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4526A - 재단지 및 그 재단지로 제작되는 담배 케이스 - Google Patents

재단지 및 그 재단지로 제작되는 담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4526A
KR20040004526A KR10-2003-7010521A KR20037010521A KR20040004526A KR 20040004526 A KR20040004526 A KR 20040004526A KR 20037010521 A KR20037010521 A KR 20037010521A KR 20040004526 A KR20040004526 A KR 20040004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urface
folds
case
cutting paper
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2831B1 (ko
Inventor
보도-베르너 루트치그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4000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85Hinged lids formed by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blank to U-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48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 B65D85/10484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having rounded co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용 포장으로 사용되는 재단지 및 그 재단지로 제작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모든 종방향 모서리 및 수평 모서리 및 모퉁이가 가능한 한 거의 완전하게 라운딩 또는 경사 처리되는 케이스, 특히 담배용 접이식 커버형 케이스의 제작에 사용되는 제작이 용이한 재단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접을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재단지로서,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에서 서로 대향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 서피스 및 이 양측 메인 서피스를 연결하는 바닥부가 재단지에서 서로 직선상에 배치되며,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에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메인 서피스와 이 메인 서피스를 연결하는 바닥부에 접하는 면이 양측 메인 서피스의 측방으로 연결되는 사이드 서피스를 통해 형성되고,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에서 대향하게 배치되는 양측 메인 서피스의 모서리가 접힘부를 통해 형성되며, 적어도 5면이 밀폐되는 사각형 담배 케이스의 제작에 사용되는 재단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재단지 및 그 재단지로 제작되는 담배 케이스{Cut sheet and packet, in particular for cigarettes}
일반적으로 담배는 예를 들어 접이식 커버형 케이스 또는 힌지 리드 케이스(hinge lid case)와 경질 케이스나 연질 케이스에 포장되지만, 접이식 커버부가 없는 소위 리지드 소프트 케이스(rigid soft case)에 포장되어 시판된다. 경질 케이스의 경우에는 소비자의 주머니를 보호하기 위해 모서리와 모퉁이가 라운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독일 특허 제29 40 797호에서는 이런 목적을 위해 모든 모서리와 모퉁이가 라운딩되는, 힌지 리드 타입을 포함하는 담배 케이스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독일 특허에서는 이런 케이스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공지되어 있지 않다.
유럽 특허 제0 764 595호에는 4개의 수평 모서리가 경사지게 처리되거나 또는 라운딩된 힌지 리드 타입의 담배 케이스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는 이런 모서리를 제작하기 위한 재단지도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럽 특허에는 미국 특허 2 523 251호(유럽 특허 제0 764 595호의 제4단의 51-54행)에 대한 참조 지시가 포함되며 미국 특허 제2 523 251호의 경사 처리된 종방향 모서리와 유럽 특허 제0 764 595호의 라운딩 또는 경사 처리된 수평 모서리의 조합에 대한 설명도 포함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제작 방법에 대해서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
모든 모퉁이와 종방향 모서리 및 수평 모서리가 라운딩 또는 경사지게 처리된 케이스, 특히 담배용 접이식 커버형 케이스를 단 하나의 재단지로 제작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특히 담배용 포장으로 사용되는 재단지 및 그 재단지로 제작되는 담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형 담배 케이스 제작용 재단지.
