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251Y1 - 안전모의 헤드밴드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모의 헤드밴드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251Y1
KR200397251Y1 KR20-2005-0019565U KR20050019565U KR200397251Y1 KR 200397251 Y1 KR200397251 Y1 KR 200397251Y1 KR 20050019565 U KR20050019565 U KR 20050019565U KR 200397251 Y1 KR200397251 Y1 KR 200397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and
headband
buckl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중
Original Assignee
최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혁중 filed Critical 최혁중
Priority to KR20-2005-0019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2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2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5Size adjustmen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모의 헤드밴드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직주벽(10)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수평상으로 나란하게 돌출되는 수평돌출부(12,12a)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부(12,12a)의 단부가 상기 수직주벽(10)과 나란하게 되는 내벽(13,13a)과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개의 걸림홈(20)이 형성된 고정밴드(2)가 삽입 가능하게 되며, 상기 수직주벽(10)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밴드(2)의 걸림홈(20)이 걸려지는 걸림돌기(11)가 형성되고, 걸림홈(20)이 걸림돌기(11)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11)의 상하부에서 수평돌출부(12,12a)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탄성편(14,14a,15,15a)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누름편(18,18a)이 수평돌출부에 마주보며 형성되면서, 상기 누름편(18,18a)의 안쪽으로 걸림돌기(11)를 향하는 가압편(17,17a)이 형성되어 헤드밴드의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전모의 헤드밴드 조절 장치{The head band control device of safety helmet}
본 고안은 안전모의 헤드밴드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주벽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수평상으로 나란하게 돌출되는 수평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수직주벽과 나란하게 되는 내벽과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고정밴드가 삽입 가능하게 되고, 상기 수직주벽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밴드의 걸림홈이 걸려지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걸림홈이 걸림돌기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의 상하부에서 수평돌출부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탄성편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누름편이 수평돌출부에 마주보며 형성되면서, 상기 누름편의 안쪽으로 걸림돌기를 향하는 가압편이 형성되어 헤드밴드의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안전모의 헤드밴드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장이나 공사 현장에서는 작업자의 머리를 호호하기 위하여 안전모를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모은 안쪽 공간에 사용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헤드밴드가 설치되고,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도록 헤드밴드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밴드 조절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 안전모의 헤드밴드 조절 장치는 실용신안등록 제20-270439호에 보고되었다.
상기 헤드밴드 조절 장치는 도 1에 나타나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밴드 조절 장치는 헤드밴드의 일측을 구성하며 외측에 걸림돌기(101)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일측 밴드부(100)와; 헤드밴드의 타측을 구성하며 외측에 상기 일측 밴드부(100)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111)가 형성된 타측 밴드부(110)와; 상기 타측 밴드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양측이 개구되어 상기 일측 밴드부(100)가 삽입되며 중앙부에 결합공(121)이 형성된 케이스(120)와; 상기 케이스(120)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 밴드부(100)가 삽입 안내되며 양벽면에 안내돌기가 형성된 몸체부(130)와; 상기 몸체부(130)와 일체로 형성되며 탄성적으로 상하로 유동되어 상기 몸체부(130)로 삽입된 일측 밴드부(100)의 걸림돌기(101)와 치합되어 상기 일측밴드부(100)를 걸림/해제시키는 걸림수단(140); 그리고, 상기 몸체부(130)의 안내돌기(132)를 따라 좌우로 유동되어 상기 걸림수단(140)에 하방압력을 전달시키는 가압수단(15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헤드밴드 조절 장치는 걸림돌기(101)가 형성되는 밴드부(100)와, 가이드 돌기(111)와 케이스(120)가 형성되는 타측 밴드부(110)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걸림수단(140)과 가압수단(150)이 상기 밴드부와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조립되어야 함으로 부품수 증가로 인한 원가 상승과 생산 및 조립공정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밴드를 조절할 때에는 가압수단(150)을 밴드의 진행 방양으로 밀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가압수단(150)을 밀어주는 힘이 타측 밴드부(110)에 면접촉을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마찰력이 크게 작용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102)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은 타측 밴드부(110)의 케이스(120) 주변부를 움켜잡고 작동시켜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동반하게 된다.
