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657Y1 -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657Y1
KR200392657Y1 KR20-2005-0013208U KR20050013208U KR200392657Y1 KR 200392657 Y1 KR200392657 Y1 KR 200392657Y1 KR 20050013208 U KR20050013208 U KR 20050013208U KR 200392657 Y1 KR200392657 Y1 KR 200392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ver
enclosure
circuit breaker
opening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3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6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6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14Housing or casing lateral walls containing guiding grooves or special mounting facil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28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having provisions for interchangeable or replaceabl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64Protective covers for terminals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단락동작시에 외함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아크나 아크압으로부터 사용자 또는 그 주위의 물체를 보호하고 상간단락을 방지하며 또한 통전상태에서의 배선용 차단기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 커버의 구성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작업성(설치,제거) 및 안정성 증대를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의 본 고안은 개폐기구를 수납한 외함, 상기 외함의 개폐기구에 결합되어 차단기의 개폐조작을 하는 핸들 및 상기 외함에 결합되는 단자커버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외함에는 단자커버와 결합하기 위한 홀 및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커버에는 상기 외함의 홀 및 홈에 각각 결합하기 위한 원형돌기부 및 스냅부가 형성되어 있어 단자커버를 개방시 회전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Circuit Braker}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배선용 차단기의 단락동작시에 외함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아크나 아크압으로부터 사용자 또는 그 주위의 물체를 보호하고 상간단락을 방지하며 또한 통전상태에서의 배선용 차단기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 커버의 구성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작업성(설치,제거) 및 안정성 증대를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공장, 빌딩등의 수배전 설비중에서 주로 배전반에 설치되어 무부하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중에는 부하선로에 이상현상이 발생하여 부하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에는 선로의 전선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한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는 외함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부를 먼지 및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보호커버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런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차단기 본체와 단자커버가 분리되어 있어 사용자가 부주의로 인하여 단자커버를 미 취부할 경우가 있어, 이때 단락사고시 발생하는 아크등으로 상간절연이 파괴되면 배선용 차단기의 단락차단의 기능을 수행할 수가 없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1)에 단자커버(2)가 설치된 개략도이며, 도 2a는 도 1에서 단자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배선용 차단기의 외관을 나타낸 것으로서 단자커버가 외함에 결합되기 위한 요철형상의 홈(1-1)이 있으며, 도 2b는 상기 요철형상의 홈(1-1)의 상세도이다.
도 3은 외함의 요철형상의 홈(1-1)에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2-1)가 있는 단자커버(2)의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에 있는 요철형상의 홈(1-1)에 단자커버(2)의 돌출부(2-1)가 결합되어 분리됨으로써 단자커버가 배선용 차단기에 취부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5는 배선용 차단기와 단자커버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을 나타낸 것으로 단자커버의 돌출부가 배선용 차단기의 걸림턱에 조립되는 것을 나타낸다(Q).
하지만 이런 종래의 구성은 사용자가 손으로 단자커버를 잡을 때 하중작용이 일어나고(P), 단자커버를 외함으로부터 분리시에는 단자커버의 돌출부가 배선용차단기의 걸림턱에서 빼내어 분리되기 때문에 역시 과도한 힘이 필요로 한다.(S)
또한, 배선용 차단기의 단락차단시 발생하는 아크압력등에 의해 단자커버가 본체에서 이탈되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걸림턱을 사용하여 사용하지 않을 수가 없어 단자커버의 돌출형상을 작게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단자커버를 배선용 차단기 본체에 결합하는 다른방법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역시 결합 및 분리시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단자커버의 미취부 또는 취부 및 분리시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배선용 차단기와 단자커버의 조립 구조를 일체화하여 사용자의 안정성 및 편리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라 배선용 차단기 외함에 홀(6-1)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부쪽에 형성된 단자커버가 결합하기 위한 홈(6-2)을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커버를 나타낸 것으로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에 결합하기 위한 원형돌기부(5-1) 및 스냅부(5-2)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그리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커버의 원형돌기부(5-1) 및 스냅부(5-2)가 배선용 차단기 외함의 힌지홀(6-1) 및 홈(6-2)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단자커버의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에 전선을 배선시에는 단자커버를 회전시켜 단자부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작업이 끝난 후에는 다시 단자커버를 회전시켜 닫으면 단자커버에 의하여 배선용 차단기의 상간 절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외함의 단자부를 이물질이나 먼지로부터 보호한다.
도 11은 상기 본 고안에 의한 단자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사용자가 단자커버를 잡아 하중작용방향으로 밀면 하중에 의해 걸림이 쉽게 제거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배선용 차단기 외함에 단자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걸림장치(7)를 부가 설치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a는 상기 별도의 걸림장치의 걸림부(7-1)의 상세도를 나타낸 것으로 , 마치 비디오테이프 커버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록(rock)기능을 하는 걸림부 역할과 같은 기능을 한다. 즉, 단자커버를 열려면 상기 걸림부(7-1)을 누른 상태에서 단자커버를 열게 되어 있다.
도 13b는 배선용 차단기 외함 내부 상세도로서 걸림장치(7)의 걸림부(7-1) 및 괘지부(7-2)가 형성되어 있어, 걸림부(7-1)는 단자커버(2)의 바깥쪽에 걸리고 괘지부(7-2)는 단자커버(2)의 스냅부(9)와 체결되어 결합된다.
도 13c는 상기 걸림장치(7)가 외함(1)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단자커버가 외함과 결합되면 걸림장치(7)의 스프링(8)이 펼쳐져 본체와 맞닿아 걸림기능을 강화시킨다.
도 14는 단자커버(2)의 원형돌기(5-1)와 스냅부(9) 및 차단기 외함에 삽입되는 걸림장치(7)의 걸림부(7-1) 및 괘지부(7-2)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걸림장치의 걸림부(7-1)을 누르면 단자커버(2)의 조립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배선용차단기의 외함에 단자커버를 회동가능하도록 일체화하여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부에 전선을 취부하거나 사용중 보수 점검시에 단자커버를 회전하여 단자부를 개방상태로 쉽게 전환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부주의로 단자커버를 미취부할 염려를 줄일수가 있어 사용상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사시도
도 2a 및 2b는 단자커버와 결합하기 위한 외함 부분의 사시도 및 상세도
도 3은 단자커버의 상세도
도 4는 종래의 단자커버를 취부 및 분리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의 차단기와 단자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또다른 종래의 차단기와 단자커버를 결합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커버를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다른 차단기와 단자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사시도
도 13a는 걸림장치의 걸림부의 상세도
도 13b는 걸림장치의 외함내 설치 상세도
도 13c는 걸림장치가 설치된 내부 단면도
도 14a 및 14b는 단자커버 및 걸림장치의 상세도
도 15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외함 1-1:홈 2: 단자커버
2-1:돌출부 3:스크류 5-1:원형돌기부
5-2:스냅부 6-1:홀 6-2: 홈
7:걸림장치 7-1:걸림부 7-2:괘지부
9:스냅부

