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0833A - 연기 정화장치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연기 정화장치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833A
KR20040000833A KR1020020035800A KR20020035800A KR20040000833A KR 20040000833 A KR20040000833 A KR 20040000833A KR 1020020035800 A KR1020020035800 A KR 1020020035800A KR 20020035800 A KR20020035800 A KR 20020035800A KR 20040000833 A KR20040000833 A KR 20040000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blade
fluid
resonance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규
Original Assignee
최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규 filed Critical 최철규
Priority to KR102002003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0833A/ko
Publication of KR2004000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83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8Centrifuge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gaseous mix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 정화 장치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특히, 연소장치와 상기 연소장치에 연결되면서 내측면 소정부위에 다수의 공진영역을 형성토록 공진형성수단이 설치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따라, 챔버의 내측에 기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다수의 공진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연기및 연기에 포함되는 유해가스를 복분해및 중화가 동시에 일어나 연기를 정화하도록 하는 연기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기정화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기 정화장치및 그 제어방법{A Device for Purification The Smok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연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연소장치와 상기 연소장치에 연결되면서 내측면 소정부위에 공진영역을 형성토록 공진형성수단이 설치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유해 기체가 포함되는 연기를 복분해 중화적정상태로 유지시켜 청정한 기체를 최종 배출토록 하는 연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기 정화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정화장치는, 물체의 연소시에 발생되는 유해가스및 연기를 정화시키도록 유체를 정화장치가 설치되는 챔버의 내측으로 통과시키면서 정화하도록 하고, 이때 상기 챔버의 내측에는 백필터식이나 카트리지식의 필터가 장착되어 연기를 정화토록 한다.
또한, 전기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집진장치를 사용하거나 물을 입자상으로 분사시켜 유해물질을 포집토록 하는 장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정화장치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하여야 함은 물론 챔버내의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하고, 기체상태의 유해물질 정화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연기 정화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98-3767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a,b에서와 같이 가스정화용 흡착제/흡수제가 공급되는 안내장치(37)가 일측에 연결되는 용기(31)의 상부에 유입개구부(33)가 설치되어 가스가 공급되고, 상기 용기(31)로 부터 정화된 가스가 용기(31)의 저부에 연결되는 배출개구부(35)를 통하여 배출토록 설치되며, 상기 용기(31)의 내부에는 모터(41)에 연결되어 운동가능한 내부구성물(39)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구성물(39)에는 유연재의 소용돌이 부재(4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내장치(37)를 개재하여 흡착제/흡수제(62)를 공급하도록 공급라인(57)이 안내장치(37)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용기(31)의 저부에 사용되는 흡착제/흡수제를 수거토록 취합장치(45)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기 정화장치는, 용기내에 투입되는 흡착제/흡수제에 의해서만 연기를 포집토록 함으로써 연기가 포집된 흡착제/흡수제를 재처리하기 위한 2차적 처리와 이에따른 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기중에 포함되는 유해기체를 중화및 복분해 포화시켜 공해물질의 발생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연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소가스중에 포함되는 유해가스를 중화및 복분해 포화시켜 정화하도록 하고, 특히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황산등을 제거하도록 함은 물론 녹스의 기체 함유량을 낮추도록 하는 연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a,b는 각각 종래의 연기 정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및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정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챔버내 브레이드의 분해상태도이다.
도4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공진형성수단의 동작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진형성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챔버내 혼합물 공급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정화장치의 제어공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연소장치 120...제1투입관로
200...챔버 220...회전축
230,240...제1브레이드 250,260...제2브레이드
270...공진영역 300...물탱크
340...저지턱 400...배풍기
420...수처리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소장치에 연결되며, 그 내측에 공진영역을 형성토록 공진형성수단이 설치되는 챔버및,
상기 챔버의 내측에 유체를 평행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송풍기및 배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기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발명은, 투입관로를 통하여 연소가스를 일방으로의 유체 흐름을 갖는 챔버의 내측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챔버의 내측에서 다수의 공진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진영역에 위치하는 노즐을 통하여 중화및 분해액을 분사하는 단계;및
상기 공진영역에서 중화 및 분해되는 청정 가스를 배출하는 단계로서 구성되는 연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물질을 연소시켜 가스가 발생하는 보일러나 소각로등의 연소장치(100)가 투입관로(120)를 통하여 챔버(200)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투입관로(120)의 일측에 시약이 투입되는 시약공급관(120a)이 별도로 연결되어도 좋다.
