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840Y1 - 단자 보호장치가 구비된 모터 보호계전기 - Google Patents

단자 보호장치가 구비된 모터 보호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840Y1
KR200386840Y1 KR20050007614U KR20050007614U KR200386840Y1 KR 200386840 Y1 KR200386840 Y1 KR 200386840Y1 KR 20050007614 U KR20050007614 U KR 20050007614U KR 20050007614 U KR20050007614 U KR 20050007614U KR 200386840 Y1 KR200386840 Y1 KR 200386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otection relay
motor protection
protective cover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07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07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8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8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64Protective covers for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 보호계전기의 단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 보호계전기에 설치된 각 단자부를 보호하는 단자 보호커버를 모터 보호계전기에 일체화 되도록 하여 각 단자부에 먼지 및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부품의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하고 결선 완료후 임위 조작이 불가 하도록 한 모터 보호계전기의 단자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으로 본 고안의 구성은,몸체 상부에 다수의 단자부가 구비되는 모터 보호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부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힌지 홀부와; 상기 힌지 홀부에 회전지지되게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단자부를 위로부터 덮어 이물질의 상기 단자부쪽으로의 침입을 방지하는 위치와 배선을 위해 상기 단자부를 위로부터 접근가능하게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로 각각 회동가능한 단자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자 보호장치가 구비된 모터 보호계전기{Motor Protection Relay having a terminal protecting device}
본 고안은 모터 보호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모터 보호계전기에 설치된 각 단자부를 상부로부터 폐색하는 위치와 단자부의 노출을 허용하는 위치로 회동가능한 단자 보호커버를 모터 보호계전기에 부설하여 각 단자부에 먼지 및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부품의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봉인장치를 부설하여 결선 완료후 임위 조작이 불가 하도록 봉부한 단자보호장치를 구비하는 모터 보호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 보호계전기는 교류 전동기의 시동 및 운전 중 발생되는 과전류, 결상, 상 불평형 및 역상을 설정된 동작시간에 의해 정확하게 검출하여 교류 전동기를 더욱 확실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기기이다.
또한, 이런 모터 보호계전기는 보통 조작회로부와 출력회로부 및 제어회로부로 각각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회로부의 입력단에 전원을 공급하면, 각 상(R,S,T)에서 전류 변환기를 통하여 변환된 전류가 제어회로부에 유입되어 중폭된 값이 비교되므로써, 교류전동기의 시동 및 운전 중 이상 발생시 출력회로부의 릴레이(Realy)를 구동하여 폐로 접점을 개로함에 따라 상기 폐로접점을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 전자접촉기의 조작 코일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교류전동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며, 이에 따라 교류전동기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전동기의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최근, 현대 산업의 발전과 함께 전기기기의 사용량이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이에 병행하여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모터보호 계전기의 필요성이 증대 하고 있는 실정이 현실이다.
도 1은 종래의 모터보호계전기의 단자보호커버가 조립된 상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단자보호커버가 분해된 상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상기 단자보호커버의 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모터 보호계전기의 전면부 몸체 상부(1)에는 복수개의 단자부(3)가 형성되어 있고, 먼지 및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자 보호커버(2)가 결합 되어있으며, 단자부(3)에는 각 동작 전원 단자와 입출력 단자를 형성하고 있어 계전기에 배선을 한 후에 단자부를 상기 단자 보호커버(2)가 보호하는 구조이다 .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모터 보호계전기의 몸체 상부(1)에는 단자 보호 커버를 조립할 수 있는 홈(4)이 전면부 몸체 좌, 우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단자 보호커버(2)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자 보호커버(2)에는 회동이 가능한 드라이버(미도시)가 삽입가능하도록 삽입공(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공(5)를 통하여 전선의 결합 또는 분해가 원활히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모터 보호계전기는 전면부 몸체 상부(1)에 설치된 여러 개의 단자부(3)를 형성하여, 교류 전동기의 시동 및 운전 중 발생되는 과전류, 결상, 상 불평형 및 역상의 검출 신호를 모터로부터 전달 받아 제어 회로부에서 전달 받은 신호를 검출하여 이상 발생시 출력 회로부를 통하여 출력 신호를 교류 전자접촉기의 조작 코일부로 전달함으로써, 코일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교류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 함으로써 전동기의 소손 방지 및 기타 안전사고에서 전동기를 보호 하게되며, 이때 교류 전동기와 모터 보호 계전기 사이와 교류 전자 접촉기로 보내어지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 되어지는 전선의 결합부를 단자부(3)에서 결선하여 처리되며, 결선 완료후에는 단자 보호커버(2)를 몸체상부(1)에 고정하여 먼지 및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부품등 기타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이런 종래의 모터 보호계전기는 전면부 몸체 상부(1)에는 각 전선이 배선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단자부(3)를 형성하고 있고, 또한 단자 보호커버를 조립 할 수 있는 홈(4)이 전면부 몸체 좌, 우에 각각 형성되어있어 단자 보호커버(2)를 결합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단자 보호커버(2)의 좌, 우 측면에도 돌출부(6)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시 전면부 몸체 좌, 우에있는 홈(4)과 단자 보호커버(2)의 돌출부(6)가 밀면서 억찌끼움의 형태로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종래 구성의 모터보호계전기는 이때 억찌끼움을 위하여 몸체 상부(1)의 홈(4) 및 단자 보호커버(2)의 돌출부(6)의 관리상의 문제 점이 상당히 발생한다.
즉, 아주 미세한 공차 차이에 의해서도 억찌끼움이 안되고, 또는 헐꺼운끼움의 발생 및 강제 압입이 발생 하여 원활한 조립성을 기대 하기가 어렵다.
