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156Y1 - 식생용 옹벽 - Google Patents

식생용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156Y1
KR200394156Y1 KR20-2005-0009889U KR20050009889U KR200394156Y1 KR 200394156 Y1 KR200394156 Y1 KR 200394156Y1 KR 20050009889 U KR20050009889 U KR 20050009889U KR 200394156 Y1 KR200394156 Y1 KR 200394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water supply
wall
wa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일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제일이엔에스
Priority to KR20-2005-0009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1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운반 작업 및 시공 작업에 곤란을 주지 않고, 식생하는 수목의 생육에 필요한 객토 용적, 급수량, 산소량을 얻을 수 있는 식생용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정해진 제1옹벽용블럭 내에 객토를 하단부의 높이까지 투입함과 동시에 이와 같은 높이까지 제1옹벽용블럭과 지상면 사이에 이입재(뒤에서 넣는 돌재료)를 투입하고, 제1옹벽용블럭의 하단부 사이에 급수용블럭을 놓는다.그리고 급수용블럭 내에 중입재를 급수용블럭의 전방벽의 높이까지 충전함과 동시에 이와 같은 높이까지 급수용블럭과 지상면 사이에 이입재를 투입하여 전방벽의 급수용블럭 사이에 전방벽의 높이까지 객토를 투입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생용 옹벽{A breast wall for vegetation}
본 고안은 법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내부에 객토를 투입하여 식물을 생육할 수 있는 식생용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공대상의 법면은 직사각형 통모양의 옹벽용 블록 복수를 각 옹벽용 블록 내에 중입재를 충전하면서 계단 모양으로 겹쳐 쌓은 식생용 옹벽이 실용화 되어 있다. 이러한 옹벽은 중입재의 일부에 객토를 사용함으로써, 각 옹벽용 블록의 객토 충전 부분에 식물을 생육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식물을 순조롭게 생육하려면 식물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 도18과 같은 식생 웅벽이 알려져 있다. 즉, 도 18은 식생용 블록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면 중 50은 옹벽용 블록, 60은 옹벽용 블록(50)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용 블록이다. 직사각형 통모양의 옹벽용 블록(50)의 후벽 (52)는 전방벽(51)보다 낮으며, 옹벽용블럭(50)의 양측벽53(53)은 전방벽(51)에서 후벽(52)로, 전방벽(51)의 높이와 같은 치수로 정해진 거리만큼 연장하여 설치한 후, 후벽(52)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된 단차부를 거쳐 후벽(52)에 연결되어 있다. 이 측벽53(53)의 단차부보다 조금 후벽(52)쪽의 위치에 측벽53(53)의 천정면에서 정해진 치수 아랫부분의 위치까지 세로로 된 도량이 설치되어 있으며, 양 세로의 도랑 내에 옹벽용 블록(50)의 내부를 전후에 간을 막은 띠형태의 간막이 블록(57)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끼워 맞춰져 있다. 또 전방벽(51)의 바닥에는 짧은 치수의 저벽(54)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급수용 블록(60)은 바닥이 있는 것 이외에는 옹벽용블럭(50)과 닮은 형태이며, 급수용블럭(60)의 전방벽(61)의 높이는 옹벽용 블록(50)의 측벽(53)의 단차부에서 옹벽용 블록(50)의 전방벽(51)의 상단까지의 치수와 같다.
급수용 블록(60)의 전방벽(61)의 바닥64에서 조금 높은 위치에는, 전방벽(61)을 관통하는 관통구멍 (61a)가 바닥벽(64)와 평행하게 개설되어 있다. 이 관통구(61a) 내에는 급수용 블록(60)내의 물을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리는 끈모양의 양수부재(67)이 삽입, 통과 되어 있으며, 양수부재(67)의 한쪽 끝에는 급수용블럭(60) 내의 저벽(64)까지, 양수부재(67)의 다른 끝은 급수용블럭(60)의 바깥쪽으로 적정 거리만큼 각각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법면에 있어 배치된 옹벽용블럭(50) 내에 간막이 블록57을 설치함과 동시에 적정 크기의 율석 및 쇄석 등의 중입재(F)를 옹벽용블럭(50)의 전방벽(51)쪽은 얇게, 후벽(52)쪽은 두껍게 깐 후, 급수용블럭(60)을 옹벽용블럭(50)의 후벽(52)쪽의 중입재(F)에 놓도록 배치하여 옹벽용블럭(50) 내의 급수용 블록(60)에서 후벽(52)로, 중입재(F)를 옹벽용블럭(50)의 전방벽(51)의 높이까지 투입함과 동시에 급수용블럭(60) 내에 옹벽용 블록(50)내에 투입한 중입재(F)보다 큰 사이즈의 중입재(F)를 옹벽용 블록(50)의 전방벽(51)의 높이가지 투입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틈이 생길 비율을 높여 급수용블럭(60) 내에 모아진 물의 양을 많게 함과 동시에 중입재F에서 양수부재(67)의 한끝을 급수용블럭(60)의 바닥(64)에 고정한다.
이렇게 시공한 하단의 옹벽용 블록(50) 위에, 상단의 옹벽용블럭(50)을 상단의 옹벽용블럭(50)의 바닥(64)가 하단의 급수용블럭(60)의 전방벽(61) 및 간막이 블록57에 의해지지 되도록 놓은 후, 전과 같은 식으로 작업하여 상단의 옹벽용블럭(50) 및 상단의 급수용블럭(60)을 시공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한 후 ,각 옹벽용블럭(50),(50) 내의 급수용블럭(60),(60)...에서 전방벽(51),(51)...측에 각각 객토(G).G를 투입함으로써 복수단의 옹벽용블럭(50),(50)...내에 각각 급수용 블록(60),(60)...을 매설하여 식생용 옹벽을 시공한다.
이와 같은 식생용 옹벽에서는 각 옹벽용 블록 (50),(50)...내의 객토(G),G...에 식물P,P...를 각각 이식 할 수 있다. 한편 상단의 옹벽용 블록(50),(50)...내에 객토(G),G...위로 내린 비는 각 해당 객토(G),G...속으로 침투하여 하단의 옹벽용 블록 (50),(50)...내에 매설한 급수용 블록(60),(60)...내에 저장된다. 그리고 급수용블럭(60),(60)...내에 저장된 우수는 양수부재(67)의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려져 옹벽용 블록(50),(50)...의 객토(G).G...에 침투하여 객토.G.G...을 통과하여 식물 P.P...에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식생용 옹벽은 옹벽용 블록(50).(50)...내의 객토(G).G...의 용적이 작고, 깊이도 비교적 얕으므로 식목을 키우기가 어려웠다. 한편 옹벽용 블록 (50),(50)...보다 크기가 큰 옹벽용 블록을 사용한 경우 운반 작업 및 시공 작업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었다.