상기 챔버(200)는, 그 내측에 흐르는 유체를 공진시키도록 다수의 공진형성수단이(205)이 설치된다.
상기 공진형성수단(205)은, 유체의 흐름을 정방향및 역방향으로 유동시키도록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에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는 양측의 제1브레이드(230)(240)와,
상기 제1브레이드(230) 사이에 각각 위치토록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챔버(200)의 내경에서 외경측을 향하여 유체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제2브레이드(250)(260)로 이루어 진다.
상기 제1브레이드(230)(240)는, 유체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정방향의 유체 흐름에 관한 힘이 강하도록 그 경사도가 소정의 각도차를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 하게로는, 도4a,b에서와 같이 회전축의 축중심에 대하여 일측의 제1브레이드(230)는 왼쪽및 타측의 제1브레이드(240)는 오른쪽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브레이드(250)(260)는, 제1브레이드(230)(240)에 의해 외벽에 반사되어 축중심으로 향하는 유체의 흐름에 대하여 제1브레이드(230)(240)로 향하는 각각의 반력을 형성토록 회전축(220)에서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며, 바람직한 경사각은, 도4a,b에서와 같이 축중심에 대하여 일측의 제2브레이드(240)는 오른쪽및 타측의 제2브레이드(260)는 왼쪽으로의 경사각을 갖도록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더하여, 상기 제1,2브레이드는, 각각 회전축(220)의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도4a,b에서와 같이 하나의 공진영역을 구성토록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의 브레이드가 각각 회전축에 고정되어 하나의 공진영역을 갖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챔버(200)의 내측에는, 물탱크(300)와 물공급관(300a)을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제1노즐(31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브레이드(230)(240)의 외측에 각각 위치토록 원주상의 저지턱(340)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챔버(200)의 양측에 유체를 강제 유입및 배출토록하면서 일단에 연결되는 구동모터(400a) 일체로 회전토록 원심분리장치(210)및 배풍기(40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원심분리장치(210)와 배풍기(400)는 챔버(200) 내의 유체흐름이 평행 직선운동하도록 유입량및 배출량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풍기(400)의 일측에 물분사에 의해 최종적으로 유해가스를 흡착하는 수처리조(420)가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원심분리장치(210)및 배풍기(400)가 회전축(220)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동모터(400a)의 구동시 일체로 회전토록 설치된다.
상기 수처리조(420)는, 내측에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분사되는 물입자가 점차로 축소토록 다단계의 제2노즐(420b)이 설치되고, 상부에 배출관(420a)이 연결되며, 상기 제2노즐(420b)는 물탱크(300)에 분기되는 물공급관(300a)으로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도면부호 200a,b는 챔버내의 물을 물탱크(300)에 재공급하는 드레인관및 배출공이고, 220a는 회전축(220)을 지지하는 베어링 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6에서와 같이, 연소장치(100)에서 물질의 소화후 유해기체가 포함되는 연기가 발생되면 이는 투입관로(120)를 통하여 챔버(200)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투입관로(1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시약투입구(120a)를 통하여 유해물질과 반응하는 시약이 투입되고, 상기 시약투입구(120a)는 물탱크(300)와 연결되어 물과 직접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챔버(200)의 내측에 투입되는 연기는 구동모터(400a)와 연결되는 회전축(220)의 제1,2브레이드(230)(240)를 통하여 공진영역(270)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공진영역에 의해 연기에 포함되는 유해가스를 투입되는 물과 시약에 의해 복분해및 중화포화토록 한다.