이는 작업장에서 외부인들의 출입을 위하여 비치하는 안전모의 경우에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신체 조건에 적당하게 헤드밴드의 크기를 빈번하게 변경시켜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밴드의 조절 작업이 수월하지 않을 경우에는 많은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밴드에서 한쪽 단부에 걸려서 잠겨지는 밴드를 해정시키는 일련의 구조물을 헤드밴드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간편함은 물론이고, 해정시키는 기구물 들을 별도로 조립할 필요가 없게 되고, 보다 단순화된 구조에 의하여 헤드밴드가 형성하는 내경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밴드를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 또한 간편한 작동으로 결합된 밴드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모의 헤드밴드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직주벽의 내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수평상으로 나란하게 돌출되는 수평돌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주벽과 나란하게 되는 내벽이 일체로 형성되는 버클과, 일측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밴드로 되어 상기 버클의 수직주벽과 내벽이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밴드가 삽입되어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결합되는 헤드밴드 조절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가 버클의 수평돌출부 사이에 형성되고, 수평돌출부에는 걸림홈이 걸림돌기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좌우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탄성편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누름편이 마주보면서 형성되며, 상기 누름편의 안쪽으로는 걸림돌기를 향하는 가압편이 걸림돌기를 향하여 형성되어, 누름편을 누를 때에 가압편이 걸림돌기에 고정된 고정밴드를 이탈시키게 되는 것을 구조적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버클의 수직주벽과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밴드를 삽입하면 밴드에 형성된 걸림홈이 수직주벽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와 결합되면서 밴드가 원하는 위치에서 결정되어 헤드밴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누름편을 누르면 탄성편의 탄성이 축적되면서 가압편이 밴드를 밀어내어 걸림돌기로부터 걸림홈이 이탈됨으로써 밴드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안전모와 헤드밴드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헤드밴드에서 버클과 밴드가 분리된 상태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안전모(A)의 안쪽에는 헤드밴드(B)가 리벳(rivet) 또는 걸고리와 같은 통상적인 고정수단(C)으로 고정되고, 상기 헤드밴드(B)는 통상적인 구조와 같이 안전모(A)의 입구 안쪽에서 단면이 수직으로 되는 상태로 고정되어서 사용자의 머리에서 이마 부위를 포함하여 머리 둘레에 접촉하는 접촉밴드(D)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밴드(D)는 앞쪽이 분리되어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추어서 결합될 수 있도록 버클(1)과 고정밴드(2)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한 헤드밴드(B)의 접촉밴드(D)와 버클(1) 및 고정밴드(2)는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버클(1)은 수직주벽(10)의 안쪽 면에 두 개의 걸림돌기(11)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수평상으로 나란하게 돌출되는 수평돌출부(12,12a)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1)는 고정밴드(2)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밴드(2)가 진입되는 쪽은 수직주벽(10)에 대하여 입구쪽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면(110)이 형성되고, 경사면(110)의 끝 부분은 수직주벽(1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111)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돌출부(12,12a)의 단부에는 고정밴드(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주벽(10)과 나란한 내벽(13,13a,13b)이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벽(13,13a)은 걸림돌기(11)를 중앙에 두고 양쪽에 형성되어 걸림돌기(11)에 결합된 고정밴드(2)가 이탈될 수 있도록 개방된 공간(S)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내벽(13,13a) 사이에서 수평돌출부(12,12a)에는 걸림돌기(11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밴드(2)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해정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해정수단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수평돌출부(12,12a)에서 대칭으로 형성되면서, 또한 상부의 수평돌출부(12)와 하부의 수평돌출부(12)에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동시에 협력하여 고정밴드(2)가 걸림돌기(11)에서 이탈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해정수단은 상부의 수평돌출부(12)에서 바깥쪽으로 만곡된 곡면을 형성하며 한쪽 단부가 수평돌출부(12)에 일체로 되어 마주보는 위치에서 형성되는 두 개의 탄성편(14,15)과, 상기 탄성편(14,15)이 마주보는 단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편(16)과, 상기 연결편(16)의 안쪽 중앙 부위에서 걸림돌기(11)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압편(17)과, 상기 연결편(16)의 바깥쪽 중앙 부위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누름편(18)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편(17)은 고정밴드(2)의 모서리와 접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경사면(170)과 제2경사면(17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해정수단은 상기한 상부의 수평돌출부(12)에 형성되는 해정수단에 대향하는 하부의 수평돌출부(12a)에서 바깥쪽으로 만곡된 곡면을 형성하며 한쪽 단부가 수평돌출부(12a)에 일체로 되어 마주보는 위치에서 형성되는 두 개의 탄성편(14a,15a)과, 상기 탄성편(14a,15a)이 마주보는 단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편(16a)과, 상기 연결편(16a)의 안쪽 중앙 부위에서 걸림돌기(11a)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압편(17a)과, 상기 연결편(16a)의 바깥쪽 중앙 부위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누름편(18a)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편(17a)은 고정밴드(2)의 모서리와 접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경사면(170a)과 제2경사면(171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밴드(2)는 버클(1)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1)에 의하여 의도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는 