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6760A -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6760A
KR20040006760A KR1020020041141A KR20020041141A KR20040006760A KR 20040006760 A KR20040006760 A KR 20040006760A KR 1020020041141 A KR1020020041141 A KR 1020020041141A KR 20020041141 A KR20020041141 A KR 20020041141A KR 20040006760 A KR20040006760 A KR 20040006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ata
control device
recording
eepr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2004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6760A/ko
Publication of KR20040006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76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6Write circuits, e.g. I/O line write dri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G11C11/225Auxiliary circuits
    • G11C11/2275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는 제 1기록방식으로 제 1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데이터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메모리 제어장치, 제 2기록방식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 2메모리 및 제 1메모리 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와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그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제 2기록방식에 맞도록 변형하여 제 2메모리의 해당 위치에 기록하는 인터페이스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기록방식의 메모리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뛰어난 동작특성의 메모리를 용이하게 호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Memory wri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기록방식을 갖는 메모리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유전체 메모리(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mry)(이하, FeRAM 이라 함)는 읽기 쓰기가 모두 가능한 비 휘발성메모리로 휘발성 메모리인 RAM과 ROM의 두 가지 특성을 다 가지고 있다.
이러한 FeRAM은 전원 공급이 끊겨도 강유전체가 가지고 있는 자발분극 특성 때문에 저장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우수한 정보보존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EEPROM 등의 불휘발성 소자는 느린 동작 속도와 데이터 읽기/쓰기 반복 횟수 10만회 정도의 짧은 수명, 그리고 12V의 높은 작동 전압 등의 단점을 가져 컴퓨터 주메모리나 휴대용 정보 통신 기기 등에 사용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FeRAM은 DRAM(dynamic RAM)과 같은 빠른 동작 속도, 3V 또는 5V의 낮은 동작 전압, 데이터 읽기/쓰기 반복 횟수 1조회 이상 가능한 뛰어난 동작 특성을 갖는다.
이러하 FeRAM은 군사 용도와 기존의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메모리 등의 대체 뿐만 아니라 각종 정기권, 전화기용 메모리, 스키장 리프트권, 비접촉식 식별기(smart tag)등으로 그 용도가 다양하며, 아날로그 신호를 축적 및 병렬 처리하여 신경회로망(neural network)소자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인공지능을 갖는 연산처리 분야로도 가능성을 넓힐 수 있다.
특히 저소비 전력과 소형화 실현이 최대 과제인 차세대 휴대 정보통신기기의 메모리로서 급속하게 부상하고 있다.
상술된 이유들 때문에 불휘발성 소자를 FeRAM으로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하다. 그러나, EEPROM과 인터페이스 하는 종래 EEPROM 제어장치는 EEPROM과만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구현되었다.
이는 EEPROM과 FeRAM은 읽기 동작은 동일하게 수행되나 기록 동작에서 FeRAM은 바이트 단위로 프로그램(기록)하나 EEPROM은 페이지 버퍼라는 것이 존재하여 페이지 단위로 프로그램(기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EEPROM을 FeRAM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경우 EEPROM 제어장치와 FeRAM이 상호 호환이 되지 않아 이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기록방식을 갖는 메모리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의 구성도.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는 제 1기록방식으로 제 1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데이터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메모리 제어장치, 제 2기록방식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 2메모리 및 제 1메모리 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와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그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제 2기록방식에 맞도록 변형하여 제 2메모리의 해당 위치에 기록하는 인터페이스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EEPROM 제어장치(10)는 종래 EEPROM과 인터페이스하여 EEPROM에 대해 데이터를 읽기/쓰기/삭제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EEPROM 제어장치(10)는 읽기 모드에서는 FeRAM(20)에 직접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으나 쓰기 모드에서는 EEPROM에서의 쓰기 방법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후술되는 인터페이스 제어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의 쓰기 동작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 제어장치(30)는 일종의 버퍼로서 EEPROM 제어장치(10)에서 출력되는 페이지 단위의 데이터와 제어신호를 인갑받아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이를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FeRAM(20)에 기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하여 FeRAM(20)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상태 레지스터(32)는 EEPROM 제어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후술되는 페이지 버퍼에 저장되는 페이지 데이터가 FeRAM(20)의 OTP(One Time Programable) 영역에 기록될 데이터이면 OTP 인에이블신호를, 메모리 영역에 기록될 데이터인 경우에는 어드레스 인에이블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페이지 버퍼(34)는 EEPROM 제어장치(10)로부터 페이지 단위로 인가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후술되는 제어부로부터의 데이터 출력명령에 따라 FeRAM(20)의 기록단위인 바이트 단위로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어부(36)는 EEPROM 제어장치(10)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 상태 레지스터(32)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 인에이블신호와 OTP 인에이블신호에 근거하여 페이지 버퍼(34)에 저장된 데이터를 FeRAM(20)의 기록방식에 맞는 바이트 단위로 출력시켜 FeRAM(20)의 해당 영역에 기록한다.
이러한 제어부(36)는 페이지 버퍼(34)에서 바이트 단위로 출력되는 데이터를 카운팅 하여 페이지 버퍼(34)에 저장된 페이지 데이터의 사이즈를 알아내는 사이즈카운터(362) 및 사이즈카운터(362)에서 카운팅 된 페이지 데이터의 크기에 근거하여 페이지 버퍼(34)에 저장된 페이지 데이터의 마지막 어드레스 즉 페이지 버퍼(34)에 저장된 마지막 바이트가 FeRAM(20)에 저장되는 어드레스를 인식하여 이를 다음 페이지 데이터가 기록될 때까지 가지고 있는 앤드어드레스레지스터(364)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읽기 모드에서는 EEPROM과 FeRAM이 같은 방식으로 읽기를 수행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30) 없이 EEPROM 제어장치(10)에서 FeRAM(20)으로 직접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실시예에서는 FeRAM(20)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EEPROM 제어장치(10)는 EEPROM에 대한 최소 기록 및 소거 단위인 페이지 단위의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EEPROM 제어장치(10)에서 출력되는 페이지 데이터는 페이지 버퍼(34)에 저장되고, 제어신호 중 이러한 데이터가 저장될 메모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로우(row) 어드레스는 상태 레지스터(32)에 인가된다.
