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7964A - 피부 미용 팩과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미용 팩과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7964A
KR20040007964A KR1020020041250A KR20020041250A KR20040007964A KR 20040007964 A KR20040007964 A KR 20040007964A KR 1020020041250 A KR1020020041250 A KR 1020020041250A KR 20020041250 A KR20020041250 A KR 20020041250A KR 20040007964 A KR20040007964 A KR 20040007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kin
powder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문자
Original Assignee
유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문자 filed Critical 유문자
Priority to KR102002004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7964A/ko
Publication of KR20040007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9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두, 계란의 난황(卵黃), 죽염 및 밀가루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각종 피부 잔류물에 대한 흡착 기능에 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며 피부의 노화 방지에도 효과적인 피부 미용 팩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팩은, 녹두가루 7∼13중량부, 죽염 2∼6중량부, 계란 난황 40∼70중량부, 밀가루 20∼40중량부, 살구씨가루 7∼20중량부 및 검정콩가루 5∼10중량부로 조성되며, 녹두와 살구씨 및 검은콩을 각각 타지 않도록 볶은 후 분쇄하여 300메쉬 이하의 가루로 만드는 단계와; 녹두가루, 살구씨가루, 검은콩가루 및 밀가루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혼합분말에 계란 난황을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반죽상태로 만드는 단계를 통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의 팩은 천연 재료를 사용하므로써 피부에의 부작용이 최소화되고, 나이와 피부에 관계 없이 각질 및 노폐물 제거, 미백, 피부 탄력성 개선 등의 미부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미용 팩과 그 제조 방법{Skin pack,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피부 미용 팩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녹두, 계란의 난황(卵黃), 죽염 및 밀가루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각종 피부 잔류물에 대한 흡착 기능에 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며 피부의 노화 방지에도 효과적인 피부 미용 팩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피지, 땀, 먼지, 각질, 화장품 등의 각종 잔류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세안을 깨끗이 하여 상기 피부 잔류물들을 제저하여야 하나, 모공 내에 있는 잔류물들을 단순한 세안만으로 완전히 제거하기는 쉽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특히 기온이 높은 여름철이나 호르몬 분비가 왕성한 사춘기에는 과잉 분비되는 피지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모공 내에 잔류하므로써 여드름과 같은 지루성 피부염을 일으키게 되기도 한다.
더욱이, 여성들은 화장을 하기 때문에 피부 잔류물이 남성들에 비하여 더욱 많아지고, 심할 경우에는 화장독이 올라 피부전문의사의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피부 표면이 아닌 모공에 남아 있는 먼지, 피지, 화장품 등의 각종 잔류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항상 청결한 피부를 유지시킬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피부의 수분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써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면서 탄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팩이라고 하는 피부 미용법을 사용하게 된다.
'팩(pack)'이란 본래 '감싸거나 습포(濕布)한다’는 뜻을 가진 용어로서, 미용에서는 일반적으로 얼굴의 피부를 가꾸기 위해 얼굴에 일정시간 발랐다 제거하는 팩제를 의미하며, '팩한다'라함은 '팩을 바른다' 의미로 사용된다.
종래에는 피부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비누를 사용하였으나, 비누는 피지 샘의 영양 성분 및 수분까지도 과다하게 배출시켜 피부를 거칠게 하는 문제가 있으며, 전용의 세안액 등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피부 깊숙히 남아 있는 잔류물의 제거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비누나 세안액 등이 가지고 있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팩으로서, 팩을 얼굴 등에 바르게 되면, 공기가 차단된 피부 표면에서 끊임 없이 증발되는 수분이 팩과 피부 사이에 축적되므로써 피부의 각질층이 부드럽게 되며, 이때 피부는 팩에 함유된 유효 성분을 쉽게 흡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피부 표면에서 수분이 증발되지 못하기 때문에 피부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발한 작용이 왕성해지므로써, 모공 속의 노폐물과 잔류물 등이 팩으로 흡수되어 배출된다.
