제2고정브라켓(128)은 상기 지지대(122) 및 수평연장부(40')에 좀 헐겁게 결합되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경대(124)가 외측으로 젖혀지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용이한 착석 및 기립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지지대(122)의 하단부는 도13 내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형 및 G자형의 꺽쇠(152)(152')가 용접되어 결합되어 있고, 펀칭에 의해 볼록한 돌기(150)(150')가 형성됨에 의해, 상기 지지대를 전방 레그부와 시트 전방 지지부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필요시에는 노트와 필기구를 가지고 필경대(124)위에서 강의나 세미나를 들으면서 메모등을 할 수 있으고 틸팅으로 인해 등받이와 팔걸이가 유동되더라도 필경대는 고정되어 필기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으면서도 틸팅기능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때, 필경대(124)의 앞측에 형성된 띠홈(132)에 필기구를 수용시킬 수 있으므로, 잠깐 메모를 멈추었을 경우에 필기구를 보관하여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에 의한 틸팅가능 의자에서 필경대와 선반을 동시에 장착한 상태로 틸팅할 시의 틸팅상태를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받침판(34)의 등받이부(32)에 힘을 가하면, 점선과 같이 의자가 변형되면서 틸팅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1고정브라켓(126)은 돌기(131)에 의해 지지대(122)의 직선부(129)와의 상대적 이동이 방지되고, 제2고정브라켓(128)은 상기 수평연장부(40')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틸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그리고, 선반(100)의 후방걸이대(114)은 수평걸이대(104)의 후측고리(118)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므로, 틸팅에 따라 선반이 형상을 바꾸게 되어 틸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세로봉(106)의 앞측부는 전방수평부(102)의 중간부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선반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틸팅가능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가 뒤로 틸팅할 시에 사용자의 등을 압박하지 않게 하여 사용자를 편하게 하고, 틸팅시에 사용자에 따른 틸팅강도 및 틸팅범위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적은 힘으로도 틸팅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물품을 재치하기 위한 선반이나 필기를 하기 위한 필경대가 틸팅기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문제없이 고유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일체로 되어 등받이부에 사용자가 힘을 가함에 따라 뒤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받침판(34)과;
    상기 등받이부의 외면의 중간부에 가로방향으로 밀착되게 결합되는 등받이지지부와, 상기 등받이지지부의 좌우측 양단에서 바닥면을 향해 구부러지게 연장된 한쌍의 후방레그부와, 상기 후방레그부의 바닥면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전방으로 바닥면을 따라 연장된 한쌍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방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전방레그부와, 상기 전방레그부의 상측양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어 이어져 상기 시트부의 앞측을 지지하는 시트전방 지지부와, 상기 한쌍의 후방레그부의 각 중간을 연결하여 상기 시트부의 후측을 지지하는 시트후방지지부로 이루어진 프레임(36)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등받이부(32) 외면과 시트부(30) 저면에 각각 고정과 유동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도록 프랜지와 결합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가능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32)의 외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프랜지(62)로 이루어지는 프랜지군(64)과, 상기 프랜지군(64)에 상기 등받이지지부(38)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끼워지며 서로 착탈가능케 결합되는 한쌍의 부시(82)(82')와, 상기 프랜지군(64)의 프랜지(62)사이에 끼워지도록 다수의 맞물림 날개(96)가 형성되어 상기 프랜지군(64)에 고정되어 있는 제3결합구(8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가능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30)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쌍으로 된 프랜지(58)(58')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프랜지(58)(58')의 전방에는 제1결합구(70)가 상기 시트전방지지부(48)를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프랜지(58)(58')의 후방에는 시트후방지지부(50)가 걸리도록 제2결합구(74)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결합구(74)는 머리부에서 후측으로 꼬리부(81)가 달려 있고, 상기 꼬리부(81)의 끝부분에는 걸림돌기(83)가 형성되어, 상기 시트후방지지부(50)가 상기 머리부와 걸림돌기사이의 범위에서 꼬리부(81)를 타고 미끄러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가능 의자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등받이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의자를 용이하게 들도록 다수의 장공(60)이 형성되어 있고, 시트부(30)와 등받이부(32)가 만나는 부위는 요입부(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입부(56)가 형성된 곳에는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잘록하게 요입되어 등받이부(32)에 사용자의 등이 압력을 가할 시에 크게 변형됨과 동시에 파손이 되지 않게 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34)의 시트부(30)의 앞측단이 하측으로 구부려진 곡면으로 형성되어 시트부의 앞측단이 사용자의 허벅지를 압박하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가능 의자.
  5.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44)의 양측에는 신발(54)(54')이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신발(54)(54')의 측면에는 걸림돌기(69)(69')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69)(69')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다른 의자를 용이하게 걸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하는 틸팅가능 의자.
