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484B1 -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484B1
KR100700484B1 KR1020060025370A KR20060025370A KR100700484B1 KR 100700484 B1 KR100700484 B1 KR 100700484B1 KR 1020060025370 A KR1020060025370 A KR 1020060025370A KR 20060025370 A KR20060025370 A KR 20060025370A KR 100700484 B1 KR100700484 B1 KR 100700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ddress
data recording
ce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1079A (ko
Inventor
구경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닉스
Publication of KR2007001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Landscapes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의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데이터가 기록되는 복수의 데이터 저장셀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상기 각 데이터 저장셀에 각각 대응하며,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의 데이터 기록횟수가 저장되는 복수의 데이터 기록 계수셀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계수부,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셀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횟수를 비교하여, 데이터 기록 계수셀을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 기록 계수셀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의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 기록을 위한 데이터 저장셀의 주소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및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저장셀의 주소를 저장하는 주소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주소저장부를 휘발성 메모리로 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의 에러가 생기더라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저장 방법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마트카드,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주소저장부, 중앙처리부

Description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ATA WRITING MANAGEMENT SYSTEM FOR NONVOLATILE MEMORY AND THE METHOD THEREOF}
도1은 종래의 스마트카드에 구비되는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3은 도2의 중앙처리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4은 데이터 기록 계수부와 데이터 저장부의 세부 구성 및 그 데이터 기록 흐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5는 도2의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6은 도2의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또 다른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7은 도2의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또 다른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 도면에 대한 설명 *
100 : 데이터 저장부 110 : 데이터 기록 계수부
100' : 데이터 저장셀 110' : 데이터 기록 계수셀
200 : 중앙처리부 210 : 데이터 기록횟수 비교부
220 : 주소 매칭부 230 : 데이터 및 주소 제어부
300 : 주소저장부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의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비휘발성 메모리의 수명을 연장한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스마트카드의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을 보여준다.
종래의 스마트카드의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 저장부(1)와 중앙처리부(2)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저장부(1)는 중앙처리부의 지시에 따라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1)는 주소 저장셀(cell) 및 데이터 저장셀로 구성된다. 따라서, 주소 저장셀은 데이터 저장셀에 대한 주소를 저장하고, 데이터 저장셀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주소저장 셀 및 데이터저장 셀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된다.
중앙처리부(2)는 요구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데이터 저장부(1)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중앙처리부(2)는 데이터 저장부(1)의 주소 저장셀을 참조하여, 데 이터를 데이터 저장셀에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는 에프램(FRAM;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이이피롬은 스마트 카드 시스템의 데이터 기록 장치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 카드 시스템용 비휘발성 메모리는, 각종 메모리를 사용하여 시민들의 편의를 도모하는 사회 간접 자본 들이 점차 전자화되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고도의 신뢰성과 정확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비휘발성 메모리의 오류는 스마트 카드 시스템의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비휘발성 메모리의 수명 연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종래 기술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여러 개의 셀로 나누어서 중앙처리부가 데이터 기록 작업 요청시마다 순차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의 주소를 변경하는 장치를 갖춘 시스템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데이터 저장부(1)의 주소 저장셀 역시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어, 주소 저장셀을 구성하는 비휘발성 메모리가 수명을 다했거나, 오류가 있을 경우, 스마트 카드 시스템은 치명적 오류에 빠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저장부(1) 내 모든 데이터 저장 셀의 주소를 저장하는 주소 저장 셀은 각 데이터 저장 셀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마다 해당 데이터 저장셀의 주소를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스마트 카드 시스템의 수명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주소 저장셀의 수명에 달려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주소저장 셀의 수명이 먼저 다하게 되면, 데이터 저장부(1) 내 데이터 저장 셀 들에 수명이 남아 있다고 하더라도 스마트 카드 시스템은 더 이상 동작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스마트 카드 시스템에서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의 치명적 오류를 개선한 신뢰성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비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기록횟수의 한도까지 