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579Y1 - 생선 뼈 분리기 - Google Patents

생선 뼈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579Y1
KR200392579Y1 KR20-2005-0014426U KR20050014426U KR200392579Y1 KR 200392579 Y1 KR200392579 Y1 KR 200392579Y1 KR 20050014426 U KR20050014426 U KR 20050014426U KR 200392579 Y1 KR200392579 Y1 KR 200392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oupled
interlocking
cutter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덕
양희창
Original Assignee
박종덕
양희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덕, 양희창 filed Critical 박종덕
Priority to KR20-2005-0014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5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5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6Removing fish-bones; Fillet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고안은 생선 뼈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입구로 투입되는 생선을 로울러들과 보조로울러들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용밸트에 의해 이송시켜서 커팅용 모우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커터들에 의해 커팅하여 중앙의 뼈와 좌,우측의 어육을 분리한뒤 배출구로 내보내는 생선 뼈 분리기에 있어서,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나사봉이 회전되면서 이동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동대에는 커터와 연결된 커팅용 모우터를 장착하고 있는 지지대를 고정시킴으로서 양쪽의 커터 간격을 뼈를 분리하기 위한 생선의 크기에 맞추어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향상된 수율(어육을 뼈로 부터 근접하여 최근거리로 분리할 수 있는 효율)을 얻을 수 있고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생선을 이송시키는 로울러는 독립적으로 기체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용 모우터와 체인 및 베벨기어들을 이용하여 회전을 시킴으로서 소음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아울러 진동의 발생률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구성의 간단화로 인해 고장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고 만약의 고장시에도 보수가 간편한 생선 뼈 분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선 뼈 분리기{HEAVY-DUTY FISHBONE SEPARATOR}
본고안은 생선 뼈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입구로 투입되는 생선을 로울러들과 보조로울러들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용밸트에 의해 이송시켜서 커팅용 모우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커터들에 의해 커팅하여 중앙의 뼈와 좌,우측의 어육을 분리한뒤 배출구로 내보내는 생선 뼈 분리기에 있어서,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나사봉이 회전되면서 이동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동대에는 커터와 연결된 커팅용 모우터를 장착하고 있는 지지대를 고정시킴으로서 양쪽의 커터 간격을 뼈를 분리하기 위한 생선의 크기에 맞추어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향상된 수율(어육을 뼈로 부터 근접하여 최근거리로 분리할 수 있는 효율)을 얻을 수 있고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생선을 이송시키는 로울러는 독립적으로 기체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용 모우터와 체인 및 베벨기어들을 이용하여 회전을 시킴으로서 소음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아울러 진동의 발생률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구성의 간단화로 인해 고장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고 만약의 고장시에도 보수가 간편한 생선 뼈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생선 뼈 분리기는 한개의 모우터에 다수개의 풀리 또는 스플로킷을 장착하여 생선의 어육을 분리하기 위한 커터와 생선을 이송시키기 위한 로울러들을밸트 또는 체인에 의해 구동시켰었다.
상기와 같이 단일의 동력원을 사용함으로서 커터와 로울러들을 연결하기 위한 과정이 매우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조립된 구조도 사실상 매우 복잡해진다.
상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에서 커터들의 간격을 조절하기란 매우 어렵고 복잡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특히, 상기 커터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모우터에서 커터로 연결되는 동력전달라인과 로울러로 전달되는 동력전달라인들의 위치를 커터와 함게 모두 조절을 해야 했기 때문에 여간 난해한 일이 아니었다.
또한, 상기의 종래 기술은 복잡한 구성을 하고 있는 만큼 잔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복잡한 구성에 의해 보수시에도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 단일의 대용량 모우터를 사용함으로서 소음의 발생이 많아 작업장의 매우 시끄러워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소음과 함게 동반되는 진동에 의해 뼈 분리기계의 결합 부위가 느슨해지는 문제가 있어 잦은 보수를 해야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고안의 목적은,
양쪽의 커터 간격을 뼈를 분리하기 위한 생선의 크기에 맞추어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향상된 수율(어육을 뼈로 부터 근접하여 최근거리로 분리할 수 있는 효율)을 얻을 수 있고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음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아울러 진동의 발생률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구성의 간단화로 인해 고장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고 만약의 고장시에도 보수가 간편하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투입구로 투입되는 생선을 로울러들과 보조로울러들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용밸트에 의해 이송시켜서 커팅용 모우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커터들에 의해 커팅하여 중앙의 뼈와 좌,우측의 어육을 분리한뒤 배출구로 내보내는 생선 뼈 분리기에 있어서,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나사봉이 회전되면서 이동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동대에는 커터와 연결된 커팅용 모우터를 장착하고 있는 지지대를 고정시킨 다음 생선을 이송시키는 로울러는 독립적으로 기체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용 모우터와 체인 및 베벨기어들을 이용하여 회전을 시키면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투입구(133)로 투입되는 생선을 로울러(129)들과 보조로울러(131)(132)들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용밸트(130)에 의해 이송시켜서 커팅용 모우터(108)의 회전축(109)에 결합된 커터(110)들에 의해 커팅하여 중앙의 뼈와 좌,우측의 어육을 분리한뒤 배출구로 내보내는 생선 뼈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커터(110)들의 간격을 생선의 크기에 맞추어 조절하기 위한 커터의 간격조절수단과,
