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675Y1 - 미늘판 - Google Patents

미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675Y1
KR200391675Y1 KR20-2005-0006432U KR20050006432U KR200391675Y1 KR 200391675 Y1 KR200391675 Y1 KR 200391675Y1 KR 20050006432 U KR20050006432 U KR 20050006432U KR 200391675 Y1 KR200391675 Y1 KR 200391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rb
body plate
barb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수
Original Assignee
이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수 filed Critical 이태수
Priority to KR20-2005-0006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1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layer of wood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04F15/043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layer of wood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the lower layer being of organic plastic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흔히 "루버 보드"(louver Board)라고 부르는 미늘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체판과 표면장식판을 접합하는 미늘판에 있어서, 본체판의 폭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상측 돌출부와 하측 단턱부를 형성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하측 돌출부(5)와 상측 단턱부를 형성하되 합성수지로 일체가 되게 성형하며, 본체판의 상면에 국내산 목재로 된 표면장식판을 접착하되 좌측은 하측 단턱부의 선과 평행되게 하고 우측은 본체판(1)의 우측 끝선과 평행되게 하며, 표면장식판의 길이 방향 후단은 본체판의 후단부 보다 약간 앞쪽으로 접착되게 함으로써 후단 단턱부가 형성되게 하고 또 표면장식판의 선단이 본체판 선단보다 돌출되어 선단 돌출부를 형성케 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판이다. 이와 같이 하여서 된 본 고안의 미늘판은 종래 미늘판의 재료로 사용하기 어려웠던 국내산 주요수종을 미늘판 제작에 이용할 수 있으며, 표면장식판의 옹이 빠짐, 뒤틀림, 갈라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제작이 간편하며, 미늘판과 미늘판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무거운 하중이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마루판(flooring board)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늘판{Louver board}
본 고안은 흔히 "루버 보드"(Louver Board)라고 부르는 미늘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빈번히 교체해야 하는 벽지 대신 거의 영구적 실내 벽면 마감재로 사용되는 미늘판은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등 주요 국내산 목재로 만들 경우 설치 전이나 또는 설치 후 옹이 빠짐, 뒤틀림, 갈라짐 등의 결함이 있어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결함이 적은 웨스턴 레드 시더(Western Red Ceder) 등 값비싼 외국산 목재로 제작 설치되고 있어 막대한 외화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같은 국산재를 이용한 미늘판 제작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자는 실용신안등록 제 079169호(출원공고번호 제 94-63호)의 미늘판을 안출하여 본체판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측 돌출부와 하측 단턱부를 형성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하측 돌출부와 상측 단턱부를 형성하며, 이 본체판의 상면에 표면장식판을 접착하여 일측의 상측 돌출부는 미늘을 형성하고 타측의 하측 돌출부와 표면장식판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는 미늘이 삽입되는 미늘삽입홈이 형성 되도록 한 미늘판을 안출한 바 있었다. 그러나 이 미늘판은 값비싼 외국산 목재 대신 국산재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는 얻을 수 있었으나, 실제 제작 시 극히 얇은 본체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하측 단턱부와 타측 가장자리에 상측 단턱부를 각각 삭설 해야 됨으로써 제작의 번거로움과 파손품의 다량 발생 및 제조비용의 증대 등 심각한 결함이 있었다.
또 종래의 미늘판은 폭 방향의 결함은 비교적 견고하지만 길이 방향으로 연접되는 미늘판 간의 결합은 매우 약한 결함이 있어서 벽판으로 사용되는 미늘판과 달리 무거운 하중을 자주 받거나 충격을 견뎌야 하는 마루판으로서는 사용될 수 없는 결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국산재를 이용한 미늘판을 제작함에 있어서 실용신안등록 제 079169호(출원공고번호 제 94-63호)의 미늘판 제작 시 안출한 본체판을 목재가 아닌 합성수지 판재로 성형함으로서 하측 단턱부 및 상측 단턱부를 각각 삭설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단턱부를 삭설할 때 옹이 등으로 인해서 자주 발생하는 파손품의 다량 발생을 제거하며,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는 미늘판 간에도 견고히 결합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마루판(床板 : Flooring Board)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결합구조의 미늘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흔히 "루버 보드"(Louver Board)라고 부르는 미늘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빈번히 교체해야 하는 벽지 대신 거의 영구적으로 실내 벽면 마감재로 사용되는 미늘판의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등 주요 국내산 목재로 만들 경우 설치 전이나 또는 설치 후 옹이 빠짐, 뒤틀림, 갈라짐 등의 결함이 있어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결함이 적은 웨스턴 레드 시더(Western Red Ceder) 등 값비싼 외국산 목재로 제작 설치되고 있어 막대한 외화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자가 실용신안공보 94-63호와 같이 국내산 목재로 본체판을 제작하고 그 위에 동일한 소재로 된 표면 미장판을 접착하면서 미늘과 미늘이 삽입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도록 한 구조를 안출한 결과 값싼 국산재를 사용하여 미늘판을 제작함은 가능하였으나, 실제 제작시 미늘을 형성하는 돌출부와 미늘이 삽입되는 요입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극히 얇은 단판인 본체판의 양측을 절삭함이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또 하측 단턱부 및 상측 단턱부를 절삭할 때 국산재의 옹이 등으로 인해서 절삭부위가 파손되는 일도 쉽게 일어나고, 