도 19는 종래 또다른 식생용 옹벽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며, 도면 중 (70),(70)...은 옹벽용 블록이다. 또 도면20은 도면19에 나타난 옹벽용블럭(70)의 사시도이다. 도면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옹벽용블럭(70)은 깊이방향의 치수가 큰 직사각형 통모양의 2개의 큰 틀 (71),(71)과 깊이방향의 치수가 작고 바닥이 있는 직사각형 통모양의 2개의 작은 틀(72),(72)를 후벽을 나란히 하여 서로 짝을 지어 있다. 따라서 큰 틀(71),(71)의 전방벽 (71a).(71a)는 작은 틀 부분 (72),(72)의 전방벽 (72a).(72a)보다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옹벽용 블럭(70)의 후벽75는 바닥에 대하여 법면에 따른 각도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후벽(75)의 큰 틀(71),(71) 및 작은 틀 (72),(72)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앙에는 후벽(75)를 관통하는 통기구멍 (76),(76),(76),(76)이 각각 개설되어 있다. 한편 양 작은 틀 (72),(72)의 바닥 (74),(74)의 각 중앙부에는 해당 바닥 (74),(74)를 관통하는 배수구 77(77)(도면19참조)이 개설되어 있다
이러한 옹벽용 블록(70)을 사용하여 옹벽을 시공할 때에는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복수로 병설한 하단의 옹벽용 블럭70((70),(70)...)의 위에 상단의 옹벽용블럭(70)을 상하양자의 후벽(75),(75)...가 상하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단의 옹벽용 블록(70)의 큰틀71(71)과 하단의 옹벽용블럭(70)의 작은틀72(72)위에 위치하도록 겹쳐쌓는 작업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상단의 옹벽용블럭70(70)의 큰틀71(71)과 하단의 옹벽용블럭70의 작은틀72(72)가 연결되어 통하는 복수의 객토조(客土槽;객토를 담는 그릇)(80).(80)...이 형성된다. 그리고 객토조(80),(80)...에 객토(G).G를 투입한 후 객토(G),G...에 식물 P.P를 심는다.
이에 따라 비교적 깊은 객토조(80)이 형성되므로 식물P가 깊은 뿌리를 내리는 식목을 객토조(80)에 식생할 수가 있다. 또 상단의 옹벽용블럭(70),(70)...의 객토조(80),(80)...에 내린 비가 배수용구(77),(77)...을 통과하여 하단의 옹벽용 블럭(70),(70)...의 객토조(80).(80)...에 공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후자의 식생용 옹벽에 있어서는 상하2단의 옹벽용블럭(70),(70)에 의해 비교적 깊은 객토조(80)를 형성하므로 각 옹벽용 블럭(70),(70)...의 운반 작업 및 시공 작업이 비교적 용이하지만 객토조(80)는 상단의 옹벽용 블럭(70)의 큰틀(71) 및 하단의 옹벽용 블럭(70)의 작은 틀 (72)의해 상부개구를 뺀 주위가 모두 둘러싸여 있으므로 키가 큰 나무가 자라는데 필요한 충분한 산소량을 얻기 어려우며, 양호한 생육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 만약 키 큰 나무가 뿌리를 내린다고 해도 객토조(80)을 둘러싼 큰틀(71)의 주위벽 및 작은틀(72)의 주위벽 및 저벽(74)에 의해 뿌리가 자라는 것을 제한 받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 후자의 식생용 옹벽은 도면에 나타난 급수용 블럭(60)을 갖추고 있으므로 여름철등 강우량이 적은 계절에는 물을 뿌리지 않으면 객토(G,G)에 식생 하는 식물(P.P...)가 고사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이 감안된 것으로 운반 작업 및 시공 작업에 곤란을 주지 않고 키울 수 있는 식목의 생육에 필요한 객토용적, 급수량, 산소량을 갖출 수 있는 식생용 옹벽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전방벽과 후벽 사이에 양측벽을 가설한 통형태의 옹벽용 블록 복수를 시공대상의 법면을 따라 옆으로 병설함과 동시에 세로로 계단식으로 겹쳐 쌓은 것이며, 내부에 객토를 투입하여 식물을 생육 가능하도록 한 식생용 옹벽에 있어, 1또는 복수단의 적정위치에 객토를 투입한 옹벽용 블록이 배치되어 있으며 객토를 투입한 옹벽용블럭의 양측벽 사이에 객토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용 블럭이 가설되어 있고, 이 옹벽용 블럭 및 급수용블럭에 둘러싸인 전 영역에 객토가 충전되어 있으며, 객토를 충전한 옹벽용 블록의 바로 위에 겹쳐 쌓인 옹벽용블럭 전 영역에 석재가 충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전방벽과 후벽 사이에 양측 벽을 가설한 통모양의 제1옹벽용블럭 복수를 시공대상의 법면을 따라 횡으로 병설함과 동시에 세로로 계단형태로 겹쳐 쌓여 있으며 내부에 객토를 투입하여 식물을 생육 가능하도록 한 식생용블럭에 있어, 제1옹벽용블럭의 양측 벽의 길이보다 긴 치수의 양측벽을 전방벽과 후벽의 사이에 가설한 통모양의 제2옹벽용블럭이 적당한 제1옹벽용 블럭 위에, 제2옹벽용블럭의 전방벽이 해당 제1옹벽용블럭의 전방벽위치 또는 그보다 작은 제1옹벽용블럭의 후벽측의 위치가 되도록 겹쳐 쌓여 있으며, 이 제2옹벽용블럭의 양측벽간에 객토에 급수하기위한 급수용블럭이 가설되어 있으며, 제2옹벽용블럭 및 급수용블럭에 둘러싸인 전 영역에 객토가 충전되어 있으며, 제2옹벽용블럭을 겹쳐 쌓게 한 제1옹벽용블럭 내에는 석재가 충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2옹벽용블럭을 겹쳐 쌓은 제1옹벽용블럭 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전기 석재를 대신하여 객토가 제2옹벽용 블록 내의 객토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충전되어 있으며 제1옹벽용블럭의 양측벽에 그 위에 겹쳐쌓은 제2옹벽용 블럭이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2옹벽용블럭을 겹쳐쌓은 제1옹벽용블럭의 후벽의 높이는 전방벽의 높이보다 낮으며 제1옹벽용블럭의 후벽보다 상위영역에 내외의 간을 막은 블록이 제1옹벽용블럭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이 제1옹벽용블럭 및 간막이 블록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객토가 충전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옹벽용블럭의 후벽과 간막이블럭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옹벽용블럭의 적어도 한방향의 측벽 윗면에는 겹쳐쌓은 제2옹벽용블럭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활동방지편이 덧붙여 설치되어 있고, 이 활동방지편은 제2옹벽용블럭에 대응하는 측벽의 바닥에 설치된 오목부내에 끼워져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2옹벽용 블록의 바로 위에 겹쳐쌓은 제1옹벽용블럭 내의 전 영역에 석재가 충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관한 식생용 옹벽은 전방벽과 후벽사이에 양측벽을 가설하여, 통모양의 옹벽용 블록 복수를 시공대상의 법면을 따라 횡으로 병설함과 동시에, 세로로 계단식으로 겹쳐 쌓은 것이며 1또는 복수단의 적정 위치에 객토를 투입한 옹벽용 블록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객토를 투입한 옹벽용 블럭의 양측벽 사이에 객토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용 블럭이 가설되어 있다. 이 옹벽용 블럭 및 급수용블럭에 둘러싸인 전 영역에 객토가 충전되어 있는 한편 객토를 충전한 옹벽용 블록의 바로 위에 겹쳐 쌓인 옹벽용 블록 내의 전 영역에 석재가 충전되어 있다. 또 옹벽용 블럭 및 급수용 블럭으로 둘러싸인 전 영역에 객토가 충전되어 있는 것은 옹벽용 블록 내의 급수용 블럭의 바닥에 면한 영역에도 객토가 충전되어 있으면 좋으며, 예를 들어 해당 옹벽용 블럭의 바닥 등에 석재가 투입되거나 깔려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다른 식생용 옹벽은 전방벽과 후벽사이에 양측벽을 가설한 통모양의 제1옹벽용블럭 복수를 시공대상의 법면을 따라 횡으로 병설함과 동시에 세로로 계단식으로 겹쳐 쌓여 있으며, 제1옹벽용블럭의 양측벽의 길이보다 긴 치수의 양측벽을 전방벽과 후벽사이에 가설한 통모양의 제2옹벽용블럭이 적정한 제1옹벽용블럭 위에, 제2옹벽용블럭의 전방벽이 제1옹벽용블럭의 전방벽위치 또는 그보다 작은 제1옹벽용블럭의 후벽측의 위치가 되도록 겹쳐 쌓여 있다.
