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244A -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 및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 및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244A
KR20040003244A KR1020020037896A KR20020037896A KR20040003244A KR 20040003244 A KR20040003244 A KR 20040003244A KR 1020020037896 A KR1020020037896 A KR 1020020037896A KR 20020037896 A KR20020037896 A KR 20020037896A KR 20040003244 A KR20040003244 A KR 20040003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rk current
vehicle
data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증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7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3244A/ko
Publication of KR20040003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24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기능성 및 편의성 확장을 위한 부가장치의 증가에 따라 키 오프시 발생되는 부가장치의 암전류를 관리하는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이 운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암전류 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암전류를 사용하는 장치의 작동을 관리하는 장치와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이 운행하지 않을 경우 차량에 장착된 각 장치들의 부팅 데이터를 별도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함으로써, 엔진시동 오프시 각 장치들이 소비하는 암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차량에 새로운 장치를 추가할 경우 별도의 암전류 관리없이 용이하게 추가장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rk Current in Vehicle Using Non Volatile Memory }
본 발명은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기능성 및 편의성 확장을 위한 부가장치의 증가에 따라 키 오프시 발생되는 부가장치의 암전류를 관리하는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기능향상과 운전자의 편의증가를 위해 각종 제어장치와 전자장치가 장착되고, 이러한 추세는 전자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더욱 증가할 것이다. 차량에 부가적으로 확장되는 전자 제어장치는 예를 들면 바디 제어장치(BCM : Body Control Module)는 차량의 운전자 편의 장치로서 파워 윈도우 제어, 와이퍼 모터제어, 도어 록 액츄에이터 제어, 도난 방지제어 및 룸램프 제어 등 많은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바디 제어장치는 파워 윈도우 제어, 도어 록 액츄에이터 제어 등을 위해 각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보조 제어장치(LCU : Local Control Unit)와 통신을 통해서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바디 제어장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마이콤(Micom) 이외에 상기 보조 제어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용 전자소자를 구비하며, 또한 다른 편의장치도 설정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전자소자와 메모리를 구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의 전자 제어장치들은 차량이 시동을 정지한 후에도 전자 제어장치의 작동을 위한 데이터와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편의장치의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기록 데이터 등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해야 하며, 이러한 차량의 배터리 사용은 기능확장, 편의장치 추가 및 사용자가 별도로 장착하는 장치들이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의 방전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어장치의 증가로 인한 데이터 관리와 장치 추가에 따른 별도의 암전류 관리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시 차량의환경설정을 위한 데이터와 차량의 동작과 관련된 장치들을 관리하고, 상기 장치들의 데이터를 별도의 메모리 유닛에서 버스를 통해 각 장치로 우선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하며, 별도의 암전류 관리없이 장치를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는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전류를 사용하는 차량의 장치에 소정의 순위와 아이디를 부여하여 시동 온/오프시 각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고, 차량의 엔진 정지시 각 장치의 데이터를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차량의 암전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바디 제어장치110 : 보조 제어장치
120 : 편의장치130 : 키 스위치
200 : 전자제어부300 : 메모리
400 : 버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이 운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장치를 관리하는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전류 관리장치는 암전류를 사용하는 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암전류를 사용하는 장치의 작동을 관리하는 전자 제어부와, 상기 전자 제어부를 구동하는 프로그램과 상기 암전류를 사용하는 장치의 부팅데이터를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암전류 관리장치는 암전류를 사용하는 장치와 전자제어부와 불휘발성 메모리가 버스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암전류 관리방법으로서, 차량의 시동을 검출하여 시동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암전류를 관리하는 전자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시동이 검출된 경우 암전류가 흐르는 장치가 추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추가된 장치가 있는 경우 추가된 장치의 중요도에 따라 차량 시동시 장치의 부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부팅 순위의 결정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의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는 단계; 장치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고, 메모리에서 각 장치로 버스를 통해 부팅 데이터를 전송하고, 각 장치들을 정상 작동하는 단계; 키 스위치의 오프를 검출하여 키 