상기 로울러(129)들을 독립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로울러의 구동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커터의 간격조절수단은 기체의 받침대(101)에 고정되는 고정대 (102)와,
상기 고정대(102)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손잡이(104)가 형성된 나사봉 (103)과,
상기 나사봉(103)으로 나사공(106)을 결합하고 있는 이동대(105)와,
상기 이동대(105)에 안착되고 커터(110)와 연결된 커팅용 모우터(108)를 장착하고 있는 지지대(107)와,
상기 지지대(107)와 연결대(112)로 연결되는 받침판(111)으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로울러의 구동수단은 로울러(129)의 하측부로 입설되는 종동축 (128)과,
상기 종동축(128)의 하측부로 결합되는 종동베벨기어(127)와,
상기 종동베벨기어(127)와 맞물림되는 연동베벨기어(126)와,
상기 연동베벨기어(126)를 지지하기 위해 연동베벨기어(126)의 중앙으로 관통 결합된뒤 양단부를 기체에 회전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연동축(125)과,
상기 연동축(125)을 회전시키기 위해 연동축(125)일측부로 결합되는 연동스플로킷(124)과,
상기 연동스플로킷(124)에 일측부를 결합하고 있는 체인(123)과,
상기 체인(123)의 타측부를 결합하고 있는 구동스플로킷(122)과,
상기 구동스플로킷(122)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회전축으로 구동스플로킷 (122)을 결합하고 있는 기체에 장착된 구동용 모우터(121)로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지대(107)에 장착되어 있는 커팅용 모우터 (108)가 회전하면 회전축(109)에 결합된 커터(110)가 고속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기체의 하측부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모우터(121)가 회전을 하면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스플로킷(122)이 회전을 하면서 체인(123)에 의해 연동스플로킷 (124)을 회전시키게 되어 결국, 기체에 양단부를 회전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연동축(125)이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동축(125)의 회전에 의해 양측의 연동베벨기어(126)들도 회전을 하면서 이들과 맞물려 있는 종동베벨기어(127)들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종동베벨기어(127)들의 회전에 의해 종동축(128)과 이에 결합된 로울러(129)들이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울러(129)들의 회전에 의해 로울러(129)의 외주면으로 결합된 이송용밸트(130)도 회전이동을 하면서 보조로울러(131)(132)들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준비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2에 나타낸 투입구(133)로 생선을 투입시키면 상기의 생선은 이송용밸트(130)에 압지력에 의해 투입구(133)에서 커터 (110)방향으로 이송되어진다.
따라서, 상기의 생선은 양쪽의 커터(110)에 의해 커팅이 되어지는바, 생선의 뼈는 커터(110)와 커터(110)사이로 이동되어 하측방향으로 떨어지고 뼈로 부터 분리된 양측의 어육은 커터(110)들의 외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07)에 연결대(112)로 연결되어 있는 받침판(111)의 안내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떨어지지 않고 계속 진행을 하여 배출구(134)로 배출됨으로서 2조각의 어육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생선의 크기에 따라 높은 수율을 얻기 위해 커터(110)들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즉, 기체의 일측부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104)를 회전시키면 나사봉(103)이 받침대(101)의 지지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나사봉(103)의 회전에 의해 나사공(106)이 나사봉(103)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되므로 나사공(106)이 형성된 이동대(105)도 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대(105)에 결합된 지지대(107)와 지지대(107)에 결합된 받침판(111)과 연결대(112) 그리고 커팅용 모우터(108)와 커터(110)들이 도3에 나타낸 바와같이 중심선(CL)을 중심으로 실선위치에서 가상선 위치로 또는 가상선 위치에서 실선 위치로 이동이 되므로 매우 간편하게 커터(110)의 간격 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간편한 커터(110)의 간격 조절에 의해 생선의 크기와 무관한 상태로 뼈를 분리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고안은 커팅용 모우터(108)와 별도로 구동용 모우터(121)를 장착하여 로울러(129)들을 회전시킴으로서 보다 나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고 고장의 발생률도 낮출 수 있으며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조용한 실내 분위기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양쪽의 커터 간격을 뼈를 분리하기 위한 생선의 크기에 맞추어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향상된 수율을 얻을 수 있고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음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아울러 진동의 발생률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구성의 간단화로 인해 고장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고 만약의 고장시에도 보수가 간편한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고안 생선 뼈 분리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고안 생선 뼈 분리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탠 평면도
도 3은 본고안 커터의 간격 조절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받침대 102-고정대
103-나사봉 104-손잡이
105-이동대 106-나사공
107-지지대 108-커팅용 모우터
109-회전축 110-커터
111-받침판 112-연결대
121-구동용 모우터 122-구동스플로킷
123-체인 124-연동스플로킷
125-연동축 126-연동베벨기어
127-종동베벨기어 128-종동축
129-로울러 130-이송용밸트
131,132-보조로울러 133,134-투입구,배출구

