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1215A -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편집 서비스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편집 서비스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1215A
KR20040001215A KR1020020036348A KR20020036348A KR20040001215A KR 20040001215 A KR20040001215 A KR 20040001215A KR 1020020036348 A KR1020020036348 A KR 1020020036348A KR 20020036348 A KR20020036348 A KR 20020036348A KR 20040001215 A KR20040001215 A KR 20040001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rvice
voice
packe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36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1215A/ko
Publication of KR2004000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21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스위치를 기반으로 패킷망을 통해 인터넷전화 서비스 제공함에 있어서, 망 사업자의 응용서버를 이용하여 서비스 사용자에게 자동 녹취 서비스 및 비선형 소리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제공장치는,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가 게이트웨이를 통해 패킷망에 접속되고, 상기 패킷망에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호를 연결하는 소프트스위치를 포함하는 차세대 망에서, 서비스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통화 내용의 원 통화 패킷과 문자 정보를 상기 통화에 대한 식별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와; 서비스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을 역패킷화하는 역패킷화부와; 상기 역패킷화부에서 역패킷된 통화 정보를 입력받아 압축을 해제하는 음성압축해제부와; 상기 음성압축해제부에서 역패킷되고 압축 해제된 디지털 통화 정보 중 음성 정보를 문자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음성인식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documentation of recorded voice, method for nonlinear edition of sound in NGN}
본 발명은 소프트스위치를 기반으로 패킷망을 통해 인터넷전화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망 사업자의 응용서버를 이용하여 서비스 사용자에게 자동 녹취 서비스 및 비선형 소리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서비스망은 유선음성, 무선음성, 데이터 등 서비스별로 별도의 망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차세대 망(NGN)은 음성, 비디오, 팩스, 데이터 등의 트래픽을 같은 링크를 통해 전송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망으로서, PSTN망, 케이블망, 무선망, IP망 등의 별도의 망이 통합되는 망이다. 이들 망에 대한 통합 및 기능 계층 분류를 목적으로 차세대 망에 대한 구조 및 망 요소들이 정의되고 있다.
차세대 망 요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제어를 담당하는 소프트스위치(Softswitch)(11), 각종 가입자 단말을 수용하여 소프트스위치(11)와의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처리 및 미디어 변환 등을 담당하는 각종 게이트웨이(12, 13, 14),이들 가입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서버(15), 이들 요소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패킷 전달망(16), 그리고 다양한 가입자 서비스에 필요한 자원을 저장 및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17)를 포함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12)는 NGN 가입자 단말을 패킷 전달망과 연결하고, 트렁킹 게이트웨이(13)는 공중전화통신망(PSTN)과 연결되어 일반 공중전화 가입자 단말을 패킷 전달망과 연결한다. 시그널링 게이트웨이(14)는 SS7 신호망에 연결되어 SS7 표준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현재 국제 표준화 관련단체에서는 소프트스위치(11)와, 각종 게이트웨이(12, 13, 14), 및 미디어 서버(17) 사이의 제어 프로토콜로서,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및 H.248/Megaco 등을 제안하고 있다. 소프트스위치(11)는 호 연결에 대한 번호번역 등의 호 처리 진행시, 이러한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 및 각종 게이트웨이를 제어함으로써, 가입자에게 안내방송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종래에는 소프트스위치(11)의 제어를 받아 미디어 서버(17)가 안내방송 데이터 패킷을 액세스 게이트웨이(12)에게 전달하고, 이 액세스 게이트웨이(12)는 수신된 안내방송 데이터 패킷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가입자 단말에 제공한다.
도 2는 차세대 망에서의 2자간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의 구성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는 모두 송신 기능부와 수신 기능부, 및 이 송신 기능부와 수신 기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출력부(215, 235)를 포함한다. 송신 기능부는 마이크(211, 231)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12, 232), 음성압축부(213, 233), 및 패킷화부(214, 234)를 포함하고, 수신 기능부는 역패킷화부(216, 236)와, 음성압축해제부(217, 237),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218, 238), 및 스피커(219, 239)를 포함한다. 이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망(220)을 통해 연결된다.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 사이에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발신측 가입자(210)의 음성 신호는 마이크(211)를 통해 입력되어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12)와 음성 압축부(213)와 패킷화부(214)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압축되며 패킷화된 후 망(220)으로 출력된다. 망을 통해 수신된 패킷 음성신호는 수신측 단말기의 역패킷화부(236)와 음성압축해제부(237) 및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238)를 통해 역패킷화되고 압축해제되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239)를 통해 수신측 가입자(230)에게 전달된다.