절삭으로 인한 제작비용도 현저히 증대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공보 94-63호에서 국내산 목재를 얇은 단판으로 만들고 이를 절삭하여 제조해야 했던 본체판을 합성수지로 성형함으로써 절삭의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절삭으로 인한 파손의 발생이 없으며, 보다 값싸고 간편히 미늘판을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늘판의 길이 방향으로도 판과 판 사이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안출함으로써 비교적 큰 하중을 견뎌야 하는 마루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하는 본체판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상측 돌출부와 하측 단턱구를 형성하고 우측 가장자리에는 하측 돌출부와 상측 단턱부를 형성하며, 이 본체판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본체판과 같은 길이를 형성하고 폭은 본체판 보다 미늘의 폭 만큼 좁은 국내산 목재의 표면장식판을 접착하되 좌측은 하측 단턱부의 선과 평행되게 하고 우측은 본체판의 우측 끝 선에 평행되게 접착하며, 길이방향의 하측은 본체판의 후단부 보다 약간 앞쪽으로 접착되게 함으로써 후단 단턱부를 형성하고 표면장식판의 선단은 본체판의 선단 보다 돌출된 선단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한 미늘판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미늘판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미늘판의 일부 절개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에 의한 미늘판의 폭 방향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미늘판의 길이 방향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판(1)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상측 돌출부(3)와 하측 단턱부(4)를 형성하고, 우측 가장자리에는 하측 돌출부(5)와 상측 단턱부(6)를 형성하되 합성수지의 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하며, 이 본체판(1)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본체판과 길이가 같고 폭은 본체판(1)의 미늘 폭 만큼 좁은 국내산 목재의 표면장식판(2)을 접착하되, 좌측은 하측 단턱부(4)의 선과 평행되게 하고 우측은 본체판(1)의 우측 끝 선과 평행되게 접착하며, 길이방향 후단은 본체판(1)의 후단부 보다 약간 위쪽으로 접착되게 함으로써 후단 단턱부(9)가 형성되게 하고, 표면장식판(2)의 선단은 본체판(1)의 선단보다 돌출된 선단 돌출부(10)를 형성함으로써 좌측의 상측 돌출부(3)는 미늘을 형성하고 우측의 하측 돌출부(5)와 표면장식판(2)의 우측 가장자리 사이에는 미늘이 삽입되는 미늘삽입홈(7)이 형성되며, 표면장식판(2)의 선단은 선단돌출부(10)를 형성하여 선단의 끝 부분에 연결되는 다른 미늘판의 후단 단턱부(9) 위에 결합될 수 있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본체판(1)에 표면장식판(2)을 첩착함에 있어서는 본체판(1)의 상면에 접착제층(8)을 도포하고 그 위에 표면장식판(2)을 올려놓은 다음 가압하여 접착하는 것이다.
상기 표면장식판(2)은 국내산으로서 용이하고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는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참나무 등 주요 국내산 목재를 사용하고 본체판(1)은 합성수지를 일체로 성형 제작하여 사용하는데, 표면에 들어나는 것이 아니므로 비교적 값싼 재생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에 있어서는 본체판(1)의 일측에 형성된 상측 돌출부(3)에 의하여 형성되는 미늘이 타측의 하측 돌출부(5)와 표면장식판(2)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는 미늘삽입홈(7)에 끼워 넣는 식으로 여러 장의 미늘판을 끼워 맞추며, 후단 단턱부(9)에는 아래쪽에 설치되는 미늘판의 상단돌출부(10)가 결합되어 실내 벽면에 마감재로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길이 방향으로 후단 단턱부(9)와 아래쪽에 설치되는 미늘판의 상단돌출부(10)간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서 이 결합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일체로 접착시킬 수도 있다. 이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종래 길이 방향의 미늘판과 미늘판 사이에 결합력이 약하여 충격 시 이탈되기 쉽기 때문에 빈번히 못을 사용해야 하는 결함을 제거할 수 있으며, 빈번히 교체해야 하는 벽지 대신 거의 영구적인 벽면 마감재로 사용하게 되며,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 등에서 방바닥 등에 까는 마루판(flooring board)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미늘판의 효과를 살펴보면,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미늘판은 그 제작에 있어서 본체판(1)의 양측에 ""형 돌출부와 ""형 요홈부를 형성하지 않고, 폭 방향 좌측에는 상측 돌출부(3)와 하측 단턱부(4)를 가지는 "ㄱ"자형 단면으로, 우측에는 하측 돌출부(5)와 상측 단턱부(6)를 가지는 "ㄴ"자 형 단면이 되게 합성수지 판을 일체로 성형 제작하는 것이어서 제작이 극히 간편하고, 본 고안자의 실용신안등록 제 079169호(출원공고번호 제 94-63호)의 미늘판 구조에서 극히 얇은 단판을 절삭하는 경우와 달리 그 본체판(1)의 가공 제작이 매우 용이하고 얇은 목재의 절삭 시 특히 옹이부분 등에서 빈번히 발생하던 파손이 없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본체판(1)과 표면장식판(2)을 그 사이에 접착제층(8)을 도포하고 가압하여 접착하는 것이므로 표면장식판에 설령 옹이(11)가 있더라도 옹이빠짐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되며, 뒤틀림이나 갈라짐 등의 결함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미늘판으로서는 부적합하다고 여겨져 오던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참나무 등 주요 국내산 목재를 사용하면서도 미장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들 목재에서 결함으로 알려져 있던 옹이빠짐, 뒤틀림, 갈라짐 등의 결함을 배제할 수 있어 국내 자원의 활용과 외화낭비 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미늘판 뿐 아니라, 주택이나 아파트 등에서 흔히 방바닥 마감용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루판(床板 : Flooring Board)으로 사용할 경우에도 후단 단턱부를 연결되는 다른 미늘판의 상단 돌출부가 견고히 결합되고 또 이 부분에는 접착제로 용이하게 접착을 시킬 수 있어서 무거운 하중이나 충격에 의한 판과 판 사이의 결합 구조 간 이탈이 없는 견고한 마루판을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미늘판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미늘판의 폭 방향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미늘판의 길이 방향 결합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본체판 2 : 표면장식판
3 : 상측 돌출부 4 : 하측 단턱부
5 : 하측 돌출부 6 : 상측 단턱부
7 : 미늘삽입홈 8 : 접착제층
9 : 후단 단턱부 10 : 선단 돌출부

