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541B1 - 칠판지우개 장치 - Google Patents

칠판지우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541B1
KR101247541B1 KR1020120096482A KR20120096482A KR101247541B1 KR 101247541 B1 KR101247541 B1 KR 101247541B1 KR 1020120096482 A KR1020120096482 A KR 1020120096482A KR 20120096482 A KR20120096482 A KR 20120096482A KR 101247541 B1 KR101247541 B1 KR 101247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ousing
wiping
medium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김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우 filed Critical 김종우
Priority to KR102012009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541B1/ko
Priority to PCT/KR2013/007594 priority patent/WO20140350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1/00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1/00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 B43L21/02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with means for absorbing the chalk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1/00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 B43L21/04Wiper holder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칠판지우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칠판지우개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에 결합되고, 칠판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마찰로울러; 일측이 노출되도록 하우징에 결합되고, 칠판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마찰로울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칠판을 닦는 닦음로울러;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왕복운동하며, 닦음로울러를 향하는 면쪽으로 닦음로울러 외주면을 타격하는 타격판이 형성되는 털이부; 마찰로울러와 닦음로울러의 운동을 매개하는 제1 매개체; 및 마찰로울러와 털이부의 운동을 매개하는 제2 매개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효과적으로 칠판을 닦을 수 있고 분필가루를 제거할 경우 이러한 분필가루가 하우징 내부에 효과적으로 모여 날리지 않을 뿐 아니라 마찰로울러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털이부에 의하여 닦음로울러 외주면에 흡착된 분필가루를 용이하게 털어낼 수 있다.

Description

칠판지우개 장치{Erasing apparatus for board}
본 발명은 칠판지우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칠판을 닦을 수 있고 분필가루가 날리지 않게 쉽게 모으고 분리할 수 있는 칠판지우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칠판지우개는 헝겊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태의 지우개를 손으로 잡고 움직여서 글씨를 지우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우개를 사용할 경우, 분필가루가 날려서 인체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헝겊에 부착된 분필가루를 제거하는 경우 헝겊 부분을 사용자가 직접 타격하여 털어내거나 별도로 구비된 장치에 의하여 헝겊 부분을 타격하여 털어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모터를 장착하여 분필가루를 흡입하거나 브러쉬가 부착된 로울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분필가루를 제거하는 형태의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15403호는 "전동식 칠판지우개"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상부 일측에 조작스위치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분필흡착부가 형성된 지우개몸체와, 조작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흡입모터와, 흡입모터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흡입임펠러와, 지우개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칠판에 묻어 있는 분필가루를 털어서 흡착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분필흡착부로부터 돌출되는 분필털이부재와, 분필털이부재와 흡입임펠러 사이에 설치되어 분필털이부재에 의해 흡착된 분필가루를 집진하는 필터부와, 지우개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은 외부로 트여져 개방된 크리너몸체와,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필털이부재에 묻어 있는 분필가루를 털어서 제거하는 브러쉬부재와, 크리너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필털이부재로부터 제거된 분필가루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이 크리너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집진함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칠판지우개를 통하여 칠판에 묻어 있는 분필가루를 효과적으로 털어서 흡착하게 됨으로써, 분필가루의 비산을 차단하여 교육자 및 피교육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동방식의 칠판지우개는 내부에 모터를 장착할 공간이 필요하고 전력의 공급 및 모터의 설치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지며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칠판을 닦을 수 있고, 별도의 동력 공급 없이 칠판을 닦는 움직임 만으로 분필가루가 날리지 않게 쉽게 모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분필가루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칠판지우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칠판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마찰로울러; 일측이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칠판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찰로울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칠판을 닦는 닦음로울러;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왕복운동하며, 상기 닦음로울러를 향하는 면쪽으로 상기 닦음로울러 외주면을 타격하는 타격판이 형성되는 털이부; 상기 마찰로울러의 회전운동과 상기 닦음로울러의 회전운동을 매개하는 제1 매개체; 및 상기 마찰로울러의 회전운동과 상기 털이부의 왕복운동을 매개하는 제2 매개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매개체는, 상기 마찰로울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마찰기어와
상기 닦음로울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닦음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기어와 닦음기어는 서로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한다.
