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436Y1 - 칠판용 지우개 털이기 - Google Patents

칠판용 지우개 털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436Y1
KR910007436Y1 KR2019890013911U KR890013911U KR910007436Y1 KR 910007436 Y1 KR910007436 Y1 KR 910007436Y1 KR 2019890013911 U KR2019890013911 U KR 2019890013911U KR 890013911 U KR890013911 U KR 890013911U KR 910007436 Y1 KR910007436 Y1 KR 910007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main body
motor
eras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672U (ko
Inventor
권오범
Original Assignee
권오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범 filed Critical 권오범
Priority to KR2019890013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436Y1/ko
Publication of KR9100056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6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4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1/00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 B43L21/02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with means for absorbing the chalk dust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칠판용 지우개 털이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일부절결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a : 상면부
1b : 단턱 1' : 센서구멍
4 : 브러시 11 : 발광체
12 : 수광체
본 고안은 칠판용 지우개 털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지우털이기 본체 내부에 흡인팬을 장착시켜 칠판 지우개를 본체 상부에 재치시켜 이동시킬때 적외선 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털이기가 가동하여 지우개에 묻은 분진등이 탈분될 수 있도록한 칠판용 지우개털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칠판용 지우개(이하 "지우개"라 한다)털이기(이하 "털이기"라 한다)로서 여러가지 제안된 바 있다.
털이기는 크게 나누어 수동식 털이기와 자동식 털이기로 구분지울 수 있는데, 전자는 그 동력상의 잇점으로 널리 보급시킬 수 있었으나 인위적인 수단에 의한 탈분작용 때문에 매우 번거로운 이유하에서 오늘날에 와서는 소비자들이 급격히 외면 하게 되었으며, 후자는 자동으로 지우개가 탈분되므로서 사용상의 편리함이나 건강상의 이유로 많이 실용화되고 있다.
따라서 후자의 개발에 따른 여러가지 털이기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제는 단순한 자동 탈분작용의 면뿐만이 아니라 제품의 고급화 추세에 부응하는 구조와 의장적인 심미감을 강조한 면까지도 고려하여야 하는 현실에까지 이르렀다.
본 고안은 상기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하는 것으로, 특히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인 1988년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4212호 "흡입식 칠판지우개 털이기"와 1989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3316호 "칠판용 지우개 털이기"의 개량에 관한 고안이다.
즉,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4212호(1988년 3월 29일 출원)에서 제안한 칠판지우개 털이기는 "상면부에 흡입구멍을 길게 뚫고 브러쉬를 상기 흡입구멍의 양측부에 고정부착한 구조와 장방향 본체의 일측에 함체형 분진통과 그 끝단부위에 필터체를 구비시키는 구조로 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출원에서 제안한 지우개 털이기는 그 분진 효과가 뛰어나지 못하고 지우개에 묻은 분진이 탈분되어 함체형 분진통내에 쌓이게 될때에 잦은 스위치의 구동으로 분진이 휘날리고 심지어는 흡입구멍으로 휘몰아쳐 역류하는 현상까지 초래하게 되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모터측으로의 필터효과도 떨어져 사용장소의 청결문제를 야기시켰던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후자에서 제안한 것은 누름스위치 부근을 통하여 분진이 흡입되어 원하는 분진통으로 흡인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기기자체가 매우 청결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기고 나아가서는 그의 장적 및 털이기의 청결한 사용을 위한 구성적 측면도 고려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지우개 털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장방형 본체(1) 일측부에 형성된 트인구멍부로 내부가 공간부(2')를 이루는 분진함(2)이 삽설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체(1) 상면부(1a)는 종방향 양측으로 단턱(1b)을 이루므로서 그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상면부(1a)의 치우친 일측부에 흡입구멍(5)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흡입구멍(5)을 통고한 브러시(4)가 상면부(1a)의 면으로부터 돌출형성 되도록 흡입구멍(5)의 저부양측에 나사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6은 메인스위치를 나타낸다.
제2도에서는 모터(M)와 팬(8)의 구성 및 분진팩(7)이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구동원으로서 모터(M)를 사용하고 분진을 흡입하는 팬(8)의 설치 구성과 분진을 수장하는 분진팬(7)을 채택한 것은 종래의 것과 별로 다르지 않다.
즉, 첨부도면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브러시(4)의 저면부의 연결구(10)와 연결되도록 한 사각형의 입구부(7')가 부착된 분진팩(7)을 이용하여 분진의 저장을 시도한 구성은 종래의 것과 같다.
도시하지는 아니 하였으나 본 고안은, 필터구멍에 삽입설치되는 원형유격체를 이용하여 분진팩(7)이 모터(M)측으로 쏠리지 않게 하고 있다.
상기 필터구멍은 상부체와 하부체가 조립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 필터구멍에 원통형의 원형유격체가 끼워지는 형식으로 조립되어진다.