도 2는 도 1의 Y부분에 대한 상세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종방향 모서리 및 수평 모서리 및 모퉁이가 가능한 한 거의 완전하게 라운딩 또는 경사 처리되는 케이스, 특히 담배용 접이식 커버형 케이스의 제작에 사용되는 제작이 용이한 재단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접을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재단지를 통해 달성되는데,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에서 서로 대향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 서피스 및 이 양측 메인 서피스를 연결하는 바닥부가 재단지에서 서로 직선상에 배치되며,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에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메인 서피스와 이 메인 서피스를 연결하는 바닥부에 접하는 면이 양측 메인 서피스의 측방으로 연결되는 사이드 서피스를 통해 형성되고,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에서 대향하게 배치되는 양측 메인 서피스의 모서리가 접힘부를 통해 형성되며, 적어도 5면이 밀폐되는 사각형 담배 케이스의 제작에 사용되는 재단지에 있어서,
- 두 개의 접힘부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에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양측 메인 서피스의 (바람직하게는 하단의) 모퉁이에서 서로 접하며,
-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각으로) 서로 접하는 두 개의 접힘부 중에서 하나가 약 4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의 부분 원호를 통해, 다른 하나가 S-자형 곡선을 통해 제한되며, S-자형 곡선은 메인 서피스의 모퉁이 방향으로 부분 원호에 휘어지고,
- 바람직하게는 접힘부가 거의 평행한 두 개 또는 복수의 이웃한 접힘선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좌측 및 우측 제 1 사이드 서피스를 갖는 제 1 메인 서피스를 포함하는 전술된 재단지는,
- 제 1 메인 서피스의 상단 모서리에는 바닥부가 연결되고, 좌측 및 우측 제 2 사이드 서피스를 포함하는 제 2 메인 서피스는 바닥부의 상단 모서리에 연결되며,
- 재단지가 수평 접힘부 및 수직 접힘부를 갖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메인 서피스와 바닥부 및 바닥부와 제 2 메인 서피스 사이에서 수평 접힘부를 가지며, 좌측 제 1 사이드 서피스와 제 1 메인 서피스, 제 1 메인 서피스와 우측 제 1 사이드 서피스, 좌측 제 2 사이드 서피스와 제 2 메인 서피스 및 제 2 메인 서피스와 우측 제 2 사이드 서피스 사이에서 제 1 내지 제 4 수직 접힘부를 가지고,
- 제 1 수평 접힘부가 제 1 메인 서피스의 상단 모서리에서 제 1 및 제 2 수직 접힘부와 서로 접하며,
- 제 2 수평 접힘부가 제 2 메인 서피스의 하단 모서리에서 제 3 및 제 4 수직 접힘부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된 재단지는 재단지 제작용의 기존 기계를 상응하게 변경함으로서 간단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통상적인 접힘 과정 및 접착 과정을 통해 단지 하나의 케이스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경질 케이스가 형성되며 상기 경질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얇은 박막으로 싸이는 복수의 담배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케이스의 크기는 복수의 담배가 케이스에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결정되며, 사용자가 케이스를 개방하고 담배를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방된 상단 단부가 약간 돌출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케이스는 케이스 부분 외에도 커버부를 가지며, 따라서 일반적인 힌지 리드형 케이스가 형성된다.
일반적인 힌지 리드 케이스를 얻기 위해 상기 재단지는 추가적 면, 즉 좌측 및 우측의 제 3 사이드 서피스를 포함하며 제 2 메인 서피스에 연결되는 제 3 메인 서피스를 갖는데, 이 제 3 메인 서피스의 상단 모서리에는 상단면이 연결되고, 상단면의 상단 모서리에는 좌측 및 우측 사이드 서피스를 포함하는 제 4 메인 서피스가 연결되며,
- 재단지는 다른 수평 및 수직 접힘부를 갖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제 3 메인 서피스와 상단면 및 상단면과 제 4 메인 서피스 사이에서 제 3 및 제 4 수평 접힘부를 가지며, 좌측 제 3 사이드 서피스와 제 3 메인 서피스, 제 3 메인 서피스와 우측 제 3 사이드 서피스, 좌측 제 4 사이드 서피스와 제 4 메인 서피스 및 제 4 메인 서피스와 우측 제 4 사이드 서피스 사이에서 제 5 내지 제 8 수직 접힘부를 가지며,
- 제 3 수평 접힘부가 제 3 메인 서피스의 상단 모퉁이에서 제 5 및 제 6 수직 접힘부와 서로 접하고,
- 제 4 수평 접힘부가 제 4 메인 서피스의 하단 모퉁이에서 제 7 및 제 8 수직 접힘부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재단지는 전술된 접힘부 외에도 추가적으로 좌측 및 우측의 제 2 사이드 서피스에서 좌측 및 우측의 제 2 사이드 서피스 엽상부(葉狀部)를 가지며, 좌측 및 우측 제 3 사이드 서피스에서 좌측 및 우측의 제 3 사이드 서피스 엽상부를 갖는다. 상기 사이드 서피스 엽상부는 완성된 케이스의 바닥 및 커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4 메인 서피스의 상단 모서리에는, 케이스 제작 시 제 4 메인 서피스의 내측면에 접착되며 마찬가지로 보강 기능을 하는 보강부가 존재한다.
접을 수 있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종이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적층 구조의 마분지(carton) 또는 플라스틱, 플라스틱 호일 또는 적층형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광폭 종이 또는 광폭 마분지와 같은 힌지 리드 케이스용 일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접힘선은 홈 또는 바람직하게는 홈선일 수 있으며, 케이스의 전체 길이 및 폭에 걸쳐 형성된다.
