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333A -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333A
KR20170061333A KR1020150166213A KR20150166213A KR20170061333A KR 20170061333 A KR20170061333 A KR 20170061333A KR 1020150166213 A KR1020150166213 A KR 1020150166213A KR 20150166213 A KR20150166213 A KR 20150166213A KR 20170061333 A KR20170061333 A KR 20170061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knitting
needle
edg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순자
Original Assignee
추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순자 filed Critical 추순자
Priority to KR102015016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1333A/ko
Publication of KR2017006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22Clothing specially adapted for wome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앞섶 중앙 부위의 증가된 단수를 무늬가 흡수하도록 하여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안섶의 수직 가장자리부가 바깥쪽으로 들뜨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손뜨개질에 의해 앞길(100)을 뜨는 단계와, 상기 앞길(100)에 겉섶(10), 안섶(20) 및 깃(30)을 잇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앞길(100)을 뜨는 단계는, (a) 겉뜨기 및 안뜨기에 의해 앞길(100)의 아래 단부인 도련(160)을 형성하는 단계, (b) 겨드랑이 쪽의 단수(n)보다 중앙 가장자리 쪽의 단수(N)가 6 ~ 10단 많게 겉뜨기를 하는 단계, (c) 앞길(100)의 중앙 가장자리 부근에 다수의 공간을 갖는 무늬(50)를 수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무늬(50)를 형성할 때 한번에 2 ~ 3코를 함께 떠서, 중앙부에서 늘려진 단수가 무늬(50)의 공간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Jacket for Woman by Hand Knitting}
본 발명은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앞길 가장자리 부분에서 증가된 단수가 무늬 속에 흡수되도록 하면서 도련이 중앙 쪽을 향해 아래로 자연스럽게 내려오도록 하고, 겉섶과 안섶을 고무뜨기로 제조한 후 저고리의 앞면 좌우측에 각각 연결하며, 메리야스 뜨기로 제조한 깃을 상기 겉섶의 상단과 안섶의 상단과 연결함으로써, 겉섶과 안섶의 가장자리가 미려하고 단정하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한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과 바늘을 사용하여 손으로 뜨개질을 하는 손뜨개질 방법은, 크게 나누어 대바늘 뜨기와 코바늘 뜨기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대바늘 뜨기는, 끝을 뾰족하게 깎아 만든 대바늘에 실을 걸어 니들 루프(Neddle Roop)라 부르는 고리를 만들고(이를 '코'라 한다), 이 코를 통해 실을 끌어내어 새로운 코가 생기도록 하면서 뜨개질을 하는 방법을 말한다.
바늘의 재료로 대나무가 주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통칭 대바늘 뜨기라고 부르지만, 근래에는 플라스틱, 금속재질의 바늘이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대바늘 뜨기에는, 2개의 바늘로 왕복하여 드는 평면뜨기와 다수의 바늘이나 둘레바늘을 이용하여 뜨는 윤편뜨기가 있다.
상기 평면뜨기는 목도리, 가디건 등을 뜰 때 주로 이용되고, 상기 윤편뜨기는 모자, 장갑, 양말 등을 뜰 때 이용된다.
대바늘 뜨기는, 신축성과 탄력성이 좋고, 기계에 걸 수 없는 굵은 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손뜨기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바늘 뜨기는, 실과 바늘의 조합에 따라 두께와 밀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형태를 매우 다양하고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가 있다.
대바늘 뜨기에서 실과 바늘의 굵기 조합이 불완전하면 어색한 뜨임새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하고자하는 실의 굵기, 꼬임새, 형태의 특징에 따라 알맞은 굵기의 바늘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대바늘의 굵기는 바늘의 지름으로 결정된다. 지름이 2.1mm인 0호부터 6.6mm인 15호까지는 호수로 표시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통상 지름을 mm로 나타낸다. 대바늘에는 양 단부가 모두 뾰족한 양면 바늘과 한쪽이 막힌 바늘이 있다.
실은 그 굵기에 따라 극세사에서부터 합세사, 중세사, 합태사, 병태사, 극태사, 초극태사 등이 있고, 상기 극세사는 1호, 합세사는 2호, 중세사는 3호, 합태사는 4호 및 5호, 병태사는 6호 내지 8호, 극태사는 9호 내지 14호, 초극태사는 15호 바늘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일반적인 대바늘 뜨기는, 2개의 바늘을 사용하여 실을 가로로 떠 나가는데(이를 '단'이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바늘을 끼울 수 있는 고리인 '코'를 만들어야 한다.
이하, 대바늘 뜨기에서 '기초코'를 만드는 과정을 도 1a 내지 도 1j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로 고리를 만들고 왼손으로 그 교차점을 누른다.
이어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의 안쪽으로 실을 살짝 빼낸 다음,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빼낸 실이 고리 모양을 이루도록 한다.
이어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고리 안으로 대바늘 2개를 넣은 후,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실을 당겨서 고리를 조이면 하나의 '코'가 완성된다.
이어서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실을 검지에 걸고, 오른쪽 실을 엄지에 걸은 후, 바늘 끝을 1, 2, 3의 순서로 움직여서 대바늘에 실을 건다. 도 1g는 위 순서로 대바늘에 실을 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어서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의 실을 일단 빼낸 후, 다시 엄지를 화살표 방향으로 넣어 실을 건다.
이어서 도 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를 바깥쪽으로 당겨 코를 조이면 '2코'가 완성된다.
이어서 도 1j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수만큼 코를 만들고 대바늘 1개를 빼내면 '기초코'의 형성이 완료된다.
대바늘 뜨기의 기본뜨기에는 '겉뜨기'와 '안뜨기'가 있고, 이를 섞어 뜬 '가터뜨기' 및 '고무뜨기'가 있다.
또한, 겉은 겉뜨기로 안은 안뜨기로 뜨는 기법을 통상 '메리야스 뜨기'라 하고, 겉은 안뜨기로 안은 겉뜨기로 뜨는 기법을 '안메리야스 뜨기'라 한다.
대바늘 뜨기의 원리는 간단하지만 이를 활용한 무늬뜨기의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즉, 겉뜨기와 안뜨기, 코의 배열 방법을 달리함으로써, 바둑판, 다이아몬드, 가로줄, 세로줄, 사선 등의 형태를 다양한 무늬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코를 줄이고 늘이면서 구멍이 생기게 할 수 있고, 구멍의 배열방법 및 코 연결방법을 변화시킴으로써 수없이 많은 무늬를 구현할 수가 있다.
