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0662A -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662A
KR20040000662A KR1020020035560A KR20020035560A KR20040000662A KR 20040000662 A KR20040000662 A KR 20040000662A KR 1020020035560 A KR1020020035560 A KR 1020020035560A KR 20020035560 A KR20020035560 A KR 20020035560A KR 20040000662 A KR20040000662 A KR 20040000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guide
section
hois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020035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0662A/ko
Publication of KR20040000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66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노약자 등을 위해 육교나 지하도 등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승강차가 상하이동 뿐 아니라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한번의 탑승으로 육교나 지하도 등을 건널 수 있도록 한 노약자나 장애인 및 일반승객을 위한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셔틀식 엘리베이터는 출입구(5)가 하단(육교의 경우) 또는 상단(지하도의 경우)에 설치된 좌우 양측의 상하이동 구간(7)과 상기 상하이동 구간(7)을 연결하는 횡이동 구간(9)으로 이루어진 이동통로(3), 상기 이동통로(3)의 내측벽면에 설치된 레일(11), 상기 레일(11)을 따라 상기 이동통로(3)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승강차(1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셔틀식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및 일반승객이 육교나 지하도 같은 횡단 시설물을 이용해 도로나 철로 등을 건널 때, 도로 등의 한 쪽 끝에서 탑승하여 하차할 필요 없이 다른 쪽 끝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횡단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좌우에 설치되던 2개의 엘리베이터를 하나의 엘리베이터로 대체할 수 있게 되므로 전체적인 설치 비용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U-shaped shuttle type elevator}
본 발명은 셔틀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교나 지하도와 같은 보행용 시설물에 장애인, 노약자 등을 위해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시설물 양측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승강구간과 이들 양측의 승강구간을 횡으로 연결하는 수평이동구간을 일체로 연결하여 노약자, 장애인, 임산부, 유모차 및 일반승객이 승강차 안에 탑승한 상태로 도중에 하차하지 않고 시설물의 한 쪽 끝에서 반대 쪽 끝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빌딩과 같은 높은 시설물에서 탑승자나 화물을 동력을 이용해 편리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비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주로 고층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건물에서 사람이나 화물의 이동 및 운반 수단으로 사용되던 엘리베이터는 최근 들어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이동 편의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용도로 많이 채용되고 있는데, 특히 다수의 계단을 오르내려야 하는 육교나 지하도 등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는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계단을 통하지 않고도 쉽게 육교 위나 지하도 아래의 수평보행 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예컨대, 현재 도로(100) 위를 횡단하는 육교(103) 등의 횡단 시설물에 장애인이나 노약자 용으로 설치되고 있는 엘리베이터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개의 경우 육교(103)의 양측단에서 지지기둥(105)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승강탑(111,1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승강탑(111,112)에는 위쪽과 아래쪽 벽면에 입출구 도어(113,115)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일반 엘리베이터와 마찬가지로 승강차가 승강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위와 같은 횡단 시설물용 엘리베이터(101) 설비에 의하면, 휠체어 등의 보조장비에 의지해야 보행이 가능한 장애인 또는 노인이나 임산부 같은 노약자 들도 엘리베이터(101)를 이용함으로써 육교(103) 등과 같이 평지와 높이차를 갖는 시설물을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애인 또는 노약자를 위한 횡단 시설물용 엘리베이터(101)는 도 1에서와 같이, 육교(103)와 같은 시설물의 양측단에 설치된 한 쌍의 승강탑(111,112)에 의해서 탑승자를 육교(103)의 위 아래로만 이동시켜 주고 있다. 