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재단지의 해당 부위가 홈처리 장치(grooving body)에 의해 압입된다. 대향측에서는, 재단지의 재료가 압박될 수 있는 홈 채널(groove channel)이 존재한다. 홈이 평행하게 진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방법과 상응하게 파형의 횡단면이 형성된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2 523 251호에 설명되며 그 결과는 도2에 도시된다. 전술한 가공된 재단지를 접으면 (복수의 홈인 경우에는) 둥근 또는 (두 개의 홈인 경우에는) 경사진 케이스 모서리가 홈을 따라서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단점은, 포장 재료의 자체 강성 및 복원력으로 인해 포장 제작을 위한 접착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런 문제점은 케이스의 측벽을 형성하는, 재단지의 중첩부에서 발생한다. 라운딩 또는 경사로 처리되는 모서리로 인해 상기 중첩부가 예를 들어 힌지 리드 케이스와 같은 일반적인 케이스에 비해 현저하게 축소되므로, 제한된 양의 접착제를 도포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그 결과로, 기계적 생산 속도가 느려지는데, 그 이유는 접착제가 양호한 상태로 건조되지 않을 경우에 재료의 복원력으로 인해 케이스 접착부위가 다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접착제가 양호한 상태로 건조될 때까지 장기간 대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런 현상은, 광폭 마분지 또는 광폭 종이가 예를 들어 힌지 리드 케이스의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종이 또는 마분지 제작 시 제품을 형성하는 재료가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컨베이어 상에 놓여진다. 이 과정에서 재료 내의 긴 섬유가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재단지가 차후에 완성된 재료 밴드에서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절단되는냐에 따라서, 상기 재단지 내의 긴 섬유가 재단지의 종축으로(광폭 용지) 또는 재단지의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협폭 용지) 배치된다. 섬유의 방향을 광폭 재단지의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횡축에 대해 우수한 굽힘성이 나타나지만, 종축에 대해서는 불량한 굽힘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측면 접착부의 복원력은, 재료 내에서 섬유의 변경된 위치로 인해 완전히 상이한 양상을 갖는 협폭 재단지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반면에, 접이식 케이스에는 광폭 재단지가 더 많이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광폭 재단지가 협폭 재단지를 사용할 때보다 커버의 안정성(경사지게 닫힘, 쉽게 찢어지는 커버), 횡방향에서의 우수한 저항력으로 인한 케이스의 강직성 및 케이스의 평면성, 즉 케이스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현상과 관련하여 더욱 우수한 특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홈이 아닌 홈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놀랍게도 복원력이 현저하게 감소하므로, 광폭 재료를 아무런 문제없이 신속하게 케이스 제작을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스 접착 시 제공되는 면의 감소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홈선의 제작을 위해서는 홈가공용 칼을 통해 케이스를 형성하는 재료의 두께를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 재료가 압착될 뿐 아니라 제거될 수 있도록 재단지를 매끈한 베이스에 놓고 홈가공용 칼로 가공한다. 홈가공용 칼의 형태에 따라 예를 들어 V-자형 또는 U-자형의 횡단면이 형성된다. 홈 제작 방식에서와는 달리 베이스는 홈가공용 칼의 대향측 부위에 채널이 아니라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므로, 홈 제작 방식에서와 같이 두께가 변하지 않고, 변형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두께가 감소한다.
두께 감소의 정도는 사용되는 재료와 해당 접힘부에 따라서 결정된다. 수직 접힘부의 홈선에서는 종이 또는 마분지의 두께가 1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또는 약 50% 감소하며, 수평 접힘부의 홈선에서는 종이 또는 마분지의 두께가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또는 약 30%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단지에 대한 제 2 이유에서 홈선이 선호된다. 홈선의 이점은, 홈선이 완성된 케이스의 내측면에 존재하며 외측면은 완전하며 비가공된 형태로 보이고 따라서 사용자에게 세련된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인데, 홈 제작 방식에서는 이런 이점을 제공할 수 없다.
접힘선의 수와 접힘선 상호간의 간격을 통해 라운딩의 정도 및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힘부당 6개 내지 8개, 또는 7개의 접힘선이 존재하는데, 이런 접힘선의 상호 간격은 약 1mm이다. 접는 과정에서 케이스에 둥근 모서리가 형성되며, 라운딩 부위의 반경은 시판되는 일반적인 담배의 반경과 일치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접힘부 당 두 개의 접힘선이 형성되는데, 이 접힘선의 상호 간격은 6 내지 8mm, 또는 7mm이다. 이 경우에는 접는 과정에서 케이스에 경사진 모서리가 나타난다.