상기 공진형성수단(205)에 의한 공진영역(270) 형성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공진형성수단(205)은, 일측의 제1브레이드(230)에 의해 정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힘과 타측의 제1브레이드(240)에 역방향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힘의 압력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제1,2브레이드(230)(240)에서 공진영역(27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브레이드(230)(240)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제2브레이드(250)에 의해 축중심으로 향하는 유체에 제1브레이드(230)로 각각 향하게 하는 반력을 형성토록 하고, 이와동시에 상기 제2브레이드(260)에 의해 제1브레이드(230)로 향하는 반력이 형성된다.
이에의하여, 상기 제2브레이드(250)(260)의 상부에 공진영역(270)이 형성되며, 상기 공진영역(270)에서는 제1노즐(310)을 통하여 유입되는 혼합물에 의해 유해한 기체의 복분해와 중화를 동시에 일으키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일측 제1브레이드(230)의 경사각이 타측 제1브레이드(240)의 경사각 보다 적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유동압이 증가함으로써 유체의 공진영역내 유입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챔버(200)의 내측에는, 물탱크(300)와 물공급관(300a)을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제1노즐(310)이 각각 설치되어 챔버(200)의 내측에 입자상의 혼합물을 분사토록 되어 기체의 복분해및 중화포화가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레이드(230)(240)의 외측인 챔버(200)의 내경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저지턱(340)이 각각 형성되어 유체의 유동 방향을 바꾸게 함으로써 공진형성을 위한 유체유동을 최소화하여 확실한 공진영역 형성이 가능토록 된다.
상기 구동모터(400a)와 연결되는 원심분리장치(210)에 의해 강제 유입되는 유체는 먼저 챔버(200)의 내측에서 분해및 중화되고, 분해및 중화 완료된 유체는 상기 챔버(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배풍기(400)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풍기(400)기에 의해 배출되는 유체는 이에 연결되는 수처리조(420)에 투입되어 2차 집진토록 된다.
이때, 상기 수처리조(420)에 투입되는 유체는 입자직경이 상부를 향하여 감소토록 다단계로 설치되는 제2노즐(420b)에 으해 최종 정화되어 배출관(420a)을 통하여 공기중에 방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기제거장치는, 챔버(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공진영역에서 1단계 복분해및 중화포화 되고, 수처리조에 의해 다시금 정화되어 청정한 기체만이 공기중에 배출되어 연소가스에 의해 대기오염을 방지토록 하고, 상기 쳄버(200)의 내측에는 투입되는 유체에 따라 다단의 공진영역을 형성하여 처리하여도 좋다.
한편, 도7에 도시한 본발명 연기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연소장치에 연결되는 투입관로를 통하여 연소가스를 챔버의 내측에 투입하고, 이때 상기 챔버는 일방향으로의 유체흐름을 갖도록 내측에 다수의 브레이드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기장치와 연결되는 투입관로는 챔버와 접하도록 설치되어 연소가스의 공급과 동시에 챔버의 내측을 40~60℃의 온도로 가열토록 한다.
계속하여, 상기 챔버의 내측에는 직경과 경사방향이 상이한 다수의 브레이드가 동일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공진영역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이때 유체의 흐름방향에 따라 미세한 각도차를 갖는 브레이드에 의해 일방으로의 유체 흐름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챔버의 내측에 펌프를 통하여 물에 희석되는 소다, 초산, 소석와, 암모니아수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공급한다.
상기 챔버의 내측에 노즐을 통하여 투입되는 혼합물은 공진영역에서 연기중의 유해물질과 반응하면서 연기속의 유해물질을 복분해및 중화시킨다.
