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361Y1 -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 - Google Patents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361Y1
KR200392361Y1 KR20-2005-0012950U KR20050012950U KR200392361Y1 KR 200392361 Y1 KR200392361 Y1 KR 200392361Y1 KR 20050012950 U KR20050012950 U KR 20050012950U KR 200392361 Y1 KR200392361 Y1 KR 200392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s
magnet
plate
magnetic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기
Original Assignee
(주)성덕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덕중공업 filed Critical (주)성덕중공업
Priority to KR20-2005-0012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3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3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자력을 통해 마그네트 빔과 함께 관재에 밀착되는 마그네트 플레이트에 의하여 보다 안전하면서 일시에 많은 수의 관재를 이송가능하도록 한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자석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관재를 들어올려 이송하는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에 있어서, 원호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안착홈이 하부면을 가로질러 파여지고, 상기 안착홈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마그네트 본체와, 상기 안착홈의 길이에 대응되며, 상기 안착홈의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로 결합되는 평판 형상의 마그네트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전원 인가시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가 상기 관재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Magnetic lift for pipe}
본 고안은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자력을 통해 마그네트 빔과 함께 관재에 밀착되는 마그네트 플레이트에 의하여 보다 안전하면서 일시에 많은 수의 관재를 이송가능하도록 한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철판 등의 판재 또는 파이프 등의 관재를 들어올려 이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연결선(40)이 연결된 마그네트 본체(10)가 와이어(30)에 의하여 리프트의 후크(20)에 거치되는 구성이다.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전원연결선(40)을 통해 마그네트 본체(10)에 자력이 발생하게 되면, 관재(P)가 상기 마그네트 본체(10)에 밀착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마그네트 본체(10)는 철판과 같은 판재를 들어올려 이송하기에 적합하도록 하부면이 평판 형상인 것이 대부분이므로 원형상의 단면을 가진 관재(P)를 들어올리기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 본체(10)로는 일시에 복수개의 관재(P)를 동시에 들어올리기 힘든 문제점이 있으며, 무리하게 복수개의 관재(P)를 들어올려 이송하게 되면, 낙하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송되는 관재의 요동을 방지하며, 마그네트 빔과 함께 관재에 밀착되는 마그네트 플레이트에 의하여 보다 안전하게 관재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일시에 복수개의 관재를 리프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는, 전자석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관재를 들어올려 이송하는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에 있어서, 원호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안착홈이 하부면을 가로질러 파여지고, 상기 안착홈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마그네트 본체와, 상기 안착홈의 길이에 대응되며, 상기 안착홈의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로 결합되는 평판 형상의 마그네트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전원 인가시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가 상기 관재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마그네트 본체(100)와, 상기 마그네트 본체(100)에 힌지(300)로 결합되는 마그네트 플레이트(200)로 구성된다.
상기 마그네트 본체(100)는 관재(P)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안착홈(110)이 하부면을 가로질러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0)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10)의 형상이 관재(P)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한 것은 전원 인가시 자력에 의하여 관재(P)에 확실한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마그네트 본체(100)의 상부측에는 후크(20)에 거치되는 와이어(140)가 연결되도록 한 쌍의 연결고리(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마그네트 본체(100) 및 후술할 마그네트 플레이트(200)에 자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전원연결선(130)이 상부측의 중앙에 배치된다.
다양한 직경의 관재에 대응하여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홈(110)이 이루는 곡률반경을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200)는 안착홈(110)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300)로 결합되는 평판 형상이며 상기 안착홈(110)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300)는 마그네트 본체(100) 및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200)와 같은 재질의 것으로, 경첩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본체(100) 및 마그네트 플레이트(200) 사이에 관재(P)가 위치되도록 한 다음, 마그네트 본체(100)에 배치된 전원연결선(130)으로부터 전원이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200)로 인가되면, 상기 관재(P)에 마그네트 플레이트(200)가 밀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110)과 이웃한 안착홈(110) 사이의 간격은 전원연결선(130)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으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안착홈(110)에 결합된 마그네트 플레이트(200)끼리 밀착되어버리지 않을 정도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자력에 의한 상기 안착홈(110)과 이웃한 안착홈(110) 사이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방편으로, 상기 안착홈(110)의 개별적인 콘트롤이 가능하도록 전원연결선을 각각의 안착홈(110)에 일대일 대응되게 하여 순차적인 콘트롤을 하는 방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 본체(100)의 안착홈(110) 가장자리에는 마그네트 플레이트(200)가 각각 한 개씩 힌지(300)로 결합된 상태이다.
도 3(a)와 같이, 바닥에 위치한 복수개의 관재(P)를 들어올려 이송하기 위하여 리프트에 연결된 마그네트 본체(100)를 하강시키게 되면, 관재(P) 상부측에 마그네트 본체(100)의 안착홈(110)이 대응되게 된다.
이후, 상기 마그네트 본체(100) 및 마그네트 플레이트(2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마그네트 본체(100) 및 마그네트 플레이트(200)를 들어올리게 되면 도 3(b)와 같이, 안착홈(110) 가장자리에 결합된 마그네트 플레이트(200)가 상기 관재(P)와 밀착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고안에 의하여 마그네트 본체(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안착홈(110)에 일시에 복수개의 관재(P)가 밀착되어 리프팅 이송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자력을 통해 마그네트 빔과 함께 관재에 밀착되는 마그네트 플레이트에 의하여 보다 안전하면서 일시에 많은 수의 관재를 이송가능하도록 한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우선, 관재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의 안착홈이 구비된 마그네트 본체와 전원 인가시 관재에 밀착되는 마그네트 플레이트에 의하여 보다 안전하게 관재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안착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일시에 다량의 관재를 리프팅할 수 있게 되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관재용 리프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마그네트 본체 110...안착홈
200...마그네트 플레이트 300...힌지

