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2387A - 실 단층에서 실을 분리해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실 단층에서 실을 분리해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2387A
KR20040002387A KR1020027017507A KR20027017507A KR20040002387A KR 20040002387 A KR20040002387 A KR 20040002387A KR 1020027017507 A KR1020027017507 A KR 1020027017507A KR 20027017507 A KR20027017507 A KR 20027017507A KR 20040002387 A KR20040002387 A KR 20040002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suction
monolayer
yarn
s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5349B1 (ko
Inventor
스테판 악케르만
패트릭 네프
아르민 악케르만
Original Assignee
스타우블리 아게 패피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341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0238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우블리 아게 패피콘 filed Critical 스타우블리 아게 패피콘
Publication of KR20040002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3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leasing warp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된 실 단층 밖으로 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되는데, 상기 장치로 인해서 최소한 하나의 실이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실 단층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장치는 음압이 발생될 수 있는 흡입장치로 구성되며, 흡입장치가 실 단층에 대해서 상대적인 위치에 배열되는 구동장치로 구성된다. 최소한 하나의 실은 흡입장치 방향으로 배열되고, 흡입장치가 살단층으로 접근하고 실이 음압의 영향을 받을 때 실이 분리된다.

Description

실 단층에서 실을 분리해내기 위한 방법 및 장치{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THREADS OUT OF A THREAD LAYER}
실의 분할 혹은 분리는 날실(warp thread)을 정경기나 직기(loom)의 하니스 요소(harness element)로 끌어당기기 위해 필요한 단계이다. 이 경우 날실은 프레임에서 장력이 가해진 상태이며, 여기서 날실 단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개의 실가닥은 서로 가까이 놓인다. 끌어 당겨지기 전에 단층에서 분리되어야 하는데, 다시 말해 서로 따로 따로 떨어져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정한 개수의 실, 특히 개별적으로 하나의 실가닥을 다음 단계를 위해 준비시키는 것이 목적이 된다. 씨실이 이미 제공된 이전의 날실 단층에 있는 실을 새로운 날실 단층과 묶는 추가적인 단계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날실은 프레임에서 팽팽해지고, 결속기(tying machine)에 의해 매듭이 지어지기 전에 상기 단층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이렇게 실을 분리시키기 위한 종래의 장치 및 방법으로 가장 앞쪽이 실이 분리용 바늘(separation needle)에 의해 단층에서 분리된다. 분리용 바늘은 단층 평면에 수직으로 이동하여 아래쪽으로 낮아지고, 실의 단면에 따라 조절되는 분리용 바늘에서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맞물린다. 여러개의 다른 분리용 바늘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단점이 되겠는데, 분리용 바늘이 개개의 얀(yarn) 크기에 정확하게 맞아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분리 과정은 안정적이지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특히 필라멘트 얀(filament yarn)과 관련하여 리즈(lease)라고 하는 장치가 분리하는데 필요하다. 상기 리즈(lease)는 실 단층에 미리 삽입되어야 하며, 날실에 가로질러 있는 두 개의 밴드(band)는 날실 사이에 엮어진다. 리즈밴드(lease band)를 앞,뒤로 움직여서 가장 앞쪽의 날이 서로 분리용 바늘로 분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 및 장치의 단점은 분리용 바늘로 분리하는 것은 다중 필라멘트(multifilament)로 구성된 날실에 한계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리즈를 사용하지 않고 한편으로는 모든 필라멘트와 함께, 다른 한편으로는 인접한 실의 필라멘트를 취하지 않고 한 개의 실가닥을 취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것은 특히 다중 필라멘트가 꼬이지 않거나 실 단층의 밀도가 매우 불규칙할 경우 적용된다. 리즈를 사용한 방법에서도 손이나 바늘을 갖고 기계적으로 밴드를 삽입시키기 위해서 분리가 진행되어야 하는데, 결국 전술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날실이 깔끔하게 분리되고 리즈에 의해 매거진(magazine)에 수용된다 할지라도 분리된 밴즈의 삽입은 추가적이고 매우 자주 발생되어져야 할 작업 단계이다. 그러나 깔끔하게 분리되지 않는 날실은 엮어질 때나 날실을 매듭지을 때 방해가 되고 생산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이중 실 인식시스템이 사용될 때에서 발생된다.