Claims (3)

  1. 투입구(133)로 투입되는 생선을 로울러(129)들과 보조로울러(131)(132)들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용밸트(130)에 의해 이송시켜서 커팅용 모우터(108)의 회전축(109)에 결합된 커터(110)들에 의해 커팅하여 중앙의 뼈와 좌,우측의 어육을 분리한뒤 배출구로 내보내는 생선 뼈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커터(110)들의 간격을 생선의 크기에 맞추어 조절하기 위한 커터의 간격조절수단과,
    상기 로울러(129)들을 독립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로울러의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뼈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간격조절수단은 기체의 받침대(101)에 고정되는 고정대(102)와,
    상기 고정대(102)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손잡이(104)가 형성된 나사봉 (103)과,
    상기 나사봉(103)으로 나사공(106)을 결합하고 있는 이동대(105)와,
    상기 이동대(105)에 안착되고 커터(110)와 연결된 커팅용 모우터(108)를 장착하고 있는 지지대(107)와,
    상기 지지대(107)와 연결대(112)로 연결되는 받침판(111)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뼈 분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의 구동수단은 로울러(129)의 하측부로 입설되는 종동축(128)과,
    상기 종동축(128)의 하측부로 결합되는 종동베벨기어(127)와,
    상기 종동베벨기어(127)와 맞물림되는 연동베벨기어(126)와,
    상기 연동베벨기어(126)를 지지하기 위해 연동베벨기어(126)의 중앙으로 관통 결합된뒤 양단부를 기체에 회전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연동축(125)과,
    상기 연동축(125)을 회전시키기 위해 연동축(125)일측부로 결합되는 연동스플로킷(124)과,
    상기 연동스플로킷(124)에 일측부를 결합하고 있는 체인(123)과,
    상기 체인(123)의 타측부를 결합하고 있는 구동스플로킷(122)과,
    상기 구동스플로킷(122)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회전축으로 구동스플로킷 (122)을 결합하고 있는 기체에 장착된 구동용 모우터(121)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뼈 분리기.
KR20-2005-0014426U 2005-05-23 2005-05-23 생선 뼈 분리기 KR200392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426U KR200392579Y1 (ko) 2005-05-23 2005-05-23 생선 뼈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426U KR200392579Y1 (ko) 2005-05-23 2005-05-23 생선 뼈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579Y1 true KR200392579Y1 (ko) 2005-08-19

Family

ID=4369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426U KR200392579Y1 (ko) 2005-05-23 2005-05-23 생선 뼈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5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5989B2 (ja) 食品スライサ
CN109834783B (zh) 原竹高效利用竹板生产体系
KR100781078B1 (ko) 육류 칼집 자동 세절기
JPH09263417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及びそれに好適な折り割り装置
CN103522328A (zh) 一种新型切菜机及其控制方法
KR200392579Y1 (ko) 생선 뼈 분리기
CN208497183U (zh) 一种多锯片裁板机
KR101024368B1 (ko) 석재 절단기
CN111604969A (zh) 自动切花机
CN110000822B (zh) 一种纵切式海带切丝机
KR101563812B1 (ko) 우드큐브 제조용 컷팅 장치
CN109366663B (zh) 一种原木数控无卡旋切一体机及其工艺方法
CN215603042U (zh) 一种生香蕉去皮机
CN110370350A (zh) 六轴式切块机
CN211339561U (zh) 一种新型裁床
CN108544578A (zh) 一种轴承生产工艺中的刨铣机
CN203636872U (zh) 一种新型切菜机
CN209436158U (zh) 一种鱼类去中骨三枚开片机
CN112720640A (zh) 一种v形槽切割装置
CN220612680U (zh) 一种带侧进料口的激光切割机
CN218398383U (zh) 一种棒料同步切割装置
CN207100362U (zh) 一种可持续清洗的鱼类产品开片装置
CN216299405U (zh) 电路基板切割用自动v割机
JP3325873B2 (ja) 野菜割断装置
CN214082412U (zh) 一种吸塑托盘边缘去毛刺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