이 제2옹벽용블럭의 양측벽 사이에 객토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용 블럭이 가설되어있다. 그리고 제2옹벽용블럭 및 급수용블럭으로 둘러싸인 전 영역에 객토가 충전되어 있으며, 이 제2옹벽용블럭을 겹쳐 쌓게 한 제1옹벽용블럭 내에는 석재가 충전되어 있다. 또 제2옹벽용블럭 및 급수용블럭으로 둘러싸인 전 영역에 객토가 충전되어 있음은 제2옹벽용블럭 내에 급수용블럭의 바닥에 면한 영역에도 객토가 충전되어 있으면 좋고 예를 들어 제2옹벽용블럭의 바닥 등에 석재가 투입되거나 깔려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제2옹벽용블럭을 겹쳐 쌓게 한 제1옹벽용블럭 내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석재를 대신하여 객토가 제2옹벽용블럭내의 객토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충전되어 있으며, 제1옹벽용블럭의 양측 벽에 그 위에 쌓여진 제2옹벽용블럭이 지지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제2옹벽용 블록을 겹쳐 쌓은 제1옹벽용블럭의 후벽의 높이는 그 전방벽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고 이 제1옹벽용블럭의 후벽보다 상위 영역에 있어 내외를 구분하는 간막이 블럭이 제1옹벽용블럭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제1옹벽용블럭 및 간막이 블록에 둘러싸인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객토가 충전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제2옹벽용 블록을 겹쳐 쌓은 제1옹벽용블럭의 후벽을 그 양측벽보다 낮게 함으로써 해당 후벽과 간막이 블록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있다.
제1옹벽용블럭의 적어도 한 방향의 측벽의 윗면에는 겹쳐쌓은 제2옹벽용블럭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활동방지편이 덧붙여 설치되어 있으며, 이 활동방지편은 제2옹벽용블럭에 대응하는 측벽의 바닥에 설치된 오목부내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제2옹벽용 블록의 바로 위에 겹쳐 쌓여진 제1옹벽용 블록내의 전 영역에 석재가 충전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옹벽용블럭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옹벽용블럭1은 도1∼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방형의 전방벽(10)과 전방벽(10)의 길이치수 보다 짧은 치수이며, 전방벽(10)의 높이보다 낮은 치수를 갖는 장방형의 후벽(11)사이를 두꺼운 부분 및 얇은 부분이 있는 측벽(12),(12)에서 연결하고 있다. 양측벽(12),(12)는 두꺼운 부분을 전방벽(10)에, 얇은 부분을 후벽(11)에 각각 연결시켜 양측벽(12),(12)의 내면은 하나의 면으로 한다. 따라서 양측벽(12),(12)의 외면은 전방벽(10)측이 상대적으로 볼록 모양으로 후벽(11)이 상대적으로 오목형으로 되어있다.
이 측벽(12),(12)의 두꺼운 부분은 높이가 전방벽(10)의 높이와 같다. 또 양쪽 두꺼운 부분의 한 방향의 접합부(13)의 측면에는 반원봉모양 접합부(13a)가 다른 방향의 접합부(13)의 측면에는 접합용 볼록부(13a)를 안으로 끼운 반원통형태의 접합용 오목부(13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양측벽(12),(12)의 두꺼운 부분인 접합부(13),(13)에서 후벽(11)에 연장되어 나온 얇은 부분은 접합부(13),(13)에서 적정 치수만큼 접합부(13),(13)의 높이와 같이 되어 있으며, 따라서 측벽(12),(12)의 상단부 (12a),(12a)가 구성되어 있다. 또 얇은 부분의 상단부(12a),(12a)에서 후벽(11)쪽의 부분은 접합부 (13),(13)의 높이보다 낮고, 후벽(11)의 높이보다 높은 치수로된 하단부(12b),(12b)로 되어있다.
또 전술한 양측벽(12),(12)의 접합부 (13),(13) 윗면의 적정 위치에는 고정용 구멍(16),(16)이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용구 (16),(16)에는 활동방지편 18(예를 들면 도면 13참조)의 한 끝을 끼워 맞추어 고정하도록 되어있다.
다음으로 제2옹벽용블럭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옹벽용블럭2는 도4∼도6과 같이 제1옹벽용블럭1(도1∼도3참조)과 같은 형태의 장방형 통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 제2옹벽용블럭2의 폭 치수 및 높이는 제1옹벽용블럭1의 폭 치수 및 높이와 거의 같지만, 제2옹벽용블럭2의 깊이는 제1옹벽용블럭1의 깊이보다 크다. 또 도4∼도6 중 도1∼도3에 나타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가 붙어있다.
즉 제2옹벽용블럭2의 양측면(22),(22)의 하단부 (22a),(22a)의 치수는 전술한 제1옹벽용블럭1의 양측벽(12),(12)의 하단부(12b),(12b)의 치수와 거의 같지만 제2옹벽용블럭2의 양측벽(22),(22)의 상단부(22a),(22a)의 길이는 전술한 제1옹벽용블럭1의 양측벽(12),(12)의 상단부(12a),(12a)의 길이보다 길다.