프랑스(FR 698 064) 혹은 독일 특허(GB 2 117 419)에 또 다른 방법이 나타나 있는데 리즈를 사용하지 않고 실 단층에서 실을 분리하는 것이 원주 방향으로 실형태의 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몸체로만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꼬인 다중 필라멘트 혹은 스테이플 얀(staple yarn)을 분리하는데만 적합하다. 여러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꼬이지 않은 얀으로 개별의 필라멘트로 얀을 분리시켜 깔끔하게 분리가 되도록 한다.
미국 특허(Us 4,723,346)에서 리즈가 실 단층에 삽입된 장치가 공지되었다. 리즈밴드의 두 개의 단부가 종축방향에 가로질러 배열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실가닥은 교차된 배열에서 들어올려질 수 있으며, 실 단층의 가장 앞쪽에 있는 실은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된 가장 앞쪽의 실은 흡입 노즐에 의해 들어올려지며 실 단층으로부터 멀어진다. 그러나 이때 실제 분리과정, 즉 실이 실 단층으로부터 개별화되는 것은 종래의 리즈장치로 수행된다. 흡입노즐은 분리된 실을 옮기는 역할만 하는 것이다. 리즈가 필요없는 이러한 장치로는 불가능한데 리즈가 실 단층을 들락날락 해야 한다.
본 발명은 실 단층(thread layer) 밖으로 일정한 개수의 실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련된다. 실 단층의 실은 최소한 두 지점에서 장력이 발생된다. 실은 분리장치에 의해 실 단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1 항의 서두 부분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에 관련된다.
도 1은 실 단층과 함께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실 단층의 주변에 있는 흡입 노즐을 통해 본 횡단면도.
도 3은 분리된 실과 함께 도 1의 장치에 대한 사시도.
* 부호 설명 *
1 : 실 단층(thread layer)2 : 실
3,4 : 단부5 : 카메라
6 : 광원7 : 광학축
8 : 흡입장치9 : 분리용 핀
12 : 흡입노즐13 : 실단층 평면
14 : 노즐 영역14a,14b : 노즐표면
15 : 흡입틈16 : 흡입챔버
그러므로 본 발명은 꼬이지 않은 다중 필라멘트 같이 분리하기가 힘든 특성을 갖는 실 단층서도 실 단층에서 실을 분리하는 것이 적은 지출과 작업 단계로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음압이 발생될 수 있는 흡입장치 및 흡입장치가 실 단층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장치에 의해 서두에서 언급된 장치로 본 발명을 따라 해결되는데, 흡입장치가 실 단층 근처에서 이동할 때 음압은 흡입장치 방향으로 최소한 하나의 실가닥을 변형시킨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청구항 11 항의 특징을 따르는 방법으로 해결된다.
본 발명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실을 흡입하여 팽팽해진 실 단층에서 실들을 분리한다. 실이 팽팽하진 실로 된 단층에서 분리되기 위해서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반드시 리즈요소가 필요한 것이 아니며, 분리장치가 단층 중간에 끼어들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무엇보다 두 가닥의 실 사이 혹은 단층을 간섭하는 것은 종래의 장치에서 분리에 결함을 가져왔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간섭은 필요하지가 않은데, 분리된 실이 실 단층으로부터 실에 적용된 장력으로 실 단층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이다. 특히 분리될 실 뒤에서 맞물릴 필요가 없다. 마찬가지로 분리요소에 의해 여러개의 실의 필라멘트를 "후킹(hooking)"하는 것이 제외될 수 있는데, 그 결과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실을 분리하는데 적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따르는 해결책은 얀표면의 섬유 거칠기에 관계없이, 그리고 스테이플 얀과 다중 필라멘트 얀같이 분리가 힘든 실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원리로 인해서 장력이 발생된 지점 사이에서 팽팽해진 실에 장력을 발생시키는데, 이 힘은 바늘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서 가로횡단 하는 최소한 하나의 구성요소를 특징으로 하며, 실 단층으로부터 원하는 실을 분리시킬 수가 있다. 지금까지는 실 단층에서 가장 앞쪽에 있는 실을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했는데, 실 단층에 의해 형성된 평면 내에서 이동하여 제거된다. 그와 반대로 본 발명으로 두 개의 외부에 있는 실보다는 하나의 실에 대해서 가능한데, 실 단층에 대해서 가로 횡단으로 이러한 실들을 공급하는 흡입 장치는 흡입을 발생시키며, 공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실을 분리시킨다.
