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514Y1 - 목도리겸용 숄 - Google Patents

목도리겸용 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514Y1
KR200395514Y1 KR20-2005-0017358U KR20050017358U KR200395514Y1 KR 200395514 Y1 KR200395514 Y1 KR 200395514Y1 KR 20050017358 U KR20050017358 U KR 20050017358U KR 200395514 Y1 KR200395514 Y1 KR 200395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wl
folded
fabric
present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수기
Original Assignee
양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수기 filed Critical 양수기
Priority to KR20-2005-0017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5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8C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도리 겸용 숄에 관한 것으로, 숄의 착용에 있어서 그 착용용도가 제한되며 그 제조공정이 의복과 같이 동일하게 수공을 이루어 생산원가가 고가로 형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숄을 형성함에 있어서 일정폭을 갖는 벨트상의 원단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부분을 접고 상기 접어진 절첩부의 일측에 일정길이로 이격된 부분에 일정길이로 재봉한 재봉부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숄을 형성함에 있어서 접어진 절첩부 일측을 상부로 부터 이격한 재봉부를 통하여 목걸이부를 형성하여 완성함으로써 그 제조가 용이하며 그 제조된 상태가 일정폭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벨트상을 이루어 머리에 두르는 스카프와 목도리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목도리겸용 숄{A shawl}
본 고안은 목도리 겸용 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숄을 형성함에 있어서 일정폭을 갖는 벨트사의 원단을 중앙부에서 접고 접어진 절첩부위 일측에 하부측으로 이격하여 일정 길이를 재봉한 재봉부를 형성하여서 그 제작이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스카프와 목도리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노출효과를 이용하여 여성의 미모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의복을 착용하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노출효과의 기대에 따라 망직으로 이루어진 의복등이 출시되어 착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여성은 상의 이외에도 방한용이나 패션을 위하여 목과 어깨에 걸 수 있게 한 숄이나 목도리를 착용하여서 미적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숄은 그 형상이 망투와 같은 형상을 이루어 숄 이외에는 별다른 착용효과를 유발하지 못하며 그 제조에 있어서도 의복과 같이 동일한 수공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목도리 또한 단순한 형태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숄이나 목도리를 착용함에 있어서 그 착용용도가 제한되며 그 제조공정이 의복과 같이 동일하 수공을 이루어 생산원가가 고가로 형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동시에 목도리와 스카프기능을 갖도록 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숄을 형성함에 있어서 일정폭을 갖는 벨트상의 원단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부분을 접고 상기 접어진 절첩부의 일측에 일정길이로 이격된 부분에 일정길이로 재봉한 재봉부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숄을 형성함에 있어서 접어진 절첩부 일측을 상부로 부터 이격한 재봉부를 통하여 목걸이부를 형성하여 완성함으로써 그 제조가 용이하며 그 제조된 상태가 일정폭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벨트상을 이루어 머리에 두르는 스카프와 목도리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숄의 기본기능이 유지되게 하며, 스카프로 목도리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숄을 형성함에 있어서, 일정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벨트상의 원단으로 형성하되 원단의 중앙부분을 접어서 접어진 절첩부의 일측에 상부로부터 일정길이 이격된 부분을 부분 재봉한 재봉부(12)를 형성하여서 상단부 일측에 목걸이부(11)를 형성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원단을 망니트 원단으로 구성하고 망니트 원단 망선(13)의 중첩부분에 망직으로 인한 과도한 투시를 저하시킬 수 있게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투시차단모(14)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숄을 형성함에 있어서 일정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벨트상의 원단으로 형성하되 원단의 중앙부분을 접어서 접어진 절첩부의 일측에 상부로부터 일정길이 이격된 부분을 부분 재봉한 재봉부(12)를 형성하여서 상단부 일측에 목걸이부(11)를 형성한 본 고안은 그 제조에 있어서 일정폭을 갖는 벨트상의 원단으로 형성하고, 원단의 중앙부분을 접은 후 접어진 절첩부의 일측에 하부로 일정길이 이결된 부분에 부분 재봉된 재봉부(12)를 형성하여서 상기 절첩부와 재봉부(12) 사이에 목걸이부(11)를 형성함으로서 그 제조가 용이하게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이상과 같이 제조된 본 고안은 그 무게가 가볍고 제작된 형상이 일정을 폭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됨으로서 목도리 또는 스카프로 대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원단을 망니트 원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망니트 원단의 망선(13) 중첩부에 다수의 투시차단모(14)를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제작된 숄의 무게가 더욱 가벼워짐과 더불어 내부 투시도 최소되어 일정한 투시에 의한 내부 노출을 통하여 여성의 미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숄을 형성함에 있어서 접어진 절첩부 일측을 상부로 부터 이격한 재봉부를 통하여 목걸이부를 형성하여 완성함으로써 그 제조가 용이하며 그 제조된 상태가 일정폭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벨트상을 이루어 머리에 두르는 스카프와 목도리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목걸이부
12 : 재봉부
13 : 망선
14 : 투시차단모