기록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스마트카드의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데이터가 기록되는 복수의 데이터 저장셀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상기 각 데이터 저장셀에 각각 대응하며,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의 데이터 기록횟수를 저장하는 복수의 데이터 기록 계수셀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계수부,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셀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횟수를 비교하여, 데이터 기록 계수셀을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 기록 계수셀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의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 기록을 위한 데이터 저장셀의 주소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및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저장셀의 주소를 저장하는 주소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데이터 기록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주소저장부에 저장된 주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셀에 기록된 데이터 기록횟수를 비교하여, 최대 기록횟수를 가진 상기 데이터 저장셀에 대응하는 주소를 선택하고, 그 주소를 데이터 기록 및 주소 제어부에 전달하는 데이터 기록횟수 비교부, 상기 데이터 기록횟수 비교부로부터 전달된 주소에 1을 더하여 상기 주소저장부에 전달하는 데이터 및 주소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기록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주소저장부에 저장된 주소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주소 매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및 주소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셀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횟수가 0일 경우 상기 주소저장부에 주소 1을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 및 주소 제어부는 주소저장부 주소가 해당하는 주소를 가지는 데이터 저장셀이 없는 경우 주소저장부에 주소 1을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모든 데이터 기록 계수셀의 데이터 기록횟수가 한계 기록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데이터 기록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1항의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중앙처리부가 각 데이터 기록 계수셀의 데이터 기록횟수를 검색하고, 비교 및 분석하여, 최대 기록횟수를 가진 데이터 기록 계수셀을 선택하는 단계, 중앙처리부가 최대 기록횟수를 가진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셀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의 주소에 1을 더하여 주소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중앙처리부가 상기 주소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주소저장부 주소가 0인 경우 주소저장부에 주소1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주소저장부 주소가 해당하는 주소를 가지는 데이터 저장셀이 없는 경우 주소저장부에 주소 1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모든 데이터 기록 계수셀의 데이터 기록횟수가 한계 기록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의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의 스마트카드의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 저장부(100), 데이터 기록 계수부(110), 중앙처리부(200), 주소저장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100) 및 데이터 기록 계수부(110)는 스마트 카드의 성능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크기 및 개수로 각각 균등하게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데이터 저장부(100) 및 데이터 기록 계수부(110)는 비휘발 성 메모리로 이루어진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이이피롬(EEPROM)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데이터 저장부(100)는 소정 개수의 데이터 저장셀(100')로 구성된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100)는 중앙처리부(200)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저장셀(100')에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게 한다.
데이터 기록 계수부(110)는 소정 개수의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은 데이터 저장부(100)의 각 데이터 저장셀(100')에 각각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은 대응하도록 배치된 데이터 저장셀(100')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횟수를 저장한다.
주소저장부(300)는 중앙처리부(200)에서 데이터가 저장될 주소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주소저장부(300)는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중앙처리부(200)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저장셀(100')에 대응하는 주소를 상기 주소저장부(30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중앙처리부(200)는 데이터 기록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주소저장부(300)에 저장된 주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100')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중앙처리부(300)는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횟수가 모두 0일 경우, 상기 주소저장부(300)에 주소 1을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중앙처리부(200), 데이터 저장부(100) 및 데이터 기록 계수부(11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부(200)는 데이터 기록횟수 비교부(210), 주소 매칭부(220),및 데이터 및 주소 제어부(230)로 구성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기록 계수부(110)는 복수의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을 포함하고, 데이터 저장부(100)는 복수의 데이터 저장셀(100')을 포함한다.
데이터 기록횟수 비교부(210)는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부(110)의 각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에 기록된 데이터 기록횟수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기록횟수 중 최대 데이터 기록횟수를 갖는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을 선택한다.
한편, 수신된 데이터 기록횟수 중에서 최대 데이터 기록횟수를 갖는 데이터 저장셀(100')이 다수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데이터 저장셀(100')에서 주소 번지가 가장 높은 데이터 저장셀에 대응하는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을 선택한다.
그 후, 데이터 기록횟수 비교부(210)는 선택된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100')의 주소를 데이터 및 주소 제어부(230)에 전달한다.
