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163Y1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163Y1
KR200160163Y1 KR2019970021988U KR19970021988U KR200160163Y1 KR 200160163 Y1 KR200160163 Y1 KR 200160163Y1 KR 2019970021988 U KR2019970021988 U KR 2019970021988U KR 19970021988 U KR19970021988 U KR 19970021988U KR 200160163 Y1 KR200160163 Y1 KR 200160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frame
roller
electrostatic latent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845U (ko
Inventor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1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16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8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8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1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비산토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감광드럼과 노광부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이격시켜 본체내에 구성함으로써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감광드럼에는 회전에 의하여 비산된 토너를 막기위하여 일정 형상의 제1프레임이 장착되며, 현상롤러에는 상기 롤러를 일부 덮으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소정의 틈이 형성되도록 일정 형상의 제2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틈의 외측에는 상기 감광드럼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부가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부의 위치.

Description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본 고안은 전자사진 프로세서(Electrophotograph Processo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부(Developing Unit)의 감광드럼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노광부(LSU: Laser Scanning Uint)의 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장치는 레이져(LED)를 이용하여 고전압으로 대전된 감광드럼상에 상대적인 저전압의 정전잠상을 형성시킨후, 현상제를 도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노광부는 일정한 전자기력으로 회전되는 스캐너모터와, 상기 스캐너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폴리곤미러와, 상기 폴리곤미러에 의해 반사된 레이져의 상을 맺게 하는 결상렌즈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노광부는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내에서의 그 위치가 상당히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종래의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인쇄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롤러(62)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60)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60)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64)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감광드럼(60) 표면을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때, 토너는 교반기에 의해 일정 전하를 가지도록 교반되어져 현상롤러(68)측으로 이동되어 진다. 그후 상기 현상롤러(68) 표면에는 토너층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토너층은 독터블레이드의 규제에 의해 균일한 높이로 현상롤러(68) 표면에 형성되어 진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6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롤러(68)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어서 카세트(76)에 장착된 기록용지(78)가 급지롤러(80)에 의해 급지되며, 그후 상기 기록용지(78) 표면에는 전사롤러(74)의 고압 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60) 표면의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78)는 정착부의 히팅롤러(84)와 압축롤러(82)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용지(78) 표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져 받침대(86)측으로 이송되어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한편, 전사롤러(74)를 지난 후의 감광드럼(60)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는 청소기(88)에 의해 제거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광부와 감광드럼과의 거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5mm이하)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즉, 감광드럼과 현상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비산된 토너가 상기 노광부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감광드럼과 노광부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이격시켜 본체내에 구성함으로써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감광드럼과 현상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비산된 토너를 방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고전압을 가하는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에 일성분 비자성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토너층을 일정하게 규제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현상롤러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로 구성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에는 회전에 의하여 비산된 토너를 막기위하여 일정 형상의 제1프레임이 장착되며, 상기 현상롤러에는 상기 롤러를 일부 덮으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소정의 틈이 형성되도록 일정 형상의 제2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틈의 외측에는 상기 감광드럼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부가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광드럼과 노광부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광드럼과 노광부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감광드럼 12: 현상롤러
14: 제1프레임 16: 제2프레임
18:노광부(Laser Scanning Uni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광드럼과 노광부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은 우선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고전압을 가하는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에 일성분 비자성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토너층을 일정하게 규제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현상롤러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가 본체의 적소에 구성된다.
그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광드럼(10)에는 회전에 의하여 비산된 토너를 막기위하여 일정 형상의 제1프레임(1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12)에는 상기 롤러를 일부 덮으면서 상기 제1프레임(14)과 소정의 틈(C)이 형성되도록 일정 형상의 제2프레임(16)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제1프레임(14)과 제2프레임(16)은 상기 감광드럼(10)과 현상롤러(12)의 회전에 의하여 비산된 토너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그후, 상기 제1프레임(14)과 제2프레임(16)에 의해 형성된 틈(C)의 외측에는 상기 감광드럼(10)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부(18)가 상기 감광드럼(10)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B)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18)는 상기 감광드럼(10)과 현상롤러(12)에 의해 비산된 토너가 도달하지 못하는 15mm이상의 이격거리(B)를 두고 구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에 일정형상의 프레임이 형성되기 때문에 비산토너가 주위를 오염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노광부가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비산토너에 의해서 상기 노광부가 오염되는 것은 막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고전압을 가하는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에 일성분 비자성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토너층을 일정하게 규제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현상롤러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로 구성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에는 회전에 의하여 비산된 토너를 막기위하여 일정 형상의 제1프레임이 장착되며;
    상기 현상롤러에는 상기 롤러를 일부 덮으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소정의 틈이 형성되도록 일정 형상의 제2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틈의 외측에는 상기 감광드럼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부가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과 노광부의 이격거리는 15mm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2019970021988U 1997-08-12 1997-08-12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200160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988U KR200160163Y1 (ko) 1997-08-12 1997-08-12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988U KR200160163Y1 (ko) 1997-08-12 1997-08-12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845U KR19990008845U (ko) 1999-03-05
KR200160163Y1 true KR200160163Y1 (ko) 1999-11-01

Family

ID=1950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988U KR200160163Y1 (ko) 1997-08-12 1997-08-12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1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845U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9472A (en) Developing apparatus using elastic blade
US571797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C current controlled contact charging
CN106527086A (zh) 图像形成装置
KR100228804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접촉대전방식의대전장치
US639323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eaturing a particle carrying charging member and a developing device including a magnetic field generating device
KR0174689B1 (ko) 현상롤러의 고스트 방지장치
KR20016016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US5991577A (en) Air breakdown charge and development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image area centered patches of toner
KR19980021698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JPH02195366A (ja) 画像形成装置の帯電装置
KR100214314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JP4194177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193861B1 (ko) 레이져 주사장치에서 유리창의 토너오염 방지장치 및 방법
JPH079276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312126A (ja) 画像形成装置
JPH0736351A (ja) 像形成カートリッジ
JPS58159552A (ja) 電子写真装置
JPH0548197Y2 (ko)
JPH0452767Y2 (ko)
JP2001125349A (ja) 画像形成装置
KR19980021700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JPH09230688A (ja) 画像形成装置
KR19980056525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JPH0380266A (ja) 電子写真装置
KR19990017802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