상기 닦음로울러의 회전축은, 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닦음로울러로부터 분리가능하고, 단부가 상기 닦음기어 중앙에 끼워진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털이부 및 닦음로울러를 감싸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고정되고 상기 닦음로울러 및 털이부와 상기 마찰로울러, 제1 매개체 및 제2 매개체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분하는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은, 상기 닦음로울러의 회전축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 격벽과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 격벽으로 구분되고, 상기 마찰로울러는, 상기 제1 격벽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닦음로울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마찰로울러와 상기 제2 격벽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털이부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마찰로울러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매개체는 상기 제1 격벽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매개체는 상기 제2 격벽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격벽과의 사이에 상기 제1 마찰로울러 및 제1 매개체를 수용하는 제1 마감벽과, 상기 제2 격벽과의 사이에 상기 제2 마찰로울러 및 제2 매개체를 수용하는 제2 마감벽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닦음로울러 하측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덮개 하측에 결합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격벽 및 제2 격벽에 밀착되어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매개체는, 상기 마찰로울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회전축에서 이격되어 상기 회전암에 고정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털이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측에 상기 회전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회동암과, 상기 회동암에 고정되어 상기 닦음로울러 외주면을 타격하는 상기 타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길이는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반경보다 2배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격판은 상기 회동암으로부터, 상기 닦음로울러의 회전방향 반대쪽으로 뻗는다.
상기 타격판에는, 상기 닦음로울러를 향하는 방향에서 다수의 탄성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어의 맞물림에 의하여 마찰로울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닦음로울러를 통해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효과적으로 칠판을 닦을 수 있고 분필가루를 제거할 경우 이러한 분필가루가 하우징 내부에 효과적으로 모여 날리지 않을 뿐 아니라 마찰로울러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털이부에 의하여 닦음로울러 외주면에 흡착된 분필가루를 용이하게 털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 내부에 격벽을 설치함으로써 분필가루가 저장공간에 모이고 분필가루가 제1매개체 및 제2매개체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분필가루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내부가 용이하게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져, 장치를 이루는 부품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지우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칠판지우개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칠판지우개 장치를 앞쪽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칠판지우개 장치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일부 구성을 삭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칠판지우개 장치를 뒤쪽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지우개 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칠판지우개 장치(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칠판지우개 장치(1)를 앞쪽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칠판지우개 장치(1)는 칠판을 닦기 위한 장치이며, 하우징(100), 마찰로울러(200), 닦음로울러(300), 털이부(400), 제1 매개체(500) 및 제2 매개체(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칠판지우개 장치(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0)은 그 내부에, 마찰로울러(200), 닦음로울러(300), 털이부(400), 제1 매개체(500) 및 제2 매개체(600)가 수용되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하며, 다만 마찰로울러(200) 및 닦음로울러(300)는 칠판과 접촉하여야 하는 부분으로서 일측이 외부(도1의 아래쪽 방향)로 노출되게 된다.
