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700U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700U
KR19980021700U KR2019960035006U KR19960035006U KR19980021700U KR 19980021700 U KR19980021700 U KR 19980021700U KR 2019960035006 U KR2019960035006 U KR 2019960035006U KR 19960035006 U KR19960035006 U KR 19960035006U KR 19980021700 U KR19980021700 U KR 199800217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latent image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엽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35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1700U/ko
Publication of KR199800217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700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광드럼 표면의 잔류토너가 잠상제거램프의 광원영역 구간으로 이동하기 전에 잔류토너를 분산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감광드럼 표면의 잔류잠상의 전하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화상을 형성시키는 매개체인 중합토너와, 일정한 주속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 표면에 전기적으로 전하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롤러와, 전기적으로 대전된 감광드럼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와, 상기 감광드럼 표면의 토너화상을 기록용지상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와, 상기 감광드럼 표면의 잔류 전하를 0(V)로 만드는 잠상제거램프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는 상기 잠상제거램프의 잠상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감광드럼 표면에 남아 있는 잔류토너를 분산시키는 분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본 고안은 중합토너를 사용하는 레이져 빔 프린터, 복사기, 일반용지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광드럼 표면의 잔류토너가 잠상제거램프의 광원영역 구간으로 이동하기 전에 잔류토너를 분산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인쇄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롤러(12)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10)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10)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40)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을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 된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롤러(14)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그후, 급지카세트(44)에 장착된 기록용지(18)는 픽업롤러(42)에 의해 이송롤러(46) 측으로 급지되어진다. 그후, 상기 급지된 기록용지(18)는 이송롤러(46)의 회전에 의해 전사롤러(16) 측으로 이송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18)상에는 전사롤러(16)의 고압 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의 토너 화상이 전사되어 진다.
그후, 화상이 형성된 기록용지(18)는 이송되어져 정착기의 히팅롤러(48)와 압축롤러(50)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상(image)이 정착되어진다. 그후, 인쇄된 기록용지(18)는 도시하지 않은 배지롤러의 회전에 의해 받침대(52) 측으로 이송되므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사롤러(16)를 지난 감광드럼(10)의 표면에는 잔여분의 토너(24a)와 잠상이 존재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잔류 전하는 전하제거램프(22)에 의해 제거되어 진다.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상제거(erasing)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분산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일정한 주속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10)과, 상기 감광드럼(10)의 상부 일측에는 감광드럼(10) 표면에 전기적으로 전하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2)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0)의 상부 타측에는 전기적으로 대전된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40)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0)의 하부에는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형성된 토너를 기록용지(18)상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16)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0)의 타측에는 감광드럼(1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10)의 일측에는 상기 기록용지(18)상에 화상을 형성시키고 남은 감광드럼(10) 표면의 잔류전하를 0(V)로 만드는 잠상제거램프(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잠상제거(erasing)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분산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롤러(12)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10)의 표면은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서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40)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되어진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0)의 정전잠상은 상기 현상롤러(14)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그후, 상기 전사롤러(16)의 고압작용으로 인해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형성된 중합토너가 기록용지(18)상으로 전사되어진다. 그후,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되어진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롤러(16)를 지나면서 기록용지(18)상에 화상을 형성시키고 남은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의 잔류토너(24a)와 잠상(잔류전하)은 상기 감광드럼(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잠상제거램프(22)는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광원(22a)을 발산하게 된다. 그후, 상기 잠상제거램프(22)의 광원(22a)은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의 잔류토너(24a)가 없는 영역(B)의 잔류전하는 0(V)로 만들고 상기 잔류토너(24a)가 있는 영역(A)의 잔류전하는 0(V)로 만들지 못한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의 잔류전하(잠상)는 제거되지 못하고 대전롤러(12)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잔류전하 위에 다시 대전되어지고 노광되어진다.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10) 표면의 정전잠상은 전사롤러(16)의 전사에 의해 100% 기록용지(18)상으로 전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의 잔류토너(24a)와 함께 잔여분의 잠상(잔류전하)은 잠상제거램프(22) 측으로 이동되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잠상제거램프(22)는 잔류토너(24a)가 없는 감광드럼(10) 표면의 잔류전하는 0(V)로 만들지만 상기 잔류토너(24a)가 남아있는 감광드럼(10) 표면의 잔류전하는 60% 정도만 제거되어지고 나머지는 대전롤러(12)측으로 이동되어진다.
