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849B1 -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 Google Patents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849B1
KR100947849B1 KR1020080111788A KR20080111788A KR100947849B1 KR 100947849 B1 KR100947849 B1 KR 100947849B1 KR 1020080111788 A KR1020080111788 A KR 1020080111788A KR 20080111788 A KR20080111788 A KR 20080111788A KR 100947849 B1 KR100947849 B1 KR 100947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floorboard
joint
joint structure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섭
Original Assignee
동화자연마루(주)
동화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화자연마루(주), 동화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화자연마루(주)
Priority to KR102008011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5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 continuous tongue or groo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7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connected by tongues and grooves, the centerline of the connection being inclined to the top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3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tongues and grooves being formed by projecting or recessed parts of the panel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루판간 연결을 위한 일측 경사 텅(tongue)과 타측 경사 텅이 경사기준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와 서로 경사지게 짜맞춰지고 결착형상부에 의해 유지되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면을 제공하여 마루판간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틈 벌어짐 또는 솟아오름 등의 하자를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이 용이한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은 마루판용 판재 형상의 판몸체(110)와, 인접 마루판(Q, R)간 연결을 위해서 상기 판몸체(110)의 평면 기준 상하 또는 좌우 양측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각각의 조인트부(120, 130, 140, 150)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부(120, 130, 140, 150)에는 적어도 경사 결합을 위한 일측 경사 텅(T1) 또는 타측 경사 텅(T2)이 상기 인접 마루판(Q, R)간 조립 시공시 빗각(
Figure 112008078019018-pat00001
)을 갖는 경사기준면(122)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와 서로 경사지게 짜맞춰지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위해 서로 경사지게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몸체, 경사 텅, 경사기준면, 걸림턱, 걸림돌기

Description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FLOOR PANELS WITH TONGUE-AND-TONGUE JOINT STRUCTURE}
본 발명은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마루바닥재, 조립식 바닥재, 플로어링 보드 또는 패널, 벽면 인테리어 자재 등으로서 사용되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질재의 마루판은 접착제를 사용해서 붙이거나, 못, 나무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전통적 방식에 의해서 바닥, 벽면에 시공되어 왔다.
이후 전통적 시공 방식의 접착제 사용에 따른 불편함, 인체에 미치는 나쁜 영향, 콘크리트와 같이 단단한 곳에서 못, 나무못 등을 사용하기 어려운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플로팅 공법(floating installation)이 개발되었다.
플로팅 공법은 마루바닥재 등을 시공하는 많은 업체와 시공업자들로 하여금 접착제, 못 등을 사용하지 않고 판재끼리 서로 끼워 넣음으로써, 판재간의 유동을 막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런 플로팅 공법에 의해 형성된 마루바닥재 시공구조를 살펴보면, 마루바닥 재끼리 서로 끼워 넣기 때문에, 마루바닥재가 시공면에 대해 직접적으로 붙어있지 않고 떠 있는 상태이며, 보행감 개선과 바닥의 습기차단, 울퉁불퉁한 시공면 보정을 위해서, 비닐과 발포재가 마루바닥재와 시공면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마루바닥재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강화마루(laminating flooring)가 있다. 강화마루용 조립식 판재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표면라미네이트층(예 : 수지 특수코팅층), HDF 등의 중간층(예 : 코어 또는 코어목질층), 하지층(예 : 방습라미네이트층)이 합체되어 목질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목질의 약점을 보완한 것이다.
기존의 강화마루는 플로팅 공법과 텅 앤드 홈 커플링(tongue-and-groove coupling)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 시공된 바 있다.
텅 앤드 홈 커플링은 홈이음을 위한 일측 목재의 나무마구리 한 끝에 홈(groove)을 파고 타측 목재의 끝에 홈에 들어갈 모양의 텅(tongue)을 형성하여 상호 끼워 넣음 결합에 의해 이어지는 이음새를 의미한다.
이렇게 결합 시공된 기존의 강화마루 역시 코어목질층을 갖고 있으므로 장시간 수분이나 습도에 의해 종종 저(低)습도시의 수축 현상이나 고(高)습도시의 팽창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를 감안 및 수용하기 위하여 상호 결합을 느슨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텅과 홈 사이에 접착제를 부가 사용하여 유동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텅과 홈 사이에 탄성체를 더 개재시켜 간극 발생을 제거하고자 노력하였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덮개를 구성하는 경질의 바닥패널 및 그러한 바닥패널 의 제조방법은 텅 앤드 홈 커플링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430315호로 등록된 바 있다.