주소 매칭부(220)는 상기 데이터 기록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주소저장부(300)에 저장된 주소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데이터 및 주소 제어부(230)는 데이터 기록횟수 비교부(210)로부터 전달된 주소에 1을 더하고, 그 1을 더한 주소를 주소저장부(300)에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가 각 데이터 저장셀(100')에 순서대로 기록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최대 기록횟수를 갖는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을 통하여 데이터 저장셀(100')을 검색한 경우, 그 데이터 저장셀(100')의 다음 주소에 대응 하는 데이터 저장셀(100')의 데이터 기록횟수는 최소 기록횟수를 갖게 된다. 그리고, 다음 데이터 기록시에 최소 기록횟수를 갖는 데이터 저장셀(100')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및 주소 제어부(230)는 각 데이터 저장셀(100')에 균등하게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최대 기록횟수를 가지는 데이터 저장셀(100')의 주소를 먼저 검색하고, 그 검색된 주소에 1을 추가하여 최소 기록횟수를 갖는 데이터 저장셀(100')의 주소를 찾게 되는 것이다.
한편, 최대 기록횟수를 갖는 데이터 저장셀(100')의 주소에 1을 더한 결과, 그 주소를 가지는 데이터 저장셀(100')이 이미 한계 데이터 기록횟수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더 이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처리부(200)는 해당 주소에 다시 1을 추가한 주소를 가지는 데이터 저장셀(100')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동작은 데이터 기록횟수가 한계 저장 횟수 미만인 데이터 저장셀(100')을 찾을 때까지 반복된다.
그리고, 데이터 및 주소 제어부(230)는 모든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횟수가 0일 경우 상기 주소저장부(300)에 주소 1을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주소 매칭부(220)는 데이터 기록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주소저장부(300)의 주소와 매칭되는 데이터 저장셀(100')을 찾아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제어한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중앙처리부(200)가 데이터 기록 계수부(110)와 데이터 저장부(100)를 제어하여 데이터 저장부(100)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흐름을 살펴본 다.
먼저, 스마트카드의 초기 셋팅에서 첫번째 데이터 저장셀(100'-1)의 주소를 1로 정하고 마지막 데이터 저장셀(100'-N)의 주소를 N으로 정한다. 여기서, N은 소정의 자연수이다. 이 때, 상기 주소를 1 내지 N으로 정한 것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데이터의 길이 또는 고유한 메모리 주소를 한정하지 않는다.
데이터 저장셀(100'-1)의 주소에 1을 더한 주소는 순차적으로 따라오는 두번째 데이터 저장셀(100'-2)의 주소가 된다. 나머지 데이터 저장셀(100'-2 내지 100'-N) 주소도 상기와 같은 주소 연산 방법을 사용한다.
그 후, 중앙처리부(200)는 최대 기록횟수를 가진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을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100')의 주소에 1을 더하여 주소저장부(300)에 저장한다.
중앙처리부(200)는 주소저장부(300)에 저장된 주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100')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중앙처리부(200)는 상기 최대 기록횟수를 가진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의 주소에 1을 더한 주소가 마지막 데이터 저장셀(100') 주소값을 초과하여, 해당하는 주소를 가지는 데이터 저장셀(100')이 없게 되는 경우, 즉 N+1이 될 경우, 주소저장부(300)에 주소 1을 저장한다.
이하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카드의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3가지 방법을 각각 설명한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카드의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을 이 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첫번째 방법을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관리 방법은 최대 기록횟수를 가진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100')의 주소에 1을 더한 주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100')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외부로부터, 스마트 카드에 소정의 데이터 기록 작업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10),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의 중앙처리부(200)는 각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의 데이터 기록횟수를 검색하고, 비교 및 분석하여, 최대 기록횟수를 가진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을 선택한다(20).
그 후, 중앙처리부(200)가 최대 기록횟수를 가진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100')의 주소에 1을 더하여 주소저장부(300)에 저장한다(30).