하우징(100)은, 덮개(110), 격벽(120), 마감벽(130, 140) 및 마감플레이트(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 구성은 분리조립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완충프레임(1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110)는 단면의 형상이 대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즉, 가로폭은 사용자의 손바닥 면적에 상응하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고, 세로폭은 가로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덮개(110)의 외측, 특히 덮개(110)의 옆쪽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형태의 미끄럼방지돌기(115)가 형성되며,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미끄럼방지돌기(115)는 덮개(110)의 양쪽벽 모두에 형성되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칠판지우개 장치(1)에서, 덮개(110)의 위쪽에는 개폐공(112)이 형성되고, 이러한 개폐공(112)을 막는 뚜껑(113)이 형성될 수 있다. 뚜껑(113)은 개폐공(112)에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뚜껑(113)을 열어 하우징(100) 내부에 저장된 분필가루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개폐공(112)은, 진공청소기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개폐공(112)은 덮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느 한쪽에 치우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덮개(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개폐공(112)을 통하여 내부의 분필가루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털이부(400)를 이루는 타격판(420)은 필름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개폐공(112)이 덮개(110)의 중앙 쪽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진공청소기 등에 의한 흡입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타격판(420)이 빨려나와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폐공(112)이 덮개(110)의 길이방향 어느 한쪽에 치우쳐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덮개(110)의 내부 양측면에는 다수의 결합가이드(114)가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가이드(114)는 돌출되거나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결합가이드(114)는 덮개(1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격벽(120) 및 마감벽이 덮개(11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20)(제1격벽(120) 및 제2격벽(120)) 또는 마감벽(제1 마감벽(130) 및 제2 마감벽(140))을 결합가이드(114) 사이에 위치하도록 위쪽으로 밀면, 결합가이드(114)를 따라 덮개(110)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으며 격벽(120) 및 마감벽이 덮개(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또한, 격벽(120) 및 마감벽의 분리시에도 결합가이드(114)를 따라 아래로 이동시켜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필요시 덮개(110) 내부 부품의 교체 또는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0)을 이루는 격벽(120)은 제1 격벽(121)과 제2 격벽(122)으로 구분되며, 제1 격벽(121)은 닦음로울러(300)의 회전축(310) 일측 단부 쪽에 위치하고, 제2 격벽(122)은 닦음로울러(300)의 회전축(310) 타측 단부 쪽에 위치한다. 제1 격벽(121)과 제2 격벽(122)은 하우징(100) 내부의 공간을 3개로 구분하며, 제1 격벽(121)에 의하여 제1 매개체(500)가 저장공간(170)과 분리된 공간에 위치하게 되며, 제2 격벽(122)에 의하여 제2 매개체(600)가 저장공간(170)과 분리된 공간에 위치히게 된다. 즉, 제1 격벽(121)과 제2 격벽(122)이 이루는 공간 내측에 분필가루가 모이게 되고, 이러한 공간 외측에 제1 매개체(500) 및 제2 매개체(600)를 위치시켜 분필가루가 제1 매개체(500) 및 제2 매개체(600)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1 매개체(500)와 제2 매개체(600)는 다수의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제1 격벽(121)은 제1 마감벽(130)과 함께 이러한 제1 매개체(500, 다수의 기어들)의 회전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제2 격벽(122)은 제2 마감벽(140)과 함께 이러한 제2 매개체(600, 다수의 기어들)의 회전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앞쪽과 뒤쪽에는 제1 마감벽(130)과 제2 마감벽(140)이 결합하며, 각각 제1 매개체(500)와 제2 매개체(6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1 마감벽(130)과 제2 마감벽(140)이 하우징(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프레임(160)이 덮개(110)에 고정되는데, 이러한 완충프레임(160)은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 따른 칠판지우개 장치(1)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마감벽(130) 및 제2 마감벽(140)의 내측면은 제1 매개체(500, 다수의 기어들) 및 제2 매개체(600, 다수의 기어들)의 회전축 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마감플레이트(150)는, 닦음로울러(300) 하측 일부가 노출되도록 덮개(110) 하측에 결합되고 양측 단부가 제1 격벽(121) 및 제2 격벽(122)에 밀착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저장공간(170)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덮개(110), 제1 격벽(121), 제2 격벽(122), 마감플레이트(150)와 닦음로울러(300)에 의한 공간이 저장공간(170)이 되고, 저장공간(170)에 분필가루가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플레이트(150)는 닦음로울러(300) 양쪽으로 나뉘어 이루어진다.
