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605Y1 - 선박용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605Y1
KR200397605Y1 KR20-2005-0021586U KR20050021586U KR200397605Y1 KR 200397605 Y1 KR200397605 Y1 KR 200397605Y1 KR 20050021586 U KR20050021586 U KR 20050021586U KR 200397605 Y1 KR200397605 Y1 KR 200397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steering
coupled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중
Original Assignee
김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중 filed Critical 김영중
Priority to KR20-2005-0021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6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6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 B63H25/10Steering gear with mechanical transmis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선박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펠러의 역회전에 따른 조향핸들의 원치 않은 회전을 차단하도록 조향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선박의 운행시, 조향핸들의 놓여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선박용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의 일단부가 결합되도록 축공이 형성되고, 그 내측 내주면에 내접기어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조향축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직경이 다른 제 1 기어 및 제 2 기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하부케이스의 설치시 상기 내접기어에 위치되는 축기어와, 상기 내접기어와 상기 축기어 사이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기어들;로 이루어진 감속 어셈블리와; 상기 조향축에 결합되도록 축공이 형성된 외주면에 걸림용 웜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축공의 상면으로 가림부가 연장 형성되며, 그 하면에는 고정축이 상기 기어들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방향조절판과, 상기 걸림용 웜기어에 결합되어 선회용 엔진부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로 이루어진 방향 조절 어셈블리와; 상기 조향축에 결합되도록 축공이 형성되고, 그 내측 내주면에 다수개의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에 단면형상이 반원을 갖는 구름면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편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구름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고정 어셈블리와; 상기 조향축에 축공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공을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장착홈이 형성되며, 그 조향축의 설치시 상기 구름지지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장착홈에 일측면이 결합됨과 동시에 타측면이 상기 구름지지부재의 구름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볼과, 상기 구름면에 상기 볼이 밀착되도록 상기 장착홈에 구비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조향축에 축공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 구비된 볼 및 압축코일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축공의 하부면에 형성된 연결축 내측에 연결기어가 상기 축기어의 제 2 기어에 치합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커버;로 이루어진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향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용 조향장치{Steering apparatus for a ship}
본 고안은 선박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향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선박의 운행시, 프로펠러의 역회전에 따른 조향핸들의 원치 않은 회전을 차단하여 조향핸들의 놓여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선박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모터보트 등에 조향장치(100)가 설치되며, 이중 모터보트를 예로 들어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사람이 승선되는 배의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일측에 배의 방향을 조정하는 조향핸들(300)과, 상기 조향핸들(300)을 제어하는 조향장치(100)와, 배의 뒤쪽에 위치되는 선회용 엔지부(400)와, 상기 선회용 엔진부(400)에 구비되어 배가 추진되도록 구비되는 추진 프로펠러(500)와, 상기 선회용 엔지부(500)와 조향장치(1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선회용 엔진부(500)가 선회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60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조향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조향장치(100)는 운행시, 조향핸들(300)을 어느 한 방향에 맞추어 놓을 경우, 추진 프로펠러(500)의 역회전에 따른 부하의 발생으로 상기 조향핸들(300)이 원치 않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종래의 조향장치(100)는 추진 프로펠러(500)의 역회전에 따른 부하의 발생으로 상기 조향핸들(3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조향장치(100)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 운행시 항상 조향핸들(300)을 잡고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로펠러의 역회전에 따른 조향핸들의 원치 않은 회전을 차단하도록 조향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선박의 운행시, 조향핸들의 놓여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선박용 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의 일단부가 결합되도록 축공이 형성되고, 그 내측 내주면에 내접기어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조향축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직경이 다른 제 1 기어 및 제 2 기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하부케이스의 설치시 상기 내접기어에 위치되는 축기어와, 