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972Y1 -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 - Google Patents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972Y1
KR200396972Y1 KR20-2005-0019642U KR20050019642U KR200396972Y1 KR 200396972 Y1 KR200396972 Y1 KR 200396972Y1 KR 20050019642 U KR20050019642 U KR 20050019642U KR 200396972 Y1 KR200396972 Y1 KR 200396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slip plate
slip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순
Original Assignee
헤스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스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헤스본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9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9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7Surface 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5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wheel align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10Wheel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후륜의 상태 그대로 정확하게 움직이도록 하여 캠버각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차량의 후륜이 각각 얹혀지면서 바깥쪽으로 각각 이동되는 슬립판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핀을 형성하고, 양 리프트 프레임에는 슬립판의 가이드핀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좌우방향이 긴 가이드홀을 각각 형성하여 슬립판을 리프트 프레임에 얹으면서 가이드홀에 가이드핀을 끼워 구성하는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에 있어서, 중간이 비어있는 4각의 프레임과 그 공간 중앙에 위치된 고정링의 사이에 다수의 인장스프링이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지지판을 다수개 마련하여 각각의 고정링을 리프트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하되, 지지판의 프레임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볼수용홀을 형성하여 여기에 각각 볼을 위치시키며, 지지판의 위에 슬립판을 얹어 구성함으로써 슬립판에 가해지는 압력의 방향에 상관없이 스립판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어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Side slip apparatus of rear wheel in wheel alignment lift}
본 고안은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후륜의 상태 그대로 정확하게 움직이도록 하여 캠버각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차량의 현가장치 및 조향장치의 모든 부속품은 해당되는 차량의 설계 규격에 따라 정확하게 조립되어야 하는바, 이러한 모든 부속품의 상호 결합 상태 중 바퀴 정렬이 가장 기본이 되며, 정확한 바퀴정렬이란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마찰력, 가속도, 원심력 및 구동력에 의해 차량에 발생되는 모든 힘을 균형시켜 주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전차륜 정렬 또는 휠 얼라인먼트(Wheel Alignment)라 하는데, 이러한 휠 얼라인먼트, 즉 바퀴의 정렬상태가 정확할 경우에는 차량을 유연하게 운행할 수 있으며, 노면과 타이어간의 접촉성을 한층 더 우수하게 부여하게 되고, 조향성능이 향상되며, 직진이나 회전중에 더욱 안정된 주행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휠 얼라인먼트에 있어서 전륜의 경우 차량 운행시의 원심력과 가속에 따른 벌어짐 특성과 조향특성을 고려하여 위에서 보았을 때 앞쪽이 약간 모아지도록 구성하게 되며(토우인), 또 바퀴가 하중에 의해 아래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주행중 바퀴가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며 오프셋량을 작게하여 조향을 용이하게 하는 등의 목적으로 앞쪽에서 보았을 때 아래쪽이 약간 모아지도록 구성하게 되며, 차량 주행중 조향 안정성을 위해 앞쪽에서 보았을 때 조향축이 뒤쪽으로 비스듬하게 장치되도록 구성하게 되고, 후륜의 경우 조향에 관여하지 않으므로 바퀴가 하중에 의해 아래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주행중 바퀴가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목적으로 앞쪽에서 보았을 때 아래쪽이 약간 모아지도록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차량의 휠 얼라인먼트를 측정하는 장치는 차량을 들어 무부하상태에서 차량을 서서히 내려놓으면서 전륜 또는 후륜이 차량 자체의 무게에 따라 어떠한 각도로 벌어지거나 회전하는지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바, 리프트의 안쪽에 차량을 받쳐 들 수 있는 리프트가 하나더 구비되고, 차량의 전륜이 접촉되는 부위에는 전륜이 서서히 얹혀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벌어지면서 회전될 수 있는 전륜 슬립장치가 구성되고, 차량의 후륜이 접촉되는 부위에는 후륜이 서서히 얹혀지는 과정에서 양측방으로 자연스럽게 벌어지는 후륜 슬립장치가 구성되며, 각 바퀴에는 토우각, 캠버각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장착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차량의 토우각, 캠버각 등이 차량 원래의 재원과 얼마나 다르고, 또 각 바퀴가 측정치가 어떻게 다른지를 측정하여 차량에 맞게 휠 얼라인먼트를 조정해주는 것이다.