대개 실가닥 하나가 실 단층에서 각각 분리된다. 그러나 음악 및 흡입력을 발생시켜 실 단층으로부터 동시에 여러개의 실을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서 흡입장치는 틈이 있고 그 틈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며, 폭은 틈의 폭 방향으로 있는 횡단면의 연장부와 거의 같다. 결과적으로 흡입되는 실이 틈으로 가지 않게 된다. 한편으로 흡입력을 증가시켜 실이 고정되며, 다른 한편으로 틈은 닫혀지고 더 이상 실이 단층으로부터 흡입되지 않는다.
음압의 크기의 함수로써 분리될 실은 특정 거리에서부터 상기 흡입장치의 변형에 의해 흡입장치 근처로 오게된다. 실을 좀더 쉽게 처리하기 위해서 프레임의 두 지점에서 계속 장력이 가해진 실을 흡입 장치에서 팽팽해진 부분과 함께 실 단층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서 흡입장치로부터 핸들링 장치까지 실을 쉽게 전달한다.
본 발명을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 것과 공정의 순서를 체크하는 것은 감지장치로 수행되는데, 상기 감지장치는 이미지 인식장치 같은 것으로 구성되었다. 그래서 실이 흡입장치 근처에 있을 때 흡입장치 및 실 사이를 좀더 근접하게 제어하기 위해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감지장치로 분리될 실이 획득되어 흡입장치에서 멀어지는지가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개개의 실가닥이 분리되었는지(이중의 실 인식)가 결정될 수 있다. 만약 감지장치에 의해 분리과정이 성공적이지 않았다는 것이 판명되면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기 위해 제어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제어회로가 설치되어 실가닥이 흡입장치에 의해 분리되었다는 것이 감지장치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분리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하나의 분리장치와 실 단층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이 실을 분리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제어회로를 사용하여서라도 분리과정은 매우 빠르게 영향을 받게 된다.
광학 감지장치에 대한 대안으로써 용량 혹은 압전 감지강지로 실에 가해진 장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흡입 노즐에 의한 변형은 실의 장력을 증가시켜 실의 장력에 대한 정해진 도달값이 실의 성공적인 분리에 대한 기중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는 종속항으로부터 나온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실 단층(1)을 도시하는데 여러개의 실(2)이 동일한 길이로 서로 평행하게 이동하고, 단부(3,4)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장치에 각각 클램핑 되어 있다. 순차적으로 되어 있는 실(2)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대한 기능적인 수행을 하지 않고 서로 다른 거리로 있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2)은 실 단층이라고 하는 한 평면에 놓인다. 실 단층(1)은 리즈요소(lease element)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1은 실 단층의 평면 위에 있는 카메라(5)를 실 단층 아래에 있는 광원(6)(광 다이오드 같은)을 도시하는데, 이 둘은 광학 감지장치에 구성되어 있는 것들이다. 카메라(5) 및 광원(6)은 실 단층에 수직으로 배열된 동일한 광학축(7) 위에 놓여 있다.
광원(6)과 카메라(5) 사이에 흡입장치(8) 및 도 1에 도시된 분리용 핀(9) 같은 분리 장치가 놓여 있다. 흡입장치(8) 및 분리용 핀은 카메라(5)의 포착영역에 놓여 있다.
카메라(5), 광원(6), 흡입장치(8) 및 분리용 핀(9)은 하나의 구조적 유닛을 형성하지만,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이러한 요소들은 실 단층 평면에 평행하게 서로 이동할 수 가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구동매체가 제공되는데, 마찬가지로 자세히 나타나지는 않았다. 흡입장치(8)는 이동 가능하도록 구조적 유닛에 추가적으로 배열되며, 그 결과 흡입장치(8)와 카메라(5)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하다.
카메라(8)는 640x480 픽셀의 CMOS 센서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미지 정보가 신호 처리에 이용될 수 있는 활성 이미지 요소의 숫자가 이러한 센서들과 변할 수 있다. 전체 사진 보다 분리작업의 자세한 이미지에 훨씬 적은 픽셀이 필요하고, 획득 가능한 이미지 빈도수가 픽셀의 개수가 줄어듦에 따라 증가되기 때문에, 자세한 사진의 이미지의 빈도수가 전체 사진 보다 높을 수 있다. 그러므로 실제로 분리과정이 일어나는 동안 자세한 이미지에 의해 빠르게 변하는 상황을 감지하고 그에 반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메라는 표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ling) 같이 직렬 동기식 인터페이스로 설계된 제 1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한다. 제어신호는 상위 제어장치(도시 안됨)로부터 이미지 크기, 노출시간 등등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메라로 전달된다. 카메라에 찍힌 사진은 또 다른 LVDS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로 전달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종래의 이미지 평가 소프트웨어가 구비되어, 개별의 실가닥이 결정될 수 있고, 서로에 대한 위치 및 흡입장치와 분리용 핀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평가된 결과치는 제어유닛으로 가서, 이것을 기초로 하여 흡입장치(8) 및 분리용 핀의 운동 및 기능을 제어한다.
