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809Y1 - 마루바닥용 마감부재 - Google Patents

마루바닥용 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809Y1
KR200396809Y1 KR20-2005-0018650U KR20050018650U KR200396809Y1 KR 200396809 Y1 KR200396809 Y1 KR 200396809Y1 KR 20050018650 U KR20050018650 U KR 20050018650U KR 200396809 Y1 KR200396809 Y1 KR 200396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cap
upper cap
longitudinal direction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20-2005-0018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8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8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루바닥용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마루바닥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상부캡과 하부캡으로 구성되는 마루바닥용 마감부재에 있어서, 하부에 소정길이의 끼움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되, 상기 끼움부재의 일측면에만 제1돌기부가 형성된 상부캡과; 상부에 소정길이의 걸림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되, 일측면에만 상기 제1돌기부와 대응되는 제2돌기부가 형성된 하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마루바닥용 마감부재 { floor's ending cap }
본 고안은 마루바닥용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루바닥의 끝단에 설치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마루바닥용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바닥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면에 나무재질의 마루바닥을 설치하게 되는데, 마루바닥의 끝단과 벽면이 접하는 부위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마루바닥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기 위해 마루바닥의 끝단과 벽면에 접하는 소정의 마감부재를 설치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마감부재(A')는 하부에 끼움부재(22')가 형성되며 마루바닥(2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부캡(2')과, 상기 끼움부재(22')가 끼워지는 결합부재(42')가 형성되며 마루바닥(200')의 하면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캡(2')에 맞대어져 끼움결합되는 하부캡(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감부재(A')는 마루바닥(200')을 사이에 두고 상부캡(2')과 하부캡(22')이 끼움결합된 채 일측면이 벽면(3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캡(4')의 결합부재(42')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야 하며 내측에는 상기 끼움부재(22')가 끼워지는 소정의 결합홈(420')이 별도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결합부재(42')를 성형시키는 공정이 까다로워서 불량품이 발생될 확률이 높으며, 아울러 구성이 다소 복잡하여 제조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상기 상부캡의 폭(ℓ )이 넓어지므로 마루바닥의 면적이 좁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부캡과 하부캡의 결합구조를 간결하게 개선하여 제조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불량률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상부캡의 폭을 절감하여 마루바닥의 면적을 넓힐 수 있는 마루바닥용 마감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루바닥용 마감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마루바닥용 마감부재(A)는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루바닥(200)의 끝단에 설치되는데, 마루바닥(200)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상부캡(2)과 하부캡(4)으로 구성되며, 상부캡(2)의 일측단이 벽면(300)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캡(2)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것으로, 그 하부에는 소정길이의 끼움부재(22)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되, 상기 끼움부재(22)의 일측면에만 제1돌기부(221)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종래보다 끼움부재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그 폭(L)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하부캡(4)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것으로, 그 상부에는 소정길이의 걸림부재(42)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재(42)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돌기부(221)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2돌기부(4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돌기부(221)와 제2돌기부(422)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서로간의 걸림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100) 상부의 소정 위치에 하부캡(4)을 배치하고, 그 상부에 마루바닥(200)을 올려놓은 후 하부캡(4)의 상부로부터 상부캡(2)을 체결하여 결합시킨다.
즉, 상기 상부캡(2)의 끼움부재(22)와 상기 하부캡(4)의 걸림부재(42)를 결합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마루바닥용 마감부재(A)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루바닥용 마감부재는 상부캡과 하부캡의 결합구조를 간결하게 개선하여 제조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불량률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마루바닥의 면적을 좀더 확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루바닥용 마감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상부캡 4 : 하부캡
22 : 끼움부재 42 : 걸림부재

Claims (1)

  1. 마루바닥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상부캡과 하부캡으로 구성되는 마루바닥용 마감부재에 있어서,
    하부에 소정길이의 끼움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되, 상기 끼움부재의 일측면에만 제1돌기부가 형성된 상부캡과;
    상부에 소정길이의 걸림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돌기부와 대응되는 제2돌기부가 일측면에만 형성된 하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용 마감부재.
KR20-2005-0018650U 2005-06-28 2005-06-28 마루바닥용 마감부재 KR200396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650U KR200396809Y1 (ko) 2005-06-28 2005-06-28 마루바닥용 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650U KR200396809Y1 (ko) 2005-06-28 2005-06-28 마루바닥용 마감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809Y1 true KR200396809Y1 (ko) 2005-09-27

Family

ID=4369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650U KR200396809Y1 (ko) 2005-06-28 2005-06-28 마루바닥용 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80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780B1 (ko) 2005-12-21 2008-05-19 헤름 프리에드르 쿠엔 게엠베하 엔 코 프로파일 레일 시스템
KR200460323Y1 (ko) * 2011-06-29 2012-05-15 강학현 강화 마루판용 마감 부재
KR20150035373A (ko) * 2013-09-27 2015-04-06 후이둥 메이신 플라스틱 럼버 프로덕트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모듈형 플로어링 시스템
KR20170001800U (ko) 2015-11-16 2017-05-24 김광수 마루판용 마감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780B1 (ko) 2005-12-21 2008-05-19 헤름 프리에드르 쿠엔 게엠베하 엔 코 프로파일 레일 시스템
KR200460323Y1 (ko) * 2011-06-29 2012-05-15 강학현 강화 마루판용 마감 부재
KR20150035373A (ko) * 2013-09-27 2015-04-06 후이둥 메이신 플라스틱 럼버 프로덕트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모듈형 플로어링 시스템
KR101602807B1 (ko) * 2013-09-27 2016-03-11 후이둥 메이신 플라스틱 럼버 프로덕트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모듈형 플로어링 시스템
KR20170001800U (ko) 2015-11-16 2017-05-24 김광수 마루판용 마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809Y1 (ko) 마루바닥용 마감부재
ITAN20110003A1 (it) Dispositivo di serraggio ed allineamento per profilati ad angolo in condizione di complanarita'.
JP5919584B2 (ja) 入隅部における外壁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用ジョイナー
JP2006334972A (ja) シート成形容器および金型
US6578334B2 (en) Build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504932B2 (ja) 端部キャップとレールの取付構造
JP3841204B2 (ja) 壁パネルの接続具
CN104818923B (zh) 一种门窗附框的安装方法
KR20090073829A (ko) 금형조립체
KR200405627Y1 (ko) 마루바닥용 마감부재
KR200410612Y1 (ko) 알루미늄 압출 몰딩
JP6401216B2 (ja) 断熱パネル支持具および断熱パネルユニット
JP4119107B2 (ja) 家屋構築用のパネル体及びパネル体により形成された家屋
KR200313525Y1 (ko) 도어용 보조잠금장치
KR102103626B1 (ko) 조립식 패널틀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패널
KR200249980Y1 (ko) 거푸집용 프레임바
KR101891882B1 (ko) Lvl을 이용한 강도 보강 도어
JPH0224871Y2 (ko)
KR200344968Y1 (ko) 단열효과를 가질 수 있는 창문용 프레임의 구조
KR200354385Y1 (ko) 바닥 시공재 마감용 결합부재
JP3983127B2 (ja) 断熱ボードの止めねじ
KR200417931Y1 (ko) 벽면 모서리부의 몰딩 연결구조
KR101191730B1 (ko) 모서리목 및 모서리목의 제조방법
KR200429416Y1 (ko) 화장실 칸막이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KR200258923Y1 (ko) 재봉선모양이 형성된 합성수지 시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