종래 기술의 바닥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덮개를 구성하는 경질의 패널(1, 2)로서, 이 패널(1, 2)은 긴 형태 또는 정방형의 사각형이고, 그 패널(1, 2)에는 제1 쌍 및 제2 쌍의 대향 측부가 있으며, 적어도 패널(1, 2)의 제2 쌍의 대향 측부의 엣지에는 설부(1b)(tongue portion) 및 홈(2b)(groove) 형태의 커플링부(1a, 2a)가 제공되고, 이들 커플링부(1a, 2a)에는 관련 엣지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체결 요소를 포함하는 일체형의 기계식 체결 수단(1c, 2c)이 마련되며, 체결 수단(1c, 2c)은 패널(1, 2)의 코어와 단일편으로 구성되어, 이러한 두 패널(1, 2)이 연결된 상태에서 커플링부(1a, 2a)는 상기 체결 수단(1c, 2c)과 함께, 연결된 엣지에 수직하고 패널(1, 2)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뿐만 아니라 패널(1, 2)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을 제공해 주며, 상기 코어의 재료는 HDF(High Density Fiberboard)판 또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판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코어로부터 형성되는 상기 커플링부(1a, 2a) 및 체결 수단(1c, 2c)은 상기 패널(1, 2)을 서로를 향하여 평탄하게 측방향으로 시프팅하여 상기 체결 요소가 서로의 뒤에서 꼭 조여지는 스냅 체결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2개의 패널(1, 2)이 체결될 수 있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냅 체결 연결이란 상측 엣지(d)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e)에 의해 일측 패널(1)의 설부(1b)가 타측 패널(2)의 홈(2b)에 삽입될 때, 일측 패널(1)의 체결 수단(1c)이 타측 패널(2)의 탄성 변형(g) 가능한 체결 수단(2c)을 타고 넘어 가면서, 일측 패널(1)의 체결 수단(1c)의 돌부를 타측 패널(2)의 체결 수단(2c)의 안착홈부에 결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타측 패널(2)의 체결 수단(2c)이 형성된 하부 리브(lib)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부위(f)를 갖고 있으므로, 탄성 변형 범위내에서 일측 패널(1)의 체결 수단(1c)의 가압력에 의해 하향 이동 후 다시 복원되는 탄성 변형(g)이 가능하다. 또한, 체결 수단(2c)은 설부(1b)와 홈(2b)의 체결 후 탄성력을 계속해서 발휘하여 체결 수단(1c, 2c)간 결합력을 유지시키는 역할로 작용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바닥패널에서는 목질판상재의 수축과 팽창에 있어서, 길이, 너비방향보다는 두께방향의 변화가 더 크고, 설부(1b)보다는 홈(2b)의 변형이 심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바닥패널에서는 스냅 체결 연결과 같은 강한 탄성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시공자가 쉽고 빠르게 시공하려는 목적으로 고무망치 등을 이용하여 패널을 쳐서 억지로 끼워 넣는 방식을 취함에 따라, 패널에 가공된 결합구조가 파괴되거나 시공자에 의해 HDF의 코어가 갈라지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시공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시공이 완료된 후에 원래 의도되었던 체결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체결구조가 느슨해지거나 패널끼리 단차가 발생하는 등의 2차적인 문제가 많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소비자의 불만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바닥패널에서는 텅과 홈의 체결상태를 하부 리브의 복원력(예 : 원래 위치로 가려고 잡아당겨지는 인장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결합 유지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바닥패널에서는 홈(2)의 아래쪽에 형성된 하부 리브가 병목(bottle neck)과 같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부위(f)를 갖고 있고, 또한 스냅 체결 연결 지점(h)이 상대적으로 좁은 결합면적을 갖고 있으므로, 바닥 난방에 따라 수축과 팽창이 잦은 온돌 문화권의 마루바닥 특성상, 상기 하부 리브의 끝단이 바깥쪽(예 : 하방향)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 경우 이상적인 결합력보다 낮은 결합력이 발휘되어 하자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다른 종래 기술로서 마루 커버링 및 잠금 시스템 및 예를 들어 마루판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는 텅 앤드 홈 커플링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7-0003858호로 공개된 바 있다.
종래 기술의 마루 커버링에 해당하는 세미-플로팅 마루(semi-floating floor)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 잠금 시스템(mechanical locking system)에 의해 연결되는 직사각 마루판(10, 20)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잠금 시스템에서 연결된 마루판(10, 20)은 마루 표면에 평행한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에 수직인 수직면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 시스템은 상기 수직면에 평행한 수직 연결 및 상기 수평면에 평행한 수평 연결을 위해 기계적 협력 작용하는 잠금 부재를 구비한다.
