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638A - 리프팅용 러그 - Google Patents

리프팅용 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638A
KR20190005638A KR1020170086606A KR20170086606A KR20190005638A KR 20190005638 A KR20190005638 A KR 20190005638A KR 1020170086606 A KR1020170086606 A KR 1020170086606A KR 20170086606 A KR20170086606 A KR 20170086606A KR 20190005638 A KR20190005638 A KR 20190005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ed
coupled
reinforcing
lifting lug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혁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5638A/ko
Publication of KR2019000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T- or I-section beams or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리프팅용 러그를 제공한다. 리프팅용 러그는 운반 대상물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운반 대상물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 1 보강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운반 대상물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 2 보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프팅용 러그{Lifting lug}
본 발명은 리프팅용 러그에 관한 것이다.
H 형강(H-beam)은 건축물이나 선박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골조로 이용된다. H 형강이 이용됨에 따라 구조물의 형체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H 형강뿐만 아니라 다양한 단면을 가지고 있는 파이프가 선박의 건조에 이용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8150호 (2016.03.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프팅용 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프팅용 러그의 일 면(aspect)은 운반 대상물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운반 대상물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 1 보강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운반 대상물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 2 보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운반용 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보강부는 2개가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제 1 보강부는 상기 운반 대상물의 서로 다른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부, 상기 제 1 보강부 및 상기 제 2 보강부는 평판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운반 대상물은 사각 파이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러그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러그가 운반 대상물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대상물에 복수의 리프팅용 러그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러그에 의하여 운반 대상물이 리프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러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러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러그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리프팅용 러그(10)는 베이스부(100), 제 1 보강부(200) 및 제 2 보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 제 1 보강부(200) 및 제 2 보강부(300)는 평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0), 제 1 보강부(200) 및 제 2 보강부(300) 각각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넓은 2개의 면을 갖고, 2개의 면간의 두께가 균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베이스부(100), 제 1 보강부(200) 및 제 2 보강부(300)의 형태가 평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평판의 형태로 제공되는 베이스부(100), 제 1 보강부(200) 및 제 2 보강부(30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러그(10)는 운반 대상물을 운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리프팅용 러그(10)를 운반 대상물에 결합시키고, 리프팅용 러그(10)에 힘을 가함으로써 운반 대상물을 리프팅하고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베이스부(100)는 운반 대상물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00)의 하부 측면이 운반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00)의 하부 측면 중 운반 대상물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측면(이하, 결합 측면이라 한다)(S1)은 운반 대상물의 상부면에 대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 대상물의 상부면이 굴곡진 경우 베이스부(100)의 결합 측면(S1)도 굴곡지어 형성될 수 있고, 운반 대상물의 상부면에 돌기가 형성된 경우 베이스부(100)의 결합 측면(S1)에는 해당 돌기를 감싸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운반용 홀(H)을 포함할 수 있다. 운반용 홀(H)은 크레인의 후크 또는 케이블이 삽입되어 리프팅용 러그(10)에 힘을 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 1 보강부(200)는 베이스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보강부(200)는 베이스부(100)의 하부 측면에 연결될 수 있으나, 베이스부(100)의 좌우 측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 제 1 보강부(200)가 베이스부(100)의 하부 측면에 연결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베이스부(100)와 제 1 보강부(200)가 분리되어 제공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베이스부(100)와 제 1 보강부(200)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 1 보강부(200)는 베이스부(100)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운반 대상물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보강부(200)는 2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2개의 제 1 보강부(200)는 운반 대상물의 서로 다른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제 1 보강부(200)는 운반 대상물의 좌우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와 마찬가지로 운반 대상물에 결합되는 제 1 보강부(200)의 결합 측면(S2)은 운반 대상물의 좌우 측면에 대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100) 및 제 1 보강부(200)가 운반 대상물의 3개의 면(상부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베이스부(100) 및 제 1 보강부(200)의 결합 측면(S1, S2) 모두가 운반 대상물에 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베이스부(100) 및 제 1 보강부(200)가 결합되어 형성된 결합 측면(S1, S2)의 전체적인 형상은 이에 접하는 운반 대상물의 표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보강부(300)는 베이스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보강부(300)는 베이스부(100)의 넓은 면에 연결될 수 있다. 평판으로 제공되는 베이스부(100)는 2개의 넓은 면을 갖는데, 제 2 보강부(300)는 2개의 넓은 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넓은 면에 복수의 제 2 보강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제 2 보강부(300)는 베이스부(100)의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운반 대상물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2 보강부(300)는 베이스부(100)의 넓은 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부(100)와 마찬가지로 운반 대상물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베이스부(100)와 제 2 보강부(300)가 분리되어 제공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베이스부(100)와 제 2 보강부(300)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100) 및 제 2 보강부(300)가 함께 운반 대상물의 상부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리프팅용 러그(10)와 운반 대상물의 상부면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 제 1 보강부(200) 및 제 2 보강부(300)는 용접에 의하여 운반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 제 1 보강부(200) 및 제 2 보강부(300)가 평판인 경우 넓은 면이 아닌 좁은 측면이 결합 측면(S1, S2, S3)으로서 운반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대상물은 사각 파이프일 수 있는데, 베이스부(100), 제 1 보강부(200) 및 제 2 보강부(300)가 사각 파이프의 3개의 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사각 파이프의 안정적인 운반이 보장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러그가 운반 대상물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리프팅용 러그(10)는 하강하여 운반 대상물(20)에 안착할 수 있다.
리프팅용 러그(10)가 운반 대상물(20)을 향하여 하강함에 따라 베이스부(100), 제 1 보강부(200) 및 제 2 보강부(300)의 결합 측면(S1, S2, S3)이 운반 대상물(20)의 표면에 밀착하게 된다.
베이스부(100), 제 1 보강부(200) 및 제 2 보강부(300)의 결합 측면(S1, S2, S3)이 운반 대상물(20)의 표면에 밀착하면 용접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용접에 의하여 리프팅용 러그(10)가 운반 대상물(20)에 결합되어 리프팅용 러그(10)와 운반 대상물(20)의 경계에 용접 비드(WB)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베이스부(100), 제 1 보강부(200) 및 제 2 보강부(300)가 용접에 의하여 운반 대상물(20)의 서로 다른 측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리프팅용 러그(10)와 운반 대상물(20)간의 견고한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대상물에 복수의 리프팅용 러그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리프팅용 러그(10)가 운반 대상물(20)에 결합될 수 있다.
운반 대상물(20)의 길이 및 중량에 대응하여 리프팅용 러그(10)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운반 대상물(20)의 장축을 따라 단면의 크기 또는 형상이 상이한 경우 해당 단면에 대응한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의 리프팅용 러그(10)가 운반 대상물(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러그에 의하여 운반 대상물이 리프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리프팅용 러그(10)에 의하여 운반 대상물(20)이 리프팅될 수 있다.
복수의 리프팅용 러그(10)가 운반 대상물(20)에 결합됨에 따라 크레인의 힘을 복수의 리프팅용 러그(10)에 동시에 전달하기 위한 보조 장치(30)가 이용될 수 있다. 보조 장치(30)는 리프팅용 러그(10)와의 결합을 위한 후크(HK)를 구비할 수 있다. 후크(HK)가 리프팅용 러그(10)의 운반용 홀(H)에 삽입됨으로써 보조 장치(30)와 리프팅용 러그(10)간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보조 장치(30)는 크레인(미도시)의 후크(CHK)에 의하여 리프팅될 수 있고, 보조 장치(30)가 리프팅됨에 따라 리프팅용 러그(10)에 결합된 운반 대상물(20)이 리프팅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리프팅용 러그
20: 운반 대상물
30: 보조 장치
100: 베이스부
200: 제 1 보강부
300: 제 2 보강부

