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7808A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7808A
KR20040007808A KR1020020040394A KR20020040394A KR20040007808A KR 20040007808 A KR20040007808 A KR 20040007808A KR 1020020040394 A KR1020020040394 A KR 1020020040394A KR 20020040394 A KR20020040394 A KR 20020040394A KR 20040007808 A KR20040007808 A KR 20040007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ube
heat exchanger
tubes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갑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7808A/ko
Publication of KR20040007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80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21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 B60H1/00328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of the liquid-a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from the cooling liquid of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n electric he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상호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
상기 상부 헤더에 결합되는 상부 탱크와, 상기 하부 헤더에 결합되는 하부 탱크;
상기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에 양 단부가 고정되고 서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튜브와, 상기 제 1 튜브중 한 개 이상을 대체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튜브보다 그 폭이 좁은 제 2 튜브와, 상기 제 2 튜브와 동일 평면상에서 나란히 배열되는 전열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튜브들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휜을 구비하는 열교환 코어부; 및
상기 상부 탱크에 구비되는 유입 도관 및 유출 도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은 난방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 시동 초기에 난방성능이 향상되는 차량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히터 코어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다양한 유형의 열교환기가 구비되는데, 예를 들면 차량 난방을 위한 히터 코어, 차량 엔진 냉각을 위한 라디에이터, 차량 냉방을 위한 응축기 및, 증발기, 그리고 자동 트랜스미션용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오일 쿨러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 가운데 히터 코어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한 후 이를 자동차의 실내로 배출하여 실내 난방을 행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 매체로서 엔진 냉각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엔진이 충분히 가열되지 않은 가동 초기에는 난방 성능이 나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일본 특허공개 평성5-69732호의 발명에는 열교환 튜브의 측단에 전열체를 납땜 부착하여 초기 난방 성능을 개선하고자 한 열교환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열교환기는 열교환 튜브와 전열체가 납땜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열체의 발열량이 상기 튜브 내에서 유동하는 저온의 열교환 매체에 흡수되어 난방 성능이 실질적으로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상기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제시된 종래의 열교환기의 일 예로서, 일본 특허공개 평성11-129734호에 의해 공개된 발명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열교환기(10)는 열교환 매체의 통로로서 복수 개가 병렬 배열된 튜브(21)와, 그 사이에 개재된 방열휜(30)과, 상기 튜브(21)중에서 소정 개수를 대체하는 전열체(40)가 구비되어 열교환 코어부(20)를 구성한다. 상기 전열체(40)는 인접하는 방열휜(30) 사이에 억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인접하는 방열휜은 소정의 절개부(30a)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난방 초기에 전열체(40)의 발열량이 튜브(2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엔진이 충분히 가열되어 전열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 공기가 전열체를 지나가면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아 전체 열교환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엔진 작동 초기에 난방 성능이 개선되는 차량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난방용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엔진 정상 작동 상태와 초기 작동 상태에서의 난방 성능의 트레이드 오프(trade-off)가 최소화되는 난방용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전열체를 구비한 종래의 열교환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채용되는 전열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전열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전열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열교환기110 ...열교환 코어부
120 ...상부 헤더125 ...상부 탱크
130 ...하부 헤더135 ...하부 탱크
141 ...제 1 튜브146 ...제 2 튜브
150 ...방열휜160 ...고무 밴드
171,172 ...서포트200 ...전열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상호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
상기 상부 헤더에 결합되는 상부 탱크와, 상기 하부 헤더에 결합되는 하부 탱크;
상기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에 양 단부가 고정되고 서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튜브와, 상기 제 1 튜브중 한 개 이상을 대체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튜브보다 그 폭이 좁은 제 2 튜브와, 상기 제 2 튜브와 동일 평면상에서 나란히 배열되는 전열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튜브들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휜을 구비하는 열교환 코어부; 및
상기 상부 탱크에 구비되는 유입 도관 및 유출 도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전열체는 열교환 코어부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제 2 튜브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전열체는 제 2 튜브의 양 측 편평면에 설치되는 방열휜 사이에 억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열교환기(100)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상부 헤더 (120) 및 하부 헤더(130)에 각각 결합된 상부 탱크(125) 및 하부 탱크(135)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탱크에는 엔진 냉각수인 열교환 매체의 유입 도관(127) 및 유출 도관(128)이 부착된다. 상부 탱크 내부의 중앙부에는 배플(122)이 삽입되어 그 내부 공간을 구분하여, 유입 도관(127)으로 유입된 열교환 매체가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지 않고 직접 유출 도관(128)으로 흘러 나가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헤더(120)와 하부 헤더(130)의 사이에는 열교환 코어부(110)가 구비된다. 이는 복수 개의 서로 이격 배치된 튜브(141,146)와, 방열휜(150), 및 전열체(2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튜브는 열교환 매체의 유로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상부 헤더(120)의 튜브홀(미도시)과 하부 헤더(130)의 튜브홀(131)에 양 단을 삽입하고 브레이징하여 결합된다. 튜브는 2 종류가 채용되는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 1 튜브(141)가 열교환 코어부(110)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이보다 폭이 좁은 제 2 튜브(146)가 상기 제 1 튜브를 대체하여 소정 개수 채용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편의상 열교환 코어부(110)의 중앙에 제 2 튜브(146)가 하나 채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더 채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상기 제 2 튜브(146)는 화살표로 도시된 외부 공기의 흐름과 대면하도록 그 일측 모서리(146a)가 제 1 튜브(141)의 일측 모서리(141a)와 일직선상에 정렬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튜브(141,146) 사이에는 열교환 매체와 외부 공기의 열교환을 촉진하는 방열휜(150)이 개재되며, 상기 튜브(141,146)의 편평면과 브레이징 결합된다.
