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6625A -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 - Google Patents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6625A
KR20040006625A KR1020020040956A KR20020040956A KR20040006625A KR 20040006625 A KR20040006625 A KR 20040006625A KR 1020020040956 A KR1020020040956 A KR 1020020040956A KR 20020040956 A KR20020040956 A KR 20020040956A KR 20040006625 A KR20040006625 A KR 20040006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machine room
built
furniture
kitchen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6625A/ko
Publication of KR20040006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62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 F25D2323/0026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through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7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 F25D2323/0027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from th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방가구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10)의 하부에 냉장고가 설치되고, 주방가구의 전면 하단부에는 걸레받이(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레받이(26)의 상단부와, 냉장고의 전면 하단부 사이를 일정 간격 이격시키서 냉장고 하부공간을 걸레받이의 전방과 연통시킨다. 그리고 냉장고 하부의 중간부분에는 전후방향으로 격판(29)을 설치한다. 냉장고의 기계실에 설치된 송풍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가 상기 격판(29)의 일측을 통하여 걸레받이의 전방부분으로 배기되고, 타측을 통하여 기계실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기계실 내부 부품을 방열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Cooling system for built-in refrigerator}
본 발명은 가구형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가구 내부에 수납되는 냉장고의 방열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전제품의 빌트인시스템화 추세에 부응하여 냉장고도 빌트인 타입으로 개발되고 있다. 냉장고가 주방가구의 내부에 설치되면, 냉장고의 구동시 압축기 및 응축기 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하여, 가구의 내외를 통하여 일정한 공기의 순환을 필요로 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의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의 방열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된 가구(3)의 내부에 냉장고(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장고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에어플로를 순화시키기 위하여, 가구(3)의 상판(3a)에 일정한 통기공(5)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구(3)의 상판(3a)에 통기공을 형성하는 것은, 빌트인화된 주방가구에 별도의 후가공을 수행해야 하는 단점이 지적된다. 상기와 같은 통기공(5)을 형성하기 위한 후가공은, 실질적으로 가공의 곤란성 및 마감처리의 어려움은 물론이지만, 주방용 가구의 전체적인 미감에도 상단한 단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주방용 가구(3)는, 냉장고의 제조사와는 별도로 제조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냉장고의 설치시 주방용 가구의 일부분을 다시 가공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여러가지 불편함을 일으키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다른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빌트인 냉장고를 주방가구에 설치하되, 방열을 위한 통기공을 가구의 전면부분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구조는 완전한 빌트인 타입이라고 보기 힘들며, 주방가구의 전체적인 일체감의 측면에서 부족하다고 지적되고 있다.
도 2에는 일반적인 빌트인 시스템을 적용한 주방가구가 예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빌트인 시스템의 경우, 주방용가구의 상판(7)이 일체감을 주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상판(7)의 하부에는, 예를 들면 가스오븐레인지(A) 및 식기세척기(B) 등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들 가스오븐레인지 및 식기세척기의 전면은 다른 주방가구와 일체감을 주도록 동일한 재질의 나무 등으로 성형된다. 여기서 냉장고는 예를 들면 부분(C)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냉장고를 빌트인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기를 방열시키기 위한 공기순환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런데 여기서 공기순환을 위하여 주방용가구의 일체감이 훼손되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가지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주방용 가구의 일체감을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냉장고의 방열을 위한 공기순환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빌트인 시스템의 주방가구의 특징인 일체감을 훼손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주방가구의 상판(7)에도 별도의 가공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빌트인 타입으로 냉장고를 설치하는 경우, 냉장고가 설치되고 난 후, 별도로 가구를 가공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가구와 가전제품은 각각 다른제조원에 의하여 공급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전제품의 설치후 현장에서 가구를 다시 가공하여야 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이 있음은 지적한 바와 같다.