이하 상기한 대바늘 뜨기의 기본뜨기인 겉뜨기, 안뜨기, 가터뜨기, 고무뜨기, 메라야스 뜨기, 안메리야스 뜨기를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겉뜨기'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의 앞에서 뒤로 들어간 바늘에 실을 걸어 빼내는 방식이다. 상기 겉뜨기를 할 때에는 실을 뜨개바탕의 뒤에 두고 뜨개질을 한다.
도 2c는 '겉뜨기'를 한 실물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안뜨기'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의 뒤에서 앞으로 들어온 바늘에 실을 걸어 빼내는 방식이다. 상기 안뜨기를 할 때에는 실을 뜨개바탕의 앞에 두고 뜨개질을 한다.
도 3c는 '안뜨기'를 한 실물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가터뜨기'는 겉과 안을 모두 겉뜨기를 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바늘 1개로 기초코를 만든다.
이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뜨개바탕을 뒤집어 첫 코에 화살표와 같이 바늘을 넣는다.
이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바늘에 실을 걸어 화살표와 같이 빼내어 겉뜨기를 한다.
이어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코도 화살표와 같이 바늘을 넣고 실을 걸어 빼내는 과정을 반복하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이 완성된다.
이어서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뜨개바탕을 다시 뒤집고 첫 코에 바늘을 넣고, 화살표와 같이 바늘에 실을 걸어 빼낸다.
이어서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바늘에서 코를 빼내고 다음 코를 겉뜨기를 하면,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이 완성된다.
이어서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뜨개바탕을 다시 뒤집어 첫 코에 바늘을 넣고, 화살표와 같이 바늘에 실을 걸어 빼낸다.
이어서 도 4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코도 겉뜨기를 하면, 도 4k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단 가터뜨기가 완성된다.
도 4l은 상기 '가터뜨기'를 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가터뜨기는, 겉과 안을 모두 겉뜨기를 하므로 뜨개바탕이 두툼하고 겉과 안의 모습이 동일해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가장자리가 말리지 않으므로 목도리나 단, 칼라 등을 뜰 때 적합하다.
다음으로 '고무뜨기'는, 겉뜨기와 안뜨기를 번갈아 가면서 뜨는 기법이다.
먼저 '1코 고무뜨기'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코를 만든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뜨개바탕을 뒤집어 첫 코에 바늘을 뒤에서 앞으로 넣는다.
이어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바늘에 실을 걸고 화살표와 같이 빼내어 안뜨기를 한다.
이어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코에서 왼쪽 바늘을 빼내고 두 번째 코는 화살표와 같이 바늘을 앞에서 넣고,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뜨기를 한다.
이어서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뜨기와 겉뜨기를 번갈아 가며 뜨고,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2코는 안뜨기를 하면 2단이 완성된다.
이어서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뜨개바탕을 뒤집어 첫 코에서 바늘을 앞에서 넣은 다음,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뜨기를 한다.
이어서 도 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코를 겉뜨기를 하고, 세 번째 코부터 안뜨기와 겉뜨기를 번갈아가며 뜨고, 도 5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1코는 겉뜨기를 하면 3단이 완성된다.
도 5l은 '1코 고무뜨기'를 한 실물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고무뜨기는, 겉과 안이 동일한 형상이 되고 신축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겉뜨기와 안뜨기를 2코씩 번갈아가며 뜨는 2코 고무뜨기도 있다.
상기 2코 고무뜨기는, 뜨개바탕을 뒤집어 2코를 안뜨기 하고 다음 2코는 겉뜨기를 한 다음, 다섯번째 코부터는 안뜨기와 겉뜨기를 2코씩 번갈아 떠서 2단을 완성한다.
이어서 뜨개바탕을 뒤집어 2코를 겉뜨기하고, 다음 2코는 안뜨기를 한 다음, 다섯번째 코부터는 겉뜨기와 안뜨기를 2코씩 번갈아가면 뜨면 3단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메리야스 뜨기'는, 겉은 겉뜨기로 뜨고 안은 안뜨기로 뜨는 기법을 말한다.
메리야스 뜨기를 위해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코를 만들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뜨개바탕을 뒤집어 첫 코에 화살표와 같이 바늘을 넣는다.
이어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바늘에 실을 걸어 화살표와 같이 빼내면서 안뜨기를 한다.
이어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코에서 왼쪽 바늘을 빼내고,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을 화살표 방향으로 넣어 안뜨기를 한다.
이어서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까지 안뜨기를 하면,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이 완성된다.
이어서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뜨개바탕을 뒤집어 첫 코에 화살표와 같이 앞에서 뒤로 바늘을 넣고,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바늘에 실을 걸어 화살표와 같이 빼내면서 겉뜨기를 한다,.
이어서 도 6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바늘을 첫 코에서 빼내고, 도 6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코도 화살표와 같이 바늘을 넣어 겉뜨기를 하면, 도 6l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이 완성된다,
도 6m은 메리야스 뜨기를 한 바깥쪽 사진, 도 6n은 메리야스 뜨기를 한 안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즉, 메리야스 뜨기의 바깥쪽은 전술한 겉뜨기, 안쪽은 전술한 안뜨기의 모습이 된다.
다음으로 '안메리야스 뜨기'는, 메리야스 뜨기와는 반대로 겉은 안뜨기로, 안은 겉뜨기를 하는 기법이다.
즉, 안메리야스 뜨기는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코를 만들고 2단의 메리야스 뜨기까지는 전술한 가터뜨기를 한다.
이어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뜨개바탕을 뒤집어 바늘을 뒤에서 앞으로 넣는다.
이어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바늘을 실에 걸어 화살표와 같이 빼내면서 안뜨기를 한다.
이어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코에 화살표와 같이 오른쪽 바늘을 넣는다.
이어서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코도 화살표와 같이 실을 빼내면,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이 완성된다.
이어서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뜨개바탕을 뒤집어 첫 코에 바늘을 넣고 실을 걸어 화살표와 같이 빼내면서 겉뜨기를 하면,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단이 완성된다.
도 7i는 안메리야스 뜨기를 한 바깥쪽 사진, 도 7j은 안메리야스 뜨기를 한 안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즉, 안메리야스 뜨기의 바깥쪽은 전술한 안뜨기, 안쪽은 전술한 겉뜨기의 모습이 된다.
