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042Y1 -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 Google Patents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042Y1
KR200398042Y1 KR20-2005-0019953U KR20050019953U KR200398042Y1 KR 200398042 Y1 KR200398042 Y1 KR 200398042Y1 KR 20050019953 U KR20050019953 U KR 20050019953U KR 200398042 Y1 KR200398042 Y1 KR 200398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board eraser
coupled
filter
hair
chalk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욱
Original Assignee
홍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욱 filed Critical 홍성욱
Priority to KR20-2005-0019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0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0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1/00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 B43L21/02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with means for absorbing the chalk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소음 발생을 줄일 뿐만 아니라 칠판지우개에서 분필가루를 보다 효과적으로 털어냄과 함께 분필가루를 걸러내어 깨끗한 상태의 공기만 배출하여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출입구를 갖는 도어가 전면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상하로 분리함과 함께 칠판지우개로부터 분필가루를 털어내도록 하는 분리판과, 상기 케이스 내에는 분리판의 상,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양측으로 분리하도록 관통공을 갖는 격벽과,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에 결합되어 흡입기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흡입기류발생수단과,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에 결합되어 흡입기류에 포함된 분필가루를 걸러내는 필터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필가루를 담는 집진통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칠판지우개 털이장치{BLACKBORD ERASER SHAKING DEVICE}
본 고안은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킴과 함께 칠판지우개에서 분필가루를 보다 효과적으로 털어내도록 하는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칠판지우개 털이장치는 칠판지우개에 묻어 있는 분필가루를 털어내는 장치이다.
즉, 학교나 학원 등에서 학생을 가르치기 위해 사용되는 칠판에 글이나 숫자 등을 쓸 때 분필을 이용하며, 상기 분필에 의해 칠판에 쓰여진 글이나 숫자 등을 지우기위해서는 칠판지우개를 사용한다.
이 때, 상기 칠판지우개에는 분필가루가 묻어나게 되며, 상기 분필가루가 묻혀진 칠판지우개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칠판지우개로부터 분필가루가 떨어지도록 털어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칠판지우개를 평편한 면에 부딪히거나 두개의 칠판지우개를 서로 부딪혀서 분필가루를 털어 내거나 또는 별도의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에서 칠판지우개의 분필가루를 털어내야 한다.
즉, 두개의 칠판지우개를 서로 부딪히거나 평편한 면에 칠판지우개를 부딪혀서 분필가루를 털어낼 경우 상기 털어진 분필가루가 사방으로 퍼져나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로 흡입됨에 따라 인체가 해하여 건강을 해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됨은 물론 상기 퍼져나가는 분필가루에 의해 민원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분필가루에 의한 대기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칠판지우개 털이장치를 이용하여 칠판지우개의 분필가루를 털어낼 경우 상기 칠판지우개에서 분필가루가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내로 떨어지게 됨에 따라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내부에 모여진 분필가루를 제거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에서도 칠판지우개로부터 털어진 분필가루를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내부로 완전히 흡입하지 못하고 외부로 누출될 수 있음에 따라 인체에 해하거나 대기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내로 칠판지우개에 묻어있는 분필가루를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장치 및 칠판지우개에 묻어있는 분필가루를 떼어내기 위한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장치 및 구동모터와 회전하는 브러쉬 등에 의하여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에서 소음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구조를 변경하도록 하여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칠판지우개에서 분필가루를 털어낼 때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에서 칠판지우개에 묻어 있는 분필가루를 보다 효과적으로 털어냄에 따라 상기 칠판지우개의 상태를 한층 더 깨끗해짐은 물론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외부로 분필가루가 누출되지 않고 깨끗한 상태의 공기만 배출함에 따라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출입구를 갖는 도어가 전면에 결합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상하로 분리함과 함께 칠판지우개로부터 분필가루를 털어내도록 하는 분리판과, 상기 케이스 내에는 분리판의 상,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양측으로 분리하도록 관통공을 갖는 격벽과,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에 결합되어 흡입기류를 발생시키도록 흡입모터와 브로워팬으로 이루어진 흡입기류발생수단과, 상기 흡입기류발생수단과 대향되는 위치에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에 결합되어 흡입기류에 포함된 분필가루를 걸러내는 필터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필가루를 