또한 통일적인 케이스 외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접힘부가 동일한 수의 접힘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접힘부와 수평 접힘부가 접하기 위해서는 부분 원호의 단부 및 S-자형 곡선의 단부가 서로 직각으로 진행하고 메인 서피스의 모서리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렇게 함으로써 복수의 접힘부 사이에서 매끄러운 전이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부분 원호 및 S-자형 곡선이 서로 결합되지 않거나 또는 메인 서피스의 모퉁이에서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는, 부분 원호와 S-자형 곡선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케이스 제작을 위해 재단지를 접을 때 두 개의 접힘부 사이의 전이부에서 불규칙한 표면이 나타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접힘부가 양측 단부에서 부분 원호 또는 S-자형 곡선을 통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찬가지로 양측 단부가 거의 직각으로 다른 접힘부와 만나는 모든 접힘부에서 양측 단부가 부분 원호 또는 S-자형 곡선을 통해 상기 접힘부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호 평행한 모든 접힘부가 부분 원호 또는 S-자형 곡선을 통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단지의 제작은 알려진 방법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재단지는 롤러 상에서 지지되는 인쇄된 광폭의 재료 궤도(track)에서 절단된다. 일반적으로, 재단지가 홈처리 장치 또는 홈가공용 칼을 통해 전술된 방법으로 가공, 스탬핑 및/또는 절단 및 경우에 따라서 압입되는 공정이 진행된다. 측면에서의 통상적인 접힘 및 접착 과정을 통해 예를 들어 담배 케이스가 기계적으로 완성되는데, 이런 담배 케이스는 내측면에서 얇은 박막으로 싸이는 복수의 담배를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케이스에서는 칼러부(collar)가 사용되는데, 이 칼라부는 케이스 개방 상태에서 케이스 전방벽의 내측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며 케이스 내의 담배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홈부를 갖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완성된 케이스(case)에서 케이스 부분의 전방벽에 해당하는 제 1 메인 서피스(main surface)(20) 및 이 메인 서피스에 인접한 사이드 서피스(side surface)(22, 24)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좌측의 제 1 사이드 서피스(22)와 제 1 메인 서피스(20) 및 제 1 메인 서피스(20)와 우측의 제 1 사이드 서피스(24) 사이에는, 7개의 홈선(notch line/scratch line)(100)을 통해 형성되며 상단 단부에 사분호(quarter circle)를 갖는 제 1 수직 접힘부(folding area)(90) 및 제 2 수직 접힘부(91)가 존재한다.
제 1 메인 서피스(20)의 상단에는 바닥부(30)가 연결되며, 이 바닥부는 제 2 메인 서피스(40)에 연결된다. 제 1 메인 서피스(20)와 바닥부(30) 사이에는 제 1 수평 접힘부(80), 바닥부(30)와 제 2 메인 서피스(40) 사이에는 제 2 수평 접힘부(82)가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양측 수평 접힘부(80, 82)는, 양측 단부에서 각각 S-자형의 선을 나타내는 7개의 홈선(100)에 의해 형성된다. 완성된 케이스에서 케이스 부분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 2 메인 서피스(40)의 양측면에는 좌측 제 2 사이드 서피스 엽상부(46)를 포함하는 좌측 제 2 사이드 서피스(42) 및 우측 제 2 사이드 서피스 엽상부(48)를 포함하는 우측 제 2 사이드 서피스(44)가 존재한다. 이 사이에는 제 3 수직 접힘부(92) 및 제 4 수직 접힘부(93)가 존재한다.
완성된 케이스에서 커버 후벽에 해당하는 제 3 메인 서피스(50)가 제 2 메인 서피스(40)에 연결된다. 완성된 케이스의 커버가 힌지식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메인 서피스(40, 50)는 접힘선(folding line)(12)을 통해 분리된다. 제 3 메인 서피스(50)와 좌측의 제 3 사이드 서피스(56)는 좌측 제 3 사이드 서피스에 연결된 좌측 제 3 사이드 서피스 엽상부(56)를 포함하는 좌측 제 3 사이드 서피스(52)와 제 3 메인 서피스(50) 사이, 및 우측 제 3 사이드 서피스에 연결된 우측 제 3 사이드 서피스 엽상부(58)를 포함하는 좌측 제 3 사이드 서피스(54)와 제 3 메인 서피스 사이에는 각각 제 5 수직 접힘부(94)와 제 6 수직 접힘부(95)가 존재한다. 수직 접힘부(92, 93, 94, 95)는, 접힘선(12)까지 또는 그 이상으로 연장될 수 있는 노치(notch)를 통해 서로 분리된다.