한편, 수신측 가입자(230)의 음성 신호는 마이크(231)를 통해 입력되어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32)와 음성 압축부(233)와 패킷화부(234)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압축되며 패킷화된 후 망(220)으로 출력된다. 망을 통해 수신된 패킷 음성신호는 발신측 단말기의 역패킷화부(216)와 음성압축해제부(217) 및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218)를 통해 역패킷화되고 압축해제되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219)를 통해 수신측 가입자(210)에게 전달된다.
현재까지는 차세대 망에서의 상술한 바와 같이 2자간 통화 서비스의 기본 골격만 개발되어 있을 뿐, 다른 부가 서비스들은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소프트스위치 기반 차세대 망 시스템을 구축하고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가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차세대 망에서는 통화 내용이 모두 디지털패킷 단위로 전달되기 때문에 이러한 차세대 망의 특징을 이용한 많은 부가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상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프트스위치 기반 패킷망을 통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별도의 장비나 시설을 갖추지 않고서도 통화 내용을 녹취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와 편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세대 망(NGN)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차세대 망에서의 2자간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의 구성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와 비선형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11 : 발신측 단말기412 : 게이트웨이
421 : 수신측 단말기422 : 게이트웨이
431 : 패킷망432 : 소프트스위치
450 : 응용서버451 : 제어부
452 :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60 : 자동 녹취부
461 : 역패킷화부462 : 음성압축해제부
463 : 음성인식기470 : 문자 처리부
471 : 패킷화부472 : 데이터 압축부
473 : 문자/음성 변환부480 : 비선형 편집부
481 : 효과음 데이터베이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제공장치는,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가 게이트웨이를 통해 패킷망에 접속되고, 상기 패킷망에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호를 연결하는 소프트스위치를 포함하는 차세대 망에서,
서비스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통화 내용의 원 통화 패킷과 문자 정보를 상기 통화에 대한 식별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와;
서비스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을 역패킷화하는 역패킷화부와;
상기 역패킷화부에서 역패킷된 통화 정보를 입력받아 압축을 해제하는 음성압축해제부와;
상기 음성압축해제부에서 역패킷되고 압축 해제된 디지털 통화 정보 중 음성 정보를 문자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음성인식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제공방법은,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가 게이트웨이를 통해 패킷망에 접속되고, 상기 패킷망에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호를 연결하는 소프트스위치를 포함하는 차세대 망에서,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녹취 서비스가 요청되고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호가 연결되면, 응용서버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통화 내용의 원 통화 패킷을 입력받아 상기 통화에 대한 식별정보와 함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원 통화 패킷 저장단계와;
상기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상기 원 통화 패킷에 대한 재생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을 상기 서비스 신청자에게 전달하는 원 통화 패킷 재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망에서 비선형 편집 서비스 제공방법은,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가 게이트웨이를 통해 패킷망에 접속되고, 상기 패킷망에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호를 연결하는 소프트스위치를 포함하는차세대 망에서,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녹취 서비스가 요청되고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호가 연결되면, 응용서버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통화 내용의 원 통화 패킷을 입력받아 상기 통화에 대한 식별정보와 함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원 통화 패킷 저장단계와;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편집 대상 데이터 블록이 지정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원 통화 패킷 중 상기 편집대상 데이터 블록을 읽어오는 데이터 블록 판독단계와;
상기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상기 편집 대상 데이터 블록의 재생, 복사, 붙이기, 또는 삭제 작업이 요청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편집 대상 데이터 블록에 대해 상기 서비스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 블록 편집단계와,
상기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상기 편집 대상 데이터 블록의 효과음 삽입 작업이 요청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서비스 신청자가 효과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음 선택단계와;
상기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효과음이 선택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편집 대상 데이터 블록에 상기 서비스 신청자가 신청한 효과음을 합성하는 효과음 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와 비선형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발신측 단말기(411)와 수신측 단말기(421)는 각각 미디어 게이트웨이(412, 422)를 통해 패킷망(431)에 연결된다. 이 패킷망(431)에는 소프트스위치(432)와 응용서버(450)가 연결된다. 이 응용서버(450)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녹취 서비스와 비선형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구비된다.