마감플레이트(150)는 덮개(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며, 이를 위하여 마감플레이트(150)에는 결합돌기(151)가 형성되고, 덮개(110)에는 결합돌기(151)가 걸리도록 이루어진 결합홈(111)이 형성된다. 마감플레이트(150)를 덮개(110)에서 분리함으로써, 덮개(110) 내부 부품의 교체 또는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마감플레이트(150) 안쪽으로는 닦음로울러(300)에 근접하거나 밀착되는 틈새막이판(152)이 형성되며, 저장공간(170) 내부로 유입된 분필가루가 마감플레이트(150) 아래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100)에는, 닦음로울러(300)를 중심으로 마찰로울러(200)와 대칭된 형태의 보조로울러(180)가 형성된다. 보조로울러(180)는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마찰로울러(200) 및 닦음로울러(300) 등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로울러(180)는 마찰로울러(200) 및 닦음로울러(300)에 비해 약간 높은 위치에서 하우징(100)에 결합하며, 마찰로울러(200)와 닦음로울러(300)가 칠판에 접촉하여 회전시 보조로울러(180)는 칠판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닦음로울러(300)는 헝겁 내지는 스펀지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보조로울러(180)는 이러한 닦음로울러(300)가 과도하게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적당한 힘으로 칠판지우개 장치(1)를 칠판쪽으로 가압하여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마찰로울러(200)는 칠판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칠판지우개 장치(1)를 칠판에 밀착한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마찰로울러(200)는 칠판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찰로울러(200)는, 제1 격벽(121) 외측에 위치하고 닦음로울러(30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마찰로울러(210)와, 제2 격벽(122) 외측에 위치하고 털이부(40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마찰로울러(220)로 나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마찰로울러(210)와 제2 마찰로울러(220)는 칠판과 접촉할 때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칠판과 접촉하는 테두리 단부가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마찰로울러(210)는 하우징(100) 아래쪽으로 약간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격벽(121)과 제1 마감벽(13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마찰로울러(220) 또한 하우징(100) 아래쪽으로 약간 노출될 수 있도록, 제2 격벽(122)과 제2 마감벽(1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매개체(500)는 마찰로울러(200)와 닦음로울러(300)의 운동을 매개하며, 특히 제1 마찰로울러(210)의 회전운동과 닦음로울러(300)의 회전운동을 매개한다. 이러한 제1 매개체(500)는, 마찰기어(510), 닦음기어(520)를 포함하고 제1기어 및 제2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기어(510)와 닦음기어(520)는 서로 직접적으로 맞물리도록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고, 제1 기어(530) 및 제2 기어(540)를 거쳐 회전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원활한 회전 및 안정된 작동을 위하여, 제1 기어(530) 및 제2 기어(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기어(530)에는 제2 기어(540)와 맞물리는 제1-1 기어(531)가 형성되고, 제2 기어(540)에는 닦음기어(520)와 맞물리는 제2-2 기어(541)가 형성된다.
마찰기어(510)는 제1 마찰로울러(210)와 함께 회전하고, 마찰기어(510)의 회전에 따라, 제1 기어(530), 제2 기어(540) 및 닦음기어(52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칠판지우개 장치(1)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아래쪽에서 칠판이 밀착된 상태를 가정), 제1 마찰로울러(2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닦음로울러(3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 매개체(60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닦음로울러(300)는 하측이 노출되도록 하우징(100)에 결합되고, 칠판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만, 이러한 닦음로울러(300)는, 마찰로울러(210)와 같이 칠판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은 아니고, 마찰로울러(210)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닦음로울러(300)는 제1 격벽(121) 및 제2 격벽(122)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닦음로울러(300)의 중앙부분(회전축을 감싸는 부분)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과 같이 비교적 강성이 큰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닦음로울러(300)의 외주면을 이루는 부분은 헝겊, 기모 또는 솔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 분필가루가 효과적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닦음로울러(300)에서 중앙부분과 외주면 사이는 스펀지와 같이 다수의 기공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다량의 분필가루가 흡착될 수 있고, 칠판지우개 장치(1)가 칠판과 강하게 밀착되더라도 닦음로울러(300)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닦음로울러(300)의 회전축(3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회전축(310)은 닦음로울러(300) 내부에서 인출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회전축(310)은 제1격벽(120)에 지지되어 닦음기어(520)와 연결되며, 이때 닦음기어(520)에도 닦음로울러(300)의 회전축(310)이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한 형태의 각형 홈이 형성된다. 