그리고, 중앙처리부(200)는 상기 주소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100')에 데이터를 기록한다(40).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은 데이터 기록 요청이 있는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 데이터 저장셀(100')의 데이터 기록횟수를 파악하여, 데이터 기록에 가장 적합한 데이터 저장셀(100')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주소를 일시적으로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 주소저장부(300)에 일시 저장한다. 이렇게 데이터 기록을 위한 데이터 저장 셀의 주소를 저장하는 주소저장부 (300)는 데이터 기록 한도가 비휘발성 메모리보다 월등히 우수한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주소가 저장되는 횟수가 데이터 저장부(100)의 모든 데이터 저장셀(100')의 데이터 기록횟수를 합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주소저장부(300)의 수명이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 방법을 사용할 경우, 데이터 저장부(100) 내 모든 데이터 저장 셀(100')의 모든 수명을 전부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카드의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두번째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외부에서 스마트 카드에 소정의 데이터 기록 작업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10), 중앙처리부(200)가 복수의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의 데이터 기록횟수를 검색하고, 비교 및 분석하여, 최대 기록횟수를 가진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을 선택한다(20').
그 후, 주소저장부(300)에 저장된 주소가 0인 경우, 데이터 및 주소 제어부(230)는 주소저장부(300)에 주소 1을 저장한다(25, 36).
또한, 주소저장부(300)가 0이 아닌 경우,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의 계수가 최대인 주소에 1을 더한 주소를 주소저장부(300)에 저장 한다(30').
그리고, 주소저장부(300)가 N+1인 경우, 중앙처리부(200)는 주소저장부(300)에 주소 1을 저장한다 (35).
그리고, 중앙처리부(200)는 상기 저장된 주소의 데이터 저장셀(100')에 데이터를 기록한다(40').
이하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카드의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세번째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에서 설명된 데이터 기록 방법은 모든 데이터 기록 계수부(110)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횟수가 한계기록횟수에 도달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7에 도시된 데이터 기록 방법에서 후술 되는 단계를 제외한 나머지 단계 (10'',20'',25',30'',35',36',40'')는 각각 도6의 단계(10',20',25,30',35,36,40')와 동일하게 동작될 수 있다.
중앙처리부(200)가 모든 데이터 기록 계수셀(110')의 데이터 기록횟수가 한계기록횟수인지를 확인한다(22).
그리고, 상기 데이터 기록횟수가 한계기록횟수인 경우, 경고를 울리고 종료한다(24).
이 때, 상기 한계기록횟수는 데이터 저장셀(100')이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횟수이다. 경고를 울리는 방법은 스마트카드와 연결된 외부기기나 사용자의 휴대 단말 등을 통하여 경고 메시지 등을 보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이외에 다양한 경고 방법을 사용하여 스마트카드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고는 중앙처리부(200)의 제어를 받아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마트카드의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 인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주소저장부가 반 영구적인 데이터 기록 능력을 가지는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므로, 데이터 저장시 주소저장부에 주소가 저장되는 횟수가 데이터 저장부의 모든 데이터 저장셀의 데이터 기록횟수를 합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안정적으로 동작한다.