헐꺼움끼움 발생시에는 단자 보호 커버(2)가 분리되어 손실 및 훼손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 보호커버(2)를 설치하지 않을 시에는 각 단자부(3)에 이물질 및 분진 등이 퇴적되거나 각 단자부에 기타 부품의 접촉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산업 재해의 유발 및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단자 보호커버(2)에는 있는 삽입공(5)을 통하여 드라이버(미도시)로 배선 함으로 배선시 단자 보호커버(2)의 흔들림 발생으로 이탈 및 억찌끼움의 상태가 헐꺼워 손실 및 훼손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설치후 삽입공(5)를 통하여 분진등 이물질이 침입하여 퇴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모터 보호 계전기에 설치된 각 단자부를 보호하는 단자 보호커버를 상기 모터 보호 계전기에 제 2도와 같이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각 단자부에 먼지 및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부품의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 및 임위 조작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 상부에 다수의 단자부가 구비되는 모터 보호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부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힌지 홀부와;
상기 힌지 홀부에 회전지지되게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단자부를 위로부터 덮어 이물질의 상기 단자부쪽으로의 침입을 방지하는 위치와 배선을 위해 상기 단자부를 위로부터 접근가능하게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로 각각 회동가능한 단자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 보호계전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한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으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 보호계전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단자보호커버가 단자부를 위로부터 접근가능하게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로 회동한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모터 보호계전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고안의 주요부인 단자 보호커버의 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터 보호계전기는 몸체 상부(1)에 복수개의 단자부(3)를 구비한다. 단자부(3)는 모터 보호계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의 접속용 단자부와 입출력 신호선의 접속용 단자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단자부(3)의 상부에는 먼지 및 이물질이 단자부(3)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부인 단자 보호커버(2)가 상기 단자부(3)을 노출 또는 폐색하는 위치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모터 보호계전기의 몸체 상부(1)의 양측면에는 단자 보호 커버(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힌지 홀부(7)가 마련된다.
도 4에 있어 미설명 부호 9는 단자 보호 커버(2)의 위로 돌출한 단자보호커버의 개방을 금지할 수 있게 봉인기구(미도시)를 접속할 수 있는 통공(미도시)이 구비된 봉인용 돌출부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인용 돌출부(9)는 모터보호계전기의 몸체 상부(1)의 상부면상에 마련되며, 봉인기구 예컨대 자물쇠 또는 금속제 고리와 이 고리가 폐고리를 형성하게 하여 단자 보호커버(2)의 개방을 금지하는 봉인납등으로 구성되는 봉인기구의 자물쇠 고리 또는 봉인용 고리를 넣어 걸기 위한 미도시한 상기 통공이 봉인용 돌출부(9)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통공은 봉인용 돌출부(9)중에서도 단자 보호 커버(2)의 위로 돌출하는 상부에 마련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보호커버(2)는 상기 몸체 상부(1)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힌지 홀부(7)에 대응되게 양측면상에 마련되고 힌지 홀부(7)에 삽입되어 회전지지되는 회전축인 한 쌍의 돌출부(8)를 구비한다. 봉인용 돌출부(9)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단자 보호커버(2)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단자 보호커버(2)가 단자부(3)를 위로부터 덮고 있는 때는 봉인용 돌출부(9)의 상기 통공에 봉인기구를 접속하여 상기 단자보호커버의 개방을 금지하도록 봉인할 수 있게 허용하는 봉인용 돌출부 통과 홀부(1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봉인용 돌출부 통과 홀부(10)는 육면도중 최하단의 저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원형의 홀부(10a)와, 상기 봉인기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게 허용하기 위해 상기 단자 보호커버(2)의 상부면에 상기 홀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하게 형성되는 연장홈부(10b)를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보호계전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단자부(3)에 전원공급용 전선 또는 입출력 신호선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단자 보호커버(2)를 회동시켜 개방한 상태에서 드라이버로 단자나사(부호 미지정)를 풀러 단자부(3)와 단자나사 또는 와셔(미도시) 사이에 공간을 확보한 후, 전선 또는 신호선의 도체부분을 상기 공간에 삽입하고 다시 드라이버로 단자나사를 조여줌으로써 단자부(3)와 전선 또는 신호선간의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단자 보호커버(2)를 단자부(3) 위로 덮는 위치로 회동시켜 덮어주면 완료된다.
단자부(3)에 접속된 상기 전원공급용 전선 또는 입출력 신호선을 분리하고자 할 때는 먼저 단자 보호커버(2)를 회동시켜 개방한 상태에서 드라이버로 단자나사(부호 미지정)를 풀러 단자부(3)와 단자나사 또는 와셔(미도시) 사이에 공간을 확보한 후, 전선 또는 신호선을 분리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원공급용 전선 또는 입출력 신호선을 접속 완료한 상태에서 단자 보호커버(2)를 권한이 없는 자가 개방하는 것을 금지하고자 할 때는 단자 보호커버(2) 위로 돌출한 봉인용 돌출부(9)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통공에 자물쇠 또는 봉인용 고리를 걸어 록(lock) 또는 봉인하면 된다.
본 고안은 모터 보호계전기의 단자 보호커버의 종래 문제점인 억찌끼움의 형태를 개선하여 항시 상부 몸체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를 형성 함으로써, 보호커버를 분리함으로써 오는 손실 및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각 단자부에 이물질이 및 분진 등이 퇴적되거나 각 단자부에 기타 부품의 접촉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산업 재해의 유발 및 화재 발생의 위험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라이버 삽입공을 삭제하여 삽이공에 퇴적되는 이물질 및 분진을 완벽 하게 해결하고 임위 조작 및 임위 결선의 변경이 불가능 하도록 하는 봉인 구조를 추가하여 오 조작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터 보호계전기의 단자 보호커버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자 보호커버가 분리된 경우의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단자 보호커버의 육면도 및 사시도
도 4는 본고안에 따른 단자보호커버가 조립된 경우의 사시도
도 5는 단자 보호커버가 단자부를 위로부터 접근가능하게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로 회동한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모터 보호계전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고안의 주요부인 단자보호커버의 육면도 및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모터 보호계전기 몸체상부 2...단자 보호커버
3...단자부 4...홈
5...삽입공 6,8...돌출부
7...힌지 홀부 9....봉인용 돌출부
10...봉인홀부