이때, 차량의 후륜과 접촉되는 후륜 슬립장치는 후륜이 차량 자체의 무게에 따라 측방으로만 벌어지므로 이를 후륜 사이드슬립장치라 부르기로 한다.
종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프레임(1)의 상부에 테두리는 바닥면과 밀착되고 중간은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떠있는 형상의 지지판(2)이 얹혀지고, 지지판(2)의 중간중간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장공(3)이 각각 형성되어 여기에 장공(3)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진 봉상의 구름롤러(4)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위치되며, 지지판(2)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2)의 각 장공(3) 사이에는 그 저면이 리프트 프레임(1)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홈(5)이 형성되어 여기에 누름볼(6)이 각각 구비되고, 지지판(2)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2개씩의 가이드홀(7)이 형성되며, 리프트 프레임(1)의 가이드홀(7) 대응부위에도 좌우방향으로 긴 형상의 가이드홀(8)이 형성되고, 차량(V)의 후륜이 얹혀지는 슬립판(9)의 양측에는 각 가이드홀(7)(8)에 대응되는 가이드핀(10)이 하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어 슬립판(10)의 저면이 각 구름롤러(4) 및 각 누름볼(6)과 접촉된 상태로 그 가이드핀(10)이 각 가이드홀(7)(8)을 통과하여 리프트 프레임(1)의 저면에서 고정와셔(11)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바, 도 2와 같이 최초 각 슬립판(9)을 밀어 리프트 프레임(1)의 안쪽 벽면에 밀착시켜놓은 상태에서 차량(V)을 서서히 하강시키면 후륜이 슬립판(9)에 얹혀지면서 차량(V)의 무게에 의해 서서히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고, 슬립판(2) 역시 각 구름롤러(4)에 의해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차량(V)을 완전히 내려준 후 그 캠버각을 측정하는 것이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2는 슬립판 고정핀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후륜 사이드슬립장치는 결국 슬립판과 구름롤러가 접촉되면 구름롤러가 지지판의 장공을 따라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결국 슬립판이 정확하게 좌우방향으로만 밀리도록 하는 것이지만 차량의 전장이 차종마다 모두 다르므로 후륜이 항상 슬립판의 중앙부위에 위치되지는 않으며, 이로 인해 지지판에 편하중이 발생되어 이러한 편하중에 의해 슬립판과 구름롤러의 접촉시 틀어짐이 발생되면서 구름롤러와 지지판의 장공 측벽이 서로 마찰되며, 결국 그 마찰저항으로 인해 슬립판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슬립판과 구름롤러가 선접촉을 하게 되어 그 접촉면적이 크고, 구름롤러가 구르면서 지지판 역시 약간의 유동이 필요한데 차량의 후륜이 볼을 눌러 지지판이 리프트 프레임과 강하게 접촉하고 있으므로 지지판이 전혀 유동되지 않아 슬립판의 동작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감안하여 지지판을 리프트 프레임에 접촉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지지판이 구름롤러의 이동과 함께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나 이럴 경우 지지판이 들떠 구름롤러가 지지판 밑으로 들어가버리게 되므로 구조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아울러, 슬립판은 차량 후륜의 캠버각 측정시마다 매번 안쪽으로 밀어주어 리프트 프레임의 안쪽벽에 밀착시켜주어야 하였으므로 사용이 불편한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중간이 비어있는 4각의 프레임과 그 공간 중앙에 위치된 고정링의 사이에 다수의 인장스프링이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지지판을 다수개 구비하여 리프트 프레임에 나란하게 고정하고, 지지판의 프레임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볼수용홀을 형성하여 여기에 각각 볼을 위치시키며, 지지판의 위에 슬립판을 얹어 구성함으로써 슬립판 위에 차량의 후륜이 얹혀질 때 슬립판이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후륜의 캠버각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견지로는, 슬립판 양측의 가이드핀과 리프트 프레임의 저면 안쪽 사이에 인장스프링을 각각 연결하여 슬립판을 항상 리프트 프레임 안쪽 벽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후륜 사이드슬립장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판의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프레임 저부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는, 차량(V)의 후륜이 각각 얹혀지면서 바깥쪽으로 각각 이동되는 슬립판(101)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핀(103)을 형성하고, 양 리프트 프레임(102)에는 슬립판(101)의 가이드핀(103)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좌우방향이 긴 가이드홀(104)을 각각 형성하여 슬립판(101)을 리프트 프레임(102)에 얹으면서 가이드홀(104)에 가이드핀(103)을 끼워 구성하게 된다.