팩은 그 작용 형태에 따라, 피부가 거칠어지고 쇠약해진 경우에 실시하는 영양 팩, 피부에 윤기와 투명감을 주기 위한 크린싱 팩, 햇볕에 그을린 피부나 얼룩점과 같은 잡티가 발생된 피부 등에 사용하는 표백 팩의 3가지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영양 팩으로는 올리브유 외에 계란 난황, 우유, 벌꿀, 오이 등이, 크린싱 팩으로는 계절에 따라 토마토, 오이, 레몬, 딸기, 포도 등의 채소나 과즙이, 표백 팩으로는 옥시풀, 칼라인 로션, 달걀 흰자, 레몬즙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팩은, 재료로서 천연물을 주로 사용하여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며 미백 효과를 얻기 위한 미용 수단이나, 종래의 팩은 상기와 같이 용도별로 구분되어 하나의 팩으로 복합적인 효과를 얻기어 어려워 각 팩을 별도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천연물을 사용한 팩을 가정에서 만들 경우에는 인공적인 재료 없이 천연물만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재료를 자르거나 즙을 내야 하는 등 준비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굴곡이 많은 얼굴 전체에 바를 수 있도록 가공하는 것도 어려울 뿐 아니라, 팩을 얼굴에 바르고 있을 때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가정에서 준비하기가 번거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연물의 성분들이 함유된 팩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그러한 팩에는 유통시의 변질 방지를 위한 방부제나 기타 합성물 등이 기본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바, 인체에 치명적이지는 않아도 사람에 따라 피부 알러지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팩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물만을 사용하여 피부에 끼칠 수 있는 악영향을 배제하면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영양 공급, 미백 효과 및 피부 노화 방지에 복합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팩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특히, 화장품의 장기 사용에 의해 피부에 화장품 성분들이 축적되어 피부 착색이 많이 진행되었을 뿐 아니라 피부 노화와 함께 피부가 처진 중년여성들의 피부 회복에 유용한 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녹두와 죽염 및 검정콩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팩은, 녹두가루 7∼13중량부, 죽염 2∼6중량부, 계란 난황 40∼70중량부, 밀가루 20∼40중량부, 살구씨가루 7∼20중량부, 검정콩가루 5∼1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만들어지며, 각 성분들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녹두는 사포닌과 비타민 E가 풍부하여 특히 중년 여성의 얼굴에 발생되기 쉬운 착색 현상인 기미의 예방과 제거에 효과가 있으며, 피부의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이 7중량부에 미치지 못하면 상기 효과가 미미하며, 13중량부를 초과하면 함량대비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죽염은 소금의 유해한 성부들을 휘발시켜 유용한 성분만으로 특화시킨 것으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국내에서만 만들어지며, 서해안 청정해역 무공해 천일염을지리산 토종 왕대나무에 가득담고 무공해 황토로 입구를 봉한 뒤, 소나무 장작불로 구우며, 구워진 소금기둥을 잘게 분쇄하여 같은 방법으로 수 회 굽게 되는데, 구워지는 횟수가 거듭될 수록 대나무의 다양한 성분이 소금속으로 스며들어 특유의 단맛과 깊은 맛이 배어나게 되고 매번 구울수록 그 색깔이 짙어지는바, 9회째에 1500℃ 이상의 고온으로 구워 자수정과 같은 영롱한 자주빛을 띠게 되는 죽염을 최상품으로 간주한다.
상기 죽염은 예로부터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소금 품질의 고급화와 함께 독특한 맛으로 인하여 요리용 또는 간장, 된장, 고추장등 기존 소금이 들어가던 전통 장류에도 죽염을 사용할 뿐 아니라, 목욕이나 세면시 죽염을 푼 물을 사용하면 피부가 훨씬 부드러워 지는 매끄러운 감촉이 있어 피부미용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피로할 때 죽염을 푼 따뜻한 물에 발을 담그면 발의 피로를 풀 수 있다고도 알려져 있는 상기 죽염은 피부의 소독 효과와 노폐물의 배출을 유도하여 피부를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때 그 함량이 2중량부에 미치지 못하면 상기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6중량부를 초과하면 그 효과가 좋아지기는 하나 가격 대비 효능이 떨어져 제조원가를 필요 이상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일명 '노른자'라고도 불리우는 계란 난황은 난소 안에서 알의 성장기에 축적되며, 난황을 이루는 물질은 간에서 만들어져 혈액이나 조직액 등에 의하여 난소에 운반되고, 그 성분은 인단백질, 복합지질, 탄수화물, 무기질, 비타민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복합체이다.