한편, 정해진 단수 만큼 뜬 다음 바늘을 그냥 빼버리면 코가 풀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작업을 '코마무리'라 한다.
코마무리 방식에는 대바늘로 덮어씌우기를 하는 방식, 코바늘을 사용하여 빼뜨기로 코마무리를 하는 방식, 돗바늘(큰 귀를 구비한 바늘)을 사용하여 휘감아 코마무리를 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대바늘 뜨기에는, 상기한 기본 뜨기인 겉뜨기, 안뜨기, 가터뜨기, 고무뜨기, 메리야스 뜨기, 안메리야스 뜨기 외에, 돌려뜨기(꼬아뜨기), 오른코 겹쳐 2코 모아뜨기, 왼코 겹쳐 2코 모아뜨기, 돌려 안뜨기, 오른코 겹쳐 2코 모아 안뜨기, 왼코 겹쳐 2코 모아 안뜨기, 중심코 3코 모아뜨기, 오른코 겹쳐 3코 모아뜨기, 왼코 겹쳐 3코 모아뜨기, 중심3코 모아 안뜨기, 오른코 겹쳐 3코 모아 안뜨기, 왼코 겹쳐 3코 모아 안뜨기, 오른코 겹쳐 4코 모아뜨기, 왼코 겹쳐 3코 모아뜨기, 중심 5코 모아뜨기, 오른코 늘려뜨기, 왼코 늘려뜨기, 오른코 늘려 안뜨기, 왼코 늘려 안뜨기, 오른코 교차뜨기, 왼코 교차뜨기, 오른쪽 위돌려 교차뜨기, 왼코 뒤돌려 교차뜨기, 오른코위 2코 교차뜨기, 오른코에 꿴 교차뜨기, 왼코위 2코 교차뜨기, 왼코에 꿴 교차뜨기, 끌어올려뜨기, 끌어올려 안뜨기, 양면 끌어올려뜨기, 겉뜨기 끌어올려뜨기, 안뜨기 끌어올려뜨기, 구슬뜨기, 긴뜨기 3코 구슬뜨기, 오른코에 꿴 매듭뜨기, 오른쪽으로 빼낸 매듭뜨기, 왼쪽으로 빼낸 매듭뜨기, 왼코에 꿴 매듭뜨기, 걸러뜨기, 걸쳐뜨기, 3회 감아 매듭뜨기, 걸러 안뜨기, 걸쳐 안뜨기, 드라이브 뜨기 등이 있다.
상기한 대바늘 뜨기 기법들은 공지의 방법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바늘에 걸린 코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가장자리 코 줄이기, 가장자리 1코 세워서 줄이기, 가장자리 2코 세워서 줄이기, 가로방향으로 분산하여 코 줄이기, 세로방향으로 분산하여 코 줄이기, 덮어 씌우기 등이 있다.
상기 코 줄이기는 진동둘레나 목둘레선, 소매산 등의 곡선 또는 사선을 뜰 때 주로 사용되며,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된다.
또한 바늘에 걸린 코를 늘어나게 하는 방법으로는, 돌려뜨기로 코 늘리기, 걸기코와 돌려뜨기로 코 늘리기, 분산하여 코 늘리기, 감아코 늘리기 등이 있다.
상기 코 늘이기는 뜨개바탕의 양끝이나 중간에서 하며 위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된다.
또한, 어깨선 등의 긴 경사선을 뜰 때 사용하는 되돌아 뜨기로는, 남겨 되돌아 뜨기, 늘려 되돌아 뜨기 등이 있다.
또한, 코와 코를 이어서 붙이는 잇기 방법으로는, 돗바늘, 코바늘, 대바늘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 바늘보다 큰 귀를 구비한 돗바늘을 사용한 잇기 방법으로는, 메리야스 잇기, 안메리야스 잇기, 가터 잇기, 감침질 잇기 등이 있고, 코바늘을 사용한 잇기 방법으로는 빼뜨기 잇기, 대바늘을 사용한 잇기 방법으로는 덮어씌워 잇기 등이 있다.
또한 단과 단을 잇는 것을 꿰메기라 하는 데, 소매나 옆선을 이을 때 사용된다.
상기 꿰메기 기법으로는, 돗바늘을 이용하는 떠서 꿰메기, 반박음질 꿰메기 등이 있고, 코바늘을 이용하는 빼뜨기 꿰메기가 있다.
상기 각 뜨기 기법에는 일정한 기호가 부여되어 있고, 도안에는 이러한 기호가 각 단별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코바늘 뜨기는 끝이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하나의 코바늘을 이용하여 뜨개질을 하는 기법을 말한다.
코바늘의 재질로는 금속, 뿔, 플라스틱, 대나무 등이 있으며 금속제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코바늘의 종류에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모사용 코바늘, 얇은 레이스를 뜰 때 사용하는 레이스용 코바늘, 굵은 점보 코바늘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모사용 코바늘은 1호에서 10호까지가 있고 호수가 클수록 바늘이 굵어진다. 10호보다 굵은 코바늘은 mm로 표시한다.
레이스용 코바늘은 0호부터 14호까지가 있고 호수가 클수록 바늘이 가늘어진다.
코바늘 뜨기의 특징은, 대바늘 뜨기에 비해 짜임새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고, 바늘 1개를 사용한다는 점에 있다.
또한 코바늘 뜨기는 대바늘 뜨기의 조직에 비해 신축성이 적고 조직이 두껍게 된다. 이에 따라 성긴 조직의 니트류를 뜨기에 적합하고, 입체적인 형상을 표현하기가 쉬우므로 모자, 가방, 인테리어 소품 등을 뜰 때 주로 사용된다.
코바늘 뜨기의 여러가지 방식도 대바늘 뜨기와 마찬가지로 정해진 기호가 있는데, 코바늘 뜨기의 기호는 상형문자와 유사하다.
코바늘 뜨기에는 대바늘 뜨기처럼 곡선이나 직선의 형태를 만들어가면서 뜨는 방법과 장식품을 떠서 이를 이어 붙이는 방식이 있다.
또한 코바늘 뜨기는, 대바늘로 뜬 조직을 마무리하거나 기성품 의복에 코사지(Corsage)나 블레이드(Blade)를 떠서 장식 효과는 높이는 데에도 사용된다.