도 2는 흡입노즐(12)로 설계된 흡입장치(8)와 실 단층(1)의 실들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 단층 평면(13)에 대칭으로 배열된 흡입장치(8)는원뿔형 노즐 영역(14)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노즐(14a,14b)이 서로를 향해 갈때기 모양으로 경사져 있다. 두 개의 노즐 표면(14a,14b)에 의한 구멍의 각도(α)는 그 범위가 30° 내지 130°이며, 선호적으로 90°가 된다. 노즐영역(14)은 흡입 틈(15)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틈은 일정한 폭(h)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의 폭(h)은 실(2)의 횡단면 직경(D)보다 작다. 틈의 높이(h)는 직경(D)에 대해서 약 1/2정도가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17)(도 1)이 연결된 흡입챔버(16)는 흡입틈(15)에 연결되어 있다. 흡입챔버(16)에서 압력(p1)이 유지되는데, 이 압력은 대기압(p0)보다 낮다. 이 두 압력의 차이는 0.6bar가 된다. 음압이 발생될 수 있는 음압 펌프(혹은 진공 펌프) 혹은 이젝터(ejector)는 라인(17)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로 리즈(lease) 없이 레이로부터 가장 앞쪽의 실(2a)을 분리하기 위해서, 흡입 노즐(12)을 갖는 구조적 유닛은 카메라(5)가 단층(1)의 가장 앞쪽 실(2a) 혹은 가장 앞쪽의 실(2)을 감지할 때까지 구동장치에 의해 발생된 접근운동으로 가장 앞쪽의 실(2a)의 가까이에 오게 된다. 이러한 접근운동은 실(2)의 종방향 운동에 직각이고 실 단층 평면(13) 내부에 정렬된 화살표(18) 방향으로 간다. 흡입노즐(12) 및 카메라(5)의 포착 범위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감지된 실 사이의 거리를 제어장치가 알고 있기 때문에 흡입노즐은 공급방향(화살표 18)으로 정해진 이동경로에 의해 첫 번째 실(2a) 근처에 오게된다. 선택적으로 감지장치에서 나온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실(2a) 근처에 노즐(12)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제어장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흡입 노즐이 실에 접근함에 따라서 흡입 노즐은 지금은 고정된 위치인 카메라에 대해서 공급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흡입장치(8)에 의해 교차된 이동경로 및 실(2a)의 남아있는 거리는 카메라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되었다.
삼유 단층에 위치하고 아직 변형되지 않은 실(2a)에 접근하여 흡입노즐 앞쪽에 발생된 음압과 흡입틈(15) 쪽으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으로 인해서 상기 실은 흡입노즐(12) 쪽으로 증가된 힘에 의해 끌어당겨진다. 그 결과, 실(2a)은 흡입 노즐(12) 반대쪽에 있는 영역과 함께 흡입틈(15) 쪽으로 변형된다. 가능한 변형을 많이 일으키기 위해서 흡입 노즐(12)은 실의 단부(3,4) 사이의 거의 중간 부분이 안내된다.
실(2a)의 변형 및 유입운동으로 인해서 실(2)은 흡입틈(15)에 대해서 흡입되는 영역에 위치하게 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틈이 닫히게 된다. 이로 인해서 실의 양면(즉 실(2a) 바로 뒤의 노즐 영역(14) 및 틈(15) 사이)의 압력차가 증가하기 때문에, 유지하는 힘 또한 실(2a)이 흡입노즐(12)에 고정됨에 따라 증가한다.
흡입 노즐(12)은 고정된 실의 영역과 함께 공급방향(화살표 18)의 반대방향인 실 단층(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화살표 19)으로 이동한다. 아직까지 고정되어 있는 카메라(5)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제어장치의 평가유닛(evaluation unit)은 그 위치에서 흡입 노즐(12)이 실(2)을 획득 했는지, 맨 앞쪽의 실(2a)을 취했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획득된 실이 카메라에 의해 감지되자마자 제어신호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의해 위쪽으로 움직이는 운동은 정지된다. 만약 감지될 수 없다면, 음압은 중지되고, 획득되어야 할 실은 풀러나며, 음압이 다시 발생하여 전술된 실을 획득하는 과정은 평가유닛이 정확하게 실이 획득된 것을 감지할 때까지 반복된다.