계속하여, 상기 혼합물에 의해 중화되는 액체는 저부의 라인을 통하여 저수조에 모이게 되며, 정화되는 연기는 챔버의 일측에 설치되는 송풍기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같은 정화방법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챔버의 내측에 장반경을 갖는 제1브레이드와 단반경을 갖는 제2브레이드 조합하여 공진영역을 구성하도록 다수의 브레이드가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은 투입되는 배출가스의 량에 대응되는 회전수를 가지며 그 회전수는 1200~2200rpm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드의 날개수는 3~4개 이며, 장반경을 갖는 전방의 브레이드의 경사각은 50~70도 후방 브레이드의 경사각은 50~75도이고, 단반경을 갖는 전,후방의 제2브레이드 경사각은 각각 40~50도 방향을 갓도록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의 회전수는 투입되는 배출가스의 량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되며,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상기 브레이드의 수가 3~4에 비하여 그 이하일때는 회전수가 증가하여야 하며, 날개수가 그 이상일때는 회전수가 감소하여야 하고, 상기 상태에서 최상의 공진영역 형성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장반경을 갖으면서 유체의 흐름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제1브레이드 경사각은 정방향의 유체흐름을 갖도록 경사지며, 그 경사각이 수평선상에서 시계방향으로 50~70도 방향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의 제1브레이드와 대향되는 후방의 제1브레이드 경사각은 유체흐름과 반대방향의 공기흐름을 갖도록 수평선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50~75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반경 제1브레이드와 단반경 제2브레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변속감속운동및 등속운동이 평행직선운동의 합력과 동일하게 되어 공진형상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 장반경의 바람직한 브레이드 각도가 50~75도 이상및 이하에서 처리량이 감소하게 되고, 상기 제1브레이드는 소정의 각도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 반경의 제2브레이드 경사각이 40~50도 이상이 되거나 이하가 되면 장 반경의 제1브레이드 쪽으로 유체를 밀게 하는 힘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되어 힘의 균형을 깨게 됨으로써 공진의 형성이 힘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에 투입되는 혼합물은 물 100㎏에 대하여 kcl- 20g, ca2(OH)2- 50g, AlOH - 20g, CH3COOH - 10g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챔버에 투입되는 혼합물은 물 1000㎏에 대하여 Na2Co2- 100g, CH3COOH - 10g, (OH2) - 750g, NH3H2O - 140g이 투입되는 혼합물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노즐의 설치각은 수평선상에서 시계방향으로 29도와 반시계방향으로 158도에 위치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노즐의 설치각은, 최하측에서 반시계방향을 정방향으로 45도 170도 280도 지점에 각각 위치토록 설치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연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정화된 연기는 표1에서와 같이 처리되된다.
유해물이 연기 제거장치를 통과한후 최종물의 상태를 도시한 도표
CO CO2 SO2 HNO2 CO CO2SO2(ppm) Na2CO2 Na2SO2 PH
85% 98% 99% 10(ppm) 15 20 40 7
이에의하여, 연기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분해, 복분해, 중화포화등의 과정을 통하여 처리함으로써 중화된 최종처리부를 배출토록 하고 연기중에 포함되는 일산화 탄소, 이산화탄소및 황산의 량을 최소화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화가스에 포함되는 공해물질을 공진상태에서분해와 중화하여 연소후 연기와 공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 하고, 챔버의 내측에 공진형성수단을 증가시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중화적정상태를 유지하여 복분해및 중화포화를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주기적으로 가스필터링용 부품을 투입및 배출하거나 챔버의 내측을 청소할 필요가 없어 가동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유지비용을 최소화 한다.