코바늘 뜨기에 사용되는 실은 제한이 없으나 꼬임이 많은 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꼬임이 적은 실로 코바늘 뜨기를 하면 실가닥이 빠져나와 모양이 깔끔하지 않고 형태도 불안정해진다.
코바늘 뜨기로 인테리어 소품을 뜰 때에는 세탁하기 쉽고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면사나 마사를 주로 사용하고, 옷이나 패션 소품을 뜰 때에는 모사와 면사가 주로 사용된다.
전술한 대바늘 뜨기는 일정한 크기의 '코'와 '단'이 반복되는 비해, 코바늘 뜨기는 코의 크기를 일정하지만 뜨는 방식에 따라 단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빼뜨기를 제외한 다른 코들은 모두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있고, 이 높이로 코를 구분한다.
코바늘 뜨기에서 단이 시작되는 부분은 처음부터 높은 코를 뜨기 어렵기 때문에 먼저 필요한 높이만큼 '사슬코'를 뜨는데, 이 사슬코는 통상 '기둥코'라 부른다. 짧은 뜨기를 제외한 나머지 기둥코들은 모두 1코의 기능을 한다.
또한 코바늘 뜨기에서 뜨개코는 수직부분인 다리와 수평부분인 머리로 이루어지며, 머리가 다리의 약간 오른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겉면과 안쪽면을 번갈아 뜨는 평뜨기 조직과 달리, 겉면만 보면서 한 방향으로 뜨는 환편뜨기에서는, 코바늘 뜨개코의 특성상 단의 시작부분이 약간씩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코바늘 뜨기의 기본 뜨기인, 사슬뜨기, 짧은뜨기, 빼뜨기, 긴뜨기, 1길 긴뜨기, 2길 긴뜨기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사슬뜨기'를 하기 위해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바늘을 실의 뒤에 대고 화살표 방향으로 한바퀴 돌려 감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바늘을 화살표 방향으로 돌려서 실을 건다.
이어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을 빼낸 후,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코바늘을 돌려서 실을 건다.
이어서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바늘에 걸린 코 사이로 실을 빼면 사슬 1코가 떠지고,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을 걸어 코바늘에 걸린 코 사이로 빼내면 2번째 사슬코가 형성된다.
도 8g는 '사슬뜨기'의 실물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짧은뜨기'를 하기 위해서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코인 사슬 1코를 뜬 다음 사슬코의 뒷산에 코바늘을 넣는다.
이어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바늘에 뒤에서 앞으로 실을 걸어 사슬 1코 높이로 빼낸다.
이어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한번 코바늘에 실을 걸어 바늘에 걸려있는 2개의 고리를 한꺼번에 빼내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뜨기가 완성된다.
도 9e는 '짧은뜨기'의 실물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빼뜨기'를 하기 위해서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을 코바늘 뒤에 놓고 아랫단의 첫코에 바늘을 넣는다.
이어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바늘에 실을 걸어 화살표 방향으로 빼낸다.
이어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째 코도 화살표 방향으로 코바늘을 넣고 실을 걸어 빼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빼뜨기가 완성된다.
도 10e는 '빼뜨기'의 실물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긴뜨기'를 하기 위해서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코인 사슬 1코를 뜬 다음, 코바늘에 실을 걸어 바늘에 걸려 있는 코에서 4번째 사슬코의 뒷산에 코바늘을 넣는다. 이에 따라 기둥코가 1코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어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바늘에 실을 걸어 화살표 방향으로 빼내고,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을 사슬 2코 높이로 빼낸다.
이어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한번 코바늘에 실을 걸어 그림처럼 바늘에 걸려 있는 3개의 고리를 한꺼번에 빼내면,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뜨기가 완성된다.
도 11f는 '긴뜨기'의 실물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1길 긴뜨기'를 하기 위해서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코인 사슬 3코를 뜬 다음 코바늘에 실을 걸고, 바늘에 걸려있는 코에서 5번째 사슬코의 뒷산에 바늘을 넣는다.
이어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바늘에 실을 걸어 화살표 방향으로 빼내고,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을 사슬 2코 높이로 빼낸다.
이어서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한번 코바늘에 실을 걸어 바늘에 걸려 있는 2개의 고리를 한꺼번에 빼낸다.
이어서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신 한번 코바늘에 실을 걸어 바늘에 남아 있는 2개의 고리를 한꺼번에 빼내면,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길 긴뜨기가 완성된다.
도 12g는 '1길 긴뜨기'의 실물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1길 긴뜨기의 원리를 응용하면, 2길 긴뜨기, 3길 긴뜨기, 4길 긴뜨기도 할 수 있다.
코바늘 뜨기는, 상기한 기본 뜨기 외에, 짧은뜨기 2코(3코) 모아뜨기, 긴뜨기 2코(3코) 모아뜨기, 1긴뜨기 2코(3코, 4코, 5코) 모아뜨기, 짧은뜨기 2코(3코) 늘려뜨기, 긴뜨기 2코(3코) 늘려뜨기, 1긴뜨기 2코(3코, 4코, 5코) 늘려뜨기, 피코뜨기, 피코빼뜨기, 1긴뜨기 피코빼뜨기, 이랑뜨기, 긴뜨기 이랑뜨기, 1길 긴뜨기 이랑뜨기, 바늘돌려 짧은뜨기, 되돌려 짧은뜨기, 긴뜨기 3코 구슬뜨기, 1긴뜨기 3코(5코) 방울뜨기, 1긴뜨기 5코 팝콘뜨기, 짧은뜨기 앞걸어뜨기, 짧은뜨기 뒤걸어뜨기, 긴뜨기 앞걸어뜨기, 긴뜨기 뒤걸어뜨기, 1길긴뜨기 앞걸어뜨기, 1길긴뜨기 뒤걸어뜨기, 1길긴뜨기 앞걸어 교차뜨기, 1길긴뜨기 앞걸어 2코늘려뜨기, 1길긴뜨기 앞걸어 2코늘려뜨기, 긴뜨기1코 교차뜨기, 1길긴뜨기1코 교차뜨기, 2길긴뜨기 1코 교차뜨기, 1길긴뜨기3코와 1코교차뜨기, 1길긴뜨기1코와 3코교차뜨기, 1길긴뜨기와 X자뜨기, 2길긴뜨기와 X자뜨기, 역Y자뜨기, 긴뜨기3코구슬 2코모아뜨기, 1길긴뜨기3코방울 2코모아뜨기, 짧은링뜨기, 1길링뜨기, 칠보뜨기, 감아뜨기 등이 있다.