상기 내접기어와 상기 축기어 사이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기어들;로 이루어진 감속 어셈블리와; 상기 조향축에 결합되도록 축공이 형성된 외주면에 걸림용 웜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축공의 상면으로 가림부가 연장 형성되며, 그 하면에는 고정축이 상기 기어들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방향조절판과, 상기 걸림용 웜기어에 결합되어 선회용 엔진부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로 이루어진 선회용 엔진부 조절 어셈블리와; 상기 조향축에 결합되도록 축공이 형성되고, 그 내측 내주면에 다수개의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에 단면형상이 반원을 갖는 구름면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편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구름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고정 어셈블리와; 상기 조향축에 축공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공을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장착홈이 형성되며, 그 조향축의 설치시 상기 구름지지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장착홈에 일측면이 결합됨과 동시에 타측면이 상기 구름지지부재의 구름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볼과, 상기 구름면에 상기 볼이 밀착되도록 상기 장착홈에 구비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조향축에 축공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 구비된 볼 및 압축코일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축공의 하부면에 형성된 연결축 내측에 연결기어가 상기 축기어의 제 2 기어에 치합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커버;로 이루어진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향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향장치를 분해하여 위에서 본 상태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향장치를 분해하여 아래에서 본 상태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의 Ⅰ - Ⅰ선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Ⅱ - Ⅱ선 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Ⅲ - Ⅲ선 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Ⅳ - Ⅳ선 종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Ⅴ - Ⅴ선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일부 절개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본 고안은 장축형태의 양단에 나사선(1a)(1b)이 형성되고, 그 중간부분은 단턱지게 형성되며, 단면의 직경이 큰 축부분에는 평면(1c)이 대칭되게 형성된 조향축(1)이 형성된다. 이때 나사선(1b)이 형성된 상기 조향축(1)의 일단에는 방향을 잡는 조향핸들(300)이 체결부재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조향축(1)의 일단부가 결합되도록 축공(2a)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그 내측 내주면에 내접기어(2b)가 형성된 하부케이스(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축공(2a) 내측에는 마모발생을 방지하도록 부싱(Busing)(B)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축공(2a)에 결합되는 상기 조향축(1)을 고정하도록 이를 고정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의 내접기어(2b)에는 수직방향으로 직경이 다른 제 1 기어(3a) 및 제 2 기어(3b)가 일체로 형성된 축기어(3)가 상기 조향축(1)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이어 상기 제 1 기어(3a) 및 제 2 기어(3b)로 이루어진 축기어(3) 중 제 2 기어(3b)에 치합하고, 상기 내접기어(2b)에 치합하도록 3개의 기어(4)들이 상기 내접기어(2b)와 상기 축기어(3) 사이에 구비되어 감속 어셈블리를 이룬다.
한편, 상기 조향축(1)에 결합되도록 축공(5a)이 형성된 외주면에 걸림용 웜기어(5b)가 형성되고, 상기 축공(5a)의 상면으로 가림부(5c)가 돌출 연장 형성되며, 그 하면에 3개의 고정축(5d)이 상기 기어(4)들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방향조절판(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방향조절판(5)은 제작상 상부판와 하부판로 분리되어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림부(5c)의 내측과 상기 기어(4)들의 내측에는 마모발생을 방지하도록 부싱(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림용 웜기어(5b)에 결합되어 선회용 엔진부(400)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일단에 스크류형태의 걸림부(6a)가 형성된 케이블(6)이 구비되어 방향 조절 어셈블리를 이룬다.
한편, 상기 조향축(1)에 결합되도록 관통된 축공(7a)이 형성되고, 그 내측 내주면에 다수개의 슬라이드 홈(7b)이 형성된 상부케이스(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7)의 내측에는 단면형상이 반원을 갖는 구름면(8a)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편(8b)이 상기 슬라이드 홈(7b)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구름지지부재(8)가 구비되어 고정 어셈블리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구름지지부재(8)는 횡단면의 전체 프로파일이 원형태을 이루며, 제작상 반원형상으로 분할되게 형성하여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축공(7a)에는 마모발생을 방지하도록 부싱(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향축(1)에 축공(9a)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공(9a)을 중심으로 장착홈(9b)이 방사형태로 형성되며, 그 조향축(1)상에 설치시, 상기 구름지지부재(8)의 내측에 위치되게 고정몸체(9)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축공(9a)은 조향축(1)에 형성된 평면(1c)이 접하도록 하여 상기 축공(9a)내에서 강기 조향축(1)이 헛돌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9b)의 한 쪽면은 반원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각의 상기 장착홈(9b)에 일측면이 포함됨과 동시에 타측면이 상기 구름지지부재(8)의 구름면(8a)에 포함되어 상기 구름면(8a)을 따라 구름 운동하도록 볼(10)이 구비되고, 상기 구름면(8a)에 상기 볼(10)이 밀착되도록 상기 장착홈(9b)에 압축코일스프링(1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향축(1)에 결합되도록 관통된 축공(120a)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9b)에 