만약 평가유닛이 앞쪽 실(2a)이 정확하게 획득된 것을 감지한다면, 분리용 핀(9)은 가장 앞쪽의 실(2a)과 다음번 실(2b) 사이의 확대된 틈 안으로 삽입된다. 그 결과 가장 앞쪽의 실(2a)은 실 단층(1)으로부터 확실히 분리되며, 다음 처리 단계를 기다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층(1)의 모든 실(2)은 차례차례 분리될 수 있다.

Claims (18)

  1. 실 단층으로부터 정해진 개수의 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서 실 단층에서 실은 최소한 두 위치에서 장력이 발생되고, 최소한 하나의 실은 분리용 장치에 의해 실 단층에서 분리될 수 있는데,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흡입장치 및 구동장치에 의해 실 단층 가까이에서 흡입장치의 상대적인 운동을 할 때 흡입장치는 실 단층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으며, 음압은 흡입장치 방향으로 최소한 하나의 실을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장치는 획득된 실이 있고 흡입틈이 있는 흡입노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틈의 연장부는 분리될 하나의 실가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장치의 틈의 폭은 분리된 실의 가로횡단 표면 종방향 연장부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상기항 중에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흡입장치 틈의 폭은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획득된 실은 서로를 향해 깔대기처럼 경사진 노즐표면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상기항 중에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흡입장치에 대한 구동장치에 의해 흡입장치는 실 단층 쪽으로 그리고 다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상기항 중에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분리된 결과를 체크하는 감지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감지장치는 실 단층이나 흡입장치의 전방향 운동을 체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7 항 혹은 제 8 항에 있어서, 감지장치는 이미지 처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감지장치는 피드백 제어회로의 연속되는 부분인데, 감지장치가 흡입노즐로부터 분리된 실을 감지할 때까지 실 단층 방향으로 흡입노즐의 분리 작업을 반복시키며 실 단층으로부터 흡입 노즐이 멀어지는 획득 작업을 반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상기 청구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흡입노즐은 실이 각각 분리되는 단 하나의 분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실 단층에서 일정한 개수의 실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에서, 실 단층의 실은 최소한 두 위치에서 장력이 가해지는데 이어서, 실 단층 영역에서 음압이 흡입장치에 발생되고, 여러개의 실이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흡입장치에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흡입된 실은 흡입장치에 유지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흡입장치 및 실 단층 사이의 간격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분리작업은 감지장치에 의해 모니터되고, 정보는 분리작업을 제어하기 위해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일정 개수의 실이 분리되는 것이 감지장치에 의해 감지되자마다, 분리장치는 최소한 하나의 분리된 실과 나머지 실 단층의 첫 번째 실 사이의 구멍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분리작업은 감지장치가 여러개의 성공적으로 분리된 실을 감지할 때까지 필요한 만큼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흡입장치는 실 단층의 가장 앞쪽 실의 전방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장 앞쪽의 실은 흡입장치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흡입되고, 흡입장치는 감지장치가 정확하게 하나의 실가닥을 감지할 때까지 실 단층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7017507A 2001-04-25 2002-04-25 실 단층에서 실을 분리해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05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754/01 2001-04-25
CH7542001 2001-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387A true KR20040002387A (ko) 2004-01-07
KR100905349B1 KR100905349B1 (ko) 2009-07-01

Family

ID=453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507A KR100905349B1 (ko) 2001-04-25 2002-04-25 실 단층에서 실을 분리해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383949B1 (ko)
KR (1) KR100905349B1 (ko)
CN (1) CN1279235C (ko)
AT (1) ATE334241T1 (ko)
DE (1) DE50207643D1 (ko)
PT (1) PT1383949E (ko)
WO (1) WO200208844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338B1 (ko) * 2007-07-13 2010-02-1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시트의 진동감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0453C2 (sv) 2001-11-01 2003-07-15 Alfa Laval Corp Ab En apparat för samtidig rening av en vätska och en gas