그리고 일체감을 가지는 빌트인 시스템에 있어서, 냉장고가 설치됨으로써 일체감이 없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냉장고의 방열을 위한 공기순환시스템을 만들 때, 전면 및 하측면에서도 일체감이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주방가구의 전면에 공기순환을 위한 통기공 등이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주방가구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걸레받이(9) 부분에도, 인접하는 주방가구 등과 같이 일체감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걸레받이(9) 부분에도 일체감이 손상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통기공 등이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빌트인타입의 냉장고를 주방가구에 적용할 때, 주방가구의 일체감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보다 원활한 냉장고의 방열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구형 냉장고의 단면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빌트인 시스템의 예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의 평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판20 ..... 냉장고
22 ..... 도어23 ..... 스토퍼
24 ..... 목재도어26 ..... 걸레받이
28 ..... 레그29 ..... 격판
30 .... 기계실32 ..... 기계실 저면
32a ..... 전방부32b ..... 통기공
34 ..... 송풍팬36 ..... 응축기
38 ..... 압축기Wa, Wb ..... 격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방가구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의 하부에 냉장고가 설치되고, 주방가구의 전면 하단부에는 걸레받이가 설치되는 빌트인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걸레받이의 상단부와, 냉장고의 전면 하단부 사이를 일정 간격 이격시키서 냉장고 하부공간을 걸레받이의 전방과 연통시키고; 냉장고 하부의 중간부분에는 전후방향으로 격벽을 설치하여; 냉장고의 기계실에 설치된 송풍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가 상기 격벽의 일측을 통하여 걸레받이의전방부분으로 배기되고, 타측을 통하여 기계실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을 출입하는 공기는, 기계실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기공을 통하여 순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계실을 출입하는 공기는, 기계실 저면의 전방부에 성형된 복수개의 통기공을 경유하고, 상기 전방부는 냉장고 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전면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걸레받이의 후면에 접촉하면서 걸레받이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을 달성함에 있어서, 주방가구에 어떠한 후가공을 하지 않음과 동시에 외형에 있어서도 완전한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주방가구 전체의 설명에 있어서는, 필요하다면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20)가 주방가구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20)가 주방가구의 상판(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고(20)의 도어(22)의 전면에는 주방가구와 일체감을 부여하기 위한 목재도어(24)가 부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전면 하단부에는 걸레받이(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레받이(26)는 주방가구의 하단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걸레받이(26)는 주방가구의 다리부분(도시 생략)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이러한 지지구조는 일반적인 주방가구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걸레받이(26)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인접 주방가구 수납부분(D)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리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레받이(26)는, 주방가구 전체에 대하여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걸레받이(26)를 복수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걸레받이(26)는 냉장고(20)의 전면 하단부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있다. 즉, 냉장고(20) 도어(22)의 하부와도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냉장고(20)의 하단 전면과도 일정한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걸레받이(26)의 상부를 경유하여, 공기가 냉장고 저면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냉장고(20)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레그(28)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걸리받이(26)의 상부를 통하여 들어오는 공기가, 냉장고의 저면 후방까지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걸레받이(26)가 냉장고의 전면 하단부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냉장고의 전면 하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스토퍼(23)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걸레받이(26)는 상기 스토퍼(23)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됨으로써 냉장고의 전면 하단부와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되어, 실질적으로 주방가구의 외측와 냉장고 저부가 서로 연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냉장고가 주방용가구의 격벽(Wa,Wb) 내부에 설치되 상태의평면 예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후면 하단부에는 기계실(30)이 마련되어 있고, 이러한 기계실(30) 자체는 일반적인 냉장고와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30)의 내부에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38)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36), 그리고 상기 압축기(38) 및 응축기(36)를 방열시키기 위한 송풍팬(3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팬(34)은, 기계실의 일측에 치우친 상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계실(30)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어서,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에어플로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송풍팬(34)이 동작하게 되면,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여 에어플로가 발생하게 되면서, 이러한 에어플로에 의하여 응축기(36) 및 압축기(38)가 방열될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 송풍팬(34)에 의하여 발생하는 에어플로가, 상기 걸레받이(26)의 내외부를 흐르는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기계실(30)을 형성하는 부분에는 상기 송풍팬(34)에 의하여 발생하는 에어플로가 출입할 수 있는 통기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통기공(32b)이 기계실 저면(32)의 전방부(32a)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 저면(32)의 전방부(32a)는,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저면 보다 약간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전방부(32a)에 성형된 통기공(32b)에 의하여, 기계실(30) 내부와 냉장고 저면 사이에는 보다 원활한 공기소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기계실 저면(32) 및 전방부(32a)에 의하여 한정될 수는 없을 것이다. 예를 들면, 단순히 기계실(30)의 저면(32)에 다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격판(29)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격판(29)은 예를 들면 냉장고 저면의 전단부에서 기계실 저면(32)의 전방부(32a) 까지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거의 중심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주방가구의 격벽(Wa,Wb) 사이에서, 상판(10)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20)가 동작하게 되면, 압축기(38) 및 응축기(36)가 구동하면서, 냉장고(20) 내부는 저온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38) 및 응축기(36)가 구동되면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들을 방열시키기 위하여 기계실(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팬(34)이 구동된다. 상기 송풍팬(34)이 구동되면,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에어플로가 기계실(30) 내부에서 형성되면서 상기 압축기(38) 및 응축기(36)를 방열시키게 된다.
이렇게 압축기(38) 및 응축기(36)를 방열시킨 에어플로는, 기계실 저면(32)의 통기공(32b)를 통하여 냉장고의 하부를 따라 전방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냉장고(20)의 하부에서 전단부분에 이르게 되면, 상기 걸레받이(26)와 냉장고 전단부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주방가구의 전방으로(도면상에서는 걸레받이의 좌측으로)배출될 것이다.