더하여, 투입되는 연소가스중의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황산등을 제거함은 물론 녹스의 기체 함유량을 낮추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16)

  1. 연소장치(100)에 연결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진영역(270)을 형성하도록 공진형성수단(205)이 설치되고, 상기 공진영역(270)에 혼합물을 분사토록 제1노즐(310)이 설치되는 챔버(200)및,
    상기 챔버(200) 내에 흐르는 유체가 평행직선운동 하도록 설치되는 원심분리장치(210)및 배풍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기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형성수단(205)은, 상기 챔버(200) 내측에 유입되는 유체를 정방향및 역방향으로 유동시키도록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에서 이격되어 각각 고정되는 제1브레이드(230)(240);와,
    상기 제1브레이드(230)(240) 사이에 각각 위치토록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에 이격되어 고정되며, 상기 챔버(200)의 내경에서 외경측을 향하여 유체를 유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제2브레이드(250)(260)로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220)은, 송풍기(210)및 배풍기(400)와 일체로 연결되고, 양단이 베어링(220a)과 구동모터(400a)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레이드는, 유체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의 유체흐름이 강하게 형성되도록 소정의 각도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레이드는, 제1브레이드에 의해 축중심으로 향하여 각각 유동하는 유체에 제1브레이드로 향하는 반력을 형성토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제1브레이드의 외측 단부에 각각 근접토록 원주상의 저지턱(34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풍기(400)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분사되는 물입자 직경이 점차로 축소토록 다단계의 제2노즐(420b)이 설치되는 수처리조(42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310)은, 시약이 혼합되는 물탱크(30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장치.
  8. 배기관을 통하여 연소가스를 일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갖는 챔버의 내측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챔버의 내측에서 다수의 공진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공진영역에서 유체가 중화적정상태를 이루는 단계;
    공진영역에 위치하는 노즐을 통하여 중화적정상태의 유체에 중화및 분해액을 분사하는 단계;및
    공진영역에서 유체를 복분해및 중화하는 단계;
    복분해및 중화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연소가스를 챔버의 내측에 공급하는 단계는, 챔버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연소가스가 유동되는 투입관로를 설치하여 챔버를 예열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영역에 위치하는 노즐을 통하여 중화및 분해액을 분사하는 단계는, 물 100㎏에 대하여 kcl- 20g, ca2(OH)2- 50g, AlOH - 20g, NH3H2O - 10g으로 이루어 지는 혼합물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영역에 위치하는 노즐을 통하여 중화및 분해액을 분사하는 단계는, 물 1000㎏에 대하여 Na2Co2- 100g, CH3COOH - 10g, (OH2) - 750g, NH3H2O - 140g로 이루어 지는 혼합물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측에서 다수의 공진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챔버의 내측에 장반경을 갖는 제1브레이드와 단반경을 갖는 제2브레이드를 조합하여 공진영역을 구성하도록 유체흐름을 방향을 따라 제1브레이드, 제2브레이드, 제2브레이드, 제1브레이드 순으로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은 1200~2200rpm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2브레이드의 날개수는 3~4개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측에서 다수의 공진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장반경을 갖으면서 챔버내의 유체 흐름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제1브레이드 경사각은 정방향의 유체흐름을 갖도록 경사지며, 그 경사각이 수평선상에서 시계방향으로 50~70도 방향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방의 제1브레이드와 대향되는 후방의 제1브레이드 경사각은 유체흐름과 반대방향의 공기흐름을 갖도록 수평선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50~75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브레이드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유체의 흐름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제2브레이드는 장반경의 제1브레이드와 정방향의 유체흐름을 갖도록 수평선상에서 반시계반향으로 40~50도의 경사를 갖도록 되며, 후방의 제2브레이드는 수평선상에서 시계방향으로 40~50도의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어 장반경의 전방 제1브레이드로 향하는 유체흐름을 형성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영역에 위치하는 노즐을 통하여 중화및 분해액을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공진영역에 혼합물을 분사토록 수평선상에서 시계방향으로 29도와 반시계방향으로 158도에 위치에 노즐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영역에 위치하는 노즐을 통하여 중화및 분해액을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공진영역에 