EP1870501A1 (de) * 2006-06-23 2007-12-26 Stäubli AG Pfäffikon Vorrichtung zum Separieren von Fäden aus einer Fadenschicht, Verfahren zum Betreiben der Vorrichtung und Verwendung der Vorrichtung
JP4515533B1 (ja) * 2009-09-16 2010-08-04 株式会社藤堂製作所 自動綾取装置、及び自動綾取方法
DE202015008820U1 (de) * 2015-12-28 2017-03-29 Peter Beike Kettfädeneinfädelvorrichtung
ES2746933T3 (es) * 2016-12-01 2020-03-09 Staeubli Sargans Ag Módulo de separación de hilos con un dispositivo sensor capacitivo
CN108505199B (zh) * 2018-06-08 2020-04-14 李吉 喷气式纱线排出装置
CN109537152A (zh) * 2018-12-07 2019-03-29 福建伟易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纱线自动吸取装置及穿经机
CN109552936B (zh) * 2019-01-22 2020-08-11 福建伟易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粘连的装置、纱线分离装置及纱线分离的方法
CN110865084A (zh) * 2019-12-10 2020-03-06 闪电(昆山)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自学习模式的综丝分离检测系统及方法
CN112061879B (zh) * 2020-08-10 2022-03-29 深圳市海弘装备技术有限公司 分纱模组、穿经机及供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55674A (de) * 1965-12-07 1968-07-15 Teijin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Fäden aus einer Fadenschicht
DE2847520C3 (de) * 1978-11-02 1981-08-06 Lindauer Dornier-Gesellschaft Mbh, 8990 Lindau Vorrichtung zum Vorlegen von Kettfäden für das automatische Einziehen derselben in Litzen und Lamellen einer Webmaschine
JPS60224842A (ja) * 1984-04-19 1985-11-09 帝人製機株式会社 糸通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0421924B1 (de) * 1989-10-03 1994-06-08 Sulzer RàœTi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Behebung von Kettfadenbrüchen in einer Webmaschine
US5243742A (en) * 1991-10-25 1993-09-14 Teijin Seiki Co., Ltd. Warp supplying apparatus for a warp threading machine
CA2336098A1 (en) * 1998-06-29 2000-01-06 Walter Schapper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threads from a la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338B1 (ko) * 2007-07-13 2010-02-1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시트의 진동감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7643D1 (de) 2006-09-07
KR100905349B1 (ko) 2009-07-01
CN1464922A (zh) 2003-12-31
CN1279235C (zh) 2006-10-11
EP1383949B1 (de) 2006-07-26
ATE334241T1 (de) 2006-08-15
EP1383949A2 (de) 2004-01-28
WO2002088445A2 (de) 2002-11-07
PT1383949E (pt) 2006-12-29
WO2002088445A3 (de) 200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349B1 (ko) 실 단층에서 실을 분리해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870009061A (ko) 셔틀리스 직기의 불량사 제거장치
EP3548410B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yarn end on a bobbin in a textile machine producing or processing yarn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JP5774273B2 (ja) 製織用たて糸群のたて糸を織機ハーネスの部材へ引き込むための引込機械および方法
CN104220659B (zh) 捕捉和拉伸纬纱的装置、织机、捕捉和拉伸纬纱的方法
KR900008684B1 (ko) 공기압축식 바디통과장치
CN211036281U (zh) 纱线分离单元和穿经机
JPH0268335A (ja) 織機用ニューマティック式織り耳形成装置
US5209271A (en) Mispicked weft removing method
JPH09137342A (ja) 経糸の筬通し方法、および同方法に用いる高精度筬通し機
US20040221912A1 (en) Method for weaving low flaw cloths by means of the elimination of weft thread sections which have irregularities
JPS6269851A (ja) たて糸の切れ端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910004209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처리 장치
US5575313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 warp yarn movement in a multi-phase weaving machine
US4989645A (en) Mispick removal
JP5885366B2 (ja) 付属する糸センサを持つルーム及びその操作方法
JP2003027354A (ja) エアジェットルームのよこ入れ監視方法及びこの方法の実施のための装置
JP3282261B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検出装置
TWI766227B (zh) 具有緯紗處理裝置之噴氣式織機
JPS60252749A (ja) 空気噴流式織機
JPH03185155A (ja) 緯糸の結び玉除去方法
KR930004077B1 (ko) 경사 수복용 제어방법 및 그 장치
IT9009459A1 (it) Dispositivo per rimuovere la trama impropriamente inserita in un telaio tessile a getto d'aria
KR810000142B1 (ko) 유체분사식 직기의 풍면 제거장치
JP2988497B2 (ja) ジェットルームの緯糸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