잠금 시스템에서 수직 잠금 수단은 텅 그루브(21)와 협력 작용하는 텅(11)으로 이루어지며 수평 잠금 수단은 잠금 그루브(12)와 협력 작용하는 잠금 표면(22)을 구비한 잠금 부재(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마루판(10, 20)의 잠금 시스템, 포맷, 및 설치 패턴은, 마루판(10, 20)이 수평면 상으로 인장 로드(tensile load) 또는 압축을 받는 경우, 마루판(10, 20)의 수평면 길이 상의 변화가 가시적 연결 갭 없이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마루 커버링에서는 비록 하부 리브에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부위(i)를 갖고 있으나, 미리 잠금 표면(22)에 대해 틈새(j)를 갖도록 제조되어 있으므로, 상호 결합이 느슨한 단점이 있고, 또한 상대적으로 좁은 수평 잠금 지점(k)을 형성하여, 수축, 팽창 현상에 따라 마루판의 결합력이 현격하게 감소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마루판들은 텅 앤드 홈 커플링(tongue-and-groove coupling) 방식으로서 HDF의 코어가 갈라지기 쉬운 방향으로 텅이 홈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시공상 주의가 요구되어 불편하며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시공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마루판들은 텅을 홈에 끼워 넣기 위해서 코어에 무리가 가는 회전 운동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억지로 텅과 홈이 결합되도록 과도한 힘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고무망치의 가격 방향이 HDF의 코어가 갈라지기 쉬운 방향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어서 패널에 일체형으로 가공된 결합구조가 파괴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마루판들은 마루판끼리 서로 밀착되게끔 하기 위해서, 홈과 혀의 결합구조가 서로 일정한 힘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만일 가공 혹은 시공 중에 파손이 결합구조에 있거나, HDF의 코어가 갈라지는 경우 현격하게 결합력이 감소할 수밖에 없고, 정밀한 가공이 이뤄지지 않고, 무딘 가공 툴(tool)로 가공되거나 세팅이 잘 못 되었을 때에는 결합력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루판간 연결을 위한 일측 경사 텅(tongue)과 타측 경사 텅이 경사기준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와 서로 경사지게 짜맞춰지고 결착형상부에 의해 유지되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면을 제공하여 마루판간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틈 벌어짐 또는 솟아오름 등의 하자를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이 용이한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경사지게 짜맞춰진 상태를 결속시키는 결착형상부를 제공함에 따라 더욱 견고하고 강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에 의해 인접 마루판간의 연결 시공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마루판용 판재 형상의 판몸체와, 인접 마루판간 연결을 위해서 상기 판몸체의 평면 기준 상하 또는 좌우 양측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각각의 조인트부를 포 함하되, 상기 조인트부에는 적어도 경사 결합을 위한 일측 경사 텅 또는 타측 경사 텅이 상기 인접 마루판간 조립 시공시 빗각을 갖는 경사기준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와 서로 경사지게 짜맞춰지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위해 서로 경사지게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은 앞서 언급한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면을 제공할 수 있고, 마루판간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마루판간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틈 벌어짐 또는 솟아오름 등의 하자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은 결착형상부에 의해 서로 경사지게 짜맞춰진 상태가 결속됨에 따라 더욱 견고하고 강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은 마루판에서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강한 두께방향의 수축 또는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서로 경사지게 짜맞춰지는 경사 텅간 결합 상태와, 경사기준면의 반대쪽에 형성된 결착형상부에 의해서, 유동성이 없고 더욱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은 경사 결합을 위한 일측 경사 텅과 타측 경사 텅이 상호적으로 가이드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여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은 마루판간 연결용 경사 미끄럼 체결 방식의 시공을 가능케 하여 상대적으로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e는 도 3에 도시된 마루판의 결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마루판간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응용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100)는 기본적으로 마루판의 인접 부위끼리 결합되도록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제공한다.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는 마루판간 연결시 경사 결합을 위해 일측 경사 텅과 타측 경사 텅이 빗각을 갖는 경사기준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와 서로 경사지게 짜맞춰지고, 경사기준면의 반대쪽 부위를 기준으로 도 6에 보이는 돌기안착홈(128) 및 걸림돌기(138) 쌍 또는 도 7d에 보이는 마찰면(127a, 137a) 쌍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결착형상부(P)에 의해 더욱 결속력있게 유지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100)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단면 형상에 따른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에서 특징을 찾을 수 있고, 이외에 기본적으로 마루바닥재, 조립식 바닥재, 플로어링 보드 또는 패널, 벽면 인테리어 자재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한 기술 스팩 또는 레이아웃, 재질 등을 만족하도록 제작되며, 플로팅 공법에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본 실시예(100)에서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재질은 고밀도섬유판재(HDF), 중밀도섬유판재(MDF), 삭편판재(PB), 합판재, 원목재, 집성재 중 어느 하나의 목질재료와; 고분자화합물인 PVC, ABS, 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재료와; 세라믹재료와; 목분 및 플라스틱을 이용한 목분플라스틱, 목분 및 무기질을 혼합한 목분무기 중 어느 하나의 복합재료;를 이용한 단일구조 또는 복합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10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은 강화마루(laminating flooring), 원목마루, 합판마루, 대나무마루, 콜크마루 중 어느 하나의 조립식 판재로서의 기술 규격을 만족하면서도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실현하도록 제조된다.