제2 옹벽용블럭2의 양측벽(22),(22)의 두꺼운 부분인 접합부(23),(23)은 양측벽(22),(22)의 상단부(22a),(22a)의 긴쪽 부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양측벽(22),(22)의 접합부 23,23과 전방벽(20)사이에 얇은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또 양측벽 (22),(22)의 바닥면이며 전방벽(20)의 근방에는 활동방지편의 다른 끝을 안으로 끼워 넣은 감합용 구멍(27).(27)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급수용 블록에 관하여 설명한다.
급수용블럭3은 도7∼도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방형의 저벽(34)의 주위부 위에 전방벽(30),후벽31 및 양측벽(32),(32)를 세워 설치하고 있으며, 후벽(31)의 높이는 전방벽(30)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있다. 또 전방벽30의 중앙부와 후벽31의 중앙부사이에는 중벽(35)가 가설되어 있다.
그 내면이 한 면인 양측벽(32),(32)는 전방벽(30)에서 후벽(31)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이며, 전방벽(30)의 높이와 같은 치수로 정해진 거리만큼 연장시켜 설치한 후, 상대적으로 두꺼운 치수이며 전방벽30의 높이와 같은 치수 연장하여 상단부(32a)를 형성하고 있으며 같은 치수로 후벽(31)의 높이와 같은 치수로 된 단차부를 지나 단차부와 같은 높이로 후벽(31)의 외면위치까지 연장되어 설치하여 하단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측벽(32),(32)의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에는 그보다 전방벽(30)쪽인 얇은 부분에서 밖으로 돌출한(33).(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측벽 (32),(32)의 얇은 부분사이의 바깥치수는 제1옹벽용블럭1 및 제2옹벽용블럭2의 양측벽(12),(12),(22),(22)사이의 안쪽 치수보다 조금 작다. 한편 양측벽(32),(32)의 돌출부(33),(33)사이의 외측치수는 제1옹벽용블럭1 및 제2옹벽용블럭2의 양측벽(12),(12),(22),(22)사이의 내측 치수보다 크고, 양측벽(32),(32)의 돌출부33.33을 제1옹벽용블럭1 또는 제2옹벽용블럭2의 양측벽(12),(12),(22),(22)의 하단부 (12b),(12b),(22a)(22a) 위에 놓도록 되어있다. 이 때 돌출부(33),(33)은 제1옹벽용블럭1 또는 제2옹벽용블럭2의 양측벽 (12),(12),(22),(22)의 상단부(12a),(12a),(22a),(22a)에 접해 있다.
전술한 전방벽30에는 전방벽30의 내외면을 관통하고 내부에 저축된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예를 들어4개)의 급수용 구멍(37),(37)이 전방벽(30)의 폭 방향으로 적정거리를 두고 개설되어 있다. 급수용 구멍(37)의 전방벽(30)의 외면에 개구된 토수구는 전방벽(30)의 상단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급수용구(37)의 전방벽(30)의 내면에 개구한 취수구는 저벽(34)의 내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해 있다. 즉 급수용 구멍(37)의 토수구의 높이는 급수용구(37)의 취수구 높이보다 높다. 급수용 구멍(37)은 그 내면 지름이 전방벽(30)의 외면 상부에서 내면 하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메가폰형태로 되어있으며 시공 작업 중 토사와 같은 모관상승을 일으키는 매체가 자연낙하에 의해 급수용 구멍(37)내에 충전되며, 내부에 저축된 물은 이러한 매체에 의한 모관상승에 의해 급수용 구멍(37)의 취수구로 퍼 올려져 토수구로부터 밖으로 토출된다.
이 전방벽(30)의 윗면에는 전방벽30의 두께 방향의 전 영역에 복수(도7 및 도8에서는 3개)의 오목부 (30a)(30a)(30a)가 전방벽30의 긴 쪽 방향으로 적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통수로 및 통기로로서 기능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후벽(31)의 높이는 전방벽(30)에 설치된 급수용구37의 토수구의 바닥과 같은 높이로 되어있다. 만약 후벽31의 높이를 토수구의 바닥보다 높게 하면 급수용블럭(3)내의 토수구의 바닥보다 높은 부분에 일시적으로 머무는 물은, 이 부분의 수압에 의해 단시간에 토수구의 바닥높이까지 급수용 구멍(37)에서 밖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전방벽31의 높이를 토수구의 바닥높이보다 높게 하더라도 급수용블럭(3)의 실질적 저수량은 증대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와 같이 후벽(31)의 높이를 토수구의 바닥높이와 거의 같게 한 경우 실질적인 저수량이 감소하지 않고 급수용블럭3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원료를 절감 할 수 있으며 비용도 적다. 또 이와 같이 후벽31의 높이를 전방벽30의 높이보다 낮게 하기 위해 급수용블럭에 과잉 공급된 우수를 후벽31에서 밖으로 배수(overflow)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급수용블럭(3)은 이러한 배수에 의해 후벽(31)에서 밖으로 또 급수용 구멍(37)을 통해 전방벽(30)에서 밖으로 각각 물을 공급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다음에 간막이 블럭에 관하여 설명한다.
간막이 블록(4)는 도10∼도12에서와 같이 띠모양 판의 후벽(41)의 양끝 가장자리에 받침대 모양 기둥의 측벽(42)을 각각 연결시켜 평면에서 보면 コ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후벽(41)의 높이는 양측벽(42),(42)의 높이보다 적게 되어있다. 따라서 전압작업을 쉽고 확실히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후벽(41)의 바닥에는 후벽(41)의 두께방향의 전 영역에 복수(도8에서는2개)의 오목부(41a),(41a)가 후벽(41)의 길이 방향으로 적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이 오목부(41a),(41a)내에 간막이 블록(4)를 매달아 올리기 위한 벨트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상 설명한 각 블록을 사용하여 본 고안에 관한 식생용블럭을 다음과 같이 시공한다.
도13은 본 고안에 관한 식생용 옹벽의 상부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며, 도면 중 J는 식생용 옹벽을 시공한 지상면이다. 지상면(J)의 법면을 따라 n단의 제1옹벽용블럭(1,1...)이 계단모양으로 겹쳐 쌓여 있으며 미리 정해진 1또는 복수단(도13에서는(n-1)단째)내의 적정수(도13에서는1개)의 제1옹벽용블럭에 비교적 키가 큰 수목인 식물P를 생육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지상면(J)의 법면을 따라 (n-2)단 째의 복수의 제1옹벽용블럭1(1,1...)을 횡으로 나란히 놓는다. 다음으로 이들 제1옹벽용 블럭1(1,1...)의 각 측벽12(12,12...)의 고정용 구멍16(16,16...)에 둥근모양의 활동방지편18(18,18...)의 한 끝을 다른 끝이 고정용 구멍16(16,16...)에서 돌출된 형태로 삽입 고정한다. 그리고 각 제1옹벽용 블럭1(1,1...)내에 적정크기의 (예를 들면 직경이 20mm∼40mm)의 쇄석 등을 중입재(F)를 각 제1옹벽용블럭1(1.1...)의 후벽(11)의 높이보다 조금 높은 위치 즉 측벽12(12,12...)의 하단부(12b)의 높이까지 투입함과 동시에 이와 같은 높이까지 각 제1옹벽용블럭1(1,1...)과 지상면(J)사이에 상기와 같은 쇄석 등의 이입재(R)을 투입한 후 중입재(F) 및 이입재(R)의 표면을 전압 즉, 누른다.