혼합물을 분사토록 최하측에서 반시계방향을 정방향으로 45도 170도 280도 지점에 각각 위치에 노즐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가 유입되는 원심분리장치와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풍기가 다수의 공진영역을 갖는 챔버의 양단에 설치되어 유체가 다수의 공진구간을 거치면서 평행직선운동이 가능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20035800A 2002-06-25 2002-06-25 연기 정화장치및 그 제어방법 KR20040000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800A KR20040000833A (ko) 2002-06-25 2002-06-25 연기 정화장치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800A KR20040000833A (ko) 2002-06-25 2002-06-25 연기 정화장치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833A true KR20040000833A (ko) 2004-01-07

Family

ID=3731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800A KR20040000833A (ko) 2002-06-25 2002-06-25 연기 정화장치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08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344B1 (ko) * 2004-06-29 2007-07-19 한성복 연소가스 정화장치
CN108126465A (zh) * 2018-02-25 2018-06-08 山东中玻节能环保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湿法脱硫塔的消烟除尘装置及其实现方法
CN110918587A (zh) * 2019-10-23 2020-03-27 安徽维麦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的旱烟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6619A (ja) * 1985-05-30 1986-12-06 Nec Corp 排ガスの処理法
KR200266343Y1 (ko) * 2001-10-26 2002-02-28 최철규 연기 정화장치
US6379639B2 (en) * 1998-08-17 2002-04-30 Jürgen Labuschewski Process for purification of flue gas
KR20030000035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제4기한국 바이오필터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고효율 유해가스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6619A (ja) * 1985-05-30 1986-12-06 Nec Corp 排ガスの処理法
US6379639B2 (en) * 1998-08-17 2002-04-30 Jürgen Labuschewski Process for purification of flue gas
KR20030000035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제4기한국 바이오필터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고효율 유해가스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200266343Y1 (ko) * 2001-10-26 2002-02-28 최철규 연기 정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344B1 (ko) * 2004-06-29 2007-07-19 한성복 연소가스 정화장치
CN108126465A (zh) * 2018-02-25 2018-06-08 山东中玻节能环保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湿法脱硫塔的消烟除尘装置及其实现方法
CN110918587A (zh) * 2019-10-23 2020-03-27 安徽维麦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的旱烟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5665B2 (en) Fluid scrubber
JP5665757B2 (ja) デュアルフィード噴霧器用液分配器を備えた乾式煙道ガス脱硫システム
KR101751783B1 (ko) 입자성 물질과 난용성 성상물질 및 기체상 오염물질이 포함된 배기가스 처리장치
CN114599441B (zh) 用于废气净化的方法
KR101999165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탈취장치
KR20060079067A (ko) 가압 탈취용액운회전식 탈취장치
CN107029532B (zh) 一种用于烟气的脱硫脱硝一体化装置及方法
KR102269669B1 (ko)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JP4570200B2 (ja) 混合液体を利用する空気浄化装置および方法
KR101389475B1 (ko) 반응효율을 최적화한 대기오염 방지시설
KR102001359B1 (ko) 악취가스 저감 장치
KR102223916B1 (ko) 폐수 무방류 세정집진장치
KR102270319B1 (ko) 배출 가스 처리 장치
CN206996279U (zh) 一种混合式诱导流喷淋除臭装置
KR20040000833A (ko) 연기 정화장치및 그 제어방법
KR200266343Y1 (ko) 연기 정화장치
KR200148745Y1 (ko) 탈 가스 세정기
US20070081924A1 (en) Scrubbing "ionized" rainstorm tunnel (S.I.R.T)
KR19980086563A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및 배기가스 처리설비
RU2086293C1 (ru) Способ мокрой очистки газ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KR100456911B1 (ko) 반건식 세정장치를 구비한 유해가스 제거장치
SU826942A3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газового потока от примес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392643B1 (ko) 반건식 반응탑에서의 다단 원심력을 이용한 배기가스 유도장치
KR20050098782A (ko) 세정 집진기
SU1049091A1 (ru) Аппарат дл очистки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х газовых смес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414

Effective date: 2005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