응용서버(450)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녹취 서비스와 비선형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내부 구성요소들에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51)와, 제어부(451)의 제어를 받아 발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전송되는 원(original) 통화 패킷을 저장 및 삭제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와, 제어부(451)의 제어를 받아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 중 음성 정보를 문자로 변환하여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하는 자동 녹취부(460)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된 문자 정보를 바로 출력하거나 음성으로 재생하여 출력하는 문자 처리부(470), 제어부(451)의 제어를 받아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을 편집하는 비선형 편집부(480), 및 비선형 편집부(480)에 여러 가지 배경음을 제공하는 효과음 데이터베이스(481)를 구비한다.
자동 녹취부(460)는 역패킷화부(461)와 음성압축해제부(462)와 음성인식기(463)를 구비한다. 역패킷화부(461)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을 역패킷화하고, 음성압축해제부(462)는 역패킷화된 통화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며, 음성인식기(463)는 압축 해제된 디지털 통화 데이터 중 음성 데이터를 문자로 인식한다.
문자 처리부(470)는 문자/음성 변환부(473)와 데이터압축부(472) 및 패킷화부(471)를 구비한다. 문자/음성 변환부(473)는 제어부(451)로부터 문자 데이터의 음성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압축부(472)로 출력하고, 상기 문자 데이터의 문자 출력이 요청되면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읽어와서 데이터 압축부(472)로 출력한다. 데이터 압축부(472)는 문자/음성 변환부(473)로부터 음성이나 문자 데이터를 입력받아 압축하고, 패킷화부(471)는 이 압축된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제어부(451)의 제어를 받아 발신측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는 발신측 전화번호와 수신측 전화번호, 및 서비스신청시각 정보와 함께 발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전송되는 원 통화 패킷, 자동 녹취부(460)로부터 제공되는 문자 정보, 및 비선형 편집부(480)로부터 제공되는 편집 통화 패킷이 저장된다. 제어부(451)는 사용자의 제어를 받아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 문자 정보, 편집 통화 패킷을 삭제할 수 있으며, 현재 데이터베이스 잔여 용량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원 통화 패킷이 삭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통화 내용의 재생을 요청하면 제어부(451)는 문자 처리부(470)를 구동하여 문자 정보를 음성으로 재생하여 서비스 신청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녹취 서비스와 비선형 소리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측 가입자는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지정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녹취 서비스를 신청하고, 수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응용서버(450)는 발신측 전화번호와 수신측 전화번호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하고, 이 수신측 전화번호를 소프트스위치(432)에게 제공한다. 그러면 소프트스위치(432)는 발신측 단말기(411)와 수신측 단말기(421) 사이에 호를 연결한다. 수신측 단말기(421)가 응답하면, 소프트스위치(432)는 발신측 단말기(411)가 연결된 게이트웨이(412)에게 발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전송되는 통화 패킷의 복사본을 응용서버(450)에게 전달할 것을 명령한다. 그 후, 발신측 가입자와 수신측 가입자가 음성 통화를 하면, 게이트웨이(412)는 전송되는 통화 패킷을 복사하여 응용서버(450)에게 전달한다.
응용서버(450)는 통화 패킷이 입력되면, 발신측 전화번호와 수신측 전화번호, 서비스신청시각(연월일시분의 12자리 숫자) 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해당 입력 통화 패킷을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한다. 이때 서비스신청시각 정보가 아니라 통화개시시각이나 해당 통화 패킷이 입력되는 시각을 식별자로 하여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할 수도 있다. 즉,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는 발신측 전화번호와 수신측 전화번호 및 서비스신청(또는 통화개시)시각 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해당 통화 패킷을 저장한다.