상기에서 이입재는 뒤에서 넣는 돌재료이다.
이와 같이하여(n-2)단 째를 시공한 후 (n-1)단 째의 복수의 제1옹벽용 블록1(1,1...)을 각 전방벽10(10,10...)의 양끝 근방의 부분이 활동방지편18(18,18...)에 접하도록 지상면(J)의 법면을 따라 횡으로 나란히 놓은 후, (n-1)단 째의 제1옹벽용블럭1(1,1...)의 각 측벽12(12,12...)의 고정용 구멍16(16,16...)에 활동방지편18(18,18...)을 전과 같이 삽입 고정한다.
이들 각 제1옹벽용블럭1(1,1...)중에서 정해진 제1옹벽용블럭1 내에, 객토(G)를 다른 제1옹벽용블럭1(1,1...)에 중입재(F,F...)를 각각 제1옹벽용블럭1(1,1...)의 측벽12(12,12...)의 하단부12b(12b,12b...)의 높이까지 투입함과 동시에 이들과 같은 위치까지 각 제1옹벽용블럭1(1,1...)과 지상면(J)사이에 이입재(R)을 투입한 후 이들의 표면을 누른다.
또 (n-1)단 째의 객토(G)가 투입되는 제1옹벽용블럭 내에는 객토(G)를 투입하기 전에 (n-2)단 째의 중입재(F) 및 이입재(R)의 표면에 존재하는 틈을 막는 목궤재(틈을 막는 재료)를 미리 깔아둔다. 단 직경이 약12mm∼20mm의 중입재(F)를 사용한 경우는 틈을 막는 재료가 불필요 하다.
다음으로 객토(G)를 투입한 제1옹벽용블럭(1)의 대를 이루는 전방벽12(12)의 하단부12b(12b)사이에 급수용블럭(3)을 놓아둔다. 그리고 이 제1옹벽용블럭(1)에는 급수용블럭3내에 중입재(F)를 급수용블럭(3)의 전방벽(30)의 높이까지 충전함과 동시에 이것과 같은 높이까지 급수용블럭3과 지상면(J)사이에 이입재(R)를 투입하는 한편, 다른 제1옹벽용블럭(1,1...)에는 각 제1옹벽용블럭(1,1...)의 전방벽(10,10...)의 높이까지 중입재(F) 및 이입재(R)를 투입한 후 각각 표면을 전압한다.
이때 도13과 같이 제1옹벽용블럭(1)의 후벽(11)은 전방벽12(12)의 하단부12b(12b)보다 낮으므로 제1옹벽용블럭1의 측벽12(12)위에 놓여진 급수용블럭(3)과 제1옹벽용블럭(1)의 후벽(11)사이에 틈이 생긴다.
이와 같이(n-1)단 째를 시공한 후 n단 째의 복수의 제1옹벽용블럭1(1,1...)를 전과 같은 식으로 각 전방벽10(10,10...)의 양끝 근방의 부분이 활동방지편18(18,18...)에 접하도록 지상면(J)의 법면을 따라 횡으로 나란히 배치한다. 그리고 전술한 (n-2)단 째와 같이 중입재(F) 및 이입재(R)을 시공한다.
이와 같이 n단 째의 제1옹벽용블럭1(1,1...)의 시공이 종료된 후 (n-1)단 째의 급수용 블록(3)을 배치한 제1옹벽용블럭(1)의 전방벽(10)과 해당급수용블럭(3) 사이에 제1옹벽용블럭(1)의 전방벽(10)의 높이까지 객토(G)를 투입함으로써 식생용 옹벽의 시공을 완료한다. 그리고 이 객토(G)에 식물(P)를 심는다.
이때 제1옹벽용블럭 내에 투입된 객토(G)는 자연 낙하에 의해 급수용 블록(3)의 급수용 구멍(37)내에 진입하여 거기에 충전된다. 급수용 구멍(37)에 충전된 객토(G) 안에는 적정한 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틈에 의해 모관상승이 일어난다. 따라서 급수용 구멍(37)에 모관상승을 생기게 하는 다른 부재를 삽입하지 않고 급수용블럭(3) 내에 저축된 물을 모관상승에 의해 급수용 구멍(37)에서 외부의 객토(G)에 공급할 수 있다. 또 제1옹벽용블럭 내로 투입된 객토(G)가 자연낙하에 의해 급수용 구멍(37)에 충전되므로 급수용 블록의 시공 작업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식생용 옹벽에 있어서는 제1옹벽용블럭 내의 전 영역에 객토(G)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키가 낮은 식목의 생육에 필요한 객토(G)의 용적이 확보된다. 또 객토(G)는 (n-2)단 째의 제1옹벽용블럭 내외의 중입재(F) 및 이입재(R)위에 적재되어 있으므로, 이 중입재(F) 및 이입재(R) 내를 통하여 객토(G) 안에 남은 물이 양호하게 배수된다. 따라서 객토(G)로의 통기가 촉진되어 식물(P)의 생육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량을 얻을 수 있어 뿌리의 부패를 막을 수 있다.
또 n단 째의 제1옹벽용블럭(1)에 내린 우수는 제1옹벽용블럭(1)내의 중입재(F)내를 통과 하여 (n-1)단 째의 제1옹벽용블럭(1)의 이입재(R) 및 급수용블럭(3)내로 유입된다. 급수용 용기(3)의 후벽(31)은 전방벽(30)보다 낮으므로 급수용블럭(3)의 용량을 초과하는 우수는 급수용블럭(31)을 넘어 이입재(R)로 배수된다. 이때 급수용블럭(3)과 이를 지지하는 제1옹벽용블럭(1)의 후벽(11)사이에 틈이 생기므로 (n-1)단 째의 제1옹벽용블럭(1)의 이입재(R)에 유입된 우수 및 급수용블럭(3)에서 배수된 우수는 해당 틈을 통과하여 제1옹벽용블럭(1)의 객토(G)로 공급된다.