Claims (5)

  1. 운반 대상물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운반 대상물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 1 보강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운반 대상물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 2 보강부를 포함하는 리프팅용 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운반용 홀을 포함하는 리프팅용 러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부는 2개가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제 1 보강부는 상기 운반 대상물의 서로 다른 측면에 결합되는 리프팅용 러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기 제 1 보강부 및 상기 제 2 보강부는 평판의 형태를 갖는 리프팅용 러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대상물은 사각 파이프를 포함하는 리프팅용 러그.
KR1020170086606A 2017-07-07 2017-07-07 리프팅용 러그 KR20190005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606A KR20190005638A (ko) 2017-07-07 2017-07-07 리프팅용 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606A KR20190005638A (ko) 2017-07-07 2017-07-07 리프팅용 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638A true KR20190005638A (ko) 2019-01-16

Family

ID=6528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606A KR20190005638A (ko) 2017-07-07 2017-07-07 리프팅용 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56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150A (ko) 2014-09-03 2016-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 파이프 연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150A (ko) 2014-09-03 2016-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 파이프 연결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5638A (ko) 리프팅용 러그
CN203855052U (zh) 粉罐车罐顶行走平台及粉罐车
KR101491662B1 (ko) 선체 블록 간격 조절 치구 및 그를 이용한 선박의 용접 방법
KR200392361Y1 (ko) 관재용 마그네틱 리프트
KR101807768B1 (ko) 슬링 어셈블리
CN204112494U (zh) 一种卡箍连接结构
CN204112495U (zh) 一种牢固连接的卡箍连接结构
CN103922216B (zh) 接头结构、具有接头结构的乘客传送设备以及乘客传送设备的安装方法
CN104044995A (zh) 板材吊具
KR200483347Y1 (ko) 중량물 운반용 러그
KR101895230B1 (ko) 강재구조물 연결결합 구조
JPH11152706A (ja) 仮設道路用敷設板
KR101679327B1 (ko) 보강대 임시고정 지그 조립체
KR101250069B1 (ko) 석재 인양 루프 플레이트
CN214495414U (zh) 带肋叠合板吊具及吊装装置
CN104074279A (zh) 一种适用于连接工型和t型钢条的连接结构
KR101958327B1 (ko) 파일 인양부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인양장치
KR20160002045U (ko) 리프팅 러그
CN219296930U (zh) 十字吊具
CN204112496U (zh) 一种适用于连接工型和t型钢条的连接结构
CN204310687U (zh) 更换斗式皮带的吊具
KR20210001700U (ko) 파이프 운반용 지그
KR101798410B1 (ko) 집게 크레인
CN203545603U (zh) 一种叉车用吊挂装置
KR20120023380A (ko) 십자형 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