이 회전축(310)을 닦음로울러(300)로부터 분리한 후 닦음로울러(300)의 교체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기둥 형태의 닦음로울러(300)의 회전축(310)은, 안정된 동력의 전달을 위하여 4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칠판지우개 장치(1)에서, 닦음로울러(300)는 마찰로울러(20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이동시, 닦음로울러(3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닦음로울러(300)는 칠판과의 접촉면에서 칠판을 강하게 쓸어낼 수 있으며 칠판을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칠판지우개 장치(1)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하우징(100) 일부를 삭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칠판지우개 장치(1)를 뒤쪽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5는 제2 마감벽(140)을 배제한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제2 마감벽(140) 및 제2 격벽(122)을 배제한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제2 매개체(600)는 마찰로울러(200)와 털이부(400)의 운동을 매개하며, 특히 제2 마찰로울러(220)의 회전운동과 털이부(400)의 왕복운동을 매개한다. 제2 매개체(600)는 제2 마찰로울러(22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암(640)과 회전암(640)의 회전축(641)에서 이격되어 회전암(640)에 고정되는 회전돌기(6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제2 매개체(600)는, 제3 기어(610), 제4 기어(620), 제5 기어(630), 회전암(640) 및 회전돌기(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암(640)은 제2 마찰로울러(220)에 비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제3 기어(610), 제4 기어(620) 및 제5 기어(6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기어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기어(610)는 제2 마찰로울러(220)에 결합되어 제2 마찰로울러(220)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제4 기어(620)는 제3 기어(610)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제5 기어(630)는 제4 기어(620)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제5 기어(630)는 제3 기어(610) 및 제4 기어(620)에 비하여 기어비가 매우 작으며, 이에 따라 제2 마찰로울러(220)의 회전에 비하여 제5 기어(630)는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제5 기어(630)는 회전암(640)과 함께 회전하며, 양자의 회전축은 일치한다.
또한, 회전돌기(650)는 회전암(640)의 회전축(641)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제2 마찰로울러(220)의 회전시 소정의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하게 된다.
털이부(400)는 회동암(410)과 타격판(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동암(410)은 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회동암(410)의 회전축(412)은 제1 격벽(121) 및 제2 격벽(12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회동암(410)에는 회전돌기(650)가 끼워져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홈(411)이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홈(411)의 길이는 회전돌기(650)의 회전반경보다 2배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회전암(640)의 회전시 회전돌기(650)는 슬라이딩홈(411)을 이동하면서 회동암(410)을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동시키게 된다. 회전돌기(650)의 회전반경이 클수록 회동암(410)의 회동범위는 증가하고, 회전돌기(650)의 회전반경이 작을수록 회동암(410)의 회동범위는 감소하게 된다. 즉, 회전돌기(650)의 회전반경이 클수록 회동암(410)에 결합된 타격판(420)은 닦음로울러(300) 외주면을 더욱 강하게 타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칠판지우개 장치(1)의 크기 및 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타격판(420)은 회동암(410)에 고정(특히, 회전축(412)에 고정)되고, 회동암(410)의 회동에 따라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닦음로울러(300) 외주면을 타격한다. 즉, 저장공간(170) 내부에서 닦음로울러(300) 외주면을 타격하고, 닦음로울러(300)에 흡착된 분필가루를 털어내어 분필가루가 저장공간(170) 내부, 특히 마감플레이트(150) 위쪽에 쌓이도록 하게 된다.