오프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정상 작동하고, 키 오프가 검출된 경우 각 장치에 엔진 시동시 전송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의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데이터에 변화가 없는 경우 엔진 시동시 전송된 데이터를 버스를 통해 메모리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데이터에 변화가 있는 경우 변화된 장치의 데이터를 버스를 통해 메모리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암전류를 사용하는 장치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고, 전자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차량의 시동 오프시 암전류가 흐르는 바디 제어장치(100), 보조 제어장치(110) 및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편의장치(120)와, 상기 암전류가 흐르는 장치(100, 110, 120)를 관리하는 전자제어부(200)와, 상기 전자제어부(200)를 관리하는 프로그램과 상기 암전류가 흐르는 장치(100, 110, 120)의 부팅데이터를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300)가 버스(400)로 연결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300)는 EEPROM, 플래시 램(Flash RAM), 에프 램(F RAM)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플래시 램이다. 미설명 부호 130은 차량의 키 스위치로서 상기키 스위치(130)의 온(ON) 오프(OFF) 위치값(예를 들면 키 온인 경우 논리신호 "1", 키 오프인 경우 논리신호 "0")을 전자제어부(200)에 입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키 스위치(130)가 오프인 경우 암전류가 흐르는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제어부(200)에 전원이 공급되고(S1), 상기 S1단계에서 차량의 시동을 검출하여(S2), 시동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S1단계로 리턴하고, 시동이 검출된 경우 암전류가 흐르는 장치가 추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를 수행한다.
상기 S3단계에서 추가된 장치가 있는 경우 추가된 장치의 중요도(예를 들면, 차량의 시동과 주행의 관련정도)에 따라 차량 시동시 장치의 부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부팅 순위의 결정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의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고(S4), 부여된 각 장치(100, 110, 120)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고, 메모리(300)에서 각 장치(100, 110, 120)로 버스(400)를 통해 각 장치의 부팅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S5)하며, 상기 S3단계에서 추가된 장치가 없는 경우 상기 S5단계를 수행하고, 각 장치들을 정상작동(S6) 시킨다.
전자제어부(200)는 키 스위치(130)의 오프를 검출하는 단계(S7)를 수행하여, 상기 S7단계에서 키 오프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S6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S7단계에서 키 오프가 검출된 경우 각 장치(100, 110, 120)에 엔진 시동시 전송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의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여(S8), 데이터에 변화가 없는경우 엔진 시동시 전송된 데이터를 버스(400)를 통해 메모리(300)에 전송하여 저장하고(S9), 데이터에 변화가 있는 경우 변화된 장치의 데이터를 버스(400)를 통해 메모리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S9 및 상기 S10단계를 수행한 후 전자제어부(200)는 암전류를 사용하는 장치로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고(S11), 전자제어부(200)에 전원을 공급한다(S12).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이 운행하지 않을 경우 차량에 장착된 각 장치들의 부팅 데이터를 별도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함으로써, 엔진시동 오프시 각 장치들이 소비하는 암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차량에 새로운 장치를 추가할 경우 별도의 암전류 관리없이 용이하게 추가장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엔진 시동시 각 장치들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각 장치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차량의 운행중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이 운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장치를 관리하는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전류 관리장치는 암전류를 사용하는 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암전류를 사용하는 장치의 작동을 관리하는 전자 제어부와, 상기 전자 제어부를 구동하는 프로그램과 상기 암전류를 사용하는 장치의 부팅데이터를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전류 관리장치는 암전류를 사용하는 장치와 전자제어부와 불휘발성 메모리가 버스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
  3. 차량의 암전류 관리방법으로서,
    차량의 시동을 검출하여 시동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암전류를 관리하는 전자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시동이 검출된 경우 암전류가 흐르는 장치가 추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추가된 장치가 있는 경우 추가된 장치의 중요도에 따라 차량 시동시 장치의 부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부팅 순위의 결정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의 고유아이디를 부여하는 단계;
    장치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고, 메모리에서 각 장치로 버스를 통해 부팅 데이터를 전송하고, 각 장치들을 정상 작동하는 단계;
    키 스위치의 오프를 검출하여 키 오프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정상 작동하고, 키 오프가 검출된 경우 각 장치에 엔진 시동시 전송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의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데이터에 변화가 없는 경우 엔진 시동시 전송된 데이터를 버스를 통해 메모리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데이터에 변화가 있는 경우 변화된 장치의 데이터를 버스를 통해 메모리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암전류를 사용하는 장치로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고, 전자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방법.
