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7045A -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 Google Patents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7045A
KR20040007045A KR1020020041686A KR20020041686A KR20040007045A KR 20040007045 A KR20040007045 A KR 20040007045A KR 1020020041686 A KR1020020041686 A KR 1020020041686A KR 20020041686 A KR20020041686 A KR 20020041686A KR 20040007045 A KR20040007045 A KR 20040007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aser beam
mode optical
single mode
inser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to KR1020020041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7045A/ko
Publication of KR2004000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04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6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08Fibre wiring boards, i.e. where fibres are embedded or attached in a pattern on or to a substrate, e.g. flexible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1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grooves to align ferrul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36Fixing or mounting methods of the aligned elements
    • G02B6/4239Adhesive bonding; Encapsulation with polymer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모드 광 섬유에 광을 삽입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광 파이버에 삽입되는 광 효율을 높게 하여, 부품의 제작 단가를 줄이고, 공정을 단순하게 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Structure of optical fiber for laser beam launching}
본 발명은 단일 모드 광 섬유에 레이저 빔을 삽입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광 통신 등 광 섬유와 관련되어 이용되는 발명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광 섬유는 클래딩 (Cladding) (1)과 코아 (Core) (2)로 구성되며, 코아에 이용되는 재질의 굴절률이 클래딩의 굴절률 보다 커서, 광 섬유에 삽입된 빔(3)은 광 섬유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광 섬유 내에 구속되어 전파되게 된다.
광 섬유는 이용되는 방식에 따라 단일 모드 광 섬유와 다중 모드 광 섬유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다중 모드 광 섬유는 코아 내 빔의 전파 모드 즉 빔(3)의 각도가 2개 이상이며, 도 2에 예시된 단일 모드 광 섬유는 빔의 전파 모드가 하나인 광 섬유이다. 즉 단일 모드 광 섬유에서는 코아(4) 내에서 전파되는 레이저 빔(5)의 각도가 코아와 평행하다.
다중 모드 광 섬유의 코아(2) 직경은 대략 50 마이크로 미터 근방인 반면 단일 모드 광 섬유의 코아(4) 직경은 대략 10 마이크로 미터 근방으로 작다.
이러한 광 섬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광 섬유에 레이저 빔을 삽입하여야 하는 데 여기에 주로 이용되는 레이저가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는 칩(chip)(6) 형태로 제작되며, 레이저 빔(7)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발광 점(8)으로부터 출사한다. 반도체 레이저에서 출사하는 빔(7)은 특정한 방사 각(9)을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20~30도 근방의 값을 갖는다. 출사한 레이저 빔(7)을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광 섬유 (12)의 코아(10)에 삽입시킬 경우, 레이저 빔의 방사 각(9)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광이 코아(10)에 삽입되지 못하고 손실되게 된다. 특히 코아 직경이 작은 단일 모드 광 섬유를 이용할 경우, 광 손실은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 삽입용의 렌즈를 이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레이저 다이오드(6)에서 출사한 레이저 빔(7)은 렌즈(13)에 의하여 모아져 광 섬유(12)의 코아(10)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광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으나 별도의 렌즈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부품 수가 늘어나고, 레이저 다이오드(6), 렌즈(13) 그리고 광 섬유(12)를 고 정밀도로 정열 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한다.
도 6은 부품 수를 줄인 다른 종래의 빔 삽입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이 구조에서는 광 섬유(17)의 끝 단을 특수 공법으로 렌즈(18)로 가공하며, 레이저 빔(7) 전파 구간 확보를 위하여 광 섬유의 끝의 일부(14)는 코아가 없는 구조로 제작된다. 이 구조에서 레이저 다이오드(6)에서 출사한 레이저 빔(7)은 광 섬유(17) 끝의일체화 렌즈(18)에서 모아지고, 코아가 없는 영역(14)을 지나, 코아(16)에 삽입된다. 이 종래 구조에서는 부품의 수를 줄여 공정을 단순하게 하였으나, 레이저 다이오드(6)과 광 섬유(17)의 거리 공차가 지나치게 엄밀하고, 광 섬유의 끝 단에 형성된 렌즈(18)의 특성에 따라 광 삽입 손실이 크게 차이가 나는 문제가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하는 레이저 빔을 코아 직경이 작은 단일 모드 광 섬유에 삽입하는 경우, 도 5와 같이 별도의 광 집속 렌즈를 사용하거나, 도 6과 같이 광 섬유에 일체화 제작된 렌즈를 사용하여야 하나, 렌즈를 사용할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에 대한 광 섬유의 정열 오차가 지나치게 엄밀하다. 따라서 광 섬유와 레이저 다이오드 조립에는 초 정밀 조립이 적용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조립 단가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이 갖는 공정의 복잡성을 해소함과 동시에 요구되는 조립 정밀도를 낮추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2개 이상의 빔 전파 모드를 갖는 다중 모드 광 섬유의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하나의 빔 전파 모드를 갖는 단일 모드 광 섬유의 구성도.