또한 타격판(420)은 회동암(410)으로부터, 닦음로울러(300)의 회전방향 반대쪽으로 뻗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도 6을 기준으로 칠판지우개장치(1)가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 닦음로울러(3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타격판(420)은 회동암(410)의 회전축(412)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오른쪽 수용공간(170) 쪽으로 분필가루를 불어내게 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분필가루를 털어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타격판(420)은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탄성력이 있는 필름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닦음로울러(300)를 향하는 방향에 다수의 탄성돌기(421)가 형성된다. 탄성돌기(421)는 고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며, 타격판(420)의 단부쪽을 향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타격판(420)의 회동시 타격판(420)의 탄성력(타격판(420)의 휨에 의해 발생)에 의하여 탄성돌기(421)는 더욱 강하게 닦음로울러(300) 외주면을 타격할 수 있고 타격판(420)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증가하게 되므로, 닦음로울러(300)에 흡착된 분필가루를 더욱 효과적으로 털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털이부(40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암(410) 및 타격판(420)이 2개씩 구비되도록 하여 다수의 면에서 닦음로울러(300) 외주면을 타격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칠판지우개 장치(1)는, 기어의 맞물림에 의하여 마찰로울러(20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닦음로울러(300)를 통해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효과적으로 칠판을 닦을 수 있고, 분필가루를 제거할 경우 이러한 분필가루가 하우징(100) 내부에 효과적으로 모여 날리지 않을 뿐 아니라 마찰로울러(200)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털이부(400)에 의하여 닦음로울러(300) 외주면을 신속하게 반복 타격하여 흡착된 분필가루를 용이하게 털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 내부에 제1 격벽(121) 제2 격벽(122)을 설치함으로써 분필가루가 저장공간(170)에 모이고 분필가루가 제1 매개체(500) 및 제2 매개체(600)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분필가루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칠판지우개 장치 100 : 하우징
110 : 덮개 111 : 결합홈
112 : 개폐공 113 : 뚜껑
114 : 결합가이드 115 : 미끄럼방지돌기
120 : 격벽 121 : 제1 격벽
122 : 제2 격벽
130 : 제1 마감벽 140 : 제2 마감벽
150 : 마감플레이트 151 : 결합돌기
152 : 틈새막이판 160 : 완충프레임
170 : 저장공간 180 : 보조로울러
200 : 마찰로울러 210 : 제1 마찰로울러
220 : 제2 마찰로울러
300 : 닦음로울러 310 : 회전축
400 : 털이부 410 : 회동암
411 : 슬라이딩홈 420 : 타격판
421 : 탄성돌기
500 : 제1 매개체 510 : 마찰기어
520 : 닦음기어 530 : 제1 기어
531 : 제1-1 기어 540 : 제2 기어
541 : 제2-2 기어
600 : 제2 매개체 610 : 제3 기어
620 : 제4 기어 630 : 제5 기어
640 : 회전암 650 : 회전돌기

Claims (1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칠판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마찰로울러;
    일측이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칠판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찰로울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칠판을 닦는 닦음로울러;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왕복운동하며, 상기 닦음로울러를 향하는 면쪽으로 상기 닦음로울러 외주면을 타격하는 타격판이 형성되는 털이부;
    상기 마찰로울러의 회전운동과 상기 닦음로울러의 회전운동을 매개하는 제1 매개체; 및
    상기 마찰로울러의 회전운동과 상기 털이부의 왕복운동을 매개하는 제2 매개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개체는, 상기 마찰로울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마찰기어와
    상기 닦음로울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닦음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기어와 닦음기어는 서로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닦음로울러의 회전축은, 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닦음로울러로부터 분리가능하고, 단부가 상기 닦음기어 중앙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털이부 및 닦음로울러를 감싸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고정되고 상기 닦음로울러 및 털이부와 상기 마찰로울러, 제1 매개체 및 제2 매개체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분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닦음로울러의 회전축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 격벽과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 격벽으로 구분되고,
    상기 마찰로울러는, 상기 제1 격벽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닦음로울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마찰로울러와 상기 제2 격벽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털이부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마찰로울러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매개체는 상기 제1 격벽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매개체는 상기 제2 격벽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격벽과의 사이에 상기 제1 마찰로울러 및 제1 매개체를 수용하는 제1 마감벽과, 상기 제2 격벽과의 사이에 상기 제2 마찰로울러 및 제2 매개체를 수용하는 제2 마감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닦음로울러 하측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덮개 하측에 결합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격벽 및 제2 격벽에 밀착되어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개체는, 상기 마찰로울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회전축에서 이격되어 상기 회전암에 고정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털이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측에 상기 회전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회동암과, 상기 회동암에 고정되어 상기 닦음로울러 외주면을 타격하는 상기 타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길이는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반경보다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판은 상기 회동암으로부터, 상기 닦음로울러의 회전방향 반대쪽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판에는, 상기 닦음로울러를 향하는 방향에서 다수의 탄성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지우개 장치.