특히 상기 계란 난황에는 '레시딘'이라는 있는 바, 이 성분이 피부에 신속히 흡수되어 피부에 윤기를 주는 동시에 기타 영향분과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를 부드럽게 하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계란 난황의 함량이 40중량부에 미치지 못하면 수분의 함량이 떨어져 팩의 반죽상태가 너무 되어 뻑뻑하므로써 사용하기가 어려우며, 7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수분 함량이 과다하여 팩을 사용시 팩이 흘러내리게 되는 등 사용하기가 불편하게 된다.
살구씨는 피부 표면의 노폐물 제거와 미백을 위한 것으로, 인, 단백질 및 지방 함유량이 많고 아미그다린도 들어 있으며, 진해·거담 효능이 있어 민간에서는 해소·천식·기관지염·급성간염 등에 약으로 쓰이고, 피부미용에도 효과가 있어 주근깨, 기미 등의 제거에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살구씨는 특히 피부 노폐물 제거용 세안용 크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천연물로서, 그 함량이 7중량부에 미치지 못하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2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팩을 할 때의 촉감이 떨어지게 된다.
밀가루는 상기 난황의 수분과 혼합되어 다른 여러 성분들을 묶어주는 바인더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여러 성분들을 반죽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점도를 팩에 부여하면서 부수적으로 피부 미백 효과도 가지고 있으며, 그 함량이 20중량부에 미치지 못하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여러 성분들을 반죽상태로 만들기 어려운 동시에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40중량부를 초과하면 반죽상태가 너무 되게 되어 피부에 균일하게 팩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팩을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반죽상태로 만들기위해서는 상기 밀가루 및 계란 난황의 함량 비율을 잘 조절해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 밀가루는, 경질(硬質) 밀을 원료로 하여 글루텐의 함량이 많으며 습부량이 보통 35% 이상으로서 제빵용과 마카로니용에 적합한 강력분과, 연질(軟質) 밀을 원료로 하며 습부량이 19∼25%으로서 과자 및 튀김용에 적합한 박력분 및 강력분과 박력분의 중간으로서 습부량이 25∼35%으로서 국수용에 적합한 중력분으로 구분되는 바, 본 발명의 팩에는 습부량 25∼35%을 가지며 적절한 끈기를 보유한 중력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은콩은, 아름다운 목소리, 아름다운 피부에 매우 효과적인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왜 목소리가 아름다워지는지 학문적으로는 알 수 없지만 검은 색소 부분에 효소나 그 외의 유효한 성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검정콩에는 기관지를 강하게 하고 내장의 점막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어 예로부터 기침의 묘약으로 이용되어 왔을 뿐 아니라, 해독효과가 있어 한방에서는 검정콩과 팥을 볶아 가루로 만들어 독을 제거하는데 사용되기도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화장독을 해독하고 콜레스테롤이나 지방산 등이 축적되어 피부가 처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 함량이 5중량부에 미치지 못하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어도 효과가 지속적으로 상승되지는 않는다.
상기 본 발명의 팩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함량은 상호 의존적으로서, 상호 상대적인 함량 범위를 유지할 때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일부 성분만을 증가시켜도 팩을 만들 수는 있으나 팩의 효과 측면에서는 큰 성능 향상은 없다.
상기와 같은 성분들로 조성되는 본 발명 팩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녹두, 살구씨 및 검은콩을 각각 타지 않도록 볶은 후 분쇄하고 스크리닝하여 300메쉬 이하의 가루를 얻는 단계와; 녹두가루, 살구씨가루, 검은콩가루, 죽염 및 밀가루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혼합분말에 계란 난황을 넣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된 반죽상태의 팩으로 만드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녹두, 살구씨 및 검은콩을 300메쉬 이하의 가루로 만드는 것은 팩을 할 때 적절한 감촉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각 가루가 상기 크기보다 클 경우에는 팩을 피부에 바를 경우 촉감이 떨어지게 되고, 가루를 구성하는 입자들의 표면적이 감소하므로써 유효성분들이 피부에 작용되는 팩의 효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300메쉬보다 큰 가루는 재분쇄하여 사용한다.