상기한 코바늘 뜨기는 공지의 뜨개질 방식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관련된 것인데, 한복은 각 부위별로 고유의 명칭이 있다.
이하, 도 13을 참고하여 여자 한복 저고리의 주요 부분 명칭에 대해 설명한다.
여자 한복 저고리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슴을 덮는 몸판인 '앞길'(100)과, 등을 덮는 몸판인 '뒷길'(도시 생략)과, 앞길(100)과 뒷길에 연결되는 좌우 '소매'(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앞길(100)과 소매(110)가 연결되는 부분, 즉 저고리의 어깨선부터 겨드랑이까지의 폭을 '진동'(140)이라 부른다.
상기 소매(100)의 끝부분은 '소매단'(130)이라 하는데, 이 소매단(13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소매단(130)에서 손이 나오는 입구를 '수구'(140)라 부른다.
저고리에서 목 부분을 따라 형성된 부분을 '깃'(30)이라 하며, 상기 깃(30) 위에 덧대는 흰 부분을 '동정'(40)이라 한다. 상기 깃(30) 중에서 목을 감싸는 직선 부분은 특히 '고대'라 부른다.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는 저고리 소매(150)의 아래 부분은 '배래'(150)라 하고, 앞길(100)의 아래선을 형성하는 부분은 '도련'(160)이라 한다.
통상 남자 저고리의 도련은 직선으로 형성되고, 여자 저고리의 도련은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형성된다.
특히 여자 저고리의 도련은, 겨드랑이 쪽에서 중앙 쪽을 향해 그 길이가 자연스럽게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저고리를 입었을 때 가슴 앞에서 서로 겹쳐지는 부분을 '섶'이라 하는데, 옷을 입었을 때 안으로 들어가는 부분을 '안섶'(20)이라 하고, 밖으로 나오는 부분을 '겉섶'(10), 또는 '앞섶'이라 한다(본 명세서에서는 '겉섶'이라 칭하기로 한다).
여자 저고리에서 상기 겉섶(10)의 아래 단부에서 뾰족하게 나온 부분을 '섶코'라 한다.
상기 겉섶(10) 및 안섶(20)은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겉섶(10)의 하부 폭은 안섶(20)의 하부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된다.
상기 섶에 구비된 끈은 '고름'(170)이라 하며 이는 저고리를 착용한 후 매듭을 짓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뜨개질 방법에 의해 다양한 옷을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한복도 뜨개질로 제조할 수가 있다.
그런데 뜨개질로 여자 저고리를 제조할 경우, 앞길(100) 및 도련(160) 부분을 단정하게 형성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여자 저고리는 남자 저고리보다 상기 도련(160)의 중앙 부분을 겨드랑이 부분보다 길게 형성해야 한다(이는 여자의 가슴 부분을 고려한 것이다).
이에 따라 뜨개질로 여자 저고리를 제조할 경우에는 앞길(100)의 겨드랑이 쪽에서 중앙 부위를 향해 단수를 늘려가야 하는데, 이 늘어난 단수가 겉으로 표시가 나서 앞길(100)의 외관이 단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앞길(100)의 중앙 부위를 향해 단수를 증가시키게 되면, 도련(160)의 곡선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여자 한복 저고리는 뜨개질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또한, 여자 한복 저고리를 제조할 때 다른 의복과 같이 모두 겉뜨기(도 2a 내지 도 2c 참조)를 하게 되면, 뜨개질 특유의 늘어짐으로 인하여 안섶(20)과 겉섶(10) 및 깃(30)의 옷매무새가 단정하지 않게 된다.
한복의 착용시 안섶(20)과 겉섶(10)이 가지런히 포개져야 단정한 느낌을 주는데(도 13 참조), 겉뜨기에 의해서는 상기 안섶(20)과 겉섶(10)이 가지런히 포개지기가 어렵다.
특히 여자가 저고리를 착용할 경우에는, 가슴 부위로 인해 상기 겉섶(10)이 들뜨는 현상이 남자의 경우보다 더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
또한, 통상의 뜨개질 방식대로 안섶(20)을 밑에서부터 위로 떠서 올라가면 서 코를 줄이게 되면, 안섶(20)의 수직 가장자리(도 16c 왼쪽 도면에서 "A" 부분)가 말리면서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어, 안섶(20)의 상부에 포개지는 겉섶(10)이 들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복 저고리의 겉섶(10)과 안섶(20)은 위로 올라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뜨개질로 상기 겉섶(10)과 안섶(20)을 뜰 경우에는 코수를 줄이면서 그 폭을 줄여나가야 한다. 이에 따라 코수를 줄이는 가장자리부가 말리는 현상을 피할 수가 없다.
물론, 겉섶(20)의 오른쪽 가장자리 "B" 부분(도 16c 참조)도 안섶(10)과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지만, 겉섶(20)의 "B" 부분은 앞길(100)과 잇기를 함으로써 위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한편, 가장자리부가 아닌 중간부위에서 코를 줄일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뜨임새가 불균일해져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손뜨개와 관련된 선행기술을 검색한 결과 아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다.