제 3 메인 서피스(50)의 상단에는 상단면(60)이 연결되며, 이 상단면에는 다시 제 4 메인 서피스(70)가 연결된다. 제 3 메인 서피스(50)와 상단면(60) 사이에는 제 3 수평 접힘부(84)가 존재하며, 상단면(60)과 제 4 메인 서피스(70) 사이에는 제 4 수평 접힘부(86)가 존재하는데, 상기 양측 접힘부는 다른 접힘부와 마찬가지로 7개의 홈선(100)으로 형성된다.
제 4 메인 서피스(70)의 주위에는 좌측 제 4 사이드 서피스(72), 우측 제 4 사이드 서피스(74) 및 보강부(72)가 존재하며, 제 4 메인 서피스와 좌측 제 4 사이드 서피스 사이 및 제 4 메인 서피스와 우측 제 4 사이드 서피스 사이에는 제 7 수직 접힘부(96) 및 제 8 수직 접힘부(97)가 존재한다. 상기 보강부(72)는 약간 작은 크기로 인해 단지 4개의 홈선(100)을 갖는다.
수직 접힘부와 수평 접힘부는 메인 서피스의 모퉁이에서 접한다. 예를 들어 수직 접힘부(90, 91)는 메인 서피스의 상단 모퉁이(21, 23)에서 수평 접힘부(80)와접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접힘부는, 한편으로 각각의 이웃한 사이드 서피스로 매끄럽게 전환되고, 다른 한편으로 각 메인 서피스의 외측 모서리로 매끈하게 전환되는 사분호 내에서 끝난다. 수평 접힘부는, 한편으로 이웃한 각 메인 서피스의 외측 모서리로 매끄럽게 전환되고, 다른 한편으로 이웃한 바닥부 또는 상단면의 외측 모서리로 매끄럽게 전환되는 S-자형 곡선에서 끝난다.
복수의 접힘부의 홈선(100) 외에도 다른 접힘선이 존재한다. 즉 사이드 서피스 엽상부를 접기 위한 접힘선(55, 45), 제 2 메인 서피스(40)와 제 3 메인 서피스(50) 사이의 접힘선(12) 및 보강부(72)의 접힘선(77)이 존재한다.
담배 케이스의 제조를 위해 우선 사이드 서피스(42, 44)가 90°상단으로 접히고 그 다음 상기 사이드 서피스에 연결된 사이드 서피스 엽상부(46, 48)도 90° 내측으로 접힌다. 그 다음 바닥부(30) 및 제 1 메인 서피스(20)를 포함하는 재단지(10)의 하단부를 90°상단으로 접는다. 이로 인해 사이드 서피스 엽상부(46, 48)가 바닥부(30)와 접촉하고 접착된다. 제 1 메인 서피스(20)가 다시 90°로 접히는 경우에는 사이트 서피스(22, 42, 24, 44)가 중첩되고 접착될 수 있으므로, 케이스의 하단 부분이 완성된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케이스의 상단부인 커버부가 완성된다. 즉 사이드 서피스 엽상부(56, 58)가 상단면(60)과 접착된다. 보강부(72)는 내측의 제 4 메인 서피스(70)에 접착되고, 그 다음 사이드 서피스(52, 72, 54, 74)가 서로 접착된다. 따라서 홈선(100)은 완성된 케이스의 내측면에 존재하며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관찰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을 경우에 얻어지는 힌지 리드 케이스(hinge-lid-case)에는 라운딩된 종방향 에지(edge)가 형성된다. 또한 4개의 수평 메인 에지(main edge)도 라운딩된다. 접힘부의 단부에서 부분 원호(circle segment)와 S-자형 곡선이 접함으로써 접힘부 사이에서 매끄러운 연결부가 형성되고 케이스의 모든 8개의 에지가 이런 방식으로 라운딩된다.
부분 원호와 S-자형 곡선이 만나는 부위는 도 2의 상세도에 도시된다. 수직 접힘부(91, 93)는 약 60°내지 70°의 부분 원호에서 끝나며, 수평 접힘부(80, 82)는 S-자형 곡선에서 끝난다. 부분 원호 및 S-자형 곡선은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중첩되며 모퉁이(23, 43)에서 만난다.