즉, 이 원통유격체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깊이의 환설홈을 형성하고 그 원통내부는 다수개의 격판으로 형성하여 상기 환설홈에 상, 하부체의 턱부가 걸리도록 하여 끼워맞춤 시키는 설치구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에서 채택한 브러시(4)의 고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몸체(4')의 양측부에 보울트구멍(4a)을 형성하고 통상의 보울트(B)로 저면에서 상면을 향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1)의 상면부(1a)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브러시(4)가 설치되는 저부 근방에는 상술한 연결구(10)가 상면부(1a)와 일체로 저면을 향하여 돌출형성 되어 있다. 여러가지의 구성은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에서 제안한 것과 별로 다를바 없으나,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모터(M) 및 팬의 작동을 누름스위치에 의하여 시동되도록 한 구성에 대신하여 발광다이오우드에 의한 센서의 채택으로 시동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더욱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가운데 부호 11은 발광체, 12은 수광체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본체(1)의 단턱(1b)에 발광체(11)와 수광체(12)가 작동가능토록 센서구멍(1')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 센서구멍(1')은 매우 작은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고 발광체(11)가 위치되는 직선상의 타측 단턱(1b)의 수광체(12)에 빛을 받을 수 있도록 그 위치선정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제8도의 회로도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A회로는 정류회로로써 통상의 110V나 220V를 DC5V로 다운시켜서 본 고안의 전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공급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 정류회로(A)는 다이오우드(D1)와 저항(R1) (R2) 및 콘덴서(C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발광체(11)의 발광다이오우드(D2)와 수광체(11)의 수광 다이오우드(D3)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트랜지스터(Q1) 및 다이오우드(D4) 및 CDS소자와 트라이악(T)을 거친 일측단자가 상기 모터(M)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6도에서와 같이 통상의 지우개(P)를 상면부(1a)에 밀착시켜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시키게 되면, 메인스위치(6)가 온된상태, 즉 수광다이오우드(D3)가 발광다이오우드(D2)로 부터의 빛을 받으면 트랜지스터(Q1)을 통하여 다이오우드(D4)에의 전원을 차단시켜 이 다이오우드(D4)가 오프상태로 되고 따라서 CDS의 저항값이 커져 트라이익(T)이 오프되어 모터(M)에의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므로 모터(M)는 작동을 하지않는 상태에서 지우개(P)가 상기 단턱(1b)(1b)사이를 통과하게 되므로 센서구멍(1')을 막아 빛을 차단시키게 된다.
즉, 상기의 평상시와는 반대로 발광다이오우드(D2)의 빛이 지우개(P)에 의하여 차단이 되면 다이오우드(D4)에 전원이 연결되어 CDS의 저항값을 저하시키고 트라이악(T)을 온시켜 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므로서 이 모터(M)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모터(M)의 구동으로 흡인팬(8)은 회전하게 되고 외부 공기를 빨아들여 배기구멍(11)으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계속 행하게 된다.
이때 상면부(1a)에 재치된 지우개(P)를 계속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면 브러시(4)에 의하여 지우개(P)저면에 묻어있던 분필가루가 털어져서 흡입구멍(5)으로 들어가고 흡인팬(8)의 흡인력에 의하여 분필가루는 분진팩(7)내부에 차곡차곡 쌓이게 된다.
이 분진펙(7)은 메시가 고운 천이나 특수천으로 되어있어 공기는 통과시키고 분필가루는 통과시키지 않게 되므로 분필가루를 분진팬(7)에 모을 수 가 있는 것이다.
또 흡인팬(8)의 흡인력에 의하여 필터재(10)가 필터구멍(18)을 폐쇄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시하지 아니한 원형유격체를 설치하였으므로, 통상 스폰지등으로 구성되는 필터재(10)가 원형유격체의 격판에 의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필터작용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흡인팬(8)에 의하여 본체(1)내부, 즉 분진통(2)의 공간부(2')가 압력감소 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분진팩(7)이 허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된다.
다시 상술하면 분진팩(7)의 저부가 분진통(2)의 바닥면에 닿지 않고 일정간격을 두고 허공중에 매달리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분필가루는 동일한 압력상태로 되고 분진팩(7)의 전후 좌우로 고루 흡인되어 분진팩(7)의 중심부로 모여질때에 일정량이 모여져 그 압력을 상회하는 무게에 도달하게 되면 제3도에 화살표 방향으로 낙하하여 쌓이게 된다.
분진팩(7)과 필터재(19)를 통과한 공기는 제2도에서 표현한 배기구멍(11)을 통하여 본체(1)의 저부로 배출이 되는 것이다.
부호 2a, 12는 분진통(2)과 그 반대측의 본체(1) 저부에 오목하게 형성한 손잡이를 나타낸다.
상기 분진팩(7)에 대한 입구부(7')의 부착은 재봉작업이나 접착제등에 의한 접착수단을 이용하고 있다.
잦은 사용으로 인하여 분진팩(7)에 분진이 가득차게되면 손잡이(2a)를 이용하여 슬라이딩식으로 분진통(2)을 완전히 취출하고 분진팩(7)의 입구부(7')을 인위적으로 파지하여 연결구(10)에 억지끼워 맞춤되어 있는 상태의 분진팩(7)을 꺼내어 내용물(분필가루)을 비운후 다시 연결구(10)에 끼워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털이기의 문제점인 분진팩 이외의 것으로 흡인되는 분필가루의 임의의 흡인과, 이 흡인으로 인하여 모터에 손상을 주는 센서를 이용한 구성으로 해소하게 되었으며 필터구멍이 막히는 일이 없어 모터의 흡인효과를 높였으며 분필가루가 분진팩에서 흡인팬측으로 쏠리는 일이 없는등 그 기술적 개선효과 이외에도 털이기 본체의 상면부를 통상의 지우개를 재치하기 편리하도록 오목부로 형성하여 그 의장적인 심미감을 높였고 특히 첨단화되는 문구류의 시대적 요청에 부응한 구성을 채택하므로서 소음이나 진동이 없는 효과를 가지는 유용한 고안인다.

