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368B1 - 석재 절단기 - Google Patents

석재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368B1
KR101024368B1 KR1020100091983A KR20100091983A KR101024368B1 KR 101024368 B1 KR101024368 B1 KR 101024368B1 KR 1020100091983 A KR1020100091983 A KR 1020100091983A KR 20100091983 A KR20100091983 A KR 20100091983A KR 101024368 B1 KR101024368 B1 KR 101024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utting
motor
gea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희
Original Assignee
이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희 filed Critical 이기희
Priority to KR1020100091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a plurality of saw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 지주의 상부 일측에 수직작동모터가 장착되는 수직 고정부와, 상기 수직 고정부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면서 상기 수직작동모터의 작동시 상기 수직 지주를 따라 승강하고, 상면에는 간격을 두고 수평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며, 일측 상부에 수평작동모터가 장착되는 수직 이동부와, 상기 수직 이동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에 가이드 레일과 대응하는 위치에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작동모터의 작동시 좌측이나 우측이동하는 수평 작동부와, 상기 수평 작동부의 중앙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석재를 절단하는 다수개의 절삭톱이 구비된 톱집이 장착되는 절삭수단과, 상기 절삭수단에 장착되고 상기 절삭톱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절삭수단의 케이스 상부에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전달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커플링으로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케이스에 수직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연결축과 결합되어 절삭수단의 절삭톱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들이 구비된 기어박스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는 하부 수직방향을 향할수록 지름이 커지는 기어들이 치합 장착되며, 상기 기어들은 상기 연결축과 결합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절삭수단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연결기어와 회전기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치합되는 중간기어들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석재 절단기{STONE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석재를 판재로 가공하는 석재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 절단기의 구성과 전달구조를 개선하여 진동과 소음은 감소시키면서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석재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 절단기는 지면에 두 개 이상의 수직 지주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 지주에는 상·하 왕복 운동하는 수평 지주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 지주에는 좌·우 이동하면서 석재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 지주는 상기 수직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동력원을 통해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수직 지주를 상·하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절단수단은 다이아몬드 절단톱이 끼워진 톱집(SAW case) 상부에 고정되어 수평지주의 레일면을 따라 로울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수평지주를 타고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석재 절단기는 절단수단을 좌·우 수평이송시켜가며 수직 지주를 타고 수평 지주를 하부로 서서히 이동시킨 상태에서 다이아몬드 절단 톱으로 석재를 절단하여 판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석재 절단기는 동력전달구조가 1차 벨트구동과 2차 체인구동으로 구성되어 진동과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고 동력전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구조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진동은 석재를 절단하는 다이아몬드 칩에 전달되어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고 불량 판재가 발생하는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과도한 벨트, 체인의 장력 조정으로 과부하시 모터 축, 회전 주축이 절단될 뿐만 아니라 벨트나 체인의 교체시 기계 전체를 분해해야하고 많은 정비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크기의 톱날을 사용하여 판재 크기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도 모터 축의 풀리를 교체해야함으로써 기계전체를 분해해야하고 많은 정비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결합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석재 절단기를 구성하면서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동력전달구조를 기어구조로 개선하여 불량률을 낮추면서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석재 절단기에 있어서, 지면에 간격을 두고 수직 지주들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 지주의 상부 일측에는 수직작동모터가 장착되는 수직 고정부와, 상기 수직 고정부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면서 상기 수직작동모터의 작동시 상기 수직 지주를 따라 상부나 하부로 이동되고, 상면에는 간격을 두고 수평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며, 일측 상부에는 수평작동모터가 장착되는 수직 이동부와, 상기 수직 이동부의 상부에 수평장착되고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과 대응하는 위치에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작동모터의 작동시 좌측이나 우측이동하는 수평 작동부와, 상기 수평 작동부의 중앙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석재를 절단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절삭톱들이 구비된 톱집이 장착되는 절삭수단과, 상기 절삭수단에 장착되면서 상기 절삭톱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절삭수단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전달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커플링으로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케이스에 