Claims (15)

  1. 접을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재단지(10)로서,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에서 서로 대향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메인 서피스(20, 40) 및 이 양측 메인 서피스를 연결하는 바닥부(30)가 재단지(10)에서 서로 직선상에 배치되며,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에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메인 서피스(20, 40)와 이 메인 서피스를 연결하는 바닥부(30)에 접하는 면이 양측 메인 서피스(20, 40)의 측방으로 연결되는 사이드 서피스(22, 24, 42, 44)를 통해 형성되고,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에서 대향하게 배치되는 양측 메인 서피스(20, 40)의 모서리가 접힘부를 통해 형성되며, 적어도 5면이 밀폐되는 사각형 담배 케이스의 제작에 사용되는 재단지에 있어서,
    - 두 개의 접힘부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에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양측 메인 서피스(20, 40)의 모퉁이에서 서로 접하며,
    - 서로 접하는 두 개의 접힘부 중에서 하나가 약 4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의 부분 원호를 통해, 다른 하나가 S-자형 곡선을 통해 제한되며, S-자형 곡선은 메인 서피스(20, 40)의 모퉁이 방향으로 부분 원호에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지.
  2. 제 1항에 있어서, 접힘부가 거의 평행한 두 개 또는 복수의 이웃한 접힘선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지(10).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제 1 사이드 서피스(22, 24)를 갖는 제 1 메인 서피스(20)를 포함하는 재단지로서,
    - 제 1 메인 서피스(20)의 상단 모서리에는 바닥부(30)가 연결되고, 좌측 및 우측 제 2 사이드 서피스(42, 44)를 포함하는 제 2 메인 서피스(40)는 바닥부(30)의 상단 모서리에 연결되며,
    - 재단지(10)가 수평 접힘부 및 수직 접힘부를 갖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메인 서피스(20)와 바닥부(30) 및 바닥부(30)와 제 2 메인 서피스(40)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수평 접힘부(80, 82)를 가지며, 좌측 제 1 사이드 서피스(22)와 제 1 메인 서피스(20), 제 1 메인 서피스(20)와 우측 제 1 사이드 서피스(24), 좌측 제 2 사이드 서피스(42)와 제 2 메인 서피스(40) 및 제 2 메인 서피스(40)와 우측 제 2 사이드 서피스(44) 사이에서 제 1 내지 제 4 수직 접힘부(90, 91, 92, 93)를 가지고,
    - 제 1 수평 접힘부(80)가 제 1 메인 서피스(20)의 상단 모서리(21, 23)에서 제 1 및 제 2 수직 접힘부(90, 91)와 서로 접하며,
    - 제 2 수평 접힘부(82)가 제 2 메인 서피스(40)의 하단 모서리(41, 43)에서 제 3 및 제 4 수직 접힘부(92, 93)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지(10).
  4. 제 3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의 제 2 사이드 서피스(42, 44)의 하단 모서리에는 좌측 및 우측의 제 2 사이드 서피스 엽상부(46, 48)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지(10).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의 제 3 사이드 서피스(52, 54)를 포함하는 제 3 메인 서피스(50)가 제 2 메인 서피스(40)의 상단 모서리에 연결되며, 이 제 3 메인 서피스(50)의 상단 모서리에는 상단면(60)이 연결되고, 이 상단면(60)의 상단 모서리에는 좌측 및 우측 사이드 서피스(72, 74)를 포함하는 제 4 메인 서피스(70)가 연결되고,
    - 재단지(10)는 다른 수평 및 수직 접힘부를 갖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제 3 메인 서피스(50)와 상단면(60) 및 상단면(60)과 제 4 메인 서피스(70) 사이에서 제 3 및 제 4 수평 접힘부(84, 86)를 가지며, 좌측 제 3 사이드 서피스(52)와 제 3 메인 서피스(50), 제 3 메인 서피스(50)와 우측 제 3 사이드 서피스(54), 좌측 제 4 사이드 서피스(72)와 제 4 메인 서피스(70) 및 제 4 메인 서피스(70)와 우측 제 4 사이드 서피스(74) 사이에서 제 5 내지 제 8 수직 접힘부(94, 95, 96, 97)를 가지며,
    - 제 3 수평 접힘부(84)가 제 3 메인 서피스(50)의 상단 모퉁이(51, 53)에서 제 5 및 제 6 수직 접힘부(94, 95)와 서로 접하고,
    - 제 4 수평 접힘부(86)가 제 4 메인 서피스(70)의 하단 모퉁이(71, 73)에서 제 7 및 제 8 수직 접힘부(96, 97)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지(10).