상기 혼합분말과 계란 난황의 혼합과정 중에 과일향 이나 한방재향 등과 같은 특정한 향을 발산하는 향료를 넣는 것도 바람직하고, 장시간의 보관을 위하여 인체에 무해한 다소의 방부제가 첨가될 수도 있으나,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팩은 기본적으로 천연재료로만 조성되는 바, 보관시에는 5∼10℃ 정도의 저온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다소의 방부제가 첨가되는 경우에도 그 양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온도로 보관할 필요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향료와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고 천연재료만으로 조성된 본 발명 팩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의 표 1과 같은 조성의팩을 제조하여 실제 사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 분 녹두(g) 죽염(g) 난황(g) 밀가루(g) 살구씨(g) 검정콩(g) 계(g)
실시예 1 8 3 40 20 7 5 83
2 10 4 50 30 10 7 111
3 12 6 70 40 13 10 151
상기 표 1의 중량부로 조성되는 3종류의 팩을 제조하였고, 각 팩에 대하여 20∼45세의 여성 15명씩 총 45명을 대상으로 30일간 각 팩을 얼굴에 사용하도록 한 후 각질 제거, 피부의 부드러움 개선, 노폐물 제거와 미백 및 피부 탄력성 개선 등의 효과에 대하여 평가하였으며, 평가는 100점을 매우 만족, 80점을 만족, 60점을 보통, 40점을 효과 없음으로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구분 평가점수 전 체평균점
인원 평균 인원 평균 인원 평균 인원 평균
실시예 1 100 5 82 6 87 6 84 6 87 85
80 7 8 7 8
60 2 1 1 1
40 1 0 1 0
2 100 5 84 5 83 6 87 7 87 86
80 8 8 8 6
60 2 1 1 2
40 0 1 0 0
3 100 7 88 6 87 7 90 6 84 88
80 7 8 8 7
60 1 1 0 1
40 0 0 0 1
*상기 표에서 '가'는 각질 제거 효과, '나'는 피부의 부드러움 개선 효과,
'다'는 노폐물 제거와 미백 효과, '라'는 피부 탄력성 개선 효과의
측면을 의미함.
상기 표 2에 알 수 있듯이 3종류의 실시예 팩은 각각 전체적인 평가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만족 이상의 평가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결과는 각 개인의 주관적인 평가가 포함될 수는 있으나, 각 여성들의 피부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대체적으로 만족스럽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상기 3종류 팩의 전체 항목에 대한 누적 평가 인원 180명의 결과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평 가 인 원 점 유 율(%)
매 우 만 족 72 40
만 족 90 50
보 통 14 8
효 과 없 음 4 2
즉, 본 발명 팩에 대하여 대부분(90%)의 여성이 만족 이상의 평가를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팩은 천연 재료를 사용하므로써 피부에의 부작용이 최소화되고, 나이와 피부에 관계 없이 각질 및 노폐물 제거, 미백, 피부 탄력성 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피부 미용 팩에 있어서, 녹두가루 7∼13중량부, 죽염 2∼6중량부, 계란 난황 40∼70중량부, 밀가루 20∼40중량부, 살구씨가루 7∼20중량부 및 검정콩가루 5∼10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 팩.