전열체(200)는 엔진 작동 초기에 열교환기의 난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열교환 코어부(110) 내에서 제 2 튜브(146)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상기 전열체는 제 2 튜브(146)의 양 측면에 브레이징된 방열휜(150) 사이에 억지 삽입되어 장착된다. 전열체(200)의 상단부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터미널(210)이 열교환기(100)의 외부로 연장된다.
열교환기(100)의 X축 양 단부에는 열교환 코어부(110)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171,172)가 설치되고, 억지 삽입된 전열판(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열교환코어부(110)를 감싸는 고무 밴드(160)가 구비된다.
상기한 열교환기(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엔진 시동 초기에는 엔진 냉각수인 열교환 매체가 유입 도관(127)을 통해 상부 탱크(125), 튜브(141,146), 및 하부 탱크(135)를 차례로 통과하여 다시 튜브(141,146), 상부 탱크(125), 및 유출 도관(128)을 거쳐 배출된다. 그러나 이때에는 열교환 매체가 저온인 상태로 열교환 코어부(110)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와 실제적인 열교환이 발생되지 않는다. 대신 전열체(200)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하며 상기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난방을 수행한다. 상기 전열체(200)와, 제 2 튜브(146) 및 인접 방열휜(150)은 브레이징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접한 튜브들로의 열전달에 의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엔진이 충분히 가열되어 고온의 열교환 매체가 열교환기(100) 내로 유입되면 열교환 매체에 의한 정상적인 난방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전열체(200)는 소정의 한계 온도에 도달하면 더이상 발열을 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전력의 과소비 및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열체(200)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저항 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전열체(200)의 발열이 멈춰진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외부 공기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제 2 튜브(146)와 마주치고 또한 그 편평면을 따라 열교환 코어부(110)를 통과하므로, 열교환 매체가 고온일 때에도 발열 면적의 감소에 따른 난방 성능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교환기에 채용되는 전열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열체(200)는 판상의 PTC 저항 소자(220)를 구비한다. 상기 PTC 저항 소자는 PTC 저항체(221)와, 그 양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터미널(도 2의 210)과 연결되는 금속 전극판(225,22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PTC 저항체는 합성수지에 도전성 물질을 첨가하여 된 합성수지 조성물을 판상으로 성형하여 제조한다. 상기 PTC 저항 소자(220)는 소정의 한계 온도 이하에서는 통전이 용이하나 그 이상에서는 전기 저항이 급격히 증대되어 전류를 차단시켜주는 소위 '스위칭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이를 이용한 과전류 보호 소자나 주울열의 발생을 이용한 면상 발열체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특성에 의해 전열체(200)는 열교환 매체가 저온일 때의 난방에서는 통전을 통해 발열하나, 열교환 매체가 고온일 때의 난방에서는 전류가 차단되어 발열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전열체의 온도 제어를 위한 별도의 복잡한 전열체 제어회로가 필요없다.