걸림돌기(11)의 경사면(110)과 수직면(111)에 대응하는 경사면(210)과 수직면(211)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탄성편(14,14a,15,15a)에 의하여 유지되고 있는 가압편(17,17a)이 버클(1)에 삽입되는 고정밴드(2)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버클(1)에서 수직주벽(10)과 내벽(13,13a)이 형성하고 있는 공간으로 고정밴드(2)의 단부를 삽입하면, 고정밴드(2)는 버클(1)의 수평돌출부(12)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밴드(2)는 걸림홈(20)에 형성된 경사면(210)이 버클(1)의 걸림돌기(11)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110)에 접촉하면서 적은 마찰저항을 받으면서 점차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버클(1)의 수평돌출부(12)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밴드(2)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전모(A)를 착용할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는 임의의 위치에서 수직주벽(10)과 내벽(13,13a)에 지지되고,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돌기(11)와 걸림홈(20)이 결합됨으로써 고정밴드(2)가 버클(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밴드(B)의 크기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편(18,18a)을 동시에 누르면, 가압편(17,17a)에 형성되어 있는 제1경사면(170)과 제2경사면(171)이 고정밴드(2)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가압하게 되고, 이러한 가압력에 의하여 해당하는 구역의 고정밴드(2)는 내벽(13,13a)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S)을 통하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상선 E의 위치로 밀려 나오면서 걸림홈(20)이 걸림돌기(11)에서 빠져 나와서 고정된 상태가 해제됨으로서 고정밴드(2)의 위치를 다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고정밴드(2)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었을 때, 손으로 누르고 있었던 누름편(18,18a)을 놓아 가압력을 제거하면 탄성편(14,14a,15,15a)에 축적되어 있었던 탄성력에 의하여 누름편(18,18a)과 가압편(17,17a)이 처음의 위치에 복귀하게 되고, 걸림홈(20)이 걸림돌기(11)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해정수단을 포함하는 버클이 헤드밴드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제작시 별도의 조립 작업을 필요치 않게 됨으로 안전모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밴드의 위치 조정은 양쪽에서 누름편(18,18a)을 누르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안전모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안전모 헤드밴드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안전모와 헤드밴드를 분리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결합되기 전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라 고정밴드의 고정 상태가 해체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라 고정밴드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버클 2 : 고정밴드
12·12a : 수평돌출부 13·13a : 내벽
14·14a·15·15a : 탄성편 16·16a : 연결편
17·17a : 가압편

Claims (1)

  1. 수직주벽의 내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수평상으로 나란하게 돌출되는 수평돌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주벽과 나란하게 되는 내벽이 일체로 형성되는 버클과, 일측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고정밴드로 되어 상기 버클의 수직주벽과 내벽이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고정밴드가 삽입되어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결합되는 헤드밴드 조절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가 버클의 수평돌출부 사이에 형성되고, 수평돌출부에는 걸림홈이 걸림돌기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좌우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탄성편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누름편이 마주보면서 형성되며, 상기 누름편의 안쪽으로는 걸림돌기를 향하는 가압편이 걸림돌기를 향하여 형성되어, 누름편을 누를 때에 가압편이 걸림돌기에 고정된 고정밴드를 이탈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헤드밴드 조절 장치.
KR20-2005-0019565U 2005-07-05 2005-07-05 안전모의 헤드밴드 조절 장치 KR200397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65U KR200397251Y1 (ko) 2005-07-05 2005-07-05 안전모의 헤드밴드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65U KR200397251Y1 (ko) 2005-07-05 2005-07-05 안전모의 헤드밴드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251Y1 true KR200397251Y1 (ko) 2005-09-29

Family

ID=4369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565U KR200397251Y1 (ko) 2005-07-05 2005-07-05 안전모의 헤드밴드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2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2760B2 (ja) コードロック
US8146211B2 (en) Slide adjuster for belt and buckle
US9113680B2 (en) Buckle
US8402569B2 (en) Swim goggles
US20080115334A1 (en) Drawstring toggle
US10813416B2 (en) Sliding-type locking buckle
WO1999053792A1 (fr) Boucle et bande equipee de cette boucle
US9820523B2 (en) Adjustment device of the position of a first part with respect to a second part and protective helmet comprising one such device
TW202014614A (zh) 扣件結構及扣件結構之組裝方法
US8266725B2 (en) Swimming goggles
US6711922B1 (en) Mechanism of a combination lock for beginning and ending combination-changing operation
KR200397251Y1 (ko) 안전모의 헤드밴드 조절 장치
KR200476926Y1 (ko) 착탈식 버클
US7059420B1 (en) Structure for fastening detachably blade with handle of gardening implements
TWM559826U (zh) 自行車載運裝置之固定機構
JP2008167789A (ja) 装身具
WO2022247240A1 (zh) 头戴组件和头戴显示设备
KR20100003988U (ko) 안전모용 턱끈
TWM474533U (zh) 供防墜器使用之連接裝置
KR200185145Y1 (ko) 모자용 조절구
JP2009056302A (ja) バックル
CN219628959U (zh) 一种侧压同模绳扣
KR200299369Y1 (ko) 안전모용 턱끈의 결합구조
JP5894204B2 (ja) ヘッドバンドのバックル
JP3087730U (ja) レールの前引張式ロック解除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