예컨대, 도 1의 도로(100) 우측에서 육교(103)를 통해 도로(100)를 횡단하고자 하는 경우 장애인 또는 노약자는 일단 도어(115)를 통해 승강탑(112)에 탑승한 다음,승강차를 타고 승강탑(112) 위쪽으로 올라간 후,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승강탑(112) 상단에 육교(103)의 횡단보도(107)와 접하여 설치된 도어를 통해 승강탑(112)에서 하차하여 육교 우측상단 위치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나서, 장애인 또는 노약자는 휠체어 또는 도보로 육교(103)의 횡단보도(107)를 건넌 다음, 도면 상단 좌측의 승강탑(111) 상단에 설치된 도어(113)를 통해 반대쪽 승강차에 탑승하여 하강한 뒤, 좌측 승강탑(111) 아래쪽에 육교(103) 반대쪽으로 설치된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하차함으로써 도로(100)를 건너게 된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개발된 장애인 등을 위한 횡단 시설물용 엘리베이터(101)는 도로(100)를 횡단하고자 하는 경우, 육교(103) 한 쪽의 승강탑에서 승차 및 하차를 하고 휠체어나 도보로 육교의 횡단보도(107)를 건넌 다음 다시 타측의 승강탑에서 승차 및 하차를 하여야 하므로, 특히 주사용자가 장애인이나 노약자임을 고려할 때 신속하고 안전하게 횡단시설물을 이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육교(103) 양측단에 2대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시설 비용이 많이 들고, 승강차의 전면 및 후면에 승하차용 도어를 설치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횡단 시설물용 엘리베이터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육교나 지하도 등과 같은 횡단 보행 시설물의 일측단의 지면에서 수평구간에서의 승하차 없이 타측단 지면까지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측단의 승강용 수직구간과 중간의 수평구간을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사용 편리성을 대폭적으로 증진시키고, 시설비용도 혁신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애인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육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식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육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셔틀식 엘리베이터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동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안내수단을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틀식 엘리베이터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동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지하도에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틀식 엘리베이터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셔틀식 엘리베이터2 : 육교
3 : 이동통로5 : 출입구
7 : 상하이동 구간9 : 횡이동 구간
10 : 도로 11 : 레일
13 : 승강차15 : 구동부
16 : 래크18 : 가이드 롤러
19 : 구동기어21 : 기어 하우징
23 : 구동모터25 : 가이드 레일
29 : 가이드봉 31 : 승강차 안내수단
35 : 미끄럼 축받이 돌기37 : 미끄럼 회전축
45 : 위치확인 센서45-1 : 발광부
45-2 : 수광부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출입구가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된 좌우 양측의 상하이동 구간과 좌우 양측의 상하이동 구간을 연결하는 횡이동 구간으로 이루어진 이동통로, 이 이동통로의 내측벽면에 설치된 레일, 이 레일을 따라 이동통로 내부를 상하 및 수평 이동하는 승강차로 구성되어 있는 셔틀식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셔틀식 엘리베이터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셔틀식 엘리베이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10)를 횡단하는 횡단보도(2)나 지하도(미도시) 등과 같은 횡단 시설물에 인접 설치되어 횡단보도(2)나 지하도의 계단을 오르내리는 데 불편을 느끼는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쉽고 편리하게 도로(10) 등을 횡단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설물로서, 외체를 이루는 이동통로(3), 이 이동통로(3)를 상하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차(13), 그리고 이 승강차(13)를 안내하기 위해 이동통로(3) 벽면에 부착 설치되는 레일(11)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통로(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 U자형 또는 ㄷ자모양의 벽체 구조물로서, 도로(10) 양측에 계단(4)과 인접하여 설치된 한 쌍의 상하이동 구간(7)과 이 상하이동 구간(7)을 수평하게 연결하는 횡이동 구간(9)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육교(2)에 설치된 경우에는 좌우 상하이동 구간(7)의 하단에, 지하도에 설치된 경우에는 좌우 상하이동 구간의 상단에 각각 출입구(5)가 구비된다.