Claims (3)

  1. 몸체 상부에 다수의 단자부가 구비되는 모터 보호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부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힌지 홀부와;
    상기 힌지 홀부에 회전지지되게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단자부를 위로부터 덮어 이물질의 상기 단자부쪽으로의 침입을 방지하는 위치와 배선을 위해 상기 단자부를 위로부터 접근가능하게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로 각각 회동가능한 단자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보호계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보호계전기의 몸체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단자보호커버의 개방을 금지할 수 있게 봉인기구를 접속할 수 있는 통공이 구비된 봉인용 돌출부와;
    상기 봉인용 돌출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보호커버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단자보호커버가 상기 단자부를 위로부터 덮고 있는 때는 상기 봉인용 돌출부의 상기 통공에 봉인기구를 접속하여 상기 단자보호커버의 개방을 금지하도록 봉인할 수 있게 허용하는 봉인용 돌출부 통과 홀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터 보호계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용 돌출부 통과 홀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원형의 홀부와, 상기 봉인기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게 허용하기 위해 상기 단자보호커버의 상부면에 상기 홀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하게 형성되는 연장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보호계전기.
KR20050007614U 2005-03-21 2005-03-21 단자 보호장치가 구비된 모터 보호계전기 KR200386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7614U KR200386840Y1 (ko) 2005-03-21 2005-03-21 단자 보호장치가 구비된 모터 보호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7614U KR200386840Y1 (ko) 2005-03-21 2005-03-21 단자 보호장치가 구비된 모터 보호계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840Y1 true KR200386840Y1 (ko) 2005-06-16

Family

ID=4113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07614U KR200386840Y1 (ko) 2005-03-21 2005-03-21 단자 보호장치가 구비된 모터 보호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8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5483A2 (en) * 2007-08-20 2009-02-26 Sung-Kwon Lee Protecting cover for termina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5483A2 (en) * 2007-08-20 2009-02-26 Sung-Kwon Lee Protecting cover for terminals
WO2009025483A3 (en) * 2007-08-20 2009-07-16 Sung-Kwon Lee Protecting cover for termin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6741B2 (ja) 電気接続箱
CN101399478A (zh) 电动马达
WO2012046744A1 (ja) 電源回路遮断装置
JPWO2018047581A1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5707182B2 (ja) 電気接続箱
JP2006226842A (ja) 電子式電力量計
JP2004032839A (ja) 電気接続箱
JP2008529469A (ja) 切り替え可能なヒューズ付き配電ブロック
JP2020036497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200386840Y1 (ko) 단자 보호장치가 구비된 모터 보호계전기
JP2004273381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KR200392657Y1 (ko) 배선용 차단기
KR20060000108A (ko) 릴레이 및 릴레이에 결합되는 커넥터
JP2002133979A (ja) 安全プラグボックス
JP7132204B2 (ja) 電気接続箱
JPH118005A (ja) 開閉扉付き電気コネクタ
JP4927151B2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JP2009044844A (ja) 制御盤
KR100463604B1 (ko)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셔터 플레이트 결합구조
JP2007028782A (ja) 電気接続箱の防水構造
JPH08219521A (ja) 天井用換気扇
KR20000001456U (ko) 모터 보호계전기의 단자 보호커버구조
JP4291036B2 (ja) 回路遮断器及び分電盤
US20220085559A1 (en) Electronic part with integrated fuse
JP4682033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