Claims (1)

  1. (a)본체판(1)과 표면장식판(2)이 접합되어 폭 방향으로 일측의 가장자리에는 미늘이 형성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미늘이 삽입되는 미늘삽입홈(7)이 형성된 통상의 미늘판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1)의 폭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는 본체판(1)의 두께의 대략 절반이 되는 두께를 가지는 상측 돌출부(3)와 하측 단턱부(4)를 각각 형성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본체판(1) 두께의 대략 절반이 되는 두께를 가지는 하측 돌출부(5)와 상측 단턱부(6)를 형성하되 합성수지로 일체가 되게 성형하며,
    (b)본체판(1)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본체판과 길이가 같고 폭은 미늘의 폭 만큼 좁게 형성한 국내산 목재의 표면장식판(2)을 접착하되 좌측은 하측 단턱부(4)의 선과 평행되게 하고 우측은 본체판(1)의 우측 끝선에 평행되게 접착하며, 표면장식판(2)의 길이방향 후단은 본체판(1)의 후단부 보다 약간 앞쪽으로 접착되게 함으로써 후단 단턱부(9)가 형성되게 하고, 표면장식판(2)의 선단이 본체판(1)의 선단보다 돌출되어 선단 돌출부(1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판.
KR20-2005-0006432U 2005-03-10 2005-03-10 미늘판 KR200391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432U KR200391675Y1 (ko) 2005-03-10 2005-03-10 미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432U KR200391675Y1 (ko) 2005-03-10 2005-03-10 미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675Y1 true KR200391675Y1 (ko) 2005-08-08

Family

ID=43692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432U KR200391675Y1 (ko) 2005-03-10 2005-03-10 미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6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321B1 (ko) 2006-11-11 2008-02-21 이호영 바닥재 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321B1 (ko) 2006-11-11 2008-02-21 이호영 바닥재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1090C2 (ru) Механическая блокиров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анелей пола
KR102314032B1 (ko) 플로어 패널을 위한 기계적 잠금 시스템
US8776473B2 (en)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MX2008013792A (es) Perfil de suelo.
US8261507B2 (en) Flooring profile
JP2004537663A5 (ko)
US20110265411A1 (en) New plastic floor
US20180355604A1 (en) Component and production method
CA2894923A1 (en) Building element composed of two panels with a coupling strip
KR200391675Y1 (ko) 미늘판
EP1195477A2 (en) Cladding element, particularly for wood-block flooring
KR100947849B1 (ko)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CN101713243A (zh) 一种装饰板材
WO2014088391A1 (en) Interlocking joint for wooden multilayer laminated panel board
US20100287853A1 (en) Wooden Structure for Stair
CN201554202U (zh) 一种装饰板材
JP4768533B2 (ja) 上がり框の構造
JP5130006B2 (ja) 木質床材
JP4225173B2 (ja) 床材の製造方法
CN213038761U (zh) 复合实木地板
CN210685264U (zh) 一种地板间连接件及具有其的地板
JP2012001946A (ja) 床材の実結合構造
JP7351655B2 (ja) 幅木
JP3980575B2 (ja) 室内用建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1447610U (zh) 一种用于连接木地板与非木材地板的过渡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