둘째, 비휘발성 메모리인 데이터 저장셀 중 정상적인 메모리의 한계 횟수까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음으로 스마트 카드 유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셋째, 스마트 카드의 교체 시기를 경고해 줌으로서, 스마트 카드 운용의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데이터가 기록되는 복수의 데이터 저장셀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상기 각 데이터 저장셀에 각각 대응하며,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의 데이터 기록횟수를 저장하는 복수의 데이터 기록 계수셀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계수부;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셀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횟수를 검색, 비교 및 분석하여, 데이터 기록 계수셀을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 기록 계수셀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의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 기록을 위한 데이터 저장셀의 주소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및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저장셀의 주소를 저장하는 주소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데이터 기록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주소저장부에 저장된 주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셀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셀에 기록된 데이터 기록횟수를 비 교하여, 최대 기록횟수를 가진 상기 데이터 저장셀에 대응하는 주소를 선택하고, 그 주소를 데이터 기록 및 주소 제어부에 전달하는 데이터 기록횟수 비교부;
    상기 데이터 기록횟수 비교부로부터 전달된 주소에 1을 더하여 상기 주소저장부에 전달하는 데이터 및 주소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기록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주소저장부에 저장된 주소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주소 매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및 주소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셀에 저장된 데이터 기록횟수가 0일 경우 상기 주소저장부에 주소 1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및 주소 제어부는 상기 주소저장부에 저장된 주소에 해당하는 데이터 저장셀이 없는 경우, 상기 주소저장부에 주소 1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모든 데이터 기록 계수셀의 데이터 기록횟수가 한계 기록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6. 데이터 기록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1항의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각 데이터 기록 계수셀의 데이터 기록횟수를 검색하여 최대 기록횟수를 가지는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최대 기록횟수를 가지는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셀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저장셀의 주소에 1을 더하여 상기 주소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주소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저장셀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기록 계수셀에 저장된 상기 모든 데이터 기록횟수가 0 일 경우 상기 주소저장부에 주소 1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주소저장부에 저장된 주소에 해당하는 데이터 저장셀이 없는 경우, 상기 주소저장부에 주소 1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모든 데이터 기록 계수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기록횟수가 한계 기록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방법
KR1020060025370A 2005-07-20 2006-03-20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0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65847 2005-07-20
KR1020050065847 2005-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079A KR20070011079A (ko) 2007-01-24
KR100700484B1 true KR100700484B1 (ko) 2007-03-28

Family

ID=3801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370A KR100700484B1 (ko) 2005-07-20 2006-03-20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4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701423A (ko) * 1986-05-16 1988-07-27 다목적 휴대용 데이타 캐리어 장치
KR880009319A (ko) * 1987-01-20 1988-09-14 하워드 지.피거로아 정보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한 휴대용 카드
JPH0415893A (ja) * 1990-05-08 1992-01-21 Mitsubishi Electric Corp Icカード及びicカードシステム
JPH09251519A (ja) * 1996-03-14 1997-09-22 Toshiba Corp Icカ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701423A (ko) * 1986-05-16 1988-07-27 다목적 휴대용 데이타 캐리어 장치
KR880009319A (ko) * 1987-01-20 1988-09-14 하워드 지.피거로아 정보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한 휴대용 카드
JPH0415893A (ja) * 1990-05-08 1992-01-21 Mitsubishi Electric Corp Icカード及びicカードシステム
JPH09251519A (ja) * 1996-03-14 1997-09-22 Toshiba Corp Icカ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079A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67083A1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recycling of blocks of memory
US10445005B2 (en)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7962807B2 (en) Semiconductor storage apparatus managing system, semiconductor storage apparatus, host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of managing semiconductor storage apparatus
CN107644667B (zh) 对用于各种工作负载的固态驱动器的内部预处理
US78823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nonvolatile memory
US1037238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ad disturb detection based on logical domain
US20100125696A1 (en) Memor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ear In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8433844B2 (en) Method for managing a memory device having multiple channels and multiple ways, and associated memory device and controller thereof
US10126970B2 (en) Paired metablocks in non-volatile storage device
US8892812B2 (en) Flash memory device and data writing method for a flash memory
US10929303B2 (en) Data storage device utilizing virtual blocks to improve performance and data storage method thereof
US105458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non-volatile memory read errors using background media scan
CN111562882A (zh) 一种数据写入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KR20180042699A (ko)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10007861A (zh) 一种数据读取方法和装置
KR100700484B1 (ko) 비휘발성 메모리용 데이터 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081385A1 (en) [method for managing memory blocks in flash memory]
JP4431898B2 (ja) データ記録装置
CN111949198A (zh) 一种坏块管理方法、装置和存储设备
US20110055459A1 (en) Method for managing a plurality of blocks of a flash memory, and associated memory device and controller thereof
CN112711378B (zh) 数据储存方法及读写设备
US200601171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longing usage lifetime of a non-volatile memory
JP2006048746A (ja) メモリカード
KR100521155B1 (ko) 플래시 메모리의 정보기록장치 및 그 방법
KR100281102B1 (ko) 플래쉬메모리를사용한에이티에이(ata)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