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648Y1 -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648Y1
KR200394648Y1 KR20-2005-0018078U KR20050018078U KR200394648Y1 KR 200394648 Y1 KR200394648 Y1 KR 200394648Y1 KR 20050018078 U KR20050018078 U KR 20050018078U KR 200394648 Y1 KR200394648 Y1 KR 200394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crete wall
mold part
emboss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원길
이장운
이광식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이장운
남원길
이광식
김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운, 남원길, 이광식, 김재호 filed Critical 이장운
Priority to KR20-2005-0018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4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with one ram per moul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34Horizontally-travelling moulds for making walls blockwise or section-w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개시된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는, 일측에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주입호퍼가 구비되고, 일정 속도로 이동하여 연속적인 콘크리트벽을 생성하는 이동식기계와; 내부에 주입호퍼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유입되며 콘크리트벽의 외부 형상을 제작하기 위한 몰드부와, 이 몰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동식 기계에 몰드부를 결합시켜 주는 결합부와, 몰드부에 유입된 콘크리트 내부에 형성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거푸집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된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에 따르면, 콘트리트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미관상의 수려함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Apparatus for constructing the concrete-wall shaped with embossed carving}
본 고안은 콘크리트벽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식 기계를 이용하여 중앙분리대, 방호벽 및 옹벽 등의 콘크리트벽에 양각키를 형성한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각종 토목, 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 벽면에는, 단순한 타일이나 석재 등을 부착하는 방법에서 탈피하여 주변 경관에 따라 여러 가지 입체 그림이나 또는 무늬를 주어 보다 효과적으로 자연환경을 살릴 수 있는 동시에, 아름답게 장식하려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조형미를 주기 위해 그 콘크리트 주조물의 표리면에 무늬를 성형하는 것을 보면 현재까지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예로써 주조방식(casting) 또는 스탬핑방식을 들 수 있다.
스탬핑방식의 경우는 소정크기, 즉 작업자가 손으로 들었다 놓았다 하면서 성형작업을 이룰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단위무늬가 형성된 판체형상의 몰드를 이용해 작업자가 다지기식으로 콘크리트의 표리면에 부착시키고 있는 것으로, 그 성형된 무늬모양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달리 성형되는 등 그 무늬모양이 균일하지 못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기간이 매우 길어지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주조방식의 경우, 종래에는 음각키가 형성된 거푸집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음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콘크리트벽(10)은 외부 형상에 있어서 음각키(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철근(Steel reinforcing; S)과 콘크리트(Concrete; C)가 타설되어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벽(10)은 내부의 빈공간이 형성된 거푸집과, 이 거푸집과 이동식기계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구와,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C)가 주입되는 주입구로 구성되는 시공장치에 의해 시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콘크리트벽(10)에 있어서, 콘크리트벽(10)에 형성된 음각키(1)로 인하여 콘크리트벽(10) 전체의 면적이 줄어듬과 동시에 음각키(1) 형성부분과 콘크리트벽(10) 내부에 타설된 철근과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음각키(1)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 수분이 침투하기 쉬워지게 되며, 수분을 흡수한 철근(S)에서 녹물이 흘러나와 미관상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음각키(1)가 형성된 부분에 종방향으로 콘크리트(C)의 균열 현상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고 백테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콘트리트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미관상의 수려함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양각이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양각이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는, 일측에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주입호퍼가 구비되고, 일정 속도로 이동하여 연속적인 콘크리트벽을 생성하는 이동식기계; 내부에 상기 주입호퍼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유입되며 콘크리트벽의 외부 형상을 제작하기 위한 몰드부와, 상기 몰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식 기계에 상기 몰드부를 결합시켜 주는 결합부와, 상기 몰드부에 유입된 콘크리트 내부에 형성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거푸집으로 구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몰드부는 콘크리트벽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일 측면에 하나 이상의 양각키가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양쪽 측면에 하나 이상의 양각키가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d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콘크리트벽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3에 도시된 시공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각이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100)는 이동식기계(미도시)와 거푸집(120)으로 구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식기계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페이버(Concrete paver)'라고 불리우며 일정 속도로 이동하여 연속적인 콘크리트벽(130, 도 2a 내지 도 2d 참조)을 생성시키고, 일측에 콘크리트(C)가 주입되는 주입호퍼(110)가 구비되어 진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기계는 일반적인 기계식 콘크리트벽 타설시에 사용되는 이동식기계로써 어느 특정된 기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크리트벽(130)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120)은 몰드부(121)와 결합부(122)와 바이브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몰드부(121)는 내부로 상기 주입호퍼(110)를 통하여 콘크리트(C)가 유입되고, 콘크리트벽(130)의 외부 형상을 띄도록 제작되어 진다.
본 고안의 일 예로써의 상기 몰드부(121)는 재질이 합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몰드부(121)는 각각 전판(미도시)과 후판(미도시)로 나뉘어서 용접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전판 또는 후판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후술할 양각키(131)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 결합부(122)는 상기 몰드부(1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식기계에 상기 몰드부(121)를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이동식기계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몰드부(121)도 이동하여 연속적인 콘크리트벽(130)이 생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상기 몰드부(121)에 유입된 콘크리트(C) 내부에 형성되는 기포(Bubble)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바이브레이터가 상기 몰드부(121)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122)는 각각 상기 주입호퍼(110) 및 상기 몰드부(121)의 일 측면에 장착되어 이동식기계와 결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130)은 내부에 철근(S)과 콘크리트(C)가 타설되고, 일 측면 또는 양쪽 측면에 하나 이상의 양각키(13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벽(130) 외면에 양각키(131)가 형성되면 콘트리트벽(130)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미관상의 수려함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양각키(131)는 돌출되어져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므로 콘크리크벽(130)의 용도가 중앙분리대와 같이 주의를 환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커지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양각키가 형성됨으로써 콘트리트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미관상의 수려함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양각키가 형성됨으로써 식별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음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을 나타낸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d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콘크리트벽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도3에 도시된 시공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콘크리트벽 시공장치 110... 주입호퍼
120... 거푸집 121... 몰드부
122... 연결부 131... 양각키
S... 철근 C... 콘크리트