담는 집진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털이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칠판지우개 털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칠판지우개 털이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분리판을 저면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칠판지우개 털이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필터부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칠판지우개 털이장치(100)는 직사각형 또는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1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 내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을 상·하부 공간으로 양분하도록 하는 분리판(50)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을 양측으로 양분하도록 상기 분리판(50)의 상, 하부측에 각각 격벽(60)이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은 분리판(50)과 격벽(60)에 의해 다수 공간부로 구획 형성되어 진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는 케이스(10)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힌지로서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도어(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20)의 일측 상단 즉, 도면상 도어(20)의 좌측 상단부에는 칠판지우개(a)가 삽입 및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출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판(50)은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판(50)의 일측부에는 칠판지우개(a)를 부딪혀서 상기 칠판지우개(a)에 묻어 있는 분필가루를 털어내도록 하는 털이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털이부(51)의 전면에는 칠판지우개(a)의 저면을 문질러서 상기 칠판지우개(a)의 저면에 묻어 있는 분필가루를 떼어내도록 하는 솔모양의 브러쉬(5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털이부(51)는 칠판지우개(a)를 부딪힐 때 상기 칠판지우개(a)에서 털어지는 분필가루가 상기 분리판(50)의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무수히 많은 털이공(51a)을 형성하도록 격자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털이부(51)의 형태는 격자형태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털이공(51a)을 형성함은 물론 분리판(50)의 하부로 분필가루가 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털이부(51)의 전면 위치인 분리판(50)에는 상기 털이부(51) 결합되는 브러쉬(52)의 축을 걸어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홈(53)이 털이부(5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털이부(51)에 브러쉬(52)를 도면상에서와 같이 고정홈(53)에 브러쉬(52)의 축을 걸어 고정하는 방법 및 상기 브러쉬(52)의 하부 양측에 별도의 걸림부를 형성하여 분리판(50)에 걸어 고정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상기 털이부(51)에 브러쉬(52)를 결합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결합방식에 의해 브러쉬(52)의 구조변경은 작업 목적이나 효과 및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쉬(52)의 형상은 도면상에서와 같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각형 형상 및 상부측만 솔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데, 즉 상기 브러쉬(52)는 칠판지우개(a)에서 분필가루를 털어낼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분리판(50)의 하부 외측부에는 상기 분리판(50)을 케이스(10)의 내에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결합공(54a)을 갖는 복수개의 결합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리판(50)의 중앙부에는 상부측 격벽(60) 및 하부측 격벽(60)과 나사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나사공(55)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면상 분리판(50)의 좌측에 형성된 나사공(55)은 상부측 격벽(60)의 하부면에 형성된 격벽공(60a)과 일치되고, 상기 분리판(50)의 우측에 형성된 나사공(55)은 하부측 격벽(60)의 상부면에 형성된 격벽공(60a)과 일치되고, 상기 일치된 각 나사공(55)과 격벽공(60a)에 나사 체결함에 따라 상기 분리판(50)의 상, 하면에 상, 하부측 격벽(60)이 각각 결합된다.
한편, 상기 상부측 격벽(60)의 상부면과 상기 하부측 격벽(60)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격벽공(60a)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각 격벽(60)을 케이스(10)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하거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케이스(10)에 각 격벽(60)을 결합하거나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데, 이는 작업 목적이나 효과 및 제작 여건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분리판(50)에 결합되는 상부측 격벽(60)에 의해 브러쉬(52)의 일단에 위치하는 축이 눌러져 고정되고, 상기 브러쉬(52)의 타단에 위치하는 축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홈(53)에 억지 끼움방식 및 상기 고정홈(53)의 상부에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눌러 고정함에 따라 상기 브러쉬(52)의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분리판(50)에서 브러쉬(52)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분리판(50)의 타측 하부 전면측에는 케이스(10)의 내부에서 후술한 흡입기류발생수단(30)이 위치한 공간을 막도록 하는 막음부재(70)가 케이스(10)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면서 상기 막음부재(70)를 나사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재(56)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판(50)의 타측 하부면은 