본 실시예(100)는 판재 형상의 판몸체(110)와, 인접 마루판간 연결을 위해서 판몸체(110)의 평면 기준 상하 또는 좌우 양측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각각의 조인트부(120, 130, 140, 150)를 포함한다.
각각의 조인트부(120, 130, 140, 150)에는 적어도 경사 결합을 위한 일측 경사 텅 또는 타측 경사 텅이 서로 경사지게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 해서, 인접 마루판간 조립 시공시 일측 경사 텅과 타측 경사 텅이 경사기준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와 서로 경사지게 짜맞춰지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의 실현이 가능하다.
예컨대, 판몸체(110)의 상하 양측 위치를 살펴보면, 상 조인트부(140)에는 상측 경사 텅이 도 3의 지면을 뚫고 나오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런 상측 경사 텅과 쌍을 이루어는 하측 경사 텅이 하 조인트부(150)에서 도 3의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몸체(110)의 좌우 양측 위치를 살펴보면, 좌 조인트부(120)에는 일측 경사 텅이 도 3의 지면을 뚫고 나오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런 일측 경사 텅과 쌍을 이루는 타측 경사 텅이 우 조인트부(130)에서 도 3의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의 배열 및 형상이 유사 내지 동일하므로 도 4에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 조인트부(120, 130)를 포함한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를 통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조인트부들 중 일측에 해당하는 좌 조인트부(120)는 제1 브이커트부(121), 경사기준면(122), 제1 연장면(123), 제1 경사평행면(124), 일측 경사 텅(T1), 텅 상면(125), 텅 측면(126), 걸림턱(127), 돌기안착홈(128), 조인트저면(129)을 포함한다.
제1 브이커트부(121)는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을 기준으로 판몸체(110)와 좌 조인트부(120)의 상부경계위치에서 영문 V자 형상을 위해 모따기된 곳이다.
여기서,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은 판몸체(110)의 상면에 일치 또는 대응되어 수평하게 연장된 가상 기준선을 의미한다.
경사기준면(122)은 제1 브이커트부(121)의 저부로부터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을 기준으로 빗각(
Figure 112008078019018-pat00002
)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비탈면 또는 가이드면을 의미한다.
빗각(
Figure 112008078019018-pat00003
)은 각도 범위 60° ∼ 85°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빗각(
Figure 112008078019018-pat00004
)은 상기 각도 범위보다 이하로 형성될 경우,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의 체결력을 더욱 증가시키는 반면 기계적 가공부위가 많아져 가공성이 나빠지고, 반대로 상기 각도 범위보다 더 크게 형성될 경우,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의 체결력이 현격하게 나빠지므로, 상기 빗각(
Figure 112008078019018-pat00005
)은 최적화된 수치임을 알 수 있다.
제1 연장면(123)은 경사기준면(122)의 아래쪽에서 마루판의 외곽쪽으로 연장되어 제1 텅 안착공간(X1)의 너비에 대응한 크기만큼 형성된다.
제1 경사평행면(124)은 제1 연장면(123)의 끝에서 경사기준면(122)에 대해 평행하거나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을 기준으로 수직에 가깝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경사평행면(124)의 상부 끝 위치는 제1 연장면(123)과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 사이에서 체결두께(Y1)를 뺀 높이의 위치에 해당한다.
체결두께(Y1)는 하기에 설명할 탄성두께(Y2)와 대등하게 하여 텅 상면(125)과 제2 연장면(136)이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게 해준다.
일측 경사 텅(T1)은 단면 기준으로 제1 경사평행면(124), 텅 상면(125), 텅 측면(126)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빗각(
Figure 112008078019018-pat00006
) 또는 빗변(예 : 경사기준면)을 이용 한 짜맞춤을 위한 것이다.