수직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연결축과 결합되어 절삭수단의 절삭톱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들이 구비된 기어박스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는 하부 수직방향을 향할수록 지름이 커지는 기어들이 치합 장착되며, 상기 기어들은 상기 연결축과 결합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절삭수단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연결기어와 회전기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치합되는 중간기어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석재 절단기를 구성하여 부품의 손상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벨트와 체인구조를 개선하여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력전달구조를 기어구조로 개선하여 절삭효율은 높이면서 불량률을 낮춰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 이동부의 내부를 함몰형성하여 수평 작동부의 원활한 이동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 절단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 절단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 절단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 절단기를 구성하는 절단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 절단기를 구성하는 기어박스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 절단기를 구성하는 감속기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 절단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 절단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 절단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 절단기를 구성하는 절단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 절단기를 구성하는 기어박스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 절단기를 구성하는 감속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인 석재 절단기(10)는 지면에 간격을 두고 수직 장착되는 수직 고정부(20)와, 상기 수직 고정부(20)에 장착되고 상부나 하부로 이동하는 수직 이동부(30)와, 상기 수직 이동부(30)의 상부에 수평장착되고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하는 수평 작동부(40)와, 상기 수평 작동부(40)에 장착되고 석재(S)를 절단하는 절단수단(50)과, 상기 절단수단(5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 고정부(20)는 지면에 간격을 두고 수직 지주(21)들이 수직장착되고, 상기 수직 지주(21)의 상부 일측에는 수직작동모터(22)가 장착되며, 상기 수직 지주(21)의 내부에는 이송 스크류(23)가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지주(21)는 좌, 우, 상, 하에 간격을 두고 네 개의 수직 지주(21)들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작동모터(22)는 좌측이나 우측의 수직 지주(21)에 지지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작동모터(22)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은 연결축을 통해 타측에 위치하는 수직 지주(21)의 이송 스크류(23)에 전달된다.
상기 수직 고정부(20)에 장착되는 수직 이동부(30)는 수직 지주(21)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면에는 간격을 두고 수평 가이드 레일(31)이 형성되며, 일측 상부에는 수평작동모터(32)가 장착된다.
즉, 상기 수직 이동부(30)는 수직 지주(21)의 동일선상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수직작동모터(22)의 작동시 이동 스크류(23)를 따라 상부나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 이동부(30)의 수평 가이드 레일(31)은 수평 작동부(40)의 고정과 지지를 위해 함몰형성된다.
상기 수직 이동부(30)의 상부에 수평장착되는 수평 작동부(4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31)과 대응하는 하부에는 레일(41)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작동모터(32)의 작동시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수평 작동부(40)는 수평작동모터(32)의 작동시 가이드 레일(31)을따라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 작동부(40)의 중앙에 설치되는 절삭수단(5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수평 작동부(40)의 중앙에 장착되는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에 장착되는 톱집(52)과, 상기 톱집(52)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석재(S)를 절단하는 다수개의 절삭톱(5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51)에 다수개의 절삭톱(53)이 구비된 톱집(52)이 장착되어 절삭톱(53)을 이용하여 석재(S)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삭수단(50)의 하부 양측에는 수직 차단판(80a)이나 곡면 차단판이 더 장착된다. 즉, 상기 수직 차단판(80a)이나 곡면 차단판은 절삭톱(53)을 통해 석재(S)를 절단할 때 파편이나 절삭유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삭수단(50)의 하부에는 석재(S)의 절단시 원활한 절삭이 가능하도록 절삭유를 배출할 수 있도록 절삭배출부(80c)가 장착된다.
상기 절삭수단(50)에 장착되고 절삭톱(53)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전달수단(60)은 상기 케이스(51)의 상부에 장착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61)와, 상기 모터(61)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전달하는 연결축(62)과, 상기 연결축(62)과 결합되는 절삭수단(50)의 절삭톱(53)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6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61)의 회전축(61a)과 연결축(62)은 커플링(63)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어박스(64)는 수직으로 장착된다.
상기 기어박스(64)에 대해서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기어박스(64)의 내부에 장착되는 기어(65)들은 상기 연결축(62)과 결합되는 연결기어(65a)와, 상기 절삭수단(50)의 회전축(50a)과 결합되는 회전기어(65b)와, 상기 연결기어(65a)와 회전기어(65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치합되는 중간기어(65c)들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기어(65a)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은 중간기어(65c)를 거쳐 회전기어(65b)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어(65)들은 부하 방지와 원활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부를 향할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형성되면서 치합된다.