  6. 제 5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제 3 사이드 서피스(52, 54)의 상단 모서리에는 좌측 및 우측 제 3 사이드 서피스 엽상부(56, 58)가 접하고, 제 4 메인 서피스(70)의 상단 모서리에는 보강부(72)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지(10).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을 수 있는 재료가 광폭 마분지 또는 광폭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지(10).
  8. 제 7항에 있어서, 접힘선이 홈선(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지(10).
  9. 제 8항에 있어서, 수직 접힘부의 홈선(100)은 두께가 10 내지 80%, 특히 40 내지 60% 감소한 종이 또는 마분지로 형성되며, 수평 접힘부의 홈선(100)은 두께가 10 내지 50%, 특히 20 내지 40% 감소한 종이 또는 마분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지(10).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분 원호의 단부 및 S-자형 곡선의 단부가 서로 직각으로 진행하고 메인 서피스(20, 40, 50, 70)의 모서리에 대해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지(10).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힘부의 단부가 양측에서 부분 원호 또는 S-자형 곡선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지(10).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측 단부에서 다른 접힘부와 직각으로 접하는 모든 접힘부에서 이 접힘부의 양측 단부가 부분 원호 또는 S-자형 곡선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지(10).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평행한 모든 접힘부가 부분 원호 또는 S-자형 곡선에 의해 각각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지(10).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하나에 따른 재단지(10)로 제작 가능한 케이스.
  15. 제 8항 또는 제 9항에 따른 재단지로 제작 가능하며, 홈선(100)이 케이스의 내측면에 존재하는 케이스.
KR1020037010521A 2001-02-13 2002-02-13 재단지 및 그 재단지로 제작되는 담배 케이스 KR100822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6548A DE10106548A1 (de) 2001-02-13 2001-02-13 Zuschnittbogen und daraus hergestellte Schachtel, insbesondere für Zigaretten
DE10106548.5 2001-02-13
PCT/EP2002/001479 WO2002064451A1 (de) 2001-02-13 2002-02-13 Zuschnittbogen und schachtel insbesondere für zigaret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526A true KR20040004526A (ko) 2004-01-13
KR100822831B1 KR100822831B1 (ko) 2008-04-17

Family

ID=767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521A KR100822831B1 (ko) 2001-02-13 2002-02-13 재단지 및 그 재단지로 제작되는 담배 케이스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EP (1) EP1361987B1 (ko)
JP (1) JP3975169B2 (ko)
KR (1) KR100822831B1 (ko)
CN (1) CN1254420C (ko)
AT (1) ATE280103T1 (ko)
AU (1) AU2002244715C1 (ko)
BG (1) BG65017B1 (ko)
BR (1) BR0207204A (ko)
CA (1) CA2437936C (ko)
DE (2) DE10106548A1 (ko)
EA (1) EA004819B1 (ko)
ES (1) ES2229110T3 (ko)
HK (1) HK1063769A1 (ko)
MX (1) MXPA03007221A (ko)
PT (1) PT1361987E (ko)
UA (1) UA73414C2 (ko)
WO (1) WO2002064451A1 (ko)
ZA (1) ZA2003062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742A (ko) * 2015-07-31 2018-04-0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비정사각 에지를 갖는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1743A1 (de) * 2002-11-05 2004-05-13 Focke Gmbh & Co. Kg Klappschachtel für Zigaretten
TWI253430B (en) * 2003-07-16 2006-04-21 Japan Tobacco Inc Hard pack for rod shaped smoking article
JP4822463B2 (ja) * 2006-05-30 2011-11-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棒状喫煙物品のパッケージ
DE102007004309A1 (de) * 2007-01-29 2008-08-14 Siemens Ag Vorrichtung zum Bearbeiten einer flächigen Warenbahn sowie Verfahren zum Bearbeiten einer flächigen Warenbahn
UA91317C2 (ru) * 2007-05-01 2010-07-12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Упаковка для стержнеобразных кур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и заготовка для нее
US20100059395A1 (en) 2008-05-02 2010-03-11 John England Pack for Smoking Articles
US20090294518A1 (en) * 2008-06-02 2009-12-03 Andre Yusin Foldable Structure
DE102008061661A1 (de) * 2008-12-12 2010-06-17 Focke & Co.(Gmbh & Co. Kg) Packung für Zigaretten und Zuschnitt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Packung
DE102009011918A1 (de) * 2009-03-10 2010-09-16 Focke & Co.(Gmbh & Co. Kg) Packung für Zigaretten
EP2648984A1 (en) * 2010-12-07 2013-10-16 Philip Morris Products S.a.s. Inner frame with at least one creasing line, container containing same, use of such an inner frame blank and method for increasing stability of a container
CN107000925A (zh) * 2014-12-31 2017-08-01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改进的圆拐角容器
US11278989B2 (en) 2014-12-31 2022-03-22 Philip Morris Products S.A. Hinge lid container with lid flap
TW201641027A (zh) * 2015-03-31 2016-12-0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具有非方形邊緣的經改良容器
EP3310525A1 (en) * 2015-06-22 2018-04-25 Philip Morris Products S.a.s.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cut edges
CN107709189B (zh) * 2015-06-30 2019-11-22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外观改进的容器
ES2825324T3 (es) * 2015-09-17 2021-05-17 Philip Morris Products Sa Recipiente con borde biselado y borde curvo transversal adyacente
EP3225568A1 (de) * 2016-04-01 2017-10-04 A & R Carton GmbH Faltschachtel
KR101931484B1 (ko) 2017-04-19 2018-12-20 민준민 담뱃갑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3251A (en) * 1949-08-17 1950-09-19 Nat Folding Box Company Inc Round cornered folding box
DE1823690U (de) * 1960-07-28 1960-12-15 Reinhold Ficht Kartonage.