구비된 볼(10) 및 압축코일스프링(1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몸체(9)에 결합되며, 상기 축공(120a)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연결축(121) 내측에 연결기어(121a)가 상기 축기어(3)의 제 2 기어(3b)에 치합하도록 형성된 고정커버(120)가 구비되어 어셈블리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고정몸체(9)와 고정커버(120)에 체결공(9c)(120b)을 형성하여 체결부재로 이를 결합하게 되고, 상기 고정커버(120)의 상면에는 단면이 반원형상을 갖는 돌출된 다수개의 안전누름편(123)이 상기 장착홈(9b)에 삽입되어 상기 볼(10)을 감싸 고정하도록 상기 장착홈(9b)이 형성된 위치에 맞게 형성되고, 상기 안전누름편(123)의 일측에는 압축코일스프링(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23a)이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향핸들(300)의 정회전(시계의 방향)시 중심축인 상기 조향축(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향축(1)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기 축기어(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축(1)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내접기어(2b)에 치합되며, 상기 조향축(1)의 제 2 기어(3b)에 치합된 상기 기어(4)들을 시계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조향축(1)의 회전방향과 같은 시계방향으로 상기 내접기어(2b)에 맞물려 상기 기어(4)들이 이동되면 상기 방향조절판(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4)들이 이동된 거리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내접기어(2b)에 맞물려 이동되는 상기 기어(4)들은 상기 방향조절판(5)의 고정축(5d)이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방향조절판(5)이 상기 조향축(1)을 중심으로 상기 기어(4)들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기어(4)들이 이동된 거리만큼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방향조절판(5)의 회전은 걸림용 웜기어(5b)에 맞물려 있는 케이블(6)의 걸림부(6a)가 상기 방향조절판(5)의 회전방향(시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 선회용 엔진부(400)의 방향을 바꿔 배의 진로방향을 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향핸들(300)의 역회전(시계의 반대방향)시 중심축인 상기 조향축(1)을 시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조향축(1)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기 축기어(3)는 상기 조향축(1)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접기어(2b)에 맞물려 이동되는 기어(4)들은 상기 축기어(3)의 회전방향과 같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방향조절판(5)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판(5)의 걸림용 웜기어(5b)에 맞물려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는 상기 케이블(6)의 걸림부(6a) 방향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서 선회용 엔진부(500)의 방향을 다른 방향으로 바꿔 배의 진로방향을 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향축(1)의 하단부에 결합된 상기 축기어(3)의 제 1 기어(3a)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커버(120)의 연결축(121) 내측에 형성된 연결기어(121a)에 치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조향축(1)의 정, 역회전이 이루어지면 상기 축기어(3)의 제 1 기어(3a)에 결합된 상기 고정커버(120)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커버(120)와 결합된 상기 고정몸체(9)는 상기 조향축(1)의 평면(1c)에 상기 고정몸체(9)의 축공(9a)이 면접촉되어 상기 축공(9a)상에서 상기 조향축(1)이 헛돌지 않은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조향축(1)의 회전시, 상기 고정몸체(9)는 상기 조향축(1)의 회전력으로 회전되고, 상기 고정커버(120)는 축기어(3)의 회전력으로 회전되어 상기 조향축(1)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아 상기 고정커버(120) 및 고정몸체(9)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몸체(9)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상기 고정몸체(9)의 장착홈(9b)에 구비된 각각의 볼(10)들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11)의 탄성에 의해 구름면(8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구름면(8a)을 타고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7)의 슬라이드 홈(7b)에 상기 고정편(8b)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7) 내측에 고정된 상기 구름지지부재(8)의 구름면(8a)에 각각의 상기 볼(10)들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11)의 탄성에 의해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장착홈(9b)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볼(10)들은 상기 조향축(1)을 중심으로 상기 구름면(8a)에 대해 등간격으로 힘(P1,P2,P3,P4,P5,P6)이 고르게 분산되어 상기 조향축(1)이 상기 고정몸체(9)에 의해 자유회전이 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조향핸들(300)의 정, 역회전에 따른 본 고안의 조향장치를 보자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조향축(1)은 조향핸들(30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구름면(8a)에 대해 등간격으로 위치된 상기 볼(10)들과 함께 상기 고정몸체(9)가 회전되어 선회용 엔진부의 방향을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조향핸들(300)의 회전범위가, 예를 들어 시계 방향인 r1>r2>r3 회전범위 또는 시계 반대 방향인 r1>r6>r5 회전범위로 회전될 경우 상기 고정몸체(9)와 함께 이동되는 상기 볼(10)들이 상기 구름면(8a)을 따라 부드럽게 구름이동이 되어지므로 상기 조향핸들(300)의 회전 또한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조향핸들(300)의 회전범위가 시계 방향인 r1>r2>r3>r4 회전범위 내에 위치로 회전하거나, 시계 반대 방향인 r1>r6>r5>r4 회전범위 내에 위치로 회전될 경우 상기 구름면(8a)에 각각 위치된 볼(10)들이 압축코일스프링(11)의 탄성에 의한 힘(P1,P2,P3,P4,P5,P6)이 항상 고르게 분산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향핸들(300)을 임으로 회전하지 않은 한 상기 조향핸들(300)의 고정된 상태는 유지된다.