삭제
그리고 상기 모터(61)와 기어박스(64)를 연결하는 연결축(62)의 사이에는 레버조작을 통해 감속비와 서로 다른 종류의 절삭톱(53)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감속기(70)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석재 절단기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면에 간격을 두고 이송 스크류(23)가 구비된 수직 지주(21)들을 장착한 후 상기 수직 지주(21)의 상부 일측에는 수직작동모터(22)가 장착되는 수직 고정부(2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 고정부(20)의 양측에 수평 가이드 레일(31)이 상면에 형성되는 수직 이동부(30)를 장착한 후 상기 수직 이동부(30)의 상부 일측에 수평작동모터(32)를 장착한 다음, 상기 수직 이동부(30)의 상부에 가이드 레일(31)과 대응하는 위치에 레일(41)이 형성되는 수평 작동부(4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 작동부(40)의 중앙에 케이스(51)와 다수개의 절삭톱(53)들이 구비된 톱집(52)이 장착되는 절삭수단(50)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절삭수단(50)의 하부 양측에는 수직 차단판(80a)이나 곡면 차단판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1)의 상부에 장착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61)와, 상기 모터(61)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전달하고 상기 모터(61)의 회전축(61a)과 커플링(63)으로 연결되는 연결축(62)과, 상기 연결축(62)과 결합되고 절삭수단(50)의 절삭톱(53)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64)로 구성되는 동력전달수단(60)을 장착한 후 상기 모터(61)와 기어박스(64)의 사이에는 감속기(70)를 장착하면 석재 절단기(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석재 절단기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64)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축(62)과 결합되는 연결기어(65a)와, 상기 절삭수단(50)의 회전축(50a)과 결합되는 회전기어(65b)와, 상기 연결기어(65a)와 회전기어(65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치합되는 중간기어(65c)들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 상기 석재 절단기(10)를 사용하여 석재(S)를 절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직 지주(21)의 상부에 장착되는 수직작동모터(22)를 작동시켜 수직 이동부(30), 수평 작동부(40), 절단수단(50), 동력전달수단(60)을 석재(S)의 상부에 이송시킨다.
즉, 상기 수직작동모터(22)가 작동되면 상기 수직 이동부(30)는 수직 지주(21)를 따라 이동하면서 수평작동부(40), 절단수단(50), 동력전달수단(60)을 함께 하부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삭수단(50)에 장착되는 동력전달수단(60)을 작동시켜 절삭수단(50)의 절삭톱(53)을 회전작동시킨다.
즉, 상기 모터(61)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감속기(70)를 거쳐 필요한 회전비로 연결축(62)에 전달된 후, 상기 연결축(62)은 회전력을 기어박스(64)에 전달된 다음, 회전력이 절삭톱(53)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삭톱(53)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기어박스(64)의 내부에 장착되고 하부를 향할수록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연결기어(65a), 중간기어(65c), 회전기어(65b)를 거치면서 큰 회전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기존의 벨트와 체인구동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줄이면서 동력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 이동부(30)의 상부에 장착되는 수평작동모터(32)를 구동시켜 수평 작동부(40)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절삭수단(50)의 절삭톱(53)을 이용해서 석재(S)를 판재로 가공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석재 절단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석재 절단기, 20 : 수직 고정부,
21 : 수직 지주, 22 : 수직작동모터,
23 : 이송 스크류, 30 : 수직 이동부,
31 : 수평 가이드 레일, 32 : 수평작동모터,
40 : 수평 작동부, 41 : 레일,
50 : 절삭수단, 51 : 케이스,
52 : 절삭톱, 53 : 톱집,
60 : 동력전달수단, 61 : 모터,
62 : 연결축, 70 : 감속기.