Claims (4)

  1. 개폐기구를 수납한 외함, 상기 외함의 개폐기구에 결합되어 차단기의 개폐조작을 하는 핸들 및 상기 외함에 결합되는 단자커버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외함에는 단자커버와 결합하기 위한 힌지홀 및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커버에는 상기 외함의 힌지홀 및 홈에 각각 결합하기 위한 원형돌기부 및 스냅부가 형성되어 있어 단자커버를 개방시 회동가능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2. 개폐기구를 수납한 외함, 상기 외함의 개폐기구에 결합되어 차단기의 개폐조작을 하는 핸들 및 상기 외함에 결합되는 단자커버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외함에는 단자커버와 결합하기 위한 힌지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커버에는 상기 외함의 힌지홀에 결합하기 위한 원형돌기부 및 외함내의 걸림장치와 결합되는 스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함의 외부표면에 노출되는 걸림부 및 상기 단자커버의 스냅부와 결합되는 괘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단자커버를 외함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단자커버와 결합시에 스프링이 펼쳐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치의 걸림부는 단자커버와 결합시 외함표면에 노출되어 단자커버가 분리될 수 없도록 록기능을 하며, 단자커버를 분리시에는 내부로 밀어 록 기능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KR20-2005-0013208U 2005-05-11 2005-05-11 배선용 차단기 KR200392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208U KR200392657Y1 (ko) 2005-05-11 2005-05-11 배선용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208U KR200392657Y1 (ko) 2005-05-11 2005-05-11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657Y1 true KR200392657Y1 (ko) 2005-08-17

Family

ID=4369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208U KR200392657Y1 (ko) 2005-05-11 2005-05-11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65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017Y1 (ko) 2008-06-17 2010-06-09 주식회사 대륙 전기장치의 단자커버
KR101292216B1 (ko) * 2012-07-31 2013-08-02 박기주 계량기와 차단기의 배선장치
KR102102884B1 (ko) * 2018-12-11 2020-04-22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선용 차단기
WO2021225281A1 (ko) * 2020-05-04 2021-11-11 엘에스일렉트릭 (주) 반도체 차단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017Y1 (ko) 2008-06-17 2010-06-09 주식회사 대륙 전기장치의 단자커버
KR101292216B1 (ko) * 2012-07-31 2013-08-02 박기주 계량기와 차단기의 배선장치
KR102102884B1 (ko) * 2018-12-11 2020-04-22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선용 차단기
CN111312559A (zh) * 2018-12-11 2020-06-19 Ls产电株式会社 配线用断路器
CN111312559B (zh) * 2018-12-11 2022-07-05 Ls产电株式会社 配线用断路器
WO2021225281A1 (ko) * 2020-05-04 2021-11-11 엘에스일렉트릭 (주) 반도체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126661A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装置
KR200392657Y1 (ko) 배선용 차단기
JP2004273381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KR200452188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 록 장치
JP2005259411A (ja) 屋外コンセント用の盗電防止装置
JP2001060429A (ja) 回路しゃ断器
KR200280184Y1 (ko)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커버 결합구조
JP4821370B2 (ja) 回路遮断器
CN108701973B (zh) 用于接触器和操作器元件的可安装端子块
CN201408713Y (zh) 塑壳断路器
US6838960B2 (en) Circuit breaker
KR20090011123U (ko) 분전반용 콘센트
KR200386840Y1 (ko) 단자 보호장치가 구비된 모터 보호계전기
KR200275723Y1 (ko) 배선용 차단기의 부속장치 배선 취부구조
KR200372330Y1 (ko) 사용제한 장치를 갖는 배선용차단기
KR200376477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장치
JP3940349B2 (ja) 給電開閉装置
KR200270405Y1 (ko) 콘센트
KR200393292Y1 (ko) 배선용 차단기
KR200342997Y1 (ko) 차단기가 결합된 매립형 콘센트
KR200376456Y1 (ko) 배선용차단기의 보조 커버
KR200376458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액세서리 작동 레버
KR200341347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 락 장치
JP2003346633A (ja) 回路遮断器
KR200341344Y1 (ko) 회로차단기의 보조핸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