도 3은 일반적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레이저 빔 출사 특성도.
도 4는 일반적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출사 빔의 단일 모드 광 섬유로의 삽입도.
도 5는 일반적인 광 집속 렌즈를 이용한 레이저 빔의 단일 모드 광 섬유로의 삽입도.
도 6은 일반적인 광 섬유 일체형 렌즈를 갖는 광 섬유를 이용한 빔 삽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상 반복을 이용한 광 삽입 구조의 본 발명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 점 만으로 표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섬유 외부의 레이저 다이오드 광 점을 광 섬유 내부로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도록 이동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등가 광 점을 이용한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상 현상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상 현상에 의한 광 삽입을 실시하는 구조도.
도 13은 페룰을 이용한 두 가지 모드의 광 섬유의 결합시킨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4는 가열에 의한 코어 영역 확장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15는 실리콘 기판 상에 형성된 V 자형 홈을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16은 실리콘 기판 상에서 형성된 도파로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별도 제작된 평면 도파로를 제작 조립하여 사용하는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18은 빔 삽입 방법을 역으로 실시하여 광 검출기에 사용하는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20: 다중 모드 광 섬유 영역
21: 단일 모드 광 섬유 영역
22: 다중 모드 영역 코아
23: 단일 모드 영역 코아
24: 레이저 다이오드의 레이저 빔 출사 광 점
36: 자기 상 반복에 의해 단일 모드 광 섬유 코아 앞에 형성된 레이저 광 점
〈수학식의 간단한 설명〉
수학식 1은 자기상을 이용한 광 삽입을 위한 다중 모드 광 섬유의 길이 결정공식.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18), 레이저 빔(19), 다중모드 광 섬유(20) 그리고 단일모드 광 섬유(21)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서 다중 모드 광 섬유(20)는 특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단일 모드 광 섬유(21)의 끝에 용접된다. 이 구성을 레이저 다이오드(18)의 레이저 출사 광 점(24)만을 고려하여 표시하면 도 8과 같이 단순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 구조에서 다이오드의 광 점(24)을 나온 레이저 빔(19)은 광 섬유 끝 단의 경계면(26)에서 굴절되어 코아(22)내의 레이저 빔(25)이 형성된다. 이 구성에서 코아 내에서의 레이저 빔(25)만을 고려할 경우 도 8의 구성은 도 9와 같이 단순화되어 고려 될 수 있다. 즉 코아(22)의 레이저 빔(25)을 코아 내에 존재하는 광 점(27)에서 출사 한 것으로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예시한 본 발명의 구조는 도 10에 예시한 구성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즉 도7의 레이저 다이오드(18)는 도 10에서 동일효과를 갖는 광 점(27)으로 기술 될 수 있다. 이 때 다중 모드 광 섬유 부분은 동일 효과 광 점(27)을 포함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길이(28)를 갖는다. 이 구성에서 광 점(27)에서 나온 레이저 빔(25)은 자기상(Self-Images) 효과에 의하여 단일 모드 광 섬유(21)의 코아(23)로 삽입되게 된다.