이로인해, 상기 잔류전하에 의해 대전롤러(12) 표면이 오염되며, 또한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남아 있는 잔류잠상위에 다시 대전 및 노광되어져 이중으로 상(image)형성되어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감광드럼 표면의 잔류잠상의 전하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산장치를 이용하여 잔류토너를 분산시키므로 잔류토너가 남아있는 부분의 잔류전하도 완전히 0(V)로 만들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대전롤러 및 현상롤러의 오염을 방지하여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상을 형성시키는 매개체인 중합토너와, 일정한 주속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 표면에 전기적으로 전하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롤러와, 전기적으로 대전된 감광드럼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와, 상기 감광드럼 표면의 토너화상을 기록용지상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와, 상기 감광드럼 표면의 잔류 전하를 0(V)로 만드는 잠상제거램프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는 상기 잠상제거램프의 잠상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감광드럼 표면에 남아 있는 잔류토너를 분산시키는 분산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상제거(erasing)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분산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감광드럼과 잠상제거램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잠상제거(erasing)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분산장치가 감광드럼에 설치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장치 및 감광드럼과 잠상제거램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감광드럼 12: 대전롤러
14: 현상롤러 16: 전사롤러
18: 기록용지20: 분산장치
22: 잠상제거램프 22a: 광원
24a: 잔류토너
24b: 잔류토너(분산장치에 의해 역 이동된 잔류토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잠상제거(erasing)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분산장치가 감광드럼에 설치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장치 및 감광드럼과 잠상제거램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주속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10)과, 상기 감광드럼(10)의 상부 일측에는 감광드럼(10) 표면에 전기적으로 전하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2)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0)의 상부 타측에는 전기적으로 대전된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40)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0)의 하부에는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형성된 토너의 전량을 기록용지(18)상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16)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0)의 타측에는 감광드럼(1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10)의 일측에는 상기 기록용지(18)상에 화상을 형성시키고 남은 감광드럼(10) 표면의 잔류전하를 0(V)로 만드는 잠상제거램프(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잠상제거램프(22)와 전사롤러(16) 사이에는 상기 잠상제거램프(22)의 잠상제거(erasing) 효과를 극대화(100%)시키기 위해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의 잔류토너(24a) 의 영역에 남아있는 잔류잠상(잔류전하)도 0(V)로 만들도록 상기 잔류토너(24a)를 감광드럼(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분산장치(20)가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접촉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분산장치(2)는 상기 감광드럼(10)의 표면과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접촉되기 위해 필름 또는 스폰지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장치가 설치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롤러(12)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10)의 표면은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서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40)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되어진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0)의 정전잠상은 상기 현상롤러(14)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그후, 상기 전사롤러(16)의 고압작용으로 인해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형성된 중합토너가 기록용지(18)상으로 전사되어진다. 그후,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되어진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롤러(16)를 지나면서 기록용지(18)상에 화상을 형성시키고 남은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의 잔류토너(24a)와 잠상(잔류전하)은 상기 감광드럼(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잠상제거램프(22)는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광원(22a)을 발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잔류토너(24a)는 분산장치(20)의 단부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역이동되어 진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잔류토너 24a는 24b의 위치로 이동되어진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0)은 잔류토너(24a)가 없는 상태에서 계속해서 회전하여 상기 잠상제거램프(22)의 광원(22a)에 까지 이동되어진다. 그후, 상기 잠상제거램프(22)의 광원(22a)은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잠상의 전하를 완전히 제거하여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의 전위를 100% 0(V)로 만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는 잠상제거램프와 전사롤러 사이에 분산장치를 설치하므로서 감광드럼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잠상의 전하를 완전히 제거하여 0(V)로 만들 수 있으며, 이로인해 대전롤러 및 현상롤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대전롤러가 상기 감광드럼 표면을 항상 균일하게 대전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화상을 형성시키는 매개체인 중합토너와, 일정한 주속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 표면에 전기적으로 전하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롤러와, 전기적으로 대전된 감광드럼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와, 상기 감광드럼 표면의 토너화상을 기록용지상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와, 상기 감광드럼 표면의 잔류 전하를 0(V)로 만드는 잠상제거램프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10)의 표면에는 상기 잠상제거램프(22)의 잠상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남아 있는 잔류토너(24a)를 분산시키는 분산장치(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장치(10)는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에 남아 있는 잔류토너(24a)가 상기 잠상제거램프(22)의 광원(22a) 영역 구간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잔류토너(24a)를 감광드럼(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장치(10)의 재질은 상기 감광드럼(10) 표면과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되도록 필름 또는 스폰지 또는 고무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KR2019960035006U 1996-10-22 1996-10-22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KR199800217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006U KR19980021700U (ko) 1996-10-22 1996-10-22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006U KR19980021700U (ko) 1996-10-22 1996-10-22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700U true KR19980021700U (ko) 1998-07-15

Family

ID=5397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006U KR19980021700U (ko) 1996-10-22 1996-10-22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170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4689B1 (ko) 현상롤러의 고스트 방지장치
US5805962A (en) Auxiliary charging device of electrophotography printing apparatus
KR100191208B1 (ko) 감광드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전사롤러
US5140373A (en)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ing apparatus with bristle height adjusting member
KR19980021700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KR19980021698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KR19980076096A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19980015093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200144674Y1 (ko) 현상롤러의 토너층 두께 규제장치
KR19980063758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대전롤러 청소장치
KR100214314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JP2687582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16016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JPH0792767A (ja) 画像形成装置
KR200157543Y1 (ko) 대전롤러의 대전전압 인가장치
JPH0548197Y2 (ko)
KR19980051634A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100262512B1 (ko) 전자사진형상장치의 블레이드
KR19990020320A (ko) 전자사진 프로세스의 대전장치
KR20014468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JP2852776B2 (ja) 画像形成装置
JP2880856B2 (ja) 像担持体に対する帯電電圧印加方法
KR0122130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배지 롤러 장치
KR19990002427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9980036478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