KR1020120096482A 2012-08-31 2012-08-31 칠판지우개 장치 KR101247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482A KR101247541B1 (ko) 2012-08-31 2012-08-31 칠판지우개 장치
PCT/KR2013/007594 WO2014035099A1 (ko) 2012-08-31 2013-08-23 칠판지우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482A KR101247541B1 (ko) 2012-08-31 2012-08-31 칠판지우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541B1 true KR101247541B1 (ko) 2013-03-26

Family

ID=4818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482A KR101247541B1 (ko) 2012-08-31 2012-08-31 칠판지우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7541B1 (ko)
WO (1) WO20140350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5948A (zh) * 2014-10-30 2016-03-23 罗国友 一种高效的黑板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70908B (zh) * 2022-11-08 2023-10-24 王小净 一种黑板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463Y1 (ko) * 2005-12-27 2006-03-28 최선표 칠판 지우개
KR20120020785A (ko) * 2010-08-31 2012-03-08 이남연 마찰방식 칠판지우개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290U (ko) * 1990-03-15 1991-12-09
JP2000127687A (ja) * 1998-10-28 2000-05-09 Masahiro Sato チョーク粉 集塵機構内蔵黒板消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463Y1 (ko) * 2005-12-27 2006-03-28 최선표 칠판 지우개
KR20120020785A (ko) * 2010-08-31 2012-03-08 이남연 마찰방식 칠판지우개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5948A (zh) * 2014-10-30 2016-03-23 罗国友 一种高效的黑板擦
CN105415947A (zh) * 2014-10-30 2016-03-23 罗国友 一种带有粉尘收集器的黑板擦
CN105415943A (zh) * 2014-10-30 2016-03-23 罗国友 一种防尘黑板擦
CN105415942A (zh) * 2014-10-30 2016-03-23 罗国友 一种提高擦除效率的防尘黑板擦
CN105415943B (zh) * 2014-10-30 2017-01-18 张嘉慧 一种防尘黑板擦
CN105415948B (zh) * 2014-10-30 2017-01-18 亳州学院 一种高效的黑板擦
CN105415948B8 (zh) * 2014-10-30 2017-04-12 亳州学院 一种高效的黑板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5099A1 (ko)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7711A (en) Electric board cleaner
RU2014126079A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очистки
JPS6379623A (ja) ブラシクリ−ナ
KR101247541B1 (ko) 칠판지우개 장치
JP2009106908A5 (ko)
JP2010124879A (ja) 清掃具
US20110154608A1 (en) Multi-function board eraser structure
CN204256677U (zh) 一种笔记本电脑用防尘键盘
JP5371046B2 (ja) 除埃器
KR100913231B1 (ko) 전동식 흑판지우개
KR20120020785A (ko) 마찰방식 칠판지우개 제조방법
JP2008104633A (ja) 清掃装置及びフィルタを有する機器
JP4966595B2 (ja) 静電気クリーナー用除埃器
KR20090114765A (ko) 칠판지우개의 분필가루 흡입 장치
JP4106047B2 (ja) 黒板消しの構造
KR101663901B1 (ko) 전동지우개 겸용 지우개청소기
CN204222498U (zh) 一种吸尘黑板擦
KR101396694B1 (ko) 전동식 칠판 지우개
JP2000127687A (ja) チョーク粉 集塵機構内蔵黒板消し
CN110228315A (zh) 一种利用振动片振动毛刷的叶轮离心负压吸尘黑板擦
CN104309377A (zh) 一种吸尘黑板擦
KR200244367Y1 (ko) 칠판 지우개용 분필가루 털이장치
KR20170088107A (ko) 지우개가루 청소장치
KR200323700Y1 (ko) 칠판용 분필가루 받이장치
JP7356656B1 (ja) 清掃ローラおよび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