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183Y1 - 스탠드형 장식선반 - Google Patents

스탠드형 장식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183Y1
KR200394183Y1 KR20-2005-0015552U KR20050015552U KR200394183Y1 KR 200394183 Y1 KR200394183 Y1 KR 200394183Y1 KR 20050015552 U KR20050015552 U KR 20050015552U KR 200394183 Y1 KR200394183 Y1 KR 200394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and
left frame
vertical poles
p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하
Original Assignee
대경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경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5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1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탠드형 장식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이 이중(2개 1조)으로 구성되고 좌측프레임과 우측프레임 하단에 X자형 보강프레임이 연결되는 등 프레임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한편 보강프레임의 지지력으로 프레임만을 단독으로 세워놓을 수 있어 혼자서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각 가로대가 파형(물결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위치한 보강대와 불일치되는 부분에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판자를 가로대에 나사못으로 체결할 때 보강대와의 간섭이 없이 스크루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죄거나 풀 수 있고, 최상에 위치한 판자에 체결된 수평판 및 벽면에 정착되는 수직판으로 구성된 정착부재에 의하여 외력에 따른 프레임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스탠드형 장식선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탠드형 장식선반{Stand type shelving}
본 고안은 스탠드형 장식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한편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스탠드형 장식선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드형 장식선반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드형 장식선반의 일부분이 도시된 우측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드형 장식선반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층층이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공예품, 장난감, 화분 등 물건이 진열되는 다수의 판자(2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프레임(10)은 서로 마주보도록 좌우에 각각 배치된 좌측프레임(12) 및 우측프레임(14)으로 대별되고, 이 좌측프레임(12) 및 우측프레임(14)은 서로 마주보도록 전후에 각각 배치된 1쌍의 세로대(12v)(14v)와, 이 세로대(12v)(14v) 사이에 상하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상측에 판자(20)가 나사못에 의하여 각각 체결되는 다수의 가로대(12h)(14h)와, 이 가로대(12h)(14h) 사이에 각각 위치되도록 세로대(12v)(14v) 사이에 고정된 보강대(12r)(14r)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근래 들어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부재(가로대, 세로대, 보강대 등) 두께가 공간점유율 감소, 재료절감, 경량화 등을 이룩하기 위해서 점차 얇아지고 있는 추세인 것에 대하여, 세로대(12v)(14v)가 단독으로 구성되고 좌측프레임(12)과 우측프레임(14)의 결합이 단순히 가로대(12h)(14h)와 판자(20) 간의 체결에만 의존하여 이루는 등 전반적으로 구조가 취약하여 각 부재 두께를 두껍게 형성해야 선반으로서의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 즉 현 추세에 역행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또 판자(20)를 가로대(12h)(14h)에 체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프레임(10)을 세울 수가 없어 조립할 때 2인이 1조가 되어 한 명이 프레임(10)을 세우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 명이 판자(20)를 체결하여야 했으며, 아니면 1인의 인력만으로 작업하기 위해서는 프레임(10)을 바닥에 눕힌 상태에서 작업하여야 했는데, 이 경우는 넓은 작업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기술은 가로대(12h)(14h)가 보강대(12r)(14r)와 동일선상에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판자(20)를 가로대(12h)(14h)에 체결시킬 때 나사못을 죄기 위한 스크루드라이버(작업자의 손을 포함한다)와 보강대(12r)(14r)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어 작업 자체가 여의치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물론 이때의 문제점은 길이가 짧은 스크루드라이버를 사용하거나 가로대(12h)(14h)와 보강대(12r)(14r) 사이의 간격(G)을 넓게 형성하면 해결이 가능하겠으나, 길이가 짧은 스크루드라이버로는 큰 힘을 낼 수 없다는 문제점 및 가로대(12h)(14h)와 보강대(12r)(14r) 사이의 간격(G)이 불균일하게 되어 좌측프레임(12) 및 우측프레임(14)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산 또한 불균일하게 된다는 문제점 등을 감수하여야 하므로 바람직하다 할 수는 없다.
또 한편 장식선반의 경우, 대개 좌우 길이에 비하여 전후 폭이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마련인데, 이 구조로 인하여 외력이 가하여진 때 전방으로 그대로 전도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을 2중 구조로 구성하고, 이 좌측프레임과 우측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도록 된 별도 프레임을 추가하여 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전반적으로 구조가 견고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부재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별도 프레임에 의하여 프레임을 홀로 세울 수 있어 1인이 혼자서 손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가로대 모양이 상측에서 보았을 때 보강대와 불일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판자를 가로대에 체결할 때 보강대와의 간섭발생이 없어 순조롭게 작업할 수 있는 스탠드형 장식선반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판자를 벽면에 정착시키는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외력에 의하여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탠드형 장식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좌우에 각각 세워진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과 우측프레임 하단에 연결된 보강프레임과, 층층이 위치되도록 상기 좌측프레임과 우측프레임에 양측이 각각 체결된 다수의 판자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은 2개 1조의 전방세로대 및 후방세로대와, 상기 전방세로대와 후방세로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일체로 연결된 상측연결대 및 하측연결대와, 양끝이 상기 전방세로대 사이 및 후방세로대 사이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전방세로대와 후방세로대 사이에 상하 간격을 두고 고정된 다수의 가로대와, 양끝이 상기 전방세로대 사이 및 후방세로대 사이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가로대 사이에 각각 고정된 보강대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은 