Claims (2)

  1. 숄을 형성함에 있어서;
    일정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벨트상의 원단으로 형성하되 원단의 중앙부분을 접어서 접어진 절첩부의 일측에 상부로부터 일정길이 이격된 부분을 부분 재봉한 재봉부(12)를 형성하여서 상단부 일측에 목걸이부(1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 겸용 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을 망니트 원단으로 구성하고 망니트 원단 망선(13)의 중첩부분에 망직으로 인한 과도한 투시를 저하시킬 수 있게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투시차단모(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 겸용 숄.
KR20-2005-0017358U 2005-06-16 2005-06-16 목도리겸용 숄 KR200395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358U KR200395514Y1 (ko) 2005-06-16 2005-06-16 목도리겸용 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358U KR200395514Y1 (ko) 2005-06-16 2005-06-16 목도리겸용 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514Y1 true KR200395514Y1 (ko) 2005-09-13

Family

ID=4369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358U KR200395514Y1 (ko) 2005-06-16 2005-06-16 목도리겸용 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5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5462A (zh) 随时可戴的头巾
US5067177A (en) Cuff-like tubular extensions for wearing apparel
US20110055999A1 (en) Scarf allowing changeful styling possibilities
CN107625213A (zh) 多用途服装
KR200395514Y1 (ko) 목도리겸용 숄
KR101121007B1 (ko) 다용도 스카프
KR101191352B1 (ko) 모피 장식물의 제조방법
JP2006200048A (ja) 経編筒編衣料の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99413A (ko) 한복 옷고름
KR101609627B1 (ko) 손뜨개질에 의한 남자 한복 저고리의 섶 및 깃 형성방법
KR20060004821A (ko) 인조 또는 천연모피로 이루어진 모피 레이스와 이를이용한 모피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들 방법에 의해 제조된모피 레이스와 모피 제품
JP2007217851A (ja) マフラー、スカーフ、あるいは頭巾又は防寒帽等の効用を併せ持ったマフラーキャップ。
KR101606081B1 (ko) 손뜨개질에 의한 소매 및 어깨 연결방법
KR100431246B1 (ko) 코사지의 제조방법
KR200304039Y1 (ko) 장식용 머리끈
CN218008222U (zh) 一种下摆可调丝光面针织服装
JP3177774U (ja) スカーフ
KR200402409Y1 (ko) 목도리 겸용 숄
JP3180133U (ja) ストール類
KR20150007014A (ko) 모피 장식을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신구
JP2008184717A (ja) 擬似毛付きニット帽子
CN207210623U (zh) 一种带有金银丝纤维的装饰纱线
JP3094205U (ja) 和 服
KR20170061333A (ko)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KR200273064Y1 (ko) 소매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저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