  2. 피부 미용 팩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녹두와 살구씨 및 검은콩을 각각 타지 않도록 볶은 후 분쇄하여 가루로 만드는 단계와; 녹두가루와 살구씨가루 및 검은콩가루를 각각 스크리닝하여 300메쉬 이하의 분말로 선별하는 단계와; 녹두가루 7∼13중량부, 죽염 2∼6중량부, 밀가루 20∼40중량부, 살구씨가루 7∼20중량부 및 검정콩가루 5∼1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만드는 단계와; 이 혼합분말에 계란 난황 40∼70중량부를 넣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된 반죽상태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 팩의 제조 방법
KR1020020041250A 2002-07-15 2002-07-15 피부 미용 팩과 그 제조 방법 KR20040007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250A KR20040007964A (ko) 2002-07-15 2002-07-15 피부 미용 팩과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250A KR20040007964A (ko) 2002-07-15 2002-07-15 피부 미용 팩과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964A true KR20040007964A (ko) 2004-01-28

Family

ID=3731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250A KR20040007964A (ko) 2002-07-15 2002-07-15 피부 미용 팩과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79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831B1 (ko) * 2003-06-17 2006-01-24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발아된 검은콩 및 검은쌀 단백질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펩타이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207Y1 (ko) * 1991-10-29 1994-01-19 차상환 작동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택시미터기
KR20000049466A (ko) * 2000-03-24 2000-08-05 서숙자 기미·주근깨 제거용 한방 팩 재료
KR20000049474A (ko) * 2000-03-27 2000-08-05 윤석진 화산회와 곡물을 이용한 기미·주근깨·잡티 제거용 팩 재료
KR20010079213A (ko) * 2001-06-23 2001-08-22 김도진 맛사지용 팩의 제조방법
KR20020000134A (ko) * 2001-11-28 2002-01-04 변형석 천연생약 재료들을 이용한 미용 머스크 팩및 두발용 무스제조 방법
KR20020023463A (ko) * 2000-09-22 2002-03-29 안동호 바이오 세라믹 머드팩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207Y1 (ko) * 1991-10-29 1994-01-19 차상환 작동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택시미터기
KR20000049466A (ko) * 2000-03-24 2000-08-05 서숙자 기미·주근깨 제거용 한방 팩 재료
KR20000049474A (ko) * 2000-03-27 2000-08-05 윤석진 화산회와 곡물을 이용한 기미·주근깨·잡티 제거용 팩 재료
KR20020023463A (ko) * 2000-09-22 2002-03-29 안동호 바이오 세라믹 머드팩의 제조방법
KR20010079213A (ko) * 2001-06-23 2001-08-22 김도진 맛사지용 팩의 제조방법
KR20020000134A (ko) * 2001-11-28 2002-01-04 변형석 천연생약 재료들을 이용한 미용 머스크 팩및 두발용 무스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831B1 (ko) * 2003-06-17 2006-01-24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발아된 검은콩 및 검은쌀 단백질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펩타이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2365A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건조 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00308B1 (ko)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30456A (ko) 한방영양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34827B1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CN107183119A (zh) 一种抹茶面包及其制作方法
KR101911237B1 (ko) 백하수오를 이용한 건강 기정떡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3934A (ko) 아로니아가 함유된 기능성 누룽지 가공식품의 제조 방법
KR101766288B1 (ko) 사과현미국수와 그 제조방법
CN101731589A (zh) 皮骨冻工艺制作技术
CN104621518A (zh) 花椒多味保健调味汁加工方法
KR20040007964A (ko) 피부 미용 팩과 그 제조 방법
CN104664304A (zh) 超细花椒多味保健调味粉加工方法
KR101860124B1 (ko) 녹차 떡갈비의 제조방법 및 그 녹차 떡갈비
KR101711334B1 (ko) 발효 양파의 제조방법
KR20050101257A (ko) 피부 미용 팩과 그 제조 방법
KR890003738B1 (ko) 케일(Kale)을 주원료로 한 국수의 제조방법
CN106174269A (zh) 一种盐菜的加工方法
KR102573183B1 (ko) 탈모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천연샴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천연샴푸
KR20070066475A (ko) 감귤 과피 및 과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류 조성물 및 그의제조 제조방법
KR102430515B1 (ko) 쑥과 마늘을 이용한 떡 제조방법
KR20030000715A (ko) 한방 미용 팩용 분말의 조성 방법
CN106666378A (zh) 一种改善睡眠的赤芝馒头
KR20180085599A (ko) 토마토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토마토소금
KR20180101104A (ko) 톳 만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66574A (ko) 순수 친환경 에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