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376A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376A
KR20040003376A KR1020020038049A KR20020038049A KR20040003376A KR 20040003376 A KR20040003376 A KR 20040003376A KR 1020020038049 A KR1020020038049 A KR 1020020038049A KR 20020038049 A KR20020038049 A KR 20020038049A KR 20040003376 A KR20040003376 A KR 20040003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photosensitive drum
gap
developing roll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8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3376A/ko
Publication of KR20040003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3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일정한 현상갭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롤러의 축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현상롤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스페이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과 구름접촉하는 상기 스페이서롤러의 외주면에는 이들 사이에 끼어드는 토너 입자 및 먼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감광드럼과 구름접촉하는 스페이서롤러의 외주면에 이들 사이에 끼어드는 토너나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토너나 이물질이 현상갭의 변화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하며, 따라서, 항상 일정한 현상갭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갭이 변함으로써 발생되는 현상불량으로 인한 화상 흐림 및 화이트 보이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Development-gap maintenance device for printer}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갭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전기적인 대전이 가능한 층을 보유하며 광원의 노출에 의해 대전된 곳에서의 전위차가 발생되는 감광매체와, 형성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의 전기적인 신호를 광학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감광매체에 주사하여 전기적인 전위차에 의한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수단과,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로 현상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수단 등을 구비한다.
상기 현상수단은 토너통과 현상롤러와 상기 토너통의 토너를 상기 현상롤러로 공급하는 토너공급롤러 등을 구비한다. 상기 현상롤러와 토너공급롤러에 현상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토너공급롤러에 의해 현상롤러에 토너가 공급되고, 이 현상롤러에 도포된 토너가 감광매체와의 전위차에 의한 정전력으로 이송되어 감광드럼의 정전잠상을 현상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현상과정에서 감광매체와 현상롤러는 일정한 현상갭을 유지하여야만 감광드럼에 균일한 토너층이 형성되면서 안정적인 화상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는 감광매체와 현상롤러간의 일정한 현상갭을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러한 현상갭 유지장치의 전형적인 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은 감광매체로서의 감광드럼, 2는 현상롤러, 그리고, 부호 3 및 3'는 현상갭 유지를 위한 스페이서롤러를 각각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는, 상기 현상롤러(2)의 축(2a) 양단에 상기 현상롤러(2)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한쌍의 스페이서롤러(3)(3')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롤러(3)(3')는 그 외주면이 상기 감광드럼(1)의 외주면과 구름 접촉하며, 이에 의해 감광드럼(1)과 현상롤러(2) 사이에는 일정한 현상갭(g)이 유지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현상갭(g)은 일반적으로 50∼300㎛ 정도로 정밀하게 유지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4 및 5는 구동기어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는, 감광드럼(1)과 스페이서롤러(3)(3')가 비교적 넓은 접촉면적을 가지고 직접 구름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접촉면에 현상시 비산한 토너나 기타 이물질이 끼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그들 접촉부가 미세하게 벌어지면서 현상갭이 커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현상갭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커지게 되면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감광드럼의 정전잠상이 국부적으로 현상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됨으로써 화상의 품질 저하를 가져오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감광드럼과 스페이서롤러 사이에 토너 및 이물질이 끼어 드는 경우에도 현상갭에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아 항상 일정한 현상갭을 유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는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현상갭 유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스페이서 롤러의 여러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감광드럼2;현상롤러
2a;현상롤러의 축3,3';스페이서롤러]
3a;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일정한 현상갭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롤러의 축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현상롤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스페이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과 구름접촉하는 상기 스페이서롤러의 외주면에는 이들 사이에 끼어드는 토너 입자 및 먼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상홈은 사각 단면 형상 또는 삼각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외 어떠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감광드럼과 구름접촉하는 스페이서롤러의 외주면에 이들 사이에 끼어드는 토너나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토너나 이물질이 현상갭의 변화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하며, 따라서, 항상 일정한 현상갭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갭이 변함으로써 발생되는 현상불량으로 인한 화상 흐림 및 화이트 보이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현상롤러(2)의 축(2a) 양단에 