한편 급수용블럭(3)에 저축된 우수는 모관상승에 의해 급수용구(37)에서 밖의 객토(G)내로 서서히 공급된다. 또 지상면(J)의 법면에서의 수분도(n-1)단 째의 이입재(R)를 통과하여 객토(G) 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객토(G)는 비가 내릴 때의 물이 낭비되지 않고, 충분히 공급됨과 동시에 급수용블럭(3)에 저축된 우수가 서서히 공급되므로 장기간에 걸쳐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도 물을 뿌리지 않고 식물(P)이 고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3과 같이 식생용옹벽에 있어서는 (n-1)단 째에 하나만 객토(G)를 투입한 제1옹벽용블럭(1)을 시공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에 그치지 않고 임의의 단수의 제1옹벽용블럭(1,1...)에 객토(G,G...)를 투입하여 갈지자모양이 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경관을 고려한 필요 위치의 제1옹벽용블럭(1,1...)에 객토(G,G...)를 투입하여 식물(P.P...)을 생육할 수 있는 한편, 객토를 투입하지 않은 제1옹벽용블럭(1,1...)에는 잡초 등이 생육하기 어려우므로 경관이 양호하게 보호됨과 동시에 잡초의 처리 등에 필요한 수고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에의 형태에 관한 식생옹옹벽에 있어서는 제1옹벽용블럭(1)의 측벽(12)는 상단부(12a)와 하단부(12b)를 형성하여 계단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양측벽(12),(12)의 하단부(12b),(12b)위에 급수용블럭(3)이 옆으로 누워 있으나 본 고안은 여기에서 국한되지 않고 양측벽을 하단부(12b),(12b)를 설치하지 않고 상단을 한 면으로 하여 양 측벽의 내면에 급수블럭3을 지지하는 지지볼록부 또는 지지 도랑을 형성하여 급수용블럭(3)에 지지블럭(3) 또는 지지도랑에 끼워 맞추는 결합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제1옹벽용블럭(1)의 후벽(11)의 높이를 전방벽(10)의 높이와 같이하여도 좋다.
도14는 본 고안에 관한 다른 식생용옹벽의 상부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제2옹벽용블럭(2)를 사용함으로써 중간정도 키의 수목을 생육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도면중 도13에 나타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같은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n-2)단 째의 제1옹벽용블럭1(1,1...)의 측벽12(12,12...)의 고정용 구멍16(16,16...)에 활동방지편18(18,18...)을 전과 같은 식으로 고정 삽입하여, 제1옹벽용블럭1(1,1...)을 시공한 후, (n-2)단 째의 적정 제1옹벽용블럭(1)위에 (n-1)단 째의 제2옹벽용블럭(2)의 감합용 구멍27(27)내에 바로아래의 제1옹벽용블럭(1)에 고정된 활동방지편18(18,18...)의 다른 끝이 끼워져 제2옹벽용블럭(2)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복수의 제2옹벽용블럭(2,2...)를 옆으로 연속시키거나 적정거리를 두어 나란히 두어도 좋다.
(n-2)단 째의 제1옹벽용블럭(1) 위에 겹쳐쌓은 (n-1)단 째의 제2옹벽용블럭(2)의 전방벽(20)이 제1옹벽용블럭(1)의 전방벽(10)보다 좀더 후벽(11)쪽으로 위치하도록 제2옹벽용블럭(2)를 시공하거나, 제2옹벽용블럭(2)를 설계하도록 하여도 좋다. 양측벽(10),(20)이 어긋나는 양은 식생용옹벽의 시공에 지장이 없는 정도로 되어있다.
(n-1)단 째의 제2옹벽용블럭(2)를 배치한 이외의 부분에는 제1옹벽용블럭을 계단식으로 병설하여 중입재를 충전한다.
한편 식생용옹벽과 같은 식으로 제2옹벽용블럭(2) 및 제1옹벽용블럭1(1,1...)의 고정용 구멍16(16,16...)에 활동방지편18(18,18...)을 전과 같은 식으로 고정 삽입한 후, 제2옹벽용블럭(2)의 내부에 객토(G)를 충전하고, 제2옹벽용블럭(2)의 양측벽22(22)의 하단부22a(22b)위에는 급수용블럭(3)을 놓으며, 급수용블럭3에는 중입재(F)를 충전하여 제2옹벽용블럭(2)의 후벽(21)과 지상면(J)사이의 이입재(R)를 충전한다. 이때 n단 째의 복수의 제1옹벽용블럭1(1,1...)을 각 전방벽10(10,10...)의 양끝 근방에 활동방지편18(18,18...)에 접하도록 지상면(J)의 법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다. 그리고 앞에서와 같은 (n-2)단 째와 같이 중입재(F) 및 이입재(R)를 시공한다.
제2옹벽용블럭(2)의 객토(G)에 중간 정도 키의 수목인 식물(P)을 자라게 한다. 제2옹벽용블럭(2)는 제1옹벽용블럭(1)보다 용적이 크므로 그 생육에 보다 큰 객토용적을 필요로 하는 식물(P)을 생육할 수 있다.또 식물P의 생육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 및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14에서와 같이 제2옹벽용블럭(2)의 깊이 치수는 제1옹벽용블럭(1)의 깊이치수보다 크므로, 제2옹벽용블럭(2)의 후벽(21)은 바로 밑의 제1옹벽용블럭(1)의 후벽(11)보다 지상면(J)에 위치하고 있고, 제2옹벽용블럭(2)내의 객토(G)의 일부도 바로아래 제1옹벽용블럭(1)보다 지상면(J)쪽에 연장되어 있다. 식물(P)의 뿌리가 제2옹벽용블럭(2)내의 객토(G)를 거쳐 바로 아래의 제1옹벽용블럭(1)의 이입재(R)내로 연장될 수 있어 뿌리가 충분히 뻗을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식생용블럭에 있어서는 제2옹벽용블럭(2)의 측벽(22)는 상단부(22a)와 하단부(22a)를 형성하며, 계단 형태로 되어 있고 양측벽(22),(22)의 하단 부 (22a),(22a)위에 급수용블럭(3)이 옆으로 누워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양측벽을 하단부(22a),(22a)를 설치하지 않고 상단을 한면으로 하여 급수블럭(3)을 지지볼록부 또는 지지도랑을 각각 형성하여 급수블럭(3)에 지지볼록부 또는 지지도랑에 끼워진 결합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 제2옹벽용블럭(2)의 후벽21의 높이를 전방벽(20)의 높이와 같이해도 좋다.
도15 및 도16은 본 고안에 관련된 또 다른 식생용옹벽의 상부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객토용적을 다시 크게 하였다. 양 도면 중 도15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같은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5 및 도16과 같이 제2옹벽용블럭(2)의 바로 아래 제1옹벽용블럭(1)의 양측벽12(12)의 하단부12b(12b)에는 간막이블럭(4)가 놓여 있으며 제1옹벽용 블럭(1)의 후벽(11)과 간막이블럭(4)의 후벽(41)은 같은 위치이다.
그리고 도15에 나타난 경우는 바로 아래의 제1옹벽용블럭(1)은 해당 제1옹벽용블럭(1)의 측벽12(12)의 하단부(12b)(12b)의 높이까지 중입재(F) 및 이입재(R)를 투입하고, 제1옹벽용블럭(1)의 측벽12(12)의 하단부12b(12b)위에 간막이블럭(4)의 양측벽42(42)가 위치하도록 놓은 후, 제1옹벽용 블록 내에는 객토(G)를, 간막이 블럭(4)과 지상면(J)사이에는 이입재(R)를 각각 투입하며 이들의 표면을 전압 하도록 시공되어있다.