또한, 중간이 비어있는 4각의 프레임(201)과 그 공간 중앙에 위치된 고정링(202)의 사이에 다수의 인장스프링(203)이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지지판(200)을 다수개 마련하여 각각의 고정링(202)을 리프트 프레임(102)의 상부에 고정하되, 지지판(200)의 프레임(201)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볼수용홀(204)을 형성하여 여기에 각각 볼(205)을 위치시키며, 지지판(200)의 위에 슬립판(101)을 얹어 구성한 것이다. 도면상에는 지지판(200)에 2개의 공간을 형성하여 각 공간의 중앙에 고정링(202)을 각각 구비하고, 고정링(202)과 프레임(201)의 사이에 4개씩의 인장스프링(203)을 연결하여 구성하며, 이러한 지지판(200)을 5개 설치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아울러, 가이드핀(103)과 리프트 프레임(102)의 저면 안쪽 사이에는 인장스프링(105)을 각각 연결하여 슬립판(101)을 상시 리프트 프레임(101) 안쪽 벽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06은 가이드핀(103)에 끼워지는 고정와셔를 나타내고 107은 슬립판(101)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의 작용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차량(V)을 리프트 프레임(102) 위로 서서히 하강시키면 후륜이 각각 슬립판(101)에 얹혀지면서 차량의 무게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고, 슬립판(101)의 저부는 지지판(200)의 볼(205)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슬립판(101)의 위쪽에서 차량(V)의 후륜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되면 슬립판(101)은 자연스럽게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차량(V)을 완전히 내려준 후 그 캠버각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슬립판(101)은 그 양측의 가이드핀(103)이 리프트 프레임(102)의 가이드홀(104)에 끼워져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지만 차량(V)의 후륜이 얹혀지는 부위가 항상 슬립판(101)의 중앙부위가 되지는 않으므로 이러한 편하중에 의해 약간은 틀어질 수도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립판(101)의 저부는 지지판(200)에 구비된 다수의 볼(205)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슬립판(101)이 정확하게 좌우방향으로 힘을 받지 않고 약간 틀어지더라도 어떠한 방향으로든 구를 수 있으며, 이러한 볼(205)의 구름방향에 따라 지지판(200)의 프레임(201)이 탄력적으로 같이 움직일 수 있어 슬립판(200)의 이동이 매우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고, 슬립판(101)과 볼(205) 사이가 점접촉되어 접촉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슬립판(101)과 볼(205) 사이의 마찰력 역시 최소화되어 차량(V) 후륜의 원래 캠버각에 맞게 슬립판(101)이 정확히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슬립판(101) 위에 얹혀졌던 차량(V)을 이동시켜 슬립판(101)에 가해졌던 압력을 해제하면 이동되어 있던 각 지지판(200)은 인장스프링(203)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슬립판(101) 역시 그 가이드핀(103)과 리프트 프레임(102) 저면 안쪽 사이에 연결된 인장스프링(105)에 의해 리프트 프레임(102)의 안쪽 벽면과 밀착되어 대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슬립판과 리프트 프레임 상부의 사이에 볼이 위치되어 있으므로 슬립판 위에 차량의 후륜이 얹혀져 바깥쪽으로 벌어질 때 그 힘이 정확하게 좌우방향이 아니고 약간 틀어진 방향으로 작용되더라도 슬립판을 저항없이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볼과 슬립판이 점접촉하게 되므로 그 마찰저항도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어 슬립판을 더욱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슬립판의 가이드핀과 리프트 프레임의 저면 안쪽 사이에 인장스프링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슬립판을 상시 리프트 프레임의 안쪽 벽면에 밀착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의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c는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 동작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판의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프레임 저부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의 동작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슬립판 102 : 리프트 프레임
103 : 가이드핀 104 : 가이드홀
105,203 : 인장스프링 106 : 고정와셔
107 : 고정핀 200 : 지지판
201 : 지지판의 프레임 202 : 고정링
204 : 볼수용홀 205 : 볼

Claims (2)