자기 상 효과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중 모드 광 섬유 코아(29) 내의 임의 횡단면(30)에 임의의 입력 광 분포(34)가 형성 주어 질 경우, 특정 거리(32) 만큼 떨어진 횡단면(31)에 입력 광 분포(34)와 동일한 광 분포(35)가 재현된다. 즉 입력된 상과 동일한 자기 상이 일정한 거리(32)를 주기로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특히 입력광의 분포가 도 10의 경우와 같이 파이버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주어 질 경우, 자기상이 형성되는 길이는 다음의 수학식 1로 표현된다.
L = 3 n W 2 /,
여기서 n은 코아(29) 재료의 굴절률, 는 이용된 레이저 빔의 파장, 그리고 W는 코아(29)의 직경(33)을 나타낸다.
이러한 자기 상 효과에 의하여, 도 10의 예시에서 코아(22) 내의 광 점(27)은 특정 길이를 주기로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주기 위치에 단일 모드 광 섬유(21)를 위치 시 킬 경우 단 일 모드 광 섬유의 코아(23) 바로 앞에 광 점(27)의 자기 상(36)이 형성 되게 된다. 따라서 다중 모드 광 섬유(20)로 삽입된 대부분의 광이 단일 모드 광 섬유(21)의 코아(23)에 삽입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도 5와 도 6의 종래의 구성에서 이용한 광 집속 렌즈 없이 단일 모드 광 섬유에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하는 레이저 광을 삽입할 수 있다. 즉, 단일 모드 광 섬유에 특정 길이의 다중 모드 광 섬유를 부착시키는 단순 공정에 의하여 렌즈를 대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형성 및 가공에 필요한 공정 비용을 줄이고, 광 섬유의 형태가 크게 단순화되어 조립 공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 발명에서 이용되는 다중 모드 광 섬유와 단일 모드 광 섬유는 모두 동일한 외경을 가지므로 조립 공정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Claims (9)

  1. 광을 공급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와;
    단일 모드를 갖는 광 섬유와;
    상기 단일 모드 광 섬유의 끝 단에 부착된 자기상이 나타나는 주기를 길이로 하는 다중 모드 광섬유;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하여 다중모드 광 섬유에 입사하는 광은, 자기상 현상에 의하여 다중 모드 광 섬유의 끝 단 즉 단일 모드 광 섬유의 선단에 광 점이 형성되어, 단일 모드 광 섬유에 레이저 광을 삽이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3. 제 2항의 동작을 얻기 위하여 다중 모드 광 섬유를 자기상 형성 길이 만큼 절단하여 단일 모드 광 섬유의 끝 단에 용접하여 사용하는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4. 제 2항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 1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자기상이 나타나는 길이를 갖도록 절단된 다중 모드 광 섬유(39)와 단일 모드 광 섬유(40)를 광 섬유 조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페룰(41) 내에 조립하고 접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5. 제 2항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일 모드 광 섬유(43)에서 자기 상이 나타나는 길이 만큼을 가열하여, 광 섬유의 코아(45) 영역의 굴절률이 확산 되도록 하여 확장된 코아(44)가 형성되어 다중모드가 나타나도록 한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6. 제 2항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 1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 칩(48)이 장착 될 수 있도록 가공된 실리콘 기판(46)에 V 자형의 홈(47)을 형성하고, 자기상이 형성 되도록 절단한 다중모드 광 섬유(49)와 단일 모드 광 섬유(50)를 V 자형의 홈(47)에 올려놓고, 두 광 섬유의 끝 단이 접촉하도록 한 후 접합한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7. 제 2항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 1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 칩(52)이 장착될 수 있도록 가공된 실리콘 기판(51) 상에, 식각과 증착 공정으로 자기상이 나타나는 길이를 갖는 다중 모드 도파관(53)을 직접 형성하여, 이 도파관(53)의 끝 단에 광 점(54)이 형성되도록 하고, 단일 모드 광 섬유(55)는 별도의 구조물(56)에 내장되어 광 점(54)에 조립 될 수 있도록 한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8. 제 2항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 17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중 모드 광 섬유의 역할을 하는 1차원 다중 모드 광 도파 판(59)을 판상으로 별도 가공하여, 레이저 다이오드 칩(58)을 장착할 수 있는 실리콘 기판(57)에 마련된 장착 위치(60)에 장착함으로써 제 7항과 동일한 작동을 하도록 한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9. 