특허문헌 1은, 코바늘 손뜨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카라를 구비한 정장류와 어깨 경사선 등의 경사부 및 목둘레, 진동둘레와 가슴선 등에 유용한 경사뜨기를, 짧은 뜨기와 1길 긴뜨기를 복합 응용한 짧은 경사뜨기와 1길긴경사뜨기를 혼합하여 뜨되, 바늘에 코를 걸어 놓은 상태에서 경사뜨기를 완성하는 손뜨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 특2003-002647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뜨개질에 의해 한복을 제조하되, 여자 한복 고유의 옷맵시를 그대로 구현할 수 있는 손뜨개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앞길 가장자리 부분의 늘린 단수가 무늬에 의해 흡수되도록 하여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앞길의 하단부인 도련의 곡선이 단정하고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복의 안섶과 겉섶 및 깃 부분을 단정하게 마무리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섶의 수직 가장자리부가 바깥쪽으로 들뜨지 않도록 하여 안섶의 상부에 겉섶이 가지런히 겹쳐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복을 입었을 때 겉섶이 바깥쪽으로 들뜨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정한 옷매무새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뜨개질에 의해 앞길을 뜨는 단계와, 상기 앞길에 겉섶, 안섶 및 깃을 잇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앞길을 뜨는 단계는, (a) 겉뜨기 및 안뜨기에 의해 앞길의 아래 단부인 도련을 형성하는 단계, (b) 겨드랑이 쪽의 단수(n)보다 중앙 가장자리 쪽의 단수(N)가 6 ~ 10단 많게 겉뜨기를 하는 단계, (c) 앞길의 중앙 가장자리 부근에 다수의 공간을 갖는 무늬를 수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무늬를 형성할 때 한번에 2 ~ 3코를 함께 떠서, 중앙부에서 늘려진 단수가 무늬의 공간에 흡수되도록 하고, 상기 겉섶, 안섶 및 깃을 앞길에 잇는 단계는, (d) 상기 앞길과 별도로, 아래로부터 위 방향을 향하여 코를 줄이면서 고무뜨기를 하여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겉섶을 제조하는 단계, (e) 돗바늘을 이용하여 상기 겉섶의 오른쪽 가장자리를 앞길의 오른쪽 수직 가장자리에 잇는 단계, (f) 상기 앞길과 별도로, 위로부터 아래 방향을 향하여 코를 늘리면서 고무뜨기를 하여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안섶을 제조하는 단계, (g) 돗바늘을 이용하여 상기 안섶의 일단 가장자리를 앞길의 왼쪽 수직 가장자리에 잇는 단계, (h) 상기 겉섶 및 안섶과 별도로 메리야스 뜨기에 의해 깃을 제조하는 단계, (i) 돗바늘을 이용하여 상기 깃의 일측 단부를 상기 겉섶의 상단부와 잇는 단계, (j) 상기 깃의 한쪽 가장자리를 앞길의 가슴부분과 뒷길의 목부분을 돌아서 잇는 단계, (k) 상기 깃의 타측 단부를 상기 안섶의 상단부와 잇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겉섶의 단수는 안섶의 단수보다 10단 많게 떠서 안섶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깃의 상부 가장자리에 흰 색상의 동정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정의 가장자리 부분을 가터뜨기에 의해 안감과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겉섶 및 안섶의 일단부와 깃의 양쪽 단부를 각각 안뜨기에 의해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뜨개질 방식에 의해 여자 한복 저고리의 옷맵시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앞길 중앙의 가장자리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무늬가 늘려진 단수를 흡수하게 되므로, 앞길 중앙 부위의 단수를 늘린 것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앞길의 중앙부분을 향해 증가되는 도련의 곡선이 단정하고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복의 안섶과 겉섶 및 깃 부분 별개로 떠서 몸판에 연결함으로써, 안섶, 겉섶 및 깃 부분의 가장자리를 단정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섶의 수직 가장자리부가 바깥쪽으로 들뜨지 않게 되므로, 안섶의 상부에 겉섶이 가지런히 겹쳐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복을 입었을 때 겉섶이 바깥쪽으로 들뜨지 않으므로 단정한 옷매무새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1j는, 대바늘 뜨기에서 '기초코'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내지 2c는, 대바늘 뜨기에서 '겉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내지 3c는, 대바늘 뜨기에서 '안뜨기'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4l은, 대바늘 뜨기에서 '가터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5l은, 대바늘 뜨기에서 '1코 고무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6n은, 대바늘 뜨기에서 '메리야스 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7j는, 대바늘 뜨기에서 '안메리야스 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내지 8g는, 코바늘 뜨기에서 '사슬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내지 9e는, 코바늘 뜨기에서 '짧은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내지 10e는, 코바늘 뜨기에서 '빼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 내지 11f는, 코바늘 뜨기에서 '긴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 내지 12g는, 코바늘 뜨기에서 '1길긴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여자 한복 저고리의 각 부분별 명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따른 여자 한복 저고리의 앞길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앞길 사진.
도 16a 내지 16d는, 본 발명에 따라 겉섶, 안섶 및 깃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손뜨개질에 의해 제조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실물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은,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뜨개질에 의해 앞길(100)을 뜨는 단계와, 상기 앞길(100)에 겉섶(10), 안섶(20) 및 깃(30)을 잇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앞길(100)을 뜨는 단계는, (a) 겉뜨기 및 안뜨기에 의해 앞길(100)의 아래 단부인 도련(160)을 형성하는 단계, (b) 겨드랑이 쪽의 단수(n)보다 중앙 가장자리 쪽의 단수(N)가 6 ~ 10단 많게 겉뜨기를 하는 단계, (c) 앞길(100)의 중앙 가장자리 부근에 다수의 공간을 갖는 무늬(50)를 수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늬(50)를 형성할 때 한번에 2 ~ 3코를 함께 떠서, 중앙부에서 늘려진 단수가 무늬(50)의 공간에 흡수되도록 한다.
상기한 방식에 의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길(100) 중앙 부분의 단수가 자연스럽게 늘어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앞길(100)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도련(160)이 중앙쪽을 향하여 아래로 자연스럽게 내려오도록 할 수 있다.
여자 한복 저고리는, 남자 한복 저고리와 달리, 여자의 가슴 부분을 고려하여 도련(160)의 중앙부분을 겨드랑이 쪽보다 길게 형성한다(도 13 참조).
만일 여자 저고리에서 도련(160)의 중앙부분이 겨드랑이 쪽보다 길지 않으면, 가슴으로 인하여 도련(160)의 중앙부분이 들뜨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뜨개질로 여자 저고리의 앞길(100)을 제조할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드랑이 쪽의 단수(n)보다 중앙 쪽의 단수(N)를 더 많게 떠야 한다.
그런데 통상의 겉뜨기 방식에 의해 중앙 쪽의 단수를 늘리게 되면, 이 증가된 단수가 그대로 표시가 나서 미관을 해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앞길(100) 중앙부위에 다수의 무늬(50)를 형성할 때 증가된 단수를 무늬(50)의 공간부에 흡수하게 되므로, 단수가 증가된 것이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는다.
즉, 상기 다수의 무늬(50)를 형성할 때, 한번에 2 ~ 3코를 함께 떠서 늘려진 단수를 흡수한다.