Claims (1)

  1. 전자석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관재를 들어올려 이송하는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에 있어서,
    원호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안착홈(110)이 하부면을 가로질러 파여지고, 상기 안착홈(110)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마그네트 본체(100);와
    상기 안착홈(110)의 길이에 대응되며, 상기 안착홈(110)의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300)로 결합되는 평판 형상의 마그네트 플레이트(200);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전원 인가시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200)가 상기 관재(P)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
KR20-2005-0012950U 2005-05-09 2005-05-09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 KR200392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950U KR200392361Y1 (ko) 2005-05-09 2005-05-09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950U KR200392361Y1 (ko) 2005-05-09 2005-05-09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361Y1 true KR200392361Y1 (ko) 2005-08-17

Family

ID=4369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950U KR200392361Y1 (ko) 2005-05-09 2005-05-09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3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957U (ko) * 2014-11-28 2016-06-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마그네틱 크레인
CN108787920A (zh) * 2018-07-23 2018-11-13 中山市海纳德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金属杆取料的吸盘
KR20200062676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상영마그네트 리프팅 마그넷 제어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957U (ko) * 2014-11-28 2016-06-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마그네틱 크레인
KR200481861Y1 (ko) * 2014-11-28 2016-1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마그네틱 크레인
CN108787920A (zh) * 2018-07-23 2018-11-13 中山市海纳德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金属杆取料的吸盘
KR20200062676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상영마그네트 리프팅 마그넷 제어 시스템
KR102131701B1 (ko) * 2018-11-27 2020-07-13 주식회사 상영마그네트 리프팅 마그넷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158B1 (ko) 턴 오버 장치 및 방법
KR200392361Y1 (ko)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
JPH10279260A (ja) 型鋼のばらし・積重装置用のアタッチメント式マグネット金具
KR200465321Y1 (ko) 지게차에 설치되는 방파제 구조물 이송용 지그
KR20110101748A (ko) 블록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CN211110651U (zh) 预制盖板吊装定位装置
JP2014240317A (ja) 吊り具
CN204416918U (zh) 一种吊具互锁机构
CN210855060U (zh) 一种易于拆装的塔式起重机底座
KR20200085714A (ko) 리프팅 러그 조립체
CN110629645A (zh) 一种用于搬运和调整路缘石及石材的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958327B1 (ko) 파일 인양부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인양장치
CN215710021U (zh) 装配式建筑钢梁上料用吸盘装置
JP2017132614A (ja) 吊り上げ装置
CN219990886U (zh) 集装箱吊装结构
KR20120065004A (ko) 중량물 인양지그
KR100848629B1 (ko) 강판의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한 마그네트 장치
CN214879658U (zh) 箱型构件翻面工装
CN219546471U (zh) 吊装平衡梁及吊装装置
CN203474215U (zh) 一种船用高强度吊码
CN219384501U (zh) 吊耳以及塔架
KR20190005638A (ko) 리프팅용 러그
CN219296930U (zh) 十字吊具
JP2024015596A (ja) 鋼板の枚葉吊り上げ装置
CN212450278U (zh) 一种钢梁兜底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