수신측 가입자와의 통화가 끝나면, 서비스 신청자인 발신측 가입자는 서비스 사업자가 지정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응용서버(450)에 접속하고, 자신의 전화번호와 수신측 전화번호 및 서비스신청시각을 식별자로 입력하여 자신의 통화내용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얻는다. 응용서버(450)는 총 통화시간과 현재 패킷을 저장할 수 있는 잔여시간을 해당 서비스 신청자에게 알려준다.
이 상태에서 서비스 신청자는 통화 패킷의 문서변환 서비스와 비선형 소리편집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신청자가 원 통화 패킷의 재생 서비스를 요청하면, 응용서버(450)의 제어부(451)는 이를 인식하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을 서비스 신청자에게 제공한다.
서비스 신청자가 통화 내용의 문서변환 서비스를 요청하면, 응용서버(450)의 제어부(451)는 이를 인식하고 자동 녹취부(460)를 구동한다. 자동 녹취부(460)의 역패킷화부(461)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을 역패킷화하고, 음성압축해제부(462)는 역패킷화된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며, 음성인식기(463)는 역패킷화 및 압축 해제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로 인식한다. 인식된 문자 정보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된다. 원 통화 패킷의 문자 정보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되면 제어부(451)는 현재 비어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잔여시간을 다시 계산하여 서비스 신청자에게 알려준다.
한편, 서비스 신청자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의 삭제를 요청하면, 응용서버(450)의 제어부(451)는 이를 인식하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을 삭제한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문자 정보만이 입력된 상태에서, 서비스 신청자가 음성으로의 재생을 요청하면, 응용서버(450)의 제어부(451)는 이를 인식하고 문자 처리부(470)를 구동한다. 문자 처리부(470)의 문자/음성 변환부(473)는 문자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 인식하고, 데이터압축부(472)는 음성 정보를 압축하며, 패킷화부(471)는 이 압축된 음성 정보를 패킷화하여, 서비스 신청자에게 제공한다. 서비스 신청자가 문자로의 출력을 요청하면, 응용서버(450)의 제어부(451)는 이를 인식하고 문자 처리부(470)를 구동한다. 문자 처리부(470)의 문자/음성 변환부(473)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로부터 문자 정보를 읽어와서 데이터 압축부(472)에게 제공하고, 데이터 압축부(472)는 이 문자 정보를 압축하며, 패킷화부(471)는 압축된 문자 정보를 패킷화하여, 서비스 신청자에게 제공한다.
전화 통화를 하다보면 통화내용을 문서로 기록할 필요가 생길 때가 있다. 본 발명의 녹취 서비스에 의하면 통화내용을 문서로 변환하여 기록하고 음성파일이나 문서로 제공해주기 때문에, 통화자는 별도의 메모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잇점이 있다.
한편, 서비스 신청자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의 편집을 요청하면, 응용서버(450)의 제어부(451)는 비선형 편집부(480)를 구동하여 원 통화 패킷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서비스는 인터넷전화 사용중의 음성이나 음악, 및 음향을 포함한 모든 소리를 편집할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신청자는 편집 대상 일부 데이터 블록을 지정하고 그 일부 데이터 블록에 대해 재생, 복사, 붙이기 작업을 할 수 있고, 전체 데이터 블록에 대해 재생, 삭제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전체 데이터 블록이나 일부 데이터 블록에 효과음을 선택하여 삽입할 수 있다.
일부 데이터 블록을 선택하는 방법은 편집 시작위치와 편집 종료위치를 총 데이터 블록에서의 상대적인 시각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선택한다. 예를 들어, 50초 분량의 데이터 파일에서 서비스 신청자가 10초, 20초를 입력하면 해당 데이터파일의 10초∼20초 사이의 데이터 블록이 편집 대상 데이터 블록으로 지정된다. 편집 대상 데이터 블록이 지정된 상태에서 서비스 신청자는 블록 재생, 블록 복사, 블록 붙이기, 블록 삭제 등의 작업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신청자는 편집 대상으로 선택한 일부 데이터 블록이나 전체 데이터 블록에 대해 효과음을 삽입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서비스 신청자가 효과음 선택을 요청하면 비선형 편집부(480)는 효과음 데이터베이스에서 삽입 가능한 효과음을 읽어다가 서비스 신청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서비스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편집 대상으로 선택한 일부 데이터 블록이나 전체 데이터 블록에 서비스 신청자가 선택한 효과음을 삽입한다.