도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로 아래의 제1옹벽용블럭(1)은 해당 제1옹벽용블럭(1)의 측벽12(12)의 하단부(12b)(12b)의 높이까지 객토(G) 및 이입재(R)을 투입하고, 제1옹벽용블럭(1)의 측벽12(12)의 하단부12b(12b)위에 간막이블럭(4)의 양측벽42(42)가 위치하도록 놓은 후 제1옹벽용 블럭 내에는 객토(G)를 간막이 블럭(4)와 지상면(J)사이에는 이입재(R)를 각각 투입하며 이들의 표면을 전압 하도록 시공되어있다.
이에 따라 식물(P)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 및 산소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객토(G)의 용적이 다시 증대되므로 키가 큰 식물(P)을 생육시킬 수 있다.
위에 간막이블럭(4)는 양측벽42(42)의 높이보다 후벽(41)의 높이를 작게 하였으므로 전압기의 이동에 후벽(41)이 지장을 주지 않고 이입재(R)의 표면을 전입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생용옹벽은 제1옹벽용블럭(1)의 측벽(12)는 상단부(12a)와 하단부(12b)를 형성하여 계단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양측벽(12),(12),의 하단부(12b),(12b)에 간막이블럭(4)가 옆으로 놓여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여기에 국한 되지 않고 간막이블럭(4)를 후벽(11)위에 놓아도 좋다. 또 제1옹벽용블럭(1)의 양측벽을 하단부(12b),(12b)를 설치하지 않고, 상단을 한 개의 면으로 하여 양측벽의 내면에 간막이블럭(4)를 지지하는 지지볼록부 또는 지지도랑을 형성하는 한편 간막이 블록(4)에 지지오목부 또는 지지도랑에 끼워 맞추는 결합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2옹벽용블럭(2)의 후벽(21)의 높이를 전방벽(20)의 높이와 같게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자형의 급수용블럭(3)을 사용한 경우에 관한 설명이지만 본 고안에서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단면에서 본 모양이L자 형인 급수용블럭(3a)를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급수용블럭(3a)에는 바닥벽(34a)의 앞 가장자리위에 전방벽(30a)가 세워져 있으며 이 전방벽(30a)의 하단근방에 전방벽(30a)을 관통하는 복수의 급수용 구멍37a,(37a.37a...)이 개설되어 있다. 이러한 급수용블럭a는 n단 째의 제1옹벽용블럭1내에 충전된 중입재(F) 내를 통과한 우수를 받아 급수용 구멍37a(37a,37a...)에서 객토(G)로 공급됨과 동시에 ,제2옹벽용블럭(2)의 이입재(R) 및 급수용블럭(3a)와 제2옹벽용블럭(2)의 후벽(21)사이 틈을 통하여 객토(G)로 공급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전방벽과 후벽 사이에 양측 벽을 가설한 통형태의 옹벽용 블록 복수를 시공대상의 법면을 따라 옆으로 병설함과 동시에, 세로로 계단식으로 겹쳐 쌓은 식생용 옹벽에 있어, 1또는 복수단의 적정위치에 객토를 투입한 옹벽용 블록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세로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옹벽용블럭과 옹벽용블럭 사이에서 공기가 옹벽용블럭 내에 충전된 객토로 충분히 공급된다.
이 객토를 투입한 옹벽용블럭의 양측벽 사이에 객토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용블럭이 가설되어 있으며 ,급수용블럭은 우수를 받아 이를 객토에 공급한다. 그리고 옹벽용블럭 및 급수용블럭으로 둘러싸인 전 영역에 객토가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적 키가 작은 수목의 생육에 필요한 충분한 용적을 얻을 수 있다.
객토를 충전한 옹벽용블럭의 바로 위에 겹쳐 쌓인 옹벽용블럭 내의 전 영역에는 석재가 충전되어 있다. 석재는 보수력을 거의 같지 않으므로 우수는 바로위의 옹벽용블럭 내에 충전된 석재에 거의 포획되지 않고, 직접 또는 급수용블럭을 사이에 두고 공급된다. .이에 따라 수목의 생육에 충분한 우수를 공급하여 그것으로 유지할 수 있어 비교적 오랜 기간 비가오지 않아도 물을 뿌리지 않고 객토에 심겨진 식물이 고사됨을 방지 할 수 있다.
한 편 우수를 저축할 수 있는 급수용블럭을 사용한 경우 객토전체에 우수를 충분히 유지 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저축된 우수가 급수용블럭에서 객토로 서서히 공급되므로 장기간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라도 물을 뿌리지 않고 객토에 심겨진 식물이 고사됨을 막을 수 있다.
그런데 석재가 충전된 옹벽용블럭 내에는 잡초가 생육하기 곤란하므로, 잡초를 제거하는 수고를 하지 않고도 식생용블럭의 경관을 유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전방벽과 후벽사이에 양측 벽을 가설한 통모양의 제1옹벽용블럭 복수를 시공대상의 법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병설함과 동시에, 세로 방향으로 계단식으로 겹쳐쌓은 식생용 블록에 있어 제1옹벽용블럭의 양측벽의 길이에서 길이치수의 양측벽을 전방벽과 후벽사이에 가설한 통모양의 제2옹벽용블럭의 전방벽 또는 이 제2옹벽용블럭 내에 객토가 투입되어 있으므로,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옹벽용블럭과 제2옹벽용블럭 사이에서 공기가 제2옹벽용블럭 내로 투입한 객토로 충분히 공급된다.
이 제2옹벽용블럭의 양측벽 사이에 객토로 급수하기 위한 급수용블럭이 가설되어 있으며, 급수용블럭은 우수를 받아 그것을 객토로 공급한다. 그리고 제1옹벽용블럭보다 용적이 크고 심는 면적이 넓은 제2옹벽용블럭 및 급수용블럭으로 둘러싸인 전 영역에 객토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중간 정도 키의 수목의 생육에 필요한 충분한 객토의 용적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옹벽용블럭에 수목의 생육에 필요한 충분한 용적의 객토를 충전한 경우에도 급수용블럭에 의해 해당 객토 전체에 충분한 우수를 공급하여 그것을 유지할 수 있으며 비교적 긴 기간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라도 물을 뿌리지 않고 객토에 심겨진 식물이 고사됨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우수를 저축 할 수 있는 급수용 블록을 사용한 경우 객토전체에 우수를 충분히 유지 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저축된 우수가 급수블럭에서 제2옹벽용블럭 내의 객토로 서서히 공급되므로 긴 기간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라도 물을 뿌리지 않고 객토에 심겨진 식물이 고사됨을 막을 수 있다.