이에 따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가 늘어나면서도 외부로 잘 표시가 나지 않게 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겉섶(10), 안섶(20) 및 깃(30)을 앞길(100)에 잇는 단계는, (d) 상기 앞길(100)과 별도로, 아래로부터 위 방향을 향하여 코를 줄이면서 고무뜨기를 하여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겉섶(10)을 제조하는 단계, (e) 돗바늘을 이용하여 상기 겉섶(10)의 오른쪽 가장자리를 앞길(100)의 오른쪽 수직 가장자리에 잇는 단계, (f) 상기 앞길(100)과 별도로, 위로부터 아래 방향을 향하여 코를 늘리면서 고무뜨기를 하여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안섶(10)을 제조하는 단계, (g) 돗바늘을 이용하여 상기 안섶(20)의 일단 가장자리를 앞길(100)의 왼쪽 수직 가장자리에 잇는 단계, (h) 상기 겉섶(10) 및 안섶(10)과 별도로 메리야스 뜨기에 의해 깃(30)을 제조하는 단계, (i) 돗바늘을 이용하여 상기 깃(30)의 일측 단부를 상기 겉섶(10)의 상단부와 잇는 단계, (j) 상기 깃(30)의 한쪽 가장자리를 앞길(100)의 가슴부분과 뒷길의 목부분을 돌아서 잇는 단계, (k) 상기 깃(30)의 타측 단부를 상기 안섶(20)의 상단부와 잇는 단계(S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겉섶(10), 안섶(20) 및 깃(30)을 몸판과 별도로 뜬 후, 이를 몸판인 앞길(100) 및 뒷길과 각각 연결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겉섶(10)과 안섶(20)은 고무뜨기에 의해 뜨고, 깃(30)은 메리야스 뜨기에 의해 떠서, 이를 몸판에 각각 연결한다.
상기 고무뜨기 및 메리야스 뜨기에 대해서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복 저고리에서 겉섶(10)과 안섶(20)은 위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섶(10)은 아래에서 위를 향해 코를 줄이면서 떠서 폭을 줄여나간다.
또한, 안섶(20)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겉섶(10)과 반대로, 위에서 아래를 향해 코를 늘리면서 떠서 폭을 넓혀 나간다.
만일, 안섶(20)을 통상의 뜨개질 방식과 같이 아래에서 위를 향해 코를 줄이면서 고무뜨기를 하게 되면(도 16c의 왼쪽 그림 참조), 코줄임에 의해 오른쪽 가장자리(A)가 불룩해져 바깥쪽을 향해 들뜨게 된다.
이에 따라 저고리의 착용시, 상기 안섶(20)의 위에 겹쳐지는 겉섶(10) 역시 바깥쪽을 향해 들뜨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안섶(20)을 위에서 아래를 향해 코를 늘여가면서 폭이 넓어지도록 고무뜨기를 하므로,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도 16c의 오른쪽 그림에서, 안섶(20)의 오른쪽 부분(A')이 바깥쪽을 향해 들뜨지 않고 단정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물론 겉섶(10)을 뜰 때 "B" 부분도 코줄임에 의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이 "B"부분은 추후 돗바늘에 의해 몸판인 앞길(100)과 이어지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16c의 오른쪽 그림에서 안섶(20)의 왼쪽 부분에 코늘임에 의한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나, 이는 코줄임에 의한 들뜸 현상에 비해 심하지 않다. 설사 코늘임에 의해 들뜨게 된다 하더라도, 이 부분이 앞길(100)과 이어지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안섶(20)을 겉섶(10)과 반대방향으로 뜨기 때문에 안섶(20)의 뜨임새가 겉섶(10)의 뜨임새와 반대로 형성되는데, 상기 안섶(20)은 저고리의 착용시 겉섶(10)에 가려 잘 보이지 않으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겉섶(10)과 안섶(20)의 폭을 한복 저고리와 같이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하면서도, 뜨개질의 코줄임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가장자리부의 들뜸 현상을 해결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뜨개질에 의해서도 겉섶(10)와 안섶(20)의 가장자리를 단정하게 마무리할 수 있으므로, 한복 고유의 단정한 옷매무새를 구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겉섶(10)의 단수는 안섶(20)의 단수보다 10단 많게 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저고리를 착용하고 고름을 매었을 때, 상기 겉섶(10)이 안섶(20)의 상단부를 모두 덮어 단정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한복의 느낌을 더욱 살리기 위해, 상기 깃(30)의 상부 가장자리에 흰 색상의 동정(40)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정(40) 부분은 깃(30) 부분과 같이 메리야스 뜨기(도 6a 내지 6n 참조)로 형성할 수도 있고, 수를 놓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정(40)의 가장자리는 가터뜨기(도 4a 내지 도 4l 참조)에 의해 안감과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겉섶(10) 및 안섶(20)의 일단부와 깃(30)의 양쪽 단부는 각각 안뜨기에 의해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터뜨기 및 안뜨기 역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여자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착용자의 신체 치수에 맞게 앞쪽 몸판인 앞길(100)과 뒷쪽 몸판인 뒷길(도시 생략)을 겉뜨기에 의해 뜬다.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길(100)의 중앙부위 쪽의 단수(N)가 겨드랑이쪽의 단수(n)보다 많아지도록 한다.
또한, 앞길(100)의 중앙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무늬(50)를 형성한다.
상기 무늬(5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다수의 공간부를 갖는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늬(50)를 형성할 때, 한 번에 2 ~ 3코를 함께 떠서 중앙부위에서 늘려진 단수가 무늬(50)의 공간부에 자연스럽게 흡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앞길(100) 중앙 가장자리 부분에서 늘어난 단수가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고 미려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즉, 상기한 과정에서 약간의 주름이 발생하지만 이는 무늬(50)의 일부로 인식되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앞길(100) 및 뒷길의 제조가 완료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뜨기에 의해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코를 줄여가면서(도 16a의 화살표 방향 참조) 폭이 좁아지도록 겉섶(10)을 뜬다.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상기 겉섶(10)의 아래 단부를 50코, 위 단부는 20코 정도로 하면 한복 고유의 느낌을 잘 살릴 수가 있다.
상기 겉섶(10)의 제조가 완료되면, 오른쪽 가장자리(도 16c의 "B" 부분)를 실 및 돗바늘(귀가 크게 형성된 바늘)을 사용하여 몸판인 앞길(100)에 잇는다.
이어서 고무뜨기에 의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코를 늘려가면서 폭이 넓어지도록 안섶(20)을 뜬다(도 16b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때 상기 안섶(20)의 상단부는 깃(30)의 폭과 동일하게 하고, 하단부는 겉섶(10)의 하단부 폭보다 약간 작은 폭으로 형성하여 저고리의 착용시 겉섶(10)에 의해 가려지도록 한다.