서비스 신청자가 이렇게 비선형 편집한 결과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되고, 서비스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신청자의 단말기에 다운로드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이메일 주소로 송신된다.
상술한 비선형 편집 서비스를 이용하면, 단순히 통화 음성을 그대로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통화 음성을 포함한 소리를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한 후 이를 비선형 편집하기 때문에 다양한 새로운 부가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기존의 전화에서는 음성 사서함에는 단순히 음성을 녹음, 삭제만 할 수 있으나, 본발명을 응용하면 녹음된 음성을 부분 편집하여 재전송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프트스위치 기반 패킷망을 통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별도의 장비나 시설을 갖추지 않고서도 통화 내용을 녹취하고 비선형 편집할 수 있다.

Claims (9)

  1.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가 게이트웨이를 통해 패킷망에 접속되고, 상기 패킷망에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호를 연결하는 소프트스위치를 포함하는 차세대 망에서, 상기 소프트스위치에 의해 호 연결된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통화 내용에 대한 녹취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통화 내용의 원 통화 패킷과 문자 정보를 상기 통화에 대한 식별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와;
    서비스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을 역패킷화하는 역패킷화부와;
    상기 역패킷화부에서 역패킷된 통화 정보를 입력받아 압축을 해제하는 음성압축해제부와;
    상기 음성압축해제부에서 역패킷되고 압축 해제된 디지털 통화 정보 중 음성 정보를 문자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음성인식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서비스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자 정보를 읽어와서 압축하는 데이터 압축부와;
    상기 데이터 압축된 문자 정보를 패킷화하여 상기 서비스 신청자에게 상기통화 내용에 대한 문자 정보를 제공하는 패킷화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서비스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자 정보를 읽어와서 음성으로 변환한 후 상기 데이터 압축부에 제공하는 문자/음성 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신청자에게 상기 통화 내용에 대한 음성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에 대한 식별정보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상기 서비스 신청자가 서비스 신청한 시각정보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제공 장치.
  5.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가 게이트웨이를 통해 패킷망에 접속되고, 상기 패킷망에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호를 연결하는 소프트스위치를 포함하는 차세대 망에서, 응용서버가 상기 소프트스위치에 의해 호 연결된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통화 내용에 대한 녹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녹취 서비스가 요청되고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단말기간 호가 연결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통화 내용의 원 통화 패킷을 입력받아 상기 통화에 대한 식별정보와 함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원 통화 패킷 저장단계와;
    상기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상기 원 통화 패킷에 대한 재생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을 상기 서비스 신청자에게 전달하는 원 통화 패킷 재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상기 통화 내용에 대한 문자 변환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원 통화 패킷을 역패킷화하고, 압축 해제한 후 음성 인식하여 문자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음성 처리단계와;
    상기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상기 문자 제공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자 정보를 압축하고 패킷화하여 상기 서비스 신청자에게 제공하는 문자 처리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상기 문자에 대한 음성 제공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자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압축하고 패킷화하여 상기 서비스 신청자에게 제공하는 문자/음성 처리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에 대한 식별정보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상기 서비스 신청자가 서비스 신청한 시각정보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제공 방법.