상기 PTC 저항 소자(220)는 절연을 위해 절연 필름(230)으로 피복된다. 상기 절연 필름(230)은 절연에 불구하고 양호한 열전도 특성을 가져야 하므로 두께가 가능한 얇아야 하며, 이에 따라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고내열성 수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열체(200)는 열교환 코어부(도 2의 110)에서 파손을 방지하지 위해 지지판으로 감싸서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5는 이와 같은 지지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열체(200)를 지지하는 지지판(250)은 단면이 U 자형인 튜브로서 개방된 측단을 통해 전열체(2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50)은 상기 전열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이의 열전달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므로 얇은 금속판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절연체(200)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일측이 개방된 U 자형 단면의 튜브가 O 자형 단면의 튜브보다 밀착이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250)의 개방된 측단 모서리에는 돌출된 탭(252a,252b,252c)이 일체로 형성된다. 판상의 전열체(200)에 지지판(250)의 편평면을 최대한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탭을 타 측단을 향해 굴절시킴으로써 밀착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전열체(200)와 지지판(250)의 조립체를 상술한 바와 같이 방열휜(150) 사이에 억지 삽입시켜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양호한 열전달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전열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의 역할은 상술된 U 자형 튜브(도 4의 250)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열체(200)의 양 편평면에 밀착되는 제 1 및 제 2 금속판(312,322)을 구비하여 된 지지판이 제시된다. 상기 제 1 금속판(312)의 양 측단에는 돌출된 탭(312a 내지 312f)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금속판(322)의 양 측단에는 상기 탭에 상응하는 위치에 후퇴부(322a 내지 322f)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판(312,322)을 전열체(200)의 양 편평면에 최대한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탭(312a 내지 312f)이 상기 후퇴부(322a 내지 322f)에 안착되도록 굴절시킨후 다시 굴절시켜 밀착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탭이 상기 후퇴부에 안착되어 체결 상태를 형성하므로, 제 1 및 제 2 금속판(312,322)이 각각 Z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열교환기는 열교환 매체가 저온일 때에도 전열체의 발열에 의해 난방이 가능하여 엔진 작동 초기의 난방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 매체가 고온일 때에는 전열체의 전류가 자동으로 차단되어 열교환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 코어부 내에서 전열체와 동일 평면상에도 튜브를 배열함으로써 열교환 매체가 고온일 때의 난방 성능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일정 방열량을 가지는 PTC 소자를 장착할 경우, 제2 튜브와 나란히 배열되므로 열교환기상의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실제 PTC 작동시 종래기술 대비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상호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
    상기 상부 헤더에 결합되는 상부 탱크와, 상기 하부 헤더에 결합되는 하부 탱크;
    상기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에 양 단부가 고정되고 서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튜브와, 상기 제 1 튜브중 한 개 이상을 대체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튜브보다 그 폭이 좁은 제 2 튜브와, 상기 제 2 튜브와 동일 평면상에서 나란히 배열되는 전열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튜브들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휜을 구비하는 열교환 코어부; 및
    상기 상부 탱크에 구비되는 유입 도관 및 유출 도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체는 열교환 코어부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제 2 튜브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체는 제 2 튜브의 양 측 편평면에 설치되는 방열휜 사이에 억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 코어부를 감싸는 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020040394A 2002-07-11 2002-07-11 열교환기 KR20040007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394A KR20040007808A (ko) 2002-07-11 2002-07-11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394A KR20040007808A (ko) 2002-07-11 2002-07-11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808A true KR20040007808A (ko) 2004-01-28

Family

ID=3731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394A KR20040007808A (ko) 2002-07-11 2002-07-11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78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840B1 (ko) * 2004-12-15 2008-0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온수히터코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249A (ja) * 1998-04-15 1999-11-02 Denso Corp 暖房用熱交換器
JP2000229514A (ja) * 1999-02-09 2000-08-22 Denso Corp 暖房用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249A (ja) * 1998-04-15 1999-11-02 Denso Corp 暖房用熱交換器
JP2000229514A (ja) * 1999-02-09 2000-08-22 Denso Corp 暖房用熱交換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840B1 (ko) * 2004-12-15 2008-0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온수히터코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7672A (en) Radiator having ptc electric resistance heating elements and spring-biased fin arrangement
KR970005097B1 (ko) 전열기용 정특성더미스터장치
US9511648B2 (en) Vehicle heater
KR100687637B1 (ko) 열교환기
KR20130093883A (ko)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
JP2005526223A (ja) 特に自動車暖房または空調装置用の熱交換器
JPH0829016A (ja) ヒートポンプ用室外熱交換器
WO2022022981A1 (en) Electric fluid heater
KR20040007808A (ko) 열교환기
KR101922101B1 (ko) 차량용 히터
JP4415712B2 (ja) 熱交換器
KR20110130810A (ko) 차량용 프리히터장치
KR100864842B1 (ko) 난방용 열교환기
KR200191144Y1 (ko) 열교환기
KR101062651B1 (ko) 난방용 열교환기
KR20050006713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전열히터
KR100479187B1 (ko) 자동차용 보조난방장치
CN217685509U (zh) 散热器及空调室外机
EP3945264A1 (en) Electric fluid heater
JPH109783A (ja) 一体型熱交換器
KR101081967B1 (ko) 난방용 열교환기
EP3945748A1 (en) A tube for an electric heater
KR100792155B1 (ko) 보조난방장치용 리본 히터의 전극 구조 및 전극 제조방법
KR200427206Y1 (ko) 에어컨의 전기히터
KR100600595B1 (ko) 프리히터용 방열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