그런데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제1옹벽용 블럭 위에 제2옹벽용블럭을 겹쳐 쌓은 경우 상단의 제2옹벽용블럭의 후벽은 하단의 제1옹벽용블럭의 후벽보다 안쪽의 위치에 있어 제2옹벽용블럭의 후벽에서 연장된 식물의 뿌리는 하단의 제1옹벽용블럭의 뒤쪽으로 연장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제2옹벽용블럭을 겹쳐쌓은 제1옹벽용블럭 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석재를 대신하여 객토가, 제2옹벽용블럭 내의 객토와 연장되어 통하도록 충전되어 있으므로 객토의 용적을 다시 증대할 수 있어 비교적 키가 큰 수목의 생육에 필요한 객토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1옹벽용블럭의 양측벽 위에 쌓여진 제2옹벽용블럭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하단의 제1옹벽용블럭 내에 객토를 충전한 경우에도 상단의 제2옹벽용블럭의 스며듦이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제2옹벽용블럭을 겹쳐 쌓은 제1옹벽용블럭의 후벽의 높이는 그 전방벽의 높이보다 낮게 하였으므로 제1옹벽용블럭을 경량화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옹벽용블럭 내로 투입재의 투입, 전압작업 이입재의 투입 ,전압작업이 용이하다 또 제1옹벽용블럭의 후벽에서 상위영역은 간막이 블록에 의해 내외가 나뉘어져 있으며 제1옹벽용블럭 및 간막이블럭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객토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해당 객토의 밖으로 유출, 이입재등의 객토로 유출이 동시에 방지됨과 동시에 충분한 용적의 객토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간막이 블록은 해당 제1옹벽용블럭에 의해 지지되므로 간막이블럭의 스며듦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제1옹벽용블럭의 후벽과 간막이 블록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틈을 통하여 객토내로 위에서 침투한 우수가 유입된다. 이에 따라 객토로 충분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제1옹벽용블럭의 적어도 한 방향의 측벽의 윗면은 겹쳐 쌓여진 제2옹벽용블럭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활동방지편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활동방지편은 제2옹벽용블럭의 대응하는 측벽의 저면에 설치된 오목부내에 끼워져 있으므로 제2옹벽용블럭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한편, 제1옹벽용블럭에 돌출된 활동방지편이 오목부내에 끼워지도록 제2옹벽용블럭을 제1옹벽용 블럭 위에 겹쳐쌓는 것만으로도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시공이 완료되므로 이러한 시공 작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2옹벽용블럭의 바로 위에 겹쳐 쌓여진 제1옹벽용블럭 내의 전 영역에는 석재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우수는 바로위의 제1옹벽용블럭 내에 충전된 석재에 거의 포획됨 없이 직접 또는 급수용블럭을 사이에 두고 객토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2옹벽용블럭 내 또는 제2옹벽용블럭 및 바로 아래의 제1옹벽용블럭 내에 수목의 생육에 충분한 용적의 객토를 충전한 경우라도 해당 객토전체에 충분한 양의 우수를 공급하여 그것을 유지 시킬 수 있어, 비교적 긴 기간 비가 오지 않는 경우라도 물을 뿌리지 않고 객토에 심어진 식목이 고사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그런데 석재가 충전된 제1옹벽용블럭 내에는 잡초가 침입하기 곤란하므로 잡초를 제거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식생용옹벽의 경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식생용 옹벽에 사용하는 제1옹벽용블럭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관한 식생용옹벽에 사용되는 제1옹벽용블럭의 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1에 나타난 제1옹벽용블럭의 Ⅲ-Ⅲ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관한 식생용옹벽에 사용되는 제2옹벽용블럭의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관한 식생용옹벽에 사용하는 제2옹벽용블럭의 예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은 도4에 나타난 제2옹벽용블럭의Ⅵ-Ⅵ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관한 식생용 블록에 사용하는 급수용블럭의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관한 식생용블럭에 사용하는 급수용블럭의 예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9는 도7에 나타난 급수용블럭의 Ⅸ-Ⅸ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관한 식생용옹벽에 사용하는 간막이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관한 식생용 옹벽에 사용하는 간막이 블록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10에 나타난 간막이 블록의 XⅡ-XⅡ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관한 식생용옹벽의 상부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에 관한 다른 식생용옹벽의 상부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 관한 또 다른 식생용옹벽의 상부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에 관한 또 다른 식생용옹벽의 상부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에 관한 또 다른 식생용옹벽의 상부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식생용옹벽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또다른 종래 식생용옹벽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난 옹벽용블럭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제1 옹벽용 블럭 2 : 제2 옹벽용블럭
10 : 전방벽 11 : 후벽
12 : 양측벽 13 : 접합부
16 : 고정용 구멍 18 : 활동 방지편
22a : 상단부 22b : 하단부
37 : 급수용 구멍 30a : 오목부
41a : 오목부 G : 객토

Claims (1)

  1. 전방벽(10)과 상기 전방벽(10)의 높이보다 낮은 후벽(11)을 형성하되, 양측벽(12)(12)의 두꺼운 부분을 전방벽(10)에 연결하고, 양측벽(12)(12)의 얇은 부분을 후벽(11)에 연결하며, 상기 양측벽(12)(12)의 두꺼운 부분인 접합부(13)의 측면에는 반원형 모양의 접합부(13a)를 형성하고, 다른 방향의 접합부(13)의 측면에는 접합용 볼록부(13)를 안으로 끼운 반원통형태의 접합용 오목부(13b)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옹벽.
KR20-2005-0009889U 2005-04-11 2005-04-11 식생용 옹벽 KR200394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889U KR200394156Y1 (ko) 2005-04-11 2005-04-11 식생용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889U KR200394156Y1 (ko) 2005-04-11 2005-04-11 식생용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156Y1 true KR200394156Y1 (ko) 2005-08-30

Family

ID=4369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889U KR200394156Y1 (ko) 2005-04-11 2005-04-11 식생용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1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21034B (ko)
US20090260284A1 (en) Green roof tray
JP3802445B2 (ja) 植栽ポット
MXPA03001816A (es) Zapatas integradas.
US20050044781A1 (en) Ecological brick for slope lands
KR100660394B1 (ko) 보강토 옹벽용 식생블럭
AU2010202359A1 (en) Soil beds
US8596914B2 (en) Tile laying and covering apparatus
KR200394156Y1 (ko) 식생용 옹벽
CN208280285U (zh) 一种园林用自动浇灌排水系统
JP2720272B2 (ja) 天然芝生用プランター
KR200426017Y1 (ko) 생태보호 및 식생 용·배수로용 블록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JPWO2006021987A1 (ja) 植生用擁壁
KR100680516B1 (ko) 환경친화형 식생 옹벽블럭
KR20070042581A (ko) 식생용 옹벽
CN210537679U (zh) 一种边坡用种植槽及边坡植被修复装置
CN215406162U (zh) 一种土木挡土墙结构
JP2007077771A (ja) 緑化擁壁ブロック
KR200389226Y1 (ko) 급수용 용기를 가지는 옹벽
KR200274533Y1 (ko) 하천의 생태옹벽
KR101589287B1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100893789B1 (ko) 식생옹벽
KR100542617B1 (ko) 담장 벽면 및 사면 녹화용 조립식 콘크리트 식생옹벽과그의 시공방법
CN205040326U (zh) 一种市政用边坡种植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