  9.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가 게이트웨이를 통해 패킷망에 접속되고, 상기 패킷망에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호를 연결하는 소프트스위치를 포함하는 차세대 망에서, 응용서버가 상기 소프트스위치에 의해 호 연결된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통화 내용에 대한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녹취 서비스가 요청되고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호가 연결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 통화 내용의 원 통화 패킷을 입력받아 상기 통화에 대한 식별정보와 함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원 통화 패킷 저장단계와;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편집 대상 데이터 블록이 지정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원 통화 패킷 중 상기 편집대상 데이터 블록을 읽어오는 데이터 블록 판독단계와;
    상기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상기 편집 대상 데이터 블록의 재생, 복사, 붙이기, 또는 삭제 작업이 요청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편집 대상 데이터 블록에 대해 상기 서비스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 블록 편집단계와,
    상기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상기 편집 대상 데이터 블록의 효과음 삽입 작업이 요청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서비스 신청자가 효과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음 선택단계와;
    상기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효과음이 선택되면, 상기 응용서버는 상기 편집 대상 데이터 블록에 상기 서비스 신청자가 신청한 효과음을 합성하는 효과음 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망에서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20036348A 2002-06-27 2002-06-27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편집 서비스제공 방법 KR20040001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348A KR20040001215A (ko) 2002-06-27 2002-06-27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편집 서비스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348A KR20040001215A (ko) 2002-06-27 2002-06-27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편집 서비스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215A true KR20040001215A (ko) 2004-01-07

Family

ID=3731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348A KR20040001215A (ko) 2002-06-27 2002-06-27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편집 서비스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12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6033A3 (en) * 2008-11-11 2010-07-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rding service in ip multimedia sub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222A (ko) * 1999-08-18 2001-03-05 이계철 지능망에서의 통화내용 녹음-재생 서비스 방법
KR20010035124A (ko) * 2000-12-29 2001-05-07 오충용 통화내용 녹음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10081184A (ko) * 2000-02-10 2001-08-29 허일구 전화통화내용녹음시스템
KR20020016333A (ko) * 2000-08-25 2002-03-04 정장호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US20020067810A1 (en) * 2000-12-05 2002-06-06 Zvi Barak System and method for telephone call recording and recorded call retrieval
KR20030021572A (ko) * 2001-09-06 2003-03-15 권성준 통화내용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222A (ko) * 1999-08-18 2001-03-05 이계철 지능망에서의 통화내용 녹음-재생 서비스 방법
KR20010081184A (ko) * 2000-02-10 2001-08-29 허일구 전화통화내용녹음시스템
KR20020016333A (ko) * 2000-08-25 2002-03-04 정장호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US20020067810A1 (en) * 2000-12-05 2002-06-06 Zvi Barak System and method for telephone call recording and recorded call retrieval
KR20010035124A (ko) * 2000-12-29 2001-05-07 오충용 통화내용 녹음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21572A (ko) * 2001-09-06 2003-03-15 권성준 통화내용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6033A3 (en) * 2008-11-11 2010-07-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rding service in ip multimedia subsystem
US8798037B2 (en) 2008-11-11 2014-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rding service in IP multimedia sub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14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nt VoIP Messaging
US63045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voice messages
US78851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nified messaging system service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O1998039901A1 (en) Telephone call transcription with electronic delivery
WO2007074426A2 (en) Routing internet telephone calls based upon media type, format, or codec capabilities of the destinations
JPH09321914A (ja) インターネット上での音声メール提供方法及び電話システム
JP2002044123A (ja) 統合メッセージングシステム
US6532230B1 (en) Mixed-medi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9515482A (ja) 拡張VoIP発呼者ID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サポート
US200901288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Multimodal Messages
JP5406358B2 (ja) 音声合成用音声データベース構築のための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および中継方法
CN100571374C (zh) 视频录制实时回放方法
KR20040001215A (ko) 차세대 망에서 녹취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편집 서비스제공 방법
JP2000059471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通信方法及び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230885A (ja) 注釈のついた音声メール応答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5517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channel capacity in an IP-based voice messaging system
JP4912803B2 (ja) メディア変換メッセージシステム
JP2005109673A (ja) 音声通信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通信装置、ケーブルモデム、通信装置の制御方法
WO2000028719A1 (en)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accessible to internet
JP2002237891A (ja) 通話内容記録システム及び音声記録装置
TWI232657B (en) Communicating tone information in a network
KR100487571B1 (ko)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JPS5830799A (ja) 音声メ−ルシステム
JP3147822B2 (ja) 音声メール通信システム
KR100426206B1 (ko) 컴퓨터 전화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