이동통로(3)는 내부에서 원호 궤적을 그리며 병렬 이동하는 승강차(13)가 내측 벽면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특히, 좌우측단의 상하이동 구간(7)과 횡이동 구간(9)의 교차 부분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원호 모양으로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으며, 일반 엘리베이터와 마찬가지로 각 상하이동 구간(7)의 하단에 안전피트(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통로(3) 좌우측단의 상하이동 구간(7)과 곡선구간의 경계부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확인 센서(45)의 발광부(45-1)가 복수개 부착되어 있으며, 위치확인 센서(45)의 발광부(45-1)와 함께 승강차(13)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승강차(13)의 벽면에 복수개의 수광부(45-2)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체로서 구성된 이동통로(3)의 내벽면 일측에는 승강차(13)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레일(11)이 설치되는 바, 본 실시예의 경우 레일(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로(3)의 후방면(33)에 부착되어 있는 래크(16)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 우측면에 치형(17)이 형성되어 있고, 좌측면에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11)과 함께 승강차(13) 이동수단으로서 사용되도록 승강차(13) 일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구동부(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 우측의래크(16)에 맞물림되는 피니언 기어(19)와 레일(11) 좌측의 가이드면에 맞닿음되는 가이드롤러(18), 피니언 기어(19)와 가이드롤러(18)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 상태로 둘러싸고 있는 기어 하우징(21), 그리고 피니언 기어(19)에 결합되어 이 기어(19)를 구동기어로서 회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구동모터(23)로 이루어져 있는 바, 여기에서 기어 하우징(21)은 피니언 기어(19)와 롤러(18)를 장착하기 위한 하나의 케이스 역할을 하도록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면 양측에 기어(19)와 롤러(18)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기어(19)의 축심에 직결되도록 구동축이 외벽에 관통 삽입되어 있는 구동모터(23)가 외벽 전방측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기어 하우징(21)의 전방측 외면 중앙에는 구동부(15)가 승강차(13)의 후방면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미끄럼 축받이 돌기(35)가 돌출 부착되어 있으며, 이 미끄럼 축받이 돌기(35)의 내부에는 상기 미끄럼 축받이 돌기(35)와 동축상으로 배열되며 미끄럼 축받이 돌기와 미끄럼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미끄럼 회전축(37)이 승강차(13)의 후방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구동부(15)는 레일(11)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승하다가 이동통로(3) 절곡구간에 접어 들면서부터 원호 형태로 만곡되는 레일(11)에 대해 법선방향의 맞물림 각도를 유지하도록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강차(13)는 지면에 대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구동부(15)에 의해 레일(11)을 따라 상하 및 횡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차(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동통로(3)의 출입구(5)와 함께 개폐되는 도어(14)가 전방 쪽에 설치되어있다.
또한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 승강차(13)에 발생하는 요동을 줄이고 구동부(15)에 대해 승강차(13)의 상대 회전을 일으켜 승강차(13)를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는 승강차 안내수단(31)은 도 5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5)과 가이드봉(29) 그리고 가이드 케이싱(41)으로 구성되는 바, 가이드 레일(2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29)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부분으로 레일(25)을 따라 이동통로(3)의 전후방 벽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레일(25)의 중앙에는 가이드봉(29)의 예컨대 구형으로 된 걸림돌기(43)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원형 단면의 가이드 홈(27)이 축선을 따라 가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25)의 가이드 홈(27)에 삽입되어 승강차(13)를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상하로 또는 횡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가이드봉(29)은 승강차(13)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어느 정도 여유를 갖고 안내할 수 있도록 승강차(13)의 전방이나 후방면에 선택적으로 또는 전후방면 양쪽에 횡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좌우 사방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탄성의 스프링(39)과, 이 스프링(39)의 승강차(13) 쪽 끝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구형의 걸림편(42)과 걸림편(42) 대향측 끝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걸림돌기(43)로 이루어진 가이드봉(29)이 사용된다.