DE2940797A1 (de) * 1979-10-09 1981-04-23 Andreas 4000 Düsseldorf Gardeweg Zigarettenschachtel (behaelter)
US5143282A (en) * 1990-08-28 1992-09-01 Philip Morri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closed hinged lid boxes
DE4109702A1 (de) 1991-03-23 1992-09-24 Focke & Co Klappschachtel, insbesondere fuer zigaretten
IT1279725B1 (it) 1995-09-25 1997-12-16 Gd Spa Pacchetto rigido con coperchio incernierato per elementi allungati
US5924627A (en) * 1997-08-07 1999-07-20 Philip Morris Incorporated Packaging blank and container made therefrom
IT1299317B1 (it) * 1998-01-15 2000-03-16 Gd Spa Pacchetto di sigaret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742A (ko) * 2015-07-31 2018-04-0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비정사각 에지를 갖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306263B (en) 2004-06-25
AU2002244715B2 (en) 2006-07-06
KR100822831B1 (ko) 2008-04-17
EA200300889A1 (ru) 2003-12-25
PT1361987E (pt) 2005-02-28
BG108108A (en) 2004-08-31
JP2004526439A (ja) 2004-09-02
BG65017B1 (bg) 2006-12-29
CA2437936A1 (en) 2002-08-22
DE50201357D1 (de) 2004-11-25
MXPA03007221A (es) 2005-02-14
ES2229110T3 (es) 2005-04-16
CA2437936C (en) 2007-04-03
UA73414C2 (en) 2005-07-15
BR0207204A (pt) 2004-01-27
DE10106548A1 (de) 2002-08-22
WO2002064451A1 (de) 2002-08-22
AU2002244715C1 (en) 2006-12-14
CN1254420C (zh) 2006-05-03
CN1496326A (zh) 2004-05-12
HK1063769A1 (en) 2005-01-14
EA004819B1 (ru) 2004-08-26
ATE280103T1 (de) 2004-11-15
EP1361987B1 (de) 2004-10-20
EP1361987A1 (de) 2003-11-19
JP3975169B2 (ja)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831B1 (ko) 재단지 및 그 재단지로 제작되는 담배 케이스
US7562772B2 (en) Container blank for a box with hinged lid
CA2484958C (en) Cigarette package
AU2008221543A1 (en) Cigarette packet and cut sheet
JP3585999B2 (ja) 煙草等のヒンジ蓋付き包装容器
JP3616160B2 (ja) 紙巻き煙草などのためのヒンジ蓋付きボックスおよび前記ボックス製造用のブランク
JPH0752973A (ja) 細長い物品、特にシガレット用半硬質包装体
RU2493067C2 (ru) Пачка для кур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заготовка
EP1349799B1 (en) A blank for rigid hinge-lid type wrappers for tobacco products and a procedure for manufacturing such wrappers
JPH07257671A (ja) 特に紙巻き煙草用のヒンジ蓋付き箱体
JPS6040435Y2 (ja) 包装容器
JP7066906B1 (ja) 箱用シート
JP2021088383A (ja) カートン及びブランク
JPH07237626A (ja) ロック式梱包ケース
JPH11124126A (ja) 折畳包装箱及びその製造方法
JPS59152143A (ja) 自動加工用仕切付包装箱
WO2009127892A1 (en) Packet for smoke articles and corresponding bl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