양끝 중 한쪽이 좌측프레임의 하측연결대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우측프레임의 최하에 위치된 가로대에 연결된 제1교차대와, 상기 제1교차대와 중앙부가 힌지 연결되고 양끝 중 한쪽이 우측프레임의 하측연결대에 연결되며 다른 쪽이 좌측프레임의 최하에 위치된 가로대에 연결된 제2교차대로 구성되고; 상기 각 가로대는 좌우로 이는 물결 모양의 파형부가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보강대와 불일치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최상에 위치한 판자 하측면에 체결된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 뒤쪽 끝에 일체로 형성되어 벽면에 정착되는 수직판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정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장식선반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장식선반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는 프레임(50)(60)(70)과, 이 프레임(10)에 간격을 두고 층층이 위치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판자(80)와, 이 판자(80)를 벽면에 정착시켜 프레임(50)(60)(70)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정착부재(9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50)(60)(70)은 서로 마주보도록 좌우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좌측프레임(50) 및 우측프레임(60)과, 이 좌측프레임(50)과 우측프레임(60)의 하단에 연결된 보강프레임(70)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장식선반의 프레임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상기 좌측프레임(50) 및 우측프레임(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전후에 각각 배치된 전방세로대(51)(61) 및 후방세로대(52)(62)와, 이 전방세로대(51)(61)와 후방세로대(52)(62)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측으로 만곡한 호형으로 형성된 상측연결대(53)(63)와, 전방세로대(51)(61)와 후방세로대(52)(62)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측에 받침발(54f)(64f)이 장착된 하측연결대(54)(64)와, 전방세로대(51)(61)와 후방세로대(52)(62) 사이에 상하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상측에 판자(80)가 나사못에 의하여 각각 체결되는 다수의 가로대(55)(65)와, 이 가로대(55)(65) 사이에 각각 고정된 보강대(56)(66)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방세로대(51)(61), 후방세로대(52)(62), 상측연결대(53)(63) 및 하측연결대(54)(64)는 서로 일체로 연결된 단일체로 구조적인 안정성 향상을 위해서 2개를 1조로 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가로대(55)(65)와 보강대(56)(66)는 그 양쪽 끝이 1조의 전방세로대(51)(61) 사이 및 후방세로대(52)(62) 사이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용접되는 바, 양측이 동시에 접합되는 구조이므로 접합 면적이 커 결합정도가 우수하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가로대(55)(65)의 평면도로 그 형상을 나타낸다.
상기 각 가로대(55)(6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이는 물결 모양의 파형부(55w)(65w)가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상측에서 보았을 때 보강대(56)(66)와 그 형상이 서로 불일치하고, 이 불일치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55h)(65h)이 형성되는 바, 판자(80)는 이 체결구멍(55h)(65h)을 통하여 나사못으로 가로대(55)(65)와 체결된다.
따라서 상측에서 보면 체결구멍(55h)(65h)의 위치가 보강대(55)(66)와 동일선상(L)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로써 스크루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판자(80)를 체결하는 나사못을 죄거나 풀 때 보강대(55)(66)와 간섭이 없는 상태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강프레임(70)은 좌측프레임(50)과 우측프레임(60)을 지지하여 세워진 상태가 유지도록 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구조의 안정성 향상을 꾀하는 것으로서, 양끝 중 한쪽이 좌측프레임(50)의 하측연결대(54)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우측프레임(60)의 최하에 위치된 가로대(65)에 연결된 제1교차대(71)와, 양끝 중 한쪽이 우측프레임(60)의 하측연결대(64)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좌측프레임(50)의 최하에 위치된 가로대(55)에 연결된 제2교차대(72)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1교차대(71)와 제2교차대(72)는 중앙부가 서로 힌지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X자 모양을 이룬다.
도 6은 상기한 정착부재(9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정착부재(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바, 최상에 위치한 판자(80) 하측면에 나사못으로 체결된 수평판(91)과, 이 수평판(91) 뒤쪽 끝에 일체로 형성되고 구멍(92h)이 형성되어 벽면에 앵커볼트나 콘크리트못 등으로 정착되는 수직판(9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직판(92)을 벽면에 정착시키면, 본 고안을 벽면에 정착되는 것과 같은 작용이 발생되므로 본 고안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은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이 이중(2개 1조)으로 구성되고, 좌측프레임과 우측프레임 하단에 X자형 보강프레임이 연결되는 등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재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써 공간점유율 감소, 재료절감, 경량화 등을 이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한 보강프레임에 의하여 프레임만을 단독으로 세워놓을 수가 있어 좁은 공간에서 혼자 힘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판자가 각각 체결되는 가로대가 파형(물결 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 사이에 위치한 보강대와 형상이 불일치되는 부분에 체결구멍이 형성되므로 보강대와의 간섭이 없는 상태로 스크루드라이버를 사용, 나사못을 죄거나 풀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최상에 위치한 판자에 수평판 및 수직판으로 구성된 정착부재가 체결되어 수직판을 벽면에 정착시키면 본 고안이 벽면에 정착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한 전도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드형 장식선반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드형 장식선반의 일부분이 도시된 우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장식선반이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장식선반의 프레임이 도시된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가로대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장식선반의 정착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60 :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 51, 61 : 전방세로대
52, 62 : 후방세로대 53, 63 : 상측연결대
54, 64 : 하측연결대 55, 65 : 가로대
55w, 65w : 파형부 55h, 65h : 체결구멍
56, 66 : 보강대 70 : 보강프레임
71, 72 : 제1 및 제2교차대 80 : 판자
90 : 정착부재 91 : 수평판
92 : 수직판