도 3에서와 같이 평편한 형태로 형성하거나 또는, 격자형태로 복수개의 리브를 서로 교차되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분리판(50)의 본래 기능이나 역활 및 용도, 효과를 유지하면서 상기 분리판(50)의 제작 목적이나 효과 및 제작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측 격벽(60)에는 관통공(6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61)의 일측 즉, 도면상 케이스(10) 내의 좌측에는 칠판지우개(a)에서 털어져 분리판(50)의 털이부(51)를 통과한 분필가루를 걸러내는 필터부재(4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61)의 타측 즉, 도면상 케이스(10) 내의 우측에는 칠판지우개(a)에서 털어져 분리판(50)의 털이부(51)를 통과한 분필가루를 필터부재(40)로 흐르도록 흡입기류를 발생시키는 흡입기류발생수단(3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흡입기류발생수단(3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기류를 발생시키도록 구동력이 발생되는 흡입모터(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입모터(31)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모터(31)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팬과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덕트가 구비되는 브로워팬(32)이 관통공(61)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재(40)는 도 2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재(40)를 케이스(10)의 격벽(60)에 결합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410)와, 상기 고정부(4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420)와, 상기 착탈부(420)에 결합 고정되어 분필가루를 걸러내는 필터부(4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410)는 상기 고정부(410)의 외관인 고정부 본체(4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 본체(411)에는 격벽(60)의 관통공(61)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41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 본체(411)의 테두리 즉, 사면에는 상기 고정부(410)를 격벽(60)에 결합 고정하도록 내부에 암나사산을 갖는 복수개의 결합부(4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 본체(411)의 일측에는 고정부(410)에 착탈부(420)를 끼워 고정하도록 끼움홈부(4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 본체(411)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부(410)와 착탈부(420)를 체결하기 위하여 회동되는 복수개의 체결부(4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착탈부(420)는 외관인 착탈부 본체(4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탈부 본체(421)의 중앙부에는 상기 착탈부(420)에 필터부(430)를 고정하도록 상기 필터부(430)가 삽입되는 고정홈부(4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착탈부 본체(421)의 일측에는 각 끼움홈부(414)에 끼워져 즉,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개의 끼움부(423)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탈부 본체(421)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부(410)에 착탈부(420)가 체결되도록 상기 고정부(410)의 체결부(415)에 의해 걸어지는 복수개의 체결돌기(4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430)는 상기 착탈부(420)의 착탈부 본체(421) 테두리에 접촉되어 고정됨과 함께 상기 고정부(410)와 착탈부(420)의 결합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고정부(410)와 착탈부(420)를 밀착시키도록 일정 탄성력을 갖는 테두리부(4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두리부(431)의 내에는 칠판지우개(a)에서 떨어진 분필가루를 걸러내도록 무수히 많이 절곡되는 필터(4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430)의 필터(432)는 흡입기류에서 분필가루만을 보다 용이하게 걸러냄과 함께 상기 분필가루가 필터(432)를 통과하지 않고 흡입기류만 통과할 수 있도록 여과지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필터(432)를 무수히 많이 절곡한 것은 상기 필터(432)와 흡입기류와의 접촉면적을 넓힘은 물론 상기 필터(432)가 흡입기류에 포함된 분필가루를 걸러내는 양을 보다 많도록 하여 상기 분필가루가 필터(432)를 통과하지 못하고 깨끗한 상태의 흡입기류 즉, 분필가루가 제거된 흡입기류만 필터(432)를 통과하도록 위함이다.
상기 필터부(430)의 절곡된 형태는 상기 필터부(430)의 필터(432)에서 분필가루를 보다 원활하게 털어내어 후술할 집진통(80)에 모아지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상에서와 같이 가로방향로 절곡하거나 또는, 세로방향으로 절곡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필터부재(40)의 작업 목적이나 효과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리판(50)의 털이부(51) 측인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털이부(51)에서 털어져 털이공(51a)을 통과하여 떨어지는 분필가루 및 상기 필터부재(40)에 의해 걸러져서 떨어지는 분필가루를 담는 집진통(8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칠판지우개 털이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분리판(50)의 털이부(51) 하부에는 털이부(51)에서 칠판지우개(a)로부터 털어져 분리판(50)의 하방으로 낙하 즉, 떨어지는 분필가루를 걸러냄과 함께 상기 분필가루를 모음에 따라 상기 분필가루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분필가루를 걸러내는 여과필터망(9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여과필터망(90)은 칠판지우개 털이장치(1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제작여건,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칠판지우개 털이장치(100)의 외측면에 흡입기류발생수단(30)과 전기 연결된 스위치를 온(ON) 위치에 놓으면 상기 흡입기류발생수단(30)의 흡입모터(31)가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흡입모터(31)에 축결합된 브로워팬(32)의 팬이 회전되면서 흡입기류가 발생된다.