뿐만 아니라, 선회용 엔진부(400)에 위치된 추진 프로펠러(500)의 역회전에 따른 부하발생시, 상기 케이블에 구속되어 선회하는 상기 방향조절판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조향핸들(30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향장치(15)는 상기 조향핸들(300)을 어느 한 위치에 놓이게 한 상태에서 상기 조향핸들(300)을 잡지 않더라도 조향핸들(300)의 원치 않은 회전을 조향장치(15)가 차단하여 상기 조향핸들(300)이 놓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의 조향장치(15)는 조향핸들(300)의 방향전환이 상기 구름면(8a)을 타고 회전되는 상기 볼(10)들의 구름운동으로 부드럽게 이루어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의 조향장치(15)는 조향핸들(300)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한 후 조향핸들(300)을 잡지 않아도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항상 조향핸들(300)을 잡고 조정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고안의 조향장치(15)는 추진 플로펠러의 역회전에 따른 부하의 발생시 본 고안의 조향장치(15)에 의해 상기 조향핸들(300)이 원치 않은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향장치를 분해하여 위에서 본 상태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향장치를 분해하여 아래에서 본 상태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에 따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Ⅰ - Ⅰ선 횡단면도
도 7은 도 4의 Ⅱ - Ⅱ선 횡단면도
도 8은 도 4의 Ⅲ - Ⅲ선 횡단면도
도 9는 도 8의 Ⅳ - Ⅳ선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의 Ⅴ - Ⅴ선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일부 절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조향축 1c:평면
2:하부케이스 2a:축공
2b:내접기어 3:축기어
3a:제 1 기어 3b:제 2 기어
4:기어들 5:방향조절판
5a:축공 5b:걸림용 웜기어
5c:가림부 5d:고정축
6:케이블 6a:걸림부
7:상부케이스 7a:축공
7b:슬라이드 홈 8:구름지지부
8a:구름면 8b:고정편
9:고정몸체 9a:축공
9b:장착홈 10:볼
11:압축코일스프링 120:고정커버
120a:축공 121:연결축
121a:연결기어 123:안전누름편
123a:이탈방지턱

Claims (5)

  1. 조향축(1)과, 상기 조향축(1)의 일단부가 결합되도록 축공()이 형성되고, 그 내측 내주면에 내접기어(2b)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2)와, 상기 조향축(1)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직경이 다른 제 1 기어(3a) 및 제 2 기어(3b)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하부케이스(2)의 설치시 상기 내접기어(2b)에 위치되는 축기어(3)와, 상기 내접기어(2b)와 상기 축기어(3) 사이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기어(4)들;로 이루어진 감속 어셈블리와;
    상기 조향축(1)에 결합되도록 축공(5a)이 형성된 외주면에 걸림용 웜기어(5b)가 형성되고, 상기 축공(5a)의 상면으로 가림부(5c)가 연장 형성되며, 그 하면에는 고정축(5d)이 상기 기어(4)들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방향조절판(5)과, 상기 걸림용 웜기어(5b)에 결합되어 선회용 엔진부(400)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6);로 이루어진 방향 조절 어셈블리와;
    상기 조향축(1)에 결합되도록 축공(7a)이 형성되고, 그 내측 내주면에 다수개의 슬라이드 홈(7b)이 형성된 상부케이스(7)와, 상기 상부케이스(7)의 내측에 단면형상이 반원을 갖는 구름면(8a)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편(8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구름지지부재(8);로 이루어진 고정 어셈블리와;
    상기 조향축(1)에 축공(9a)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공(9a)을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장착홈(9b)이 형성되며, 그 조향축(1)의 설치시 상기 구름지지부재(8)의 내측에 위치되는 고정몸체(9)와, 상기 장착홈(9b)에 일측면이 결합됨과 동시에 타측면이 상기 구름지지부재(8)의 구름면(8a)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볼(10)과, 상기 구름면(8a)에 상기 볼(10)이 밀착되도록 상기 장착홈(9b)에 구비되는 압축코일스프링(11)과, 상기 조향축(1)에 축공(120a)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9b)에 구비된 볼(10) 및 압축코일스프링(1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몸체(9)에 결합되며, 상기 축공(120a)의 하부면에 형성된 연결축(121) 내측에 연결기어(121a)가 상기 축기어(3)의 제 2 기어(3b)에 치합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커버(120);로 이루어진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120)의 상면에는 단면이 반원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안전누름편(123)이 상기 장착홈(9b) 형성된 위치에 맞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누름편(123)의 일측에는 이탈방지턱(123a)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지지부재(8)는 반원형상으로 분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9)의 장착홈(9b) 일측면이 상기 볼(10)을 감싸도록 반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향장치.