  6.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전방레그부(42)(42')의 각 중간부에서 마주보게 상기 시트전방지지부(48)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서로 이어져 이루어 지는 전방수평부(102)와, 그 앞측은 상기 전방수평부(102)에 걸리고 그 후측은 상기 시트후방지지부(50)에 걸리는 선반(100)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100)은 상기 전방수평부(102)에 걸리는 수평걸이대(104)(104')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걸이대(104)(104')의 후측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부(112)를 가진 후방걸이대(114)가 회전가능케 결합되어 상기 시트후방지지부(50)에 걸리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가능 의자.
  7.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지지부(38)의 좌우측 양단에서 상기 시트부(30)와 평행하게 소정거리로 연장된 한쌍의 수평연장부(40)(40')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후방레그부는 상기 수평연장부(40)(40')의 단부에서 바닥면을 향해 구부려지게 연장되며,
    시트전방지지부(48)와 전방레그부(46')가 만나는 곳에는 지지대(122)가 결합되어 상측으로 상기 수평연장부(40')의 높이까지 연장되고, 수평연장부(40')와 상기 지지대(122)에는 필기를 용이하게 하도록 필경대(124)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122)의 상측부는 제1고정브라켓(126)에 의해 상기 필경대(124)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연장부(40')은 제2고정브라켓(128)에 의해 상기 필경대(124)에 결합되어 있되, 상기 제1고정브라켓(126)은 지지대(122)에 형성된 돌기(131)에 의해 틸팅시 상기 지지대(122)와의 상대운동이 구속되고, 상기 제2고정브라켓(128)은 틸팅시 상기 수평연장부(40')와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가능 의자.
KR1019980049123A 1998-11-16 1998-11-16 틸팅가능의자 KR100334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123A KR100334443B1 (ko) 1998-11-16 1998-11-16 틸팅가능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123A KR100334443B1 (ko) 1998-11-16 1998-11-16 틸팅가능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618A true KR20000032618A (ko) 2000-06-15
KR100334443B1 KR100334443B1 (ko) 2002-08-28

Family

ID=1955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123A KR100334443B1 (ko) 1998-11-16 1998-11-16 틸팅가능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4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696A (ko) * 2002-07-19 2004-01-31 최학문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
KR100475458B1 (ko) * 2002-02-16 2005-03-16 주식회사 리바트 강의용 의자
KR101302422B1 (ko) * 2013-07-19 2013-09-10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강의실 의자의 수강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112B1 (ko) * 2010-03-16 2010-06-28 주식회사 시디즈 틸팅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2444A (en) * 1982-09-15 1985-06-11 Charles Pollock Stacking chair
US5123702A (en) * 1990-10-24 1992-06-23 Shelby Williams Industries, Inc. Interaction-high density stacking chair
JP3133204B2 (ja) * 1993-12-14 2001-02-05 株式会社内田洋行 椅 子
JP3103304B2 (ja) * 1995-11-06 2000-10-30 アイコ株式会社 椅子の背の傾動方法および傾動自在の背を備えた椅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58B1 (ko) * 2002-02-16 2005-03-16 주식회사 리바트 강의용 의자
KR20040008696A (ko) * 2002-07-19 2004-01-31 최학문 관통손잡이부를 형성한 하이팩의자
KR101302422B1 (ko) * 2013-07-19 2013-09-10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강의실 의자의 수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4443B1 (ko) 200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4717B2 (en) Tilting chair
US7794016B1 (en) Nestable and stackable chair
US6923503B2 (en) Chair with movable seat and backrest
US6969116B2 (en) Chair with backward and forward passive tilt capabilities
JP2000079034A (ja) 椅 子
JP2000079034A5 (ko)
WO2009048448A1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JPH0815448B2 (ja) 椅 子
JPH1033294A (ja) 可撓性を有する積重ね可能な椅子
JPS6395008A (ja) 可動シ−トと背もたれの付いた椅子
US11857083B2 (en) Chair having a flexible support member
KR100334443B1 (ko) 틸팅가능의자
JP5567402B2 (ja) 椅子
JPH04231914A (ja) 椅子
KR20130064453A (ko) 의자용 슬라이드 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US11071387B2 (en) Chair
KR200319589Y1 (ko) 슬라이딩 의자
JP4202687B2 (ja) 椅子における座の前後摺動装置
US20220378208A1 (en) Tilt chair
JPWO2020255195A5 (ko)
KR200428384Y1 (ko) 프레임 의자
JP2000270956A (ja) 前面にクッション体を付加しうる椅子の背もたれ
JP3075832U (ja) 椅子の座体の前後傾動装置
JPH10155586A (ja) 折畳椅子
KR950003766B1 (ko)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가 가변되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