Claims (2)

  1. 좌우에 각각 세워진 좌측프레임(50) 및 우측프레임(60)과, 상기 좌측프레임(50)과 우측프레임(60) 하단에 연결된 보강프레임(70)과, 층층이 위치되도록 상기 좌측프레임(50)과 우측프레임(60)에 양측이 각각 체결된 다수의 판자(80)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프레임(50) 및 우측프레임(60)은 2개 1조의 전방세로대(51)(61) 및 후방세로대(52)(62)와, 상기 전방세로대(51)(61)와 후방세로대(52)(62)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일체로 연결된 상측연결대(53)(63) 및 하측연결대(54)(64)와, 양끝이 상기 전방세로대(51)(61) 사이 및 후방세로대(52)(62) 사이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전방세로대(51)(61)와 후방세로대(52)(62) 사이에 상하 간격을 두고 고정된 다수의 가로대(55)(65)와, 양끝이 상기 전방세로대(51)(61) 사이 및 후방세로대(52)(62) 사이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가로대(55)(65) 사이에 각각 고정된 보강대(56)(66)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프레임(70)은 양끝 중 한쪽이 좌측프레임(50)의 하측연결대(54)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우측프레임(60)의 최하에 위치된 가로대(65)에 연결된 제1교차대(71)와, 상기 제1교차대(71)와 중앙부가 힌지 연결되고 양끝 중 한쪽이 우측프레임(60)의 하측연결대(64)에 연결되며 다른 쪽이 좌측프레임(50)의 최하에 위치된 가로대(55)에 연결된 제2교차대(72)로 구성되고,
    상기 각 가로대(55)(65)는 좌우로 이는 물결 모양의 파형부(55w)(65w)가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보강대(56)(66)와 불일치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55h)(65h)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장식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형 장식선반은 최상에 위치한 판자(80) 하측면에 체결된 수평판(91) 및 상기 수평판(91) 뒤쪽 끝에 일체로 형성되어 벽면에 정착되는 수직판(92)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정착부재(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장식선반.
KR20-2005-0015552U 2005-06-01 2005-06-01 스탠드형 장식선반 KR200394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552U KR200394183Y1 (ko) 2005-06-01 2005-06-01 스탠드형 장식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552U KR200394183Y1 (ko) 2005-06-01 2005-06-01 스탠드형 장식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183Y1 true KR200394183Y1 (ko) 2005-08-30

Family

ID=43695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552U KR200394183Y1 (ko) 2005-06-01 2005-06-01 스탠드형 장식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1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84584A1 (en) Shelf structure
US4173934A (en) Shelving structure
CN106760634B (zh) 活动房
WO2003102325A8 (de) Holzbauelement und bausatz zum aufbau von gebäudewänden mit holzbauelementen
KR200394183Y1 (ko) 스탠드형 장식선반
JPH03233062A (ja) 柱の構成方法
JP3934979B2 (ja) 耐力壁フレーム及びこれを用いた耐力壁構造
KR200446343Y1 (ko) 파티션 고정구
KR100825251B1 (ko) 조립식 파티션 연결장치
CN210797973U (zh) 一种钢隔断
CA1085777A (en) Shelving structure
KR200464948Y1 (ko) 조립식 진열장
KR20020089286A (ko) 조립식 선반틀
KR200423416Y1 (ko) 시스템 서포트
CN215948570U (zh) 一种隔墙结构及拼接式支撑平台
TWI259070B (en) Combination component assembly of expandable combined rack
JP2594705Y2 (ja) 組立家具
JP2013053479A (ja) 太陽光パネル架台
JP2004231272A (ja) 鋼材組立用金具並びに同金具による鋼材組立体
JP3027256U (ja) パネル構造材
KR101009810B1 (ko) 시설물 조립 구조
JP2552786Y2 (ja) 複柱式組立鋼製棚の最上段棚受
KR200263092Y1 (ko) 조립식 선반틀
GB2412952A (en) An adjustable load-bearing bracket arrangement
KR100407411B1 (ko)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