이어서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섶(10)의 상단부 코와 동일한 코수로 메리야스 뜨기에 의해 깃(30)을 뜬다.
이때 상기 깃(30)의 일부에 흰 색상의 동정(40)을 형성하여 한복과 유사한 느낌을 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깃(30)의 제조가 완료되면, 그 일단을 실 및 돗바늘을 사용하여 겉섶(10)의 상단부와 이은 후, 가장자리 부분을 몸판의 앞길(100) 및 뒷길의 목 부분을 따라 돌아가며 잇는다.
이어서 상기 깃(30)의 타단과 안섶(20)의 상단부를 돗바늘을 사용하여 이으면 섶 및 깃의 형성이 완료된다.
이어서 겉섶(10) 및 안섶(20)에 고름을 부착하고, 소매를 떠서 몸판에 연결하면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가 완료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실물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에서 알 수 있듯이, 앞길(100) 중앙 부분이 단수가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겉으로는 표시가 나지 않고, 도련(160)의 곡선도 자연스럽고 단정하게 형성되고 있다.
또한, 겉섶(10)이 들뜨지 않고 안섶(20)의 상부를 가지런히 덮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겉섶 20: 안섶
30: 깃 40: 동정
50: 무늬
100: 앞길 110: 소매
120: 진동 130: 소매단
140: 수구 150: 배래
160: 도련 170: 고름

Claims (5)

  1. 손뜨개질에 의해 앞길(100)을 뜨는 단계와, 상기 앞길(100)에 겉섶(10), 안섶(20) 및 깃(30)을 잇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앞길(100)을 뜨는 단계는,
    (a) 겉뜨기 및 안뜨기에 의해 앞길(100)의 아래 단부인 도련(160)을 형성하는 단계,
    (b) 겨드랑이 쪽의 단수(n)보다 중앙 가장자리 쪽의 단수(N)가 6 ~ 10단 많게 겉뜨기를 하는 단계,
    (c) 앞길(100)의 중앙 가장자리 부근에 다수의 공간을 갖는 무늬(50)를 수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늬(50)를 형성할 때 한번에 2 ~ 3코를 함께 떠서, 중앙부에서 늘려진 단수가 무늬(50)의 공간에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겉섶(10), 안섶(20) 및 깃(30)을 앞길(100)에 잇는 단계는,
    (d) 상기 앞길(100)과 별도로, 아래로부터 위 방향을 향하여 코를 줄이면서 고무뜨기를 하여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겉섶(10)을 제조하는 단계,
    (e) 돗바늘을 이용하여 상기 겉섶(10)의 오른쪽 가장자리를 앞길(100)의 오른쪽 수직 가장자리에 잇는 단계,
    (f) 상기 앞길(100)과 별도로, 위로부터 아래 방향을 향하여 코를 늘리면서 고무뜨기를 하여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안섶(10)을 제조하는 단계,
    (g) 돗바늘을 이용하여 상기 안섶(20)의 일단 가장자리를 앞길(100)의 왼쪽 수직 가장자리에 잇는 단계,
    (h) 상기 겉섶(10) 및 안섶(10)과 별도로 메리야스 뜨기에 의해 깃(30)을 제조하는 단계,
    (i) 돗바늘을 이용하여 상기 깃(30)의 일측 단부를 상기 겉섶(10)의 상단부와 잇는 단계,
    (j) 상기 깃(30)의 한쪽 가장자리를 앞길(100)의 가슴부분과 뒷길의 목부분을 돌아서 잇는 단계,
    (k) 상기 깃(30)의 타측 단부를 상기 안섶(20)의 상단부와 잇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겉섶(10)의 단수는 안섶(20)의 단수보다 10단 많게 떠서 안섶(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깃(30)의 상부 가장자리에 흰 색상의 동정(40)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정(40)의 가장자리 부분을 가터뜨기에 의해 안감과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겉섶(10) 및 안섶(20)의 일단부와 깃(30)의 양쪽 단부를 각각 안뜨기에 의해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KR1020150166213A 2015-11-26 2015-11-26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KR20170061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213A KR20170061333A (ko) 2015-11-26 2015-11-26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213A KR20170061333A (ko) 2015-11-26 2015-11-26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333A true KR20170061333A (ko) 2017-06-05

Family

ID=5922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213A KR20170061333A (ko) 2015-11-26 2015-11-26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13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584A (ko) 2021-03-25 2022-10-05 유경희 뜨개저고리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584A (ko) 2021-03-25 2022-10-05 유경희 뜨개저고리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717791A (zh) 上部軀幹用平針支撐衣物
US10480109B2 (en) Method of forming a unitary knit article using flat-knit construction
US20050115281A1 (en) Hosiery-type garments and method of making
US2357506A (en) Method of knitting
US20160278439A1 (en) Leg garment with expansive panel
KR101609627B1 (ko) 손뜨개질에 의한 남자 한복 저고리의 섶 및 깃 형성방법
KR20170061333A (ko) 손뜨개질에 의한 여자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JP3200361U (ja) 伸縮性経編地
KR101606079B1 (ko) 손뜨개질에 의한 정장 상의의 깃 형성방법
KR101606084B1 (ko) 손뜨개질에 의한 파형 무늬 원피스의 제조방법
KR101606081B1 (ko) 손뜨개질에 의한 소매 및 어깨 연결방법
US20190029330A1 (en) Leg garment with expansive panel
JP4066075B2 (ja) 5本指タイプのストッキング類の製造方法及び5本指タイプのストッキング類
KR101606078B1 (ko) 손뜨개질에 의한 어깨 견장 형성방법
JP2009144253A (ja) 異なる編組織からなる経編地
KR100485945B1 (ko)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CN109208315A (zh) 一种家纺用拼接面料的缝制方法
JP2011168939A (ja) リバーシブル構造の一部式立体縫製きもの及びきものセット
JP2010106417A (ja) バチ衿型形状の衿芯
KR20060004821A (ko) 인조 또는 천연모피로 이루어진 모피 레이스와 이를이용한 모피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들 방법에 의해 제조된모피 레이스와 모피 제품
CN100479682C (zh) 伸缩性服装
KR100709466B1 (ko)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한복의 제조 방법
JP3177774U (ja) スカーフ
CN207828555U (zh) 添加欧根纱的缝份及衣物
CN211065150U (zh) 一种防晒袖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