  1. 차량(V)의 후륜이 얹혀지면서 바깥쪽으로 각각 이동되는 슬립판(101)의 양측에 각각 가이드핀(103)을 형성하고, 양 리프트 프레임(102)에는 상기 슬립판(101)의 가이드핀(103)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좌우방향이 긴 가이드홀(104)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슬립판(101)을 상기 리프트 프레임(102)에 얹으면서 상기 가이드홀(104)에 상기 가이드핀(103)을 끼워 구성하는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에 있어서,
    중간이 비어있는 4각의 프레임(201)과 그 공간 중앙에 위치된 고정링(202)의 사이에 다수의 인장스프링(203)이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지지판(200)을 다수개 마련하여 각각의 고정링(202)을 상기 리프트 프레임(102)의 상부에 고정하되, 상기 지지판(200)의 프레임(201)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볼수용홀(204)을 형성하여 여기에 각각 볼(205)을 위치시키며, 상기 지지판(200)의 위에 상기 슬립판(101)을 얹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103)과 상기 리프트 프레임(102)의 저면 안쪽 사이에는 인장스프링(105)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슬립판(101)을 상시 상기 리프트 프레임(102) 안쪽 벽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
KR20-2005-0019642U 2005-07-06 2005-07-06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 KR200396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642U KR200396972Y1 (ko) 2005-07-06 2005-07-06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642U KR200396972Y1 (ko) 2005-07-06 2005-07-06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972Y1 true KR200396972Y1 (ko) 2005-09-28

Family

ID=4369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642U KR200396972Y1 (ko) 2005-07-06 2005-07-06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97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413B1 (ko) 2008-09-03 2011-03-08 헤스본주식회사 휠 얼라인먼트용 턴테이블 및 그 턴테이블 제작방법
KR101457606B1 (ko) * 2013-12-23 2014-11-10 주식회사 파워렉스코리아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차륜슬립 지지플레이트
CN113603005A (zh) * 2021-09-06 2021-11-05 中意泰达(营口)汽车保修设备有限公司 侧滑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413B1 (ko) 2008-09-03 2011-03-08 헤스본주식회사 휠 얼라인먼트용 턴테이블 및 그 턴테이블 제작방법
KR101457606B1 (ko) * 2013-12-23 2014-11-10 주식회사 파워렉스코리아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차륜슬립 지지플레이트
CN113603005A (zh) * 2021-09-06 2021-11-05 中意泰达(营口)汽车保修设备有限公司 侧滑结构
CN113603005B (zh) * 2021-09-06 2024-05-17 中意泰达(营口)汽车保修设备有限公司 侧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36876A1 (ja) タイヤ試験機
US7392693B2 (en) Test stand for motor vehicles
KR200396972Y1 (ko)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
JP2010203908A (ja) タイヤの転がり抵抗測定装置
US6345237B1 (en) Vehicle inspection device
KR101416732B1 (ko) 타이어 쏠림 성능 평가 장치
CN108760339B (zh) 一种车辆检验台
KR101777024B1 (ko) 편심축하중 측정장치를 가진 자동차검사용 제동시험기
US20160266011A1 (en) Device for measuring tread ring rigidity and method for measuring uniformity of tread ring
KR100212523B1 (ko) 자동차의 코일스프링 상수 측정장치
JP2001018830A (ja) ホイールアライメント調整装置
ITMO20100330A1 (it) Attrezzatura per banchi di prova dell'impianto frenante di veicoli
KR200406006Y1 (ko) 휠얼라인먼트용 리프트의 후륜 사이드슬립장치
JP2006208205A (ja) タイヤ保持装置
JP3396167B2 (ja) 車両ホイールの位置測定装置
KR101020413B1 (ko) 휠 얼라인먼트용 턴테이블 및 그 턴테이블 제작방법
JP4031151B2 (ja) 車両案内装置
CN208313595U (zh) 车辆检验台
JP2019086384A (ja) タイヤの接線方向荷重計測装置およびタイヤの転がり抵抗評価装置
CN111071292A (zh) 变轨距轮对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214952186U (zh) 耦合刚度试验台
JPH0882578A (ja) 車両のスタビリティ測定装置
KR200301253Y1 (ko) 자동차용 검사기의 답판이송구조
KR102570929B1 (ko) 상하이동식 슬립바를 포함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테스터 장치
JP2006047251A (ja) 車両装着タイヤの接地状態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