Claims (3)

  1. 일측에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주입호퍼가 구비되고, 일정 속도로 이동하여 연속적인 콘크리트벽을 생성하는 이동식기계;
    내부에 상기 주입호퍼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유입되며 콘크리트벽의 외부 형상을 제작하기 위한 몰드부와, 상기 몰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식 기계에 상기 몰드부를 결합시켜 주는 결합부와, 상기 몰드부에 유입된 콘크리트 내부에 형성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거푸집;으로 구성되는,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콘크리트벽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일 측면에 하나 이상의 양각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콘크리트벽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양쪽 측면에 하나 이상의 양각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
KR20-2005-0018078U 2005-06-23 2005-06-23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 KR200394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078U KR200394648Y1 (ko) 2005-06-23 2005-06-23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078U KR200394648Y1 (ko) 2005-06-23 2005-06-23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648Y1 true KR200394648Y1 (ko) 2005-09-02

Family

ID=4369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078U KR200394648Y1 (ko) 2005-06-23 2005-06-23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6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132B1 (ko) 2012-06-15 2014-09-01 유한회사 엘씨건설 터널 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공동구 및 라이닝콘크리트의 리드 헌치부의 콘크리트 기계타설 장치 및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132B1 (ko) 2012-06-15 2014-09-01 유한회사 엘씨건설 터널 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공동구 및 라이닝콘크리트의 리드 헌치부의 콘크리트 기계타설 장치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0009015A (pt) Método e sistema de moldagem com aparelho demoldar
KR100671799B1 (ko) 흡차음 스톤패널
KR200394648Y1 (ko) 양각키가 형성된 콘크리트벽 시공장치
CN105863250A (zh) 浇筑混凝土用免拆模板及用于形成免拆模板的模具
CN107379223A (zh) 预制混凝土构件粗糙面生产用模具组件
KR100362356B1 (ko) 장식블록의 성형방법
KR20100064653A (ko)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CN107529485A (zh) 预制混凝土构件粗糙面成型工具
KR20070091088A (ko) 목재 패널 황토 벽체
DE60103668D1 (de) Sandgiessmaschine mit verbessertem sandblasen
CN207290412U (zh) 预制混凝土构件粗糙面成型工具
KR20100037342A (ko) 건물 저층 외벽용 문양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CN205713066U (zh) 浇筑混凝土用免拆模板及用于形成免拆模板的模具
KR101166454B1 (ko) 다공표면을 갖는 인조석 제조용 금형
CN110076877A (zh) 工地围挡预制基础及其施工方法
CN201525079U (zh) 建筑体的成型模具
CN205935633U (zh) 现浇墙体快速组装模板
CN210453126U (zh) 鱼巢式护坡模具
CN210436343U (zh) 一体成型护坡模具
JP2019163589A (ja) 型枠浮かし支持具
CN203887999U (zh) 一种发泡混凝土砌块成型模具
CN210857753U (zh) 混凝土楼板控制器及其混凝土楼板控制器模具
KR200362468Y1 (ko) 옹벽블록성형기에 있어 옹벽블록의 돌출부 성형장치
KR100491515B1 (ko)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 및 방법
KR100769918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