현상롤러(2)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스페이서롤러(3)(3')가 설치되어 이 스페이서롤러(3)(3')와 감광드럼(1)이 구름 접촉하는 것에 의해 감광드럼(1)과 현상롤러(2) 사이에 일정한 현상갭(g)이 유지되는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현상갭 유지장치는, 상기 스페이서롤러(3)(3')의 감광드럼(1) 접촉부, 즉 외주면에 감광드럼(1)과 스페이서롤러(3)(3') 사이에 현상시 비산한 토너나 기타 이물질이 끼어드는 경우 이들을 수용하는 환상의 홈(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감광드럼과 스페이서롤러 사이에 끼어드는 토너나 이물질이 상기 홈(3a)에 수용되어 감광드럼(1)과 스페이서롤러(3))(3')의 실제 접촉부분에는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이들 이물질에 의해 현상갭이 변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페이서롤러(3)(3')의 외주면에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홈(3a)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거나 삼각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외에도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홈(3a)은 감광드럼(1)과 스페이서롤러(3)(3') 사이에 끼어드는 토너나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이면 형상에 관계없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감광드럼과 구름접촉하는 스페이서롤러의 외주면에 토너나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끼어드는 토너나 이물질이 상기 홈에 수용되므로, 실제 감광드럼과 스페이서롤러의 접촉면에는 토너나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감광드럼과 스페이서롤러의 접촉면에 토너나 이물질이 존재함으로써 발생되는 현상갭의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즉, 항시 일정한 현상갭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현상갭이 변함에 따라 발생되는 화상 흐림 및 화이트 보이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안정적인 화상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일정한 현상갭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롤러의 축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현상롤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스페이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과 구름접촉하는 상기 스페이서롤러의 외주면에는 이들 사이에 끼어드는 토너 입자 및 먼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홈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현상갭 유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홈은 삼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
KR1020020038049A 2002-07-02 2002-07-02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 KR20040003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049A KR20040003376A (ko) 2002-07-02 2002-07-02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049A KR20040003376A (ko) 2002-07-02 2002-07-02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376A true KR20040003376A (ko) 2004-01-13

Family

ID=3731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049A KR20040003376A (ko) 2002-07-02 2002-07-02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33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1740B2 (en) 2005-01-20 2008-01-22 Samsung Electronics Co. Developing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5974A (ja) * 1988-03-04 1989-09-08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465361U (ko) * 1990-10-17 1992-06-05
JPH06202458A (ja) * 1992-12-28 1994-07-22 Minolta Camera Co Ltd 現像装置
JPH10161417A (ja) * 1996-11-27 1998-06-19 Canon Inc 現像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5974A (ja) * 1988-03-04 1989-09-08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465361U (ko) * 1990-10-17 1992-06-05
JPH06202458A (ja) * 1992-12-28 1994-07-22 Minolta Camera Co Ltd 現像装置
JPH10161417A (ja) * 1996-11-27 1998-06-19 Canon Inc 現像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1740B2 (en) 2005-01-20 2008-01-22 Samsung Electronics Co. Developing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11014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735140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70122172A1 (en)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8003110A (ja) 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40003376A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
JP200526632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84878A (ja) 潤滑剤塗布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349596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01230B1 (ko) 개선된 대전롤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H10326032A (ja) 画像形成装置
JP432389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4212570A (ja) 画像形成装置
JP4475935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23459B1 (ko) 칼라 화상형성장치
JP200226850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KR20016016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JPH0792767A (ja) 画像形成装置
US20030215263A1 (en) Spacing device for image processing systems
JPH0916057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227828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73297A (ja) 画像形成装置
KR200166532Y1 (ko) 대전 롤러의 크리닝 장치
KR100193861B1 (ko) 레이져 주사장치에서 유리창의 토너오염 방지장치 및 방법
JPH08211762A (ja) 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S62210486A (ja) 電子写真複写機用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