EEPROM에서도 메모리의 일정 영역이 OTP 영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상태 레지스터(32)는 EEPROM 제어장치(10)로부터 인가되는 로우(row) 어드레스를 통해 페이지 데이터가 OTP 영역에 저장될 데이터인지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데이터인지를 알 수 있다.
상태 레지스터(32)는 페이지 데이터가 OTP 영역에 저장될 데이터인 경우에는 OTP 인에이블신호를 제어부(36)로 출력하고,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데이터인 경우에는 어드레스 인에이블신호를 제어부(36)로 출력한다.
제어부(36)는 EEPROM 제어장치(10)로부터 데이터 기록신호를 인가 받으면 페이지 버퍼(34)로 데이터 출력신호를 인가하여 저장된 페이지 데이터를 FeRAM(20)의 최소 기록 단위인 바이트 단위로 입력받는다.
이때, 사이즈카운터(362)는 페이지 버퍼(34)로부터 제어부(36)로 입력되는 데이터의 바이트 수를 카운팅하여 페이지 데이터의 사이즈를 알아내고 앤드어드레스레지스터(364)는 사이즈카운터(362)에서 알아낸 사이즈를 이용하여 페이지 데이터의 마지막 어드레스를 인식하여 그 값을 다음 페이지 데이터가 기록될 때까지 저장한다.
따라서, 다음 페이지 데이터를 이전 페이지 데이터의 마지막 어드레스에 이어서 기록할 수 있게된다.
제어부(36)는 입력받은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를 상태 레지스터(32)로부터의 인에이블신호, 페이지 데이터의 사이즈 및 마지막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입력된 페이지 데이터를 바이트 단위로 FeRAM(20)의 해당 영역에 차례대로 기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기록방식을 갖는 메모리에 대해서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기록 방식이 서로 다른 반도체 메모리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 1기록방식으로 제 1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데이터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메모리 제어장치;
    제 2기록방식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 2메모리; 및
    상기 제 1메모리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와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 2기록방식에 맞도록 변형하여 상기 제 2메모리의 해당 위치에 기록하는 인터페이스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장치는
    상기 제 1메모리 제어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제 2메모리에 기록될 영역에 대한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상태 레지스터;
    상기 제 1기록방식에 따라 상기 제 1메모리 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부; 및
    상기 제 1메모리 제어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 및 상기 상태 레지스터로부터 인가되는 인에블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 2기록방식으로 변형하여 상기 제 2메모리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퍼부에서 상기 제 2기록방식에 따라 출력되는 데이터의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크기를 알아내는 사이즈카운터부; 및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 2메모리에 기록되는 마지막 어드레스를 알아내어 그 값을 저장하는 앤드어드레스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메모리는 EEPROM이고 상기 제 2메모리는 FeR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
KR1020020041141A 2002-07-15 2002-07-15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 KR20040006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141A KR20040006760A (ko) 2002-07-15 2002-07-15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141A KR20040006760A (ko) 2002-07-15 2002-07-15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760A true KR20040006760A (ko) 2004-01-24

Family

ID=3731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141A KR20040006760A (ko) 2002-07-15 2002-07-15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67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80U (ko) 2015-08-31 2017-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원추형 회전 쇄빙 장치 및 그 원추형 회전 쇄빙 장치를 구비하는 극지방 운항 선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80U (ko) 2015-08-31 2017-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원추형 회전 쇄빙 장치 및 그 원추형 회전 쇄빙 장치를 구비하는 극지방 운항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4367B2 (en) Memory with on-die data transfer
CN104934066B (zh) Nand闪存中的读取干扰处理
US6434658B1 (en) Memory device operable with a small-capacity buffer memory and having a flash memory
KR100533682B1 (ko)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US11003361B2 (en) Wear leveling
US8935467B2 (en) Memory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thereof
JP4874588B2 (ja) 記憶デバイスおよびホスト機器
US10929303B2 (en) Data storage device utilizing virtual blocks to improve performance and data storage method thereof
KR20150016915A (ko) 메모리 장치 관리 방법, 그 관련 메모리 장치 및 그 관련 제어기
KR20150016914A (ko) 메모리 장치 관리 방법, 그 관련 메모리 장치 및 그 관련 제어기
CN101796498B (zh) 存储器系统
KR20190125026A (ko)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20050092846A1 (en) Simulated smartmedia/XD-picture memory card capable of using various kinds on non-volatile memory
CN110543430B (zh) 一种使用mram的存储装置
US10282328B2 (en) Apparatus having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and method for accessing data in memory
KR20040006760A (ko) 메모리 기록 제어장치
US20070081385A1 (en) [method for managing memory blocks in flash memory]
KR100479170B1 (ko) 메모리 억세스 제어장치 및 방법
US10892031B2 (en) Data stor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non-volatile memory
US9405674B2 (en) Address generating circuit and address generating method
US1029034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mory programming
KR20090098276A (ko) 하이브리드 저장 장치
US11262947B2 (en) Non-volatile storage system with adaptive command processing
KR100700484B1 (ko)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4018085B2 (ja) 不揮発性メモリ、およびそれを用いたメモリカード、情報処理装置、ならびに不揮発性メモリのソフトウェアライトプロテクト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