Claims (5)

  1. 석재 절단기(10)에 있어서,
    지면에 간격을 두고 수직 지주(21)들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 지주(21)의 상부 일측에는 수직작동모터(22)가 장착되는 수직 고정부(20)와,
    상기 수직 고정부(2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면서 상기 수직작동모터(22)의 작동시 상기 수직 지주(21)를 따라 상부나 하부로 이동되고, 상면에는 간격을 두고 수평 가이드 레일(31)이 형성되며, 일측 상부에는 수평작동모터(32)가 장착되는 수직 이동부(30)와,
    상기 수직 이동부(30)의 상부에 수평장착되고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31)과 대응하는 위치에 레일(41)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작동모터(32)의 작동시 좌측이나 우측이동하는 수평 작동부(40)와,
    상기 수평 작동부(40)의 중앙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석재(S)를 절단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절삭톱(53)들이 구비된 톱집(52)이 장착되는 절삭수단(50)과,
    상기 절삭수단(50)에 장착되면서 상기 절삭톱(53)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전달수단(60)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60)은, 상기 절삭수단(50)을 구성하는 케이스(51)의 상부에 장착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61)와, 상기 모터(61)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전달하고 상기 모터(61)의 회전축(61a)과 커플링(63)으로 연결되는 연결축(62)과, 상기 케이스(51)에 수직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연결축(62)과 결합되어 절삭수단(50)의 절삭톱(53)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65)들이 구비된 기어박스(64)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박스(64)의 내부에는 하부 수직방향을 향할수록 지름이 커지는 기어(65)들이 치합 장착되며, 상기 기어(65)들은 상기 연결축(62)과 결합되는 연결기어(65a)와, 상기 절삭수단(50)의 회전축(50a)과 결합되는 회전기어(65b)와, 상기 연결기어(65a)와 회전기어(65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치합되는 중간기어(65c)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91983A 2010-09-17 2010-09-17 석재 절단기 KR101024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983A KR101024368B1 (ko) 2010-09-17 2010-09-17 석재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983A KR101024368B1 (ko) 2010-09-17 2010-09-17 석재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368B1 true KR101024368B1 (ko) 2011-03-23

Family

ID=4393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983A KR101024368B1 (ko) 2010-09-17 2010-09-17 석재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3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360B1 (ko) 2011-05-09 2013-07-01 바위산업 주식회사 석재절단장치의 물튐방지커버
CN106363821A (zh) * 2016-12-05 2017-02-01 杨娇仔 一种矿物矿石切割装置
CN106738367A (zh) * 2016-12-25 2017-05-31 南昌安润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工业用石材切割设备
KR102590247B1 (ko) * 2023-02-21 2023-10-17 엄태영 석재 절단 장치 및 석재 절단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445U (ko) * 1997-03-26 1998-11-16 천종기 석재 절단기의 주축 고정장치
KR0131809Y1 (ko) * 1995-04-15 1999-01-15 황동선 석재 다엽절단기
KR20060115799A (ko) * 2005-05-06 2006-11-10 백정현 기어박스형 석재절단기
KR20070029474A (ko) * 2005-09-09 2007-03-14 주식회사 팬택 감속 기어박스 및 감속 기어박스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809Y1 (ko) * 1995-04-15 1999-01-15 황동선 석재 다엽절단기
KR19980062445U (ko) * 1997-03-26 1998-11-16 천종기 석재 절단기의 주축 고정장치
KR20060115799A (ko) * 2005-05-06 2006-11-10 백정현 기어박스형 석재절단기
KR20070029474A (ko) * 2005-09-09 2007-03-14 주식회사 팬택 감속 기어박스 및 감속 기어박스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360B1 (ko) 2011-05-09 2013-07-01 바위산업 주식회사 석재절단장치의 물튐방지커버
CN106363821A (zh) * 2016-12-05 2017-02-01 杨娇仔 一种矿物矿石切割装置
CN106738367A (zh) * 2016-12-25 2017-05-31 南昌安润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工业用石材切割设备
KR102590247B1 (ko) * 2023-02-21 2023-10-17 엄태영 석재 절단 장치 및 석재 절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368B1 (ko) 석재 절단기
CN204249121U (zh) 立式环形金刚石线切割机
CN105501995A (zh) 一种用于金属板材生产的出料装置
CN102152338B (zh) 一种锯木装置
CN104354232B (zh) 一种用于框架锯荒料进给的提升方法与装置
CA2967083C (en) Multi-drive crusher
CN201483655U (zh) 路边石切割机
CN103742153B (zh) 一种砂岩开采机
CN107262766A (zh) 一种电机齿轮钻孔装置
KR101301778B1 (ko) 다엽식 석재절삭기
CN206464983U (zh) 水平切割砂线切割机床顶板电动升降机构
KR200385536Y1 (ko) 석재 수직 절단용 와이어톱 장착장치
CN201483654U (zh) 龙门式多片锯石机
CN203809003U (zh) 一种砂岩开采机纵切锯机组件
CN202656330U (zh) 一种多头定厚机
CN214107362U (zh) 一种混凝土块中钢筋取出装置
CN204505565U (zh) 一种带水平刀的桥式切石机
CN220741746U (zh) 摆动装置、进给总成及线切割机
CN104908168B (zh) 一种框架式锯机新型荒料进给提升装置与方法
KR100761751B1 (ko) 스티로폼 평면 절삭장치
CN109551638A (zh) 一种纵横砖块机
KR200392579Y1 (ko) 생선 뼈 분리기
CN201539254U (zh) 矿山采石切板机
CN204505564U (zh) 一种高速液压框架式大切机
CN220092020U (zh) 振动筛激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