이와 같이 냉장고의 기계실(30)에서 전방으로 배기되는 공기가 냉장고(20)의 하부를 통과할 때, 상기 격판(29)에 의하여 안내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기계실(30)로 새로운 공기의 유입은, 상기 걸레받이(26)와 냉장고(20) 전방하단부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냉장고(20)의 하부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격판(29)의 좌측부분을 통하여 기계실(30) 내부로 유입된다. 기계실(30)로의 공기 유입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기계실 저면(32)의 전방부(32a)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기공(32b)을 통하여 유입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기계실(30)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34)에 의하여 다시 우측으로 흐르면서 압축기(38) 및 응축기(36)를 방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하는 부품들을 방열시킨 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기공(32b)을 통하여 전방으로 나오면서, 상기 격판(29)의 우측부분에서 전방으로 흐르게 되고, 이후의 공기흐름을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송풍팬(34)에 의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 기계실(30)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것은, 상술한 복수개의 통기공(32b)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기공(32b)은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 저면(32)의 전방부(32a)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기계실 저면(32)에 직접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걸레받이(26)를 냉장고의 전면 하단부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격판(29)을 설치하여 좌우측에 두개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걸레받이(26)와 냉장고의 전면 하단부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공기를 출입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빌트인 시스템에 냉장고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냉장고 내부의 압축기 및 응축기를 충분하게 방열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빌트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판(10) 및 전면의 어떠한 부분도, 그 일체감이 손상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별도로 냉장고의 방열을 위한 에어플로를 출입시키는 통기공 등이 외부의 눈에 보이지 않게 되어 실질적인 일체감 및 완전하 빌트인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냉장고를 주방가구 내측에 설치한 후, 어떠한 후처리과정도 필요없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별도로 주방가구의 상판 또는 격벽(Wa,Wb) 등에 어떠한 가공도 하지 않게 되어, 실질적으로 편리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Claims (4)

  1. 주방가구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10)의 하부에 냉장고가 설치되고, 주방가구의 전면 하단부에는 걸레받이(26)가 설치되는 빌트인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걸레받이(26)의 상단부와, 냉장고의 전면 하단부 사이를 일정 간격 이격시키서 냉장고 하부공간을 걸레받이의 전방과 연통시키고;
    냉장고 하부의 중간부분에는 전후방향으로 격판(29)을 설치하여;
    냉장고의 기계실에 설치된 송풍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가 상기 격판(29)의 일측을 통하여 걸레받이의 전방부분으로 배기되고, 타측을 통하여 기계실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을 출입하는 공기는, 기계실 저면(32)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기공을 통하여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을 출입하는 공기는, 기계실 저면(32)의 전방부(32a)에 성형된 복수개의 통기공을 경유하고, 상기 전방부(32a)는 냉장고 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전면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걸레받이의 후면에 접촉하면서 걸레받이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
KR1020020040956A 2002-07-13 2002-07-13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 KR20040006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956A KR20040006625A (ko) 2002-07-13 2002-07-13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956A KR20040006625A (ko) 2002-07-13 2002-07-13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625A true KR20040006625A (ko) 2004-01-24

Family

ID=3731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956A KR20040006625A (ko) 2002-07-13 2002-07-13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66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496B1 (ko) * 2002-12-10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냉장고
WO2024001842A1 (zh) * 2022-06-30 2024-01-04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卡扣、踢脚板和冰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5375U (ko) * 1979-10-26 1981-06-01
EP0383221A2 (en) * 1989-02-13 1990-08-22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Built-in type household refrigerator
JPH04313670A (ja) * 1991-04-11 1992-11-05 Toshiba Corp 冷凍冷蔵庫
JPH05203324A (ja) * 1992-01-30 1993-08-10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5375U (ko) * 1979-10-26 1981-06-01
EP0383221A2 (en) * 1989-02-13 1990-08-22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Built-in type household refrigerator
JPH04313670A (ja) * 1991-04-11 1992-11-05 Toshiba Corp 冷凍冷蔵庫
JPH05203324A (ja) * 1992-01-30 1993-08-10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496B1 (ko) * 2002-12-10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냉장고
WO2024001842A1 (zh) * 2022-06-30 2024-01-04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卡扣、踢脚板和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40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69935B1 (ko)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장치
KR20190004118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39528B1 (ko) 빌트인 냉장고
WO2011158489A1 (ja) 冷蔵庫
KR20040006625A (ko)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
US20130025822A1 (en) Ventilation apparatus
KR20090076031A (ko)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50019444A (ko) 공기조화기
KR100499496B1 (ko) 빌트인 냉장고
KR100766023B1 (ko)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JP2006010250A (ja) ビルトイン冷蔵庫
KR20060110932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480703B1 (ko) 빌트인 냉장고
KR100596243B1 (ko)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장치
KR100796366B1 (ko)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KR100557098B1 (ko)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장치
KR100569934B1 (ko)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장치
KR100418708B1 (ko) 냉장고
KR100676251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487314B1 (ko) 빌트인 냉장고
JPH033644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12002412A (ja) 冷蔵庫
KR100914543B1 (ko)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
KR20070015336A (ko) 냉장고 바닥의 통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