그러면,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결합된 도어(20)의 출입구(21)를 통해 케이스(10) 내로 분필가루가 묻어 있는 칠판지우개(a)를 넣고 나서 상기 칠판지우개(a)의 저면을 분리판(50)의 털이부(51)에 몇 번에 걸쳐서 부딪힘에 따라 상기 칠판지우개(a)에 묻어 있던 분필가루는 칠판지우개(a)로부터 털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칠판지우개(a)의 저면에 묻어있는 일부 분필가루를 칠판지우개(a)에서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털이부(51)의 전면에 결합된 브러쉬(52)에 칠판지우개(a)를 접촉시킨 후 상기 브러쉬(52)에 칠판지우개(a)의 저면을 몇 번에 걸쳐서 문지르게 되면 상기 칠판지우개(a)에 남아있던 분필가루는 브러쉬(52)에 의해 완전히 떨어지게 됨에 따라 상기 칠판지우개(a)에서 분필가루가 완전히 제거 및 털어진다.
그런 후 상기 칠판지우개(a)로부터 분필가루가 다 털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칠판지우개(a)를 칠판지우개 털이장치(100)로부터 꺼낸다.
이 때,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흡입기류발생수단(30)의 흡입모터(31)가 구동됨과 동시에 브로워팬(32)의 팬도 회전됨에 따라 발생되는 흡입기류에 의해 칠판지우개(a)에서 털어진 분필가루는 흡입길에 포함된 상태로 필터부재(40) 측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필터부재(40) 측으로 흐르는 분필가루가 포함된 흡입기류는 필터부재(40)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부재(40)에 의해 분필가루는 걸러짐과 동시에 상기 분필가루가 걸러진 깨끗한 상태의 흡입기류는 필터부재(40)를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흡입기류발생수단(30)에 의해 발생된 흡입기류에 분필가루가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의 흡입기류는 상기 필터부재(40)의 필터부(430)의 필터(432)를 통과하면서 상기의 필터(432)에 의해 분필가루는 걸러지며, 상기 분필가루가 걸러진 깨끗한 상태의 흡입기류만 필터(432)를 통과한다.
상기 필터부(430)의 필터(432)를 통과한 흡입기류는 계속해서 회전되는 브로워팬(32)의 팬 회전에 의해 상기 브로워팬(32)의 안내덕트 내로 유입되어 흐르면서 상기 안내덕트의 안내를 받아 케이스(10)의 후면에 형성된 기류배출공(도시안함.)을 통해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칠판지우개 털이장치(100)에서 칠판지우개(a)에 묻어 있는 분필가루를 완전히 제거하게 되면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100)의 스위치를 오프(OFF) 위치로 놓아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1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상기 털이부(51)와 브러쉬(52)에 의해 칠판지우개(a)에서 털어져 털이부(51)를 통과하여 케이스(10)의 내부 하방으로 낙하하는 분필가루 및 상기 필터부(430)의 필터(432)에 걸러진 분필가루는 상기 케이스(10) 내의 하방에 설치된 집진통(80)으로 모아진다.
상기 집진통(80)에 일정량의 분필가루가 모아져 담겨지면 상기 케이스(10)에서 집진통(80)을 탈거시키고 나서 상기 집진통(80)에서 분필가루를 제거한 후 다시 집진통(80)을 삽입하여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100)를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판(50)의 털이부(51) 하부에 여과필터망(90)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분리판(50)의 털이부(51)에서 칠판지우개(a)에 묻어 있는 분필가루를 털어낼 때 상기 칠판지우개(a)에서 털어지는 분필가루는 털이부(51)를 통과하여 여과필터망(90)에 한번 걸러진 상태에서 상기 여과필터망(90)을 통과한 흡입기류에 포함된 분필가루는 필터부재(40)에서 한 번 더 걸러짐에 따라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100)의 케이스(10) 외부로 깨끗한 상태로 처리된 흡입기류만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칠판지우개 털이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칠판지우개에 묻어있는 분필가루를 털어내는 분리판 및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구조를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구조를 단순화될 뿐만 아니라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에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 및 회전수단을 줄임으로서,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에서 칠판지우개에 묻어있는 분필가루를 털어낼 때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에서 칠판지우개에 묻어 있는 분필가루를 보다 효과적으로 털어내어 제거함으로서, 상기 칠판지우개의 상태를 한층 더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칠판지우개를 보다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칠판지우개에서 털어진 분필가루가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내부에 모아짐은 물론 필터부재에서 상기 분필가루를 걸러냄에 따라 상기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외부로 깨끗한 상태의 공기만 배출되므로 인해 대기오염과 같은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효과에 의해 본 고안의 제품 즉,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에 대하여 소비자의 신뢰성이 향상됨은 물론 구매 의욕이 향상되는 등 실생활에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 칠판지우개 털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칠판지우개 털이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분리판을 저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칠판지우개 털이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 칠판지우개 털이장치의 필터부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칠판지우개 털이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20: 도어