또한, 가이드봉(29)이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안내되면서 승강차(13) 전후방면 위에서 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봉(29)의 일단에 부착되는 걸림편(42)을 고정하고 있는 가이드 케이싱(41)은 예컨대 구형인 걸림편(42)의 횡이동을 허용하도록 내주면이 걸림편(42)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미끄럼면으로 되어 있고 중간부분에 축선방향으로 걸림편(42)의 스프링(39) 고정부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슬롯(44)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61)을 하나 이상 복수개로 구비하고 각 레일(61)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이동통로(3) 후방벽면에 배열 설치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레일(61)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부(15)를 별도의 연결바(63)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연결바(63)의 중앙에 도 4의 미끄럼 회전축(37)에 미끄럼 회전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미끄럼 축받이 돌기(35)를 돌출 설치하여 레일(61)이 다중으로 배열되더라도 이동통로(3)의 곡선 구간에서 승강차(13)가 원활하게 병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도에 인접 설치된 셔틀식 엘리베이터(201)는 도시된 것처럼 이동통로(203)가 180° 회전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도 3에 도시된 셔틀식 엘리베이터(1)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즉, 지하도에 적용될 경우에도 엘리베이터(201)는 이동통로(203), 레일(211), 승강차(213)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고 있는 바, 이동통로(203)는 지상에서 지하로 매설된 좌우 양측의 상하이동 구간(207)과 이 상하이동 구간(207)을 연결하는 횡이동 구간(209)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레일(211)은 이동통로(203)의 내부벽면에 배열 설치되어 있고, 이 레일(211) 위에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차(213)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실시예의 구동부와 동일한 구동부에 의해 레일 위를 상하 좌우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이동 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승강차 안내수단(231)에 의해 요동을 줄이면서 레일(211)을 따라 평행하게 병진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 사용자가 지하도 내의 다른 시설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횡이동 구간(209)의 좌우측단에 출입구(206)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셔틀식 엘리베이터(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교(2)에 적용된 셔틀식 엘리베이터(1)를 이용해 도로(10)를 횡단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엘리베이터(1)의 이동통로(3) 좌측 또는 우측 하단에 설치된 출입구(5)를 통해 승강차(13) 내부에 탑승하게 된다.
탑승 후 사용자가 엘리베이터(1) 기동 스위치를 온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5) 일측에 장착된 구동모터(23)가 작동을 개시하고, 이에 따라 모터(23)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피니언 기어(19)가 회전 구동하기 시작하며, 구동기어(19)가 회전하면서 래크(16)의 치형(17) 위를 돌아 올라감에 따라 기어 하우징(21) 및 구동기어(19)의 반대쪽에서 기어 하우징(21)에 장착되어 래크(16)의 반대쪽의 가이드면에 맞닿음되어 있는 가이드롤러(18) 등과 함께 구동부(15)는 레일(11)을 따라 상승한다.
이에 따라, 구동부(15)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승강차(13)도 레일(11)을 따라 이동통로(3)의 상하이동 구간(7) 내부에서 위쪽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 때 승강차(13)는 전방면 하단에 횡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된 가이드봉(29)이 레일(11) 일측에서 이동통로(3)의 후방벽면(33)에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안내되므로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이 억제된다.