KR20-2005-0021586U 2005-07-25 2005-07-25 선박용 조향장치 KR200397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586U KR200397605Y1 (ko) 2005-07-25 2005-07-25 선박용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586U KR200397605Y1 (ko) 2005-07-25 2005-07-25 선박용 조향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306A Division KR20070013004A (ko) 2005-07-25 2005-07-25 선박용 조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605Y1 true KR200397605Y1 (ko) 2005-10-05

Family

ID=4369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586U KR200397605Y1 (ko) 2005-07-25 2005-07-25 선박용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60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428B1 (ko) * 2006-06-28 2007-08-10 김영중 선박용 조향장치
KR200449517Y1 (ko) 2008-01-23 2010-07-15 김영중 선박의 조향장치용 헬름
KR100971276B1 (ko) 2008-05-29 2010-07-20 김영중 조향장치
CN111591416A (zh) * 2020-06-24 2020-08-28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新型动力传递系统及转向机构的水下探测机器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428B1 (ko) * 2006-06-28 2007-08-10 김영중 선박용 조향장치
KR200449517Y1 (ko) 2008-01-23 2010-07-15 김영중 선박의 조향장치용 헬름
KR100971276B1 (ko) 2008-05-29 2010-07-20 김영중 조향장치
CN111591416A (zh) * 2020-06-24 2020-08-28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新型动力传递系统及转向机构的水下探测机器人
CN111591416B (zh) * 2020-06-24 2024-03-26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动力传递系统及转向机构的水下探测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0342A (en) Universal tiller handle with shift and throttle
KR200397605Y1 (ko) 선박용 조향장치
JPS6044196B2 (ja) 舶用操舵装置
US20150151824A1 (en) Steering apparatus providing variable steering ratios
JP2017100672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70151386A1 (en) Shift mechanism for manual gearbox
JP6517466B2 (ja) 両軸受リール
JPWO2007083536A1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TWI750400B (zh) 回轉傳遞機構及具備此之釣具用捲線器
FR2839127A1 (fr) Dispositif d'actionnement a elements roulants intermediaires
TWI453145B (zh) 用於腳踏車內輪轂傳動之行星齒輪機構
EP1707472A1 (en) Variable steering ratio control apparatus with backlash adjustment structure
KR20070013004A (ko) 선박용 조향장치
US81718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mpening rudder vibration
JP4008577B2 (ja) 水上オートバイの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装置
US11890929B2 (en) Low cost stamped shift assembly and steering column
KR100748428B1 (ko) 선박용 조향장치
US4013155A (en) Single lever control unit with throttle lever
JP2007008216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150994A (ja) 差動歯車装置を用いた可変操舵角機構
JP2007314118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358999B1 (ko) 차량용 조향 안정성 향상장치
WO2024034432A1 (ja) 回転制限装置およびステアリング装置
JP2864445B2 (ja) 小型高速船舶用船外機の可変ピッチプロペラ装置
JP5091713B2 (ja) 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