Claims (1)

  1. 본체(1)의 상면부(1a)에 흡입구멍(5)을 길게뚫고 이 상면부(1a)의 종방향 양측부를 단턱(1a)(1b)으로 형성하고 그 일측부를 경사부(1d)로 형성하며 그 내부에 모터(M)와 흡인팬(8)과 분진통(2)이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멍(5)을 통과하여 그 저부에서 고정되는 몸체(4')에 식설된 브러시(4)와 상기 본체(1)가 상하부체로 구분되어 조립되도록하고 상기 상면부(1a)의 흡입구멍(5)의 테두리를 따라 저면으로 돌출형성된 연결구(10)와, 이 연결구(10)에 끼워맞춤되는 분진팩(7)의 입구부(7')와, 상기 본체(1)의 저부 및 측부 일측에 각각 형성한 배기구멍(11) 및 오목손잡이(12)로 이루어진 칠판용 지우개 털이기에 있어서, 다이오우드(D1)의 저항(R1)(R2) 및 콘덴서(C1)로된 정류회로(A)와, 이 정류회로(A)에 발광다이오우드(D2) 및 수광다이오우드(D3)로된 적외선 센서를 직렬연결하며 장방향 본체(1)와 CDS소자로 이루어진 커플러(C1)의 트라이악(T)을 거친 단자와 정격전압의 일측단자를 상기 모터(M)에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용 지우개 털이기.
KR2019890013911U 1989-09-25 1989-09-25 칠판용 지우개 털이기 KR910007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911U KR910007436Y1 (ko) 1989-09-25 1989-09-25 칠판용 지우개 털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911U KR910007436Y1 (ko) 1989-09-25 1989-09-25 칠판용 지우개 털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672U KR910005672U (ko) 1991-04-22
KR910007436Y1 true KR910007436Y1 (ko) 1991-09-27

Family

ID=1929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911U KR910007436Y1 (ko) 1989-09-25 1989-09-25 칠판용 지우개 털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4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5136B (zh) * 2018-01-10 2023-09-26 西安航空学院 一种新型黑板擦
CN114194723B (zh) * 2021-12-25 2022-10-11 陈燕 可清除粉笔灰的教具存放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672U (ko) 199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5654A (en) Hand-held vacuum cleaner
US5537711A (en) Electric board cleaner
US5652997A (en) Auxiliary suction tool for use in a vacuum cleaner
ATE375714T1 (de) Vacuumstriegelgerät
KR910007436Y1 (ko) 칠판용 지우개 털이기
CN2082732U (zh) 吸取器具
US6279198B1 (en) Convertible wet/dry cleaning system
US5819368A (en) Metal colle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s
KR20100023988A (ko) 칠판지우개 털이개
CN2754904Y (zh) 可组合型集尘保健多功能黑板擦
KR0170848B1 (ko)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KR930003872A (ko) 습,건식 전기 소제기
JPS6337276Y2 (ko)
CN211534268U (zh) 浮动式刮条组件及清洁机器人
KR200398042Y1 (ko) 칠판지우개 털이장치
KR920001663B1 (ko) 진공청소기의 구석청소가 용이한 흡입구
JPH0526490U (ja) チヨークの粉が飛ばない黒板ふき
JPH01285232A (ja) 手持ち式クリーナ
CN2475574Y (zh) 电动吸尘黑板刷
JP3038444U (ja) 化学モップクリーナー
JPH0517006Y2 (ko)
KR880001961Y1 (ko) 칠판지우개의 자동털이기
KR950000114A (ko) 로보트 청소기
CN2343967Y (zh) 多功能方便鞋刷
KR20230172318A (ko) 청소기용 빛 조사부 및 이를 구비한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