이어서 승강차(13)가 이동통로(3)의 곡선 구간에 접어들게 되면, 승강차(13)는 마찬가지로 안내수단(31)에 의해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곡선 구간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 때 구동부(15)는 레일(11)의 법선방향으로 경사지는 맞물림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승강차(13)는 구동부(15)에 의해 이동통로(3)의 횡이동 구간을 통과하여 반대쪽 상하이동 구간(7)을 통해 하강하여 반대쪽 출입구(5) 쪽에 이르게 되는데, 이 때 승강차 안내수단(31)의 가이드봉(29)은 가이드 레일(25)에 의해 구속되어 가이드 케이싱(41)을 따라 승강차(13)의 좌측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승강차(13)가 이동통로(3)의 반대쪽 출입구(5)에 도착하게 되면 탑승자는 기동 스위치를 오프시켜 구동모터(23)의 회전을 멈추게 되며, 이에 따라 구동부(15)에 의한 승강차(13)의 이동이 정지하게 되고, 탑승자는 출입구(5)를 개방하고 승강차(13)에서 하차하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23)를 하나만 채용함으로써 구동기어(19)만을 회전 구동시켜 구동부(15)에 의해 승강차(13)를 상하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나,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도 4에서 가이드롤러(18)와 가이드면 대신에 또 다른 래크와 피니언 기어를 채용하고, 별도의 구동모터로 이 피니언 기어를 기어(19)와 함께 동기시킴으로써 승강차(13) 구동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 승강차(13)가 이동통로(3)의 곡선구간을 지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구간에 접어든 것을 발광부(45-1)와 수광부(45-2)에 의해 확인하게 되며,이 때 양 모터의 회전구동 속도를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구동부(15)의 각도 변위를 레일(11)의 법선방향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61)을 2개 이상 복수개 채용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바, 승강차(13)가 이동통로(3)의 곡선구간으로 접어 들었을 때 센서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좌우 구동부(15)를 이동시키는 각 구동기어(19)의 회전구동 속도를 달리 함으로써 곡선구간을 통과하는 승강차(13)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승강차(13)가 횡이동 구간(9)으로 완전히 이동한 뒤에는 다시 양 구동모터를 동일한 속도로 구동시킴으로써 반대쪽 곡선구간까지 수평 이동하도록 한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식 엘리베이터(201)가 지하도 횡단용으로 사용되는 실시예의 경우에도 엘리베이터(201)의 구동방식은 앞의 실시예 들과 동일하나, 다만 도시된 것처럼 지하도 쪽에 설치되는 횡이동 구간(209)의 좌우측 또는 중간에 출입구(206)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탑승자가 지하도에서 하차하여 지하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차이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셔틀식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도로나 철도 등을 횡단하고자 할 경우 종래의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와 달리 일단 지상에 설치된 한 쪽 출입구를 통해 승강차 안에 탑승한 사용자는 횡이동 구간에 이르러서도 승강차에서 하차할 필요 없이 이동통로를 따라 반대쪽 출입구 위치까지 그대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특히, 승강차에의 승하차에 애로가 많은 장애인이나 노약자 들도 매우 편리하고 쉽게 횡단 시설을 이용해 도로 등을 횡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승강차를 하나의 레일과 이 레일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시설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출입구(5)가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된 좌우 양측의 상하이동 구간(7)과 상기 상하이동 구간(7)을 단절 없이 일체로 연결하는 횡이동 구간(9)으로 이루어진 이동통로(3), 상기 이동통로(3)의 내측벽면에 하나 이상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치형(17)을 갖는 래크(16)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11), 상기 레일(11)을 따라 상기 이동통로(3)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승강차(1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식 엘리베이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3)는 상기 상하이동 구간(7)과 상기 횡이동 구간(9)의 교차부분이 원호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는 종단면 U자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차(13)는 상기 이동통로(3)를 따라 U자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는 상기 레일(11)에 대해 법선방향의 맞물림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승강차(13)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후방면에 결합된 구동부(1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식 엘리베이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5)는 상기 레일(11)의 일측 래크(16)에 맞물림된 피니언 기어(19), 상기 레일(11)의 상기 래크(16) 대향측의 가이드면에 맞닿음된 가이드롤러(18), 상기 피니언 기어(19)와 가이드롤러(18)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상태로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승강차(13)의 후방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기어 하우징(21) 및, 상기 피니언 기어(19)에 연결된 구동모터(2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식 엘리베이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차(13)는 상기 이동통로(3)의 전후방면에 상기 레일(11)을 따라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25), 일단이 상기 승강차(13)의 전후방면에 횡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25)의 가이드홈(27)에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봉(29), 및 상기 가이드봉(29)의 일단을 횡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승강차(13)의 전후방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케이싱(41)으로 이루어진 안내수단(31)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식 엘리베이터.