30: 흡입기류발생수단 31: 흡입모터
32: 브로워팬 40: 필터부재
50: 분리판 51: 털이부
52: 브러쉬 53: 고정홈
54: 결합부 55: 나사공
56: 고정부재 60: 격벽
61: 관통공 70: 막음부재
80: 집진통 90: 여과필터망
100: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410: 고정부
420: 착탈부 430: 필터부

Claims (4)

  1. 출입구를 갖는 도어가 전면에 결합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상하로 분리함과 함께 칠판지우개로부터 분필가루를 털어내도록 하는 분리판과,
    상기 케이스 내에는 분리판의 상,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양측으로 분리하도록 관통공을 갖는 격벽과,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에 결합되어 흡입기류를 발생시키도록 흡입모터와 브로워팬으로 이루어진 흡입기류발생수단과,
    상기 흡입기류발생수단과 대향되는 위치에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에 결합되어 흡입기류에 포함된 분필가루를 걸러내는 필터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필가루를 담는 집진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판은,
    일측에 형성되어 칠판지우개에 묻어 있는 분필가루를 털어내도록 하는 복수개의 털이공을 갖는 털이부와,
    상기 털이부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칠판지우개의 저면과 접촉되어 분필가루를 칠판지우개로부터 떼어내도록 하는 브러쉬와,
    상기 분리판의 하부 외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을 케이스 내에 결합하도록 하는 결합공을 갖는 복수개의 결합부와,
    상기 분리판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 하부측 격벽과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나사공과,
    상기 분리판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장치를 케이스의 격벽에 결합 고정하도록 고정부 본체와, 상기 고정부 본체에 형성되어 격벽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고정부 본체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격벽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끼움홈부와, 상기 고정부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부로 이루어진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착탈부 본체와, 상기 착탈부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필터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부와, 상기 착탈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각 끼움홈부에 끼워지는 끼움부와, 상기 착탈부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체결부가 걸어져 체결되는 체결돌기로 이루어진 착탈부;
    상기 착탈부에 고정되어 분필가루를 걸러내도록 착탈부 본체의 테두리에 접촉 고정되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 내에 삽입되어 분필가루를 걸러내는 무수히 많이 절곡되는 필터로 이루어진 필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분리판의 털이부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털이부에서 칠판지우개로부터 털어져 떨어지는 분필가루를 걸러 모으는 여과필터망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KR20-2005-0019953U 2005-07-08 2005-07-08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KR200398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953U KR200398042Y1 (ko) 2005-07-08 2005-07-08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953U KR200398042Y1 (ko) 2005-07-08 2005-07-08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042Y1 true KR200398042Y1 (ko) 2005-10-11

Family

ID=4369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953U KR200398042Y1 (ko) 2005-07-08 2005-07-08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0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4298A (en) Compact vacuum cleaner
JP6768072B2 (ja) 空気清浄機
KR200398042Y1 (ko)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CN210759973U (zh) 一种可吸粉笔灰的黑板擦
KR101158594B1 (ko) 공기청정기
WO2018047367A1 (ja) 空気清浄機
JPWO2018073988A1 (ja) 空気清浄機
JP3129636U (ja) 花粉等の吸取装置
KR101007886B1 (ko) 칠판지우개
KR101247541B1 (ko) 칠판지우개 장치
JP4106047B2 (ja) 黒板消しの構造
CN203110720U (zh) 吸尘式半自动黑板擦
CN2754904Y (zh) 可组合型集尘保健多功能黑板擦
KR200382062Y1 (ko) 칠판 지우개 털이장치의 필터장치
CN206937380U (zh) 一种带储存腔的剃须刀
CN110228315A (zh) 一种利用振动片振动毛刷的叶轮离心负压吸尘黑板擦
KR101158595B1 (ko) 공기청정기
KR101158577B1 (ko) 공기청정기
KR200177027Y1 (ko) 칠판 지우개 털이장치
KR102532493B1 (ko)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KR20100005034U (ko) 칠판지우개 털이함
JP2005024135A (ja) 空気調和機
KR200391623Y1 (ko) 공기청정기
KR910007436Y1 (ko) 칠판용 지우개 털이기
KR960000525A (ko) 소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