KR1020020037896A 2002-07-02 2002-07-02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 및관리방법 KR20040003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896A KR20040003244A (ko) 2002-07-02 2002-07-02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 및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896A KR20040003244A (ko) 2002-07-02 2002-07-02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 및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244A true KR20040003244A (ko) 2004-01-13

Family

ID=3731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896A KR20040003244A (ko) 2002-07-02 2002-07-02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 및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32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885B1 (ko) * 2011-02-15 2013-04-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의 암전류 절감을 위한 데이터 통합 저장 시스템
KR20200057519A (ko) * 2018-11-16 2020-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암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0860A (ja) * 1995-10-24 1997-05-06 Yazaki Corp コネクタ端子の配設構造
JPH09202195A (ja) * 1996-01-29 1997-08-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自動車用バッテリー保護装置
JPH1070843A (ja) * 1996-08-28 1998-03-10 Yazaki Corp 車両のバッテリ電源供給装置
JP2001322515A (ja) * 2000-05-11 2001-1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暗電流低減方法および装置
JP2002067834A (ja) * 2000-09-01 2002-03-08 Denso Corp 車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0860A (ja) * 1995-10-24 1997-05-06 Yazaki Corp コネクタ端子の配設構造
JPH09202195A (ja) * 1996-01-29 1997-08-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自動車用バッテリー保護装置
JPH1070843A (ja) * 1996-08-28 1998-03-10 Yazaki Corp 車両のバッテリ電源供給装置
JP2001322515A (ja) * 2000-05-11 2001-1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暗電流低減方法および装置
JP2002067834A (ja) * 2000-09-01 2002-03-08 Denso Corp 車両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885B1 (ko) * 2011-02-15 2013-04-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의 암전류 절감을 위한 데이터 통합 저장 시스템
KR20200057519A (ko) * 2018-11-16 2020-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암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4288B2 (en) Computer circuit
KR101539119B1 (ko) 시동 오프 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건설기계 원격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5831514A (en) Control arrangement for an auxiliary heater in motor vehicles
KR101017008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avn 시스템의 전원전압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040003244A (ko)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의 암전류 관리장치 및관리방법
KR101029941B1 (ko) 차량의 대기 전류 관리 장치
JP2010023727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JP5294078B2 (ja) 電源制御装置
KR100789975B1 (ko)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용 전원 공급회로
KR101011530B1 (ko) 차량의 전압 보상 장치
KR100954215B1 (ko)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KR100502720B1 (ko)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
KR101326901B1 (ko) 차량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전원관리 시스템
KR102610771B1 (ko) 차량의 전장품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00200117B1 (ko) 자동차의 전원 공급장치
KR100493466B1 (ko) 차량의 전원 제어장치
JP3846225B2 (ja) 車両用電源供給制御装置
JP2003167798A (ja) 送信装置
KR102456982B1 (ko) 차량의 전원장치
JP2002147281A (ja) 電子制御装置の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書換え装置
KR100774731B1 (ko)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차량 전자제어장치 및 그동작 방법
CN114643865A (zh) 一种上电的方法、装置以及一种汽车
JP4373727B2 (ja) 電池駆動ユニット
KR20220009250A (ko) 차량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88283B1 (ko) 미션오일 공급펌프 구동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