KR1020020035560A 2002-06-25 2002-06-25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KR20040000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560A KR20040000662A (ko) 2002-06-25 2002-06-25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560A KR20040000662A (ko) 2002-06-25 2002-06-25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152U Division KR200290893Y1 (ko) 2002-06-25 2002-06-25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662A true KR20040000662A (ko) 2004-01-07

Family

ID=3731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560A KR20040000662A (ko) 2002-06-25 2002-06-25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06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45B1 (ko) * 2004-07-23 2007-02-15 노재원 도로 횡단용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365A (ja) * 1992-06-30 1994-01-25 Hazama Gumi Ltd ケージの昇降システムと昇降装置
JPH09125313A (ja) * 1995-11-04 1997-05-13 Denki Koji Nishikawagumi:Kk エレベーターを備えた歩道橋
US5836423A (en) * 1996-11-04 1998-11-17 Kunczynski; Jan K. People mover system
JPH1160111A (ja) * 1997-08-07 1999-03-02 Todoroki Kogyo Kk 道路横断エスカレーター
KR200217032Y1 (ko) * 2000-10-09 2001-03-15 이재복 리프트 장치를 구비한 육교
KR200290893Y1 (ko) * 2002-06-25 2002-10-04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365A (ja) * 1992-06-30 1994-01-25 Hazama Gumi Ltd ケージの昇降システムと昇降装置
JPH09125313A (ja) * 1995-11-04 1997-05-13 Denki Koji Nishikawagumi:Kk エレベーターを備えた歩道橋
US5836423A (en) * 1996-11-04 1998-11-17 Kunczynski; Jan K. People mover system
JPH1160111A (ja) * 1997-08-07 1999-03-02 Todoroki Kogyo Kk 道路横断エスカレーター
KR200217032Y1 (ko) * 2000-10-09 2001-03-15 이재복 리프트 장치를 구비한 육교
KR200290893Y1 (ko) * 2002-06-25 2002-10-04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45B1 (ko) * 2004-07-23 2007-02-15 노재원 도로 횡단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1433B2 (en) Lift for telescopic passenger stairs for boarding passengers in wheelchairs on a plane
TW593115B (en) Passenger conveyor device
KR200290893Y1 (ko)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KR102153477B1 (ko)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KR101924901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KR101918198B1 (ko) 경사구간, 수평구간, 방향전환 구간 및 트위스트 구간 이동용 승강기
KR20040000662A (ko)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CZ299292B6 (cs) Eskalátor pro projíždení zatácek
CN112340569B (zh) 垂直升降及水平移动的无绳电梯系统及控制方法
KR101495326B1 (ko) 교통약자용 탑승 시설이 구비된 페리 보트
KR101924898B1 (ko) 장애인 이동차량용 출입도어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KR100727536B1 (ko)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KR101731997B1 (ko) 경사구간, 수평구간, 방향전환 구간 및 트위스트 구간 이동용 승강기
JP4689102B2 (ja) 階段昇降機
JP2009101995A (ja) ユニバーサルデザイン仕様バス
CN213894835U (zh) 一种行动不便人员使用的升降机
KR200294519Y1 (ko) 경사형 엘리베이터와 경사 안내부 및 경사형 엘리베이터시스템
KR101918199B1 (ko) 경사구간, 수평구간, 방향전환 구간 및 트위스트 구간 이동용 승강기
KR102620648B1 (ko)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
WO2012150875A2 (ru) Эскалатор винтовой вращающийся
JPS5918313B2 (ja) 階段昇降装置
KR100428438B1 (ko) 장애인용 승강기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913710B1 (ko)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JP3961798B2 (ja) 動く歩道
JP2935049B2 (ja) 電動道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