제3항, 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도 18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일 모드 광 섬유(63)에서 오는 빔(65)을 다중 모드 광 섬유(64)를 거쳐 집광 된 레이저 빔(66)을 광 검출 소자(67)에 의하여 검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KR1020020041686A 2002-07-16 2002-07-16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KR20040007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686A KR20040007045A (ko) 2002-07-16 2002-07-16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686A KR20040007045A (ko) 2002-07-16 2002-07-16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045A true KR20040007045A (ko) 2004-01-24

Family

ID=3731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686A KR20040007045A (ko) 2002-07-16 2002-07-16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70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9715A (zh) * 2013-12-30 2015-07-01 福州高意通讯有限公司 一种多横模激光的单模光纤耦合结构
KR20170008052A (ko) 2015-07-13 2017-01-23 한국원자력연구원 고체 레이저 광펌핑 매질 온도차 조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9110A (ja) * 1988-07-29 1990-02-08 Nec Corp 光半導体素子モジュール用光ファイバ端末
JPH06194547A (ja) * 1992-12-24 1994-07-15 Rohm Co Ltd ファイバカプラ
KR19980010471U (ko) * 1996-08-07 1998-05-15 김재복 자동차의 등속조인트용 부트(boot)
KR20000008279A (ko) * 1998-07-11 2000-02-07 윤덕용 정렬 허용공차를 확대시킬 수 있는 광 연결구조
KR20010083493A (ko) * 2000-02-15 2001-09-01 김효근 접합용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 광도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9110A (ja) * 1988-07-29 1990-02-08 Nec Corp 光半導体素子モジュール用光ファイバ端末
JPH06194547A (ja) * 1992-12-24 1994-07-15 Rohm Co Ltd ファイバカプラ
KR19980010471U (ko) * 1996-08-07 1998-05-15 김재복 자동차의 등속조인트용 부트(boot)
KR20000008279A (ko) * 1998-07-11 2000-02-07 윤덕용 정렬 허용공차를 확대시킬 수 있는 광 연결구조
KR20010083493A (ko) * 2000-02-15 2001-09-01 김효근 접합용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 광도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9715A (zh) * 2013-12-30 2015-07-01 福州高意通讯有限公司 一种多横模激光的单模光纤耦合结构
KR20170008052A (ko) 2015-07-13 2017-01-23 한국원자력연구원 고체 레이저 광펌핑 매질 온도차 조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5262A (ko) 포커싱 및 집광 장치 응용을 위한 테이퍼형 렌즈 섬유
JP2001242339A (ja) 光ファイバーレンズアレイ
US4830453A (en) Device for optically coupling a radiation source to an optical transmission fiber
JP2007178852A (ja) 光配線基板及びこれを用いた光モジュール
KR20040015261A (ko) 가열 제작된 렌즈 섬유
JP2009031459A (ja) 可視光伝送用シングルモード光ファイバ
US7684661B2 (en) Optical module and method of producing optical module
KR100997611B1 (ko) 광 결합 시스템 및 도파관 장치
JP3888942B2 (ja) 光ファイバ部品
KR20050092126A (ko) 작은 형태 인자를 가진 렌즈형 광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2896947B2 (ja) 光ファイバの端部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07045A (ko) 광 섬유 일체형 레이저 빔 삽입 구조
JP2005300596A (ja) 複合光ファイバ、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
JP3869774B2 (ja) 光通信システム
JPWO2018181782A1 (ja) 光レセプタクル及び光トランシーバ
CN114911009A (zh) 光纤滤波器
JPH03130706A (ja) 光モジュール
JP3665738B2 (ja) レーザ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
JP2002040271A (ja) 光ファイバの端末構造及び光ファイバの端末処理方法
JPH11167043A (ja) 光導波路部品
CN110646895B (zh) 光插座及光收发器
JPH0457381A (ja) レセプタクル型半導体レーザデバイス
US20020176644A1 (en) Polarization combiner/splitter
WO1998047032A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including optical rods with three-dimensional patterns thereon and related structures
KR100269176B1 (ko) 광섬유결합기및다중접속을위한광섬유결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