텅 상면(125)은 일측 경사 텅(T1)의 상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제1 경사평행면(124)의 위쪽에서 마루판의 외곽쪽으로 연장되어 일측 경사 텅(T1)의 너비에 대응한 크기만큼 형성된다.
한편, 텅 상면(125)은 그에 대응되는 제2 연장면(136)을 고려하여, 참조를 위해 도시한 원(Z)의 간략한 내부 형상들과 같이,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과 평행한 형상(z1)으로 형성되거나,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에 비해 기울어진 직선형상(z2, z3)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 쪽으로 복록하게 곡선형상(z4)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텅 상면(125)과 제1 경사평행면(124)과 인접하는 곳에는 모따기 가공이 되어 있다. 또한 텅 상면(125)은 마루판의 상부와 평행하거나 혹은 기울어진 형태의 직선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부로 볼록하게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텅 측면(126)은 일측 경사 텅(T1)의 바깥쪽 측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텅 상면(125)으로부터 연직 하향으로 연장되어 제1 연장면(123)의 하부 위치까지 형성된다.
걸림턱(127)은 텅 측면(126)의 저부에서 마루판의 외곽쪽으로 라운드되게 돌출되어 텅 측면(126)에 대해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걸림턱(127)은 텅 측면(126)의 저부 중에서 제1 연장면(123)과 제1 경사평행면(124)이 만나는 부위보다 아래쪽에 형성된다.
돌기안착홈(128)은 걸림턱(127)의 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결착형상부의 일측 부분에 해당한다. 이런 돌기안착홈(128)은 경사기준면(122)이 형성된 곳을 기준으로 반대쪽 위치에 형성되어 있음으로 이해된다.
조인트저면(129)은 돌기안착홈(128)이 형성된 곳의 저면 끝단에서 판몸체(110)의 저면까지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다.
한편, 조인트부들 중 일측이 상기 좌 조인트부(120) 또는 상 조인트부(140)일 때 그의 결합 대우로서 타측에 해당하는 조인트는 우 조인트부(130) 또는 하 조인트부(150)가 된다.
예컨대, 우 조인트부(130)는 조인트상면(131), 제2 브이커트부(132), 슬라이딩면(133), 텅 저면(134), 제2 경사평행면(135), 타측 경사 텅(T2), 제2 연장면(136), 제2 텅 안착공간(X2), 텅 여유경사면(137), 걸림돌기(138)를 포함한다.
조인트상면(131)은 판몸체(110)의 상면에서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을 따라 해당 조인트부의 너비, 예컨대 우 조인트부(130)의 너비에 대응한 크기만큼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제2 브이커트부(132)는 제1 브이커트부(121)와 합하여 영문 V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조인트상면(131)의 끝단에서 모따기 된 곳을 의미한다.
슬라이딩면(133)은 제2 브이커트부(132)의 저부로부터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을 기준으로 경사기준면(122)의 빗각(
Figure 112008078019018-pat00007
)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경사기준면(122)을 따라 미끄럼 체결을 수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텅 저면(134)은 타측 경사 텅(T2)의 저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슬라이딩 면(133)의 아래쪽에서 마루판의 판몸체(110)쪽으로 연장되어 타측 경사 텅(T2)의 너비에 대응한 크기만큼 형성된다. 텅 저면(134)과 슬라이딩면(133)간 인접하는 곳, 또는 텅 저면(134)과 제2 경사평행면(135)간 인접하는 곳에는 모따기 가공, 라운드 가공 중 어느 하나의 가공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경사평행면(135)은 텅 저면(134)의 끝에서 슬라이딩면(133)에 대해 평행하거나,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을 기준으로 수직에 가깝거나, 제1 경사평행면(124)과 동일한 것 중 어느 하나의 각도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제2 경사평행면(135)의 상부 끝 위치는 텅 저면(134)과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 사이에서 탄성두께(Y2)를 뺀 높이의 위치에 해당한다.
여기서, 탄성두께(Y2)는 조인트상면(131)과 제2 연장면(136) 사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탄성 변형 후 복귀와 구조적 강도 유지를 위해 마루판 전체두께를 기준으로 12% ~ 45%에서(예 : 마루판 전체두께가 8㎜일 때 값 1.0㎜ ∼ 3.6㎜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예 : 두께 비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측 경사 텅(T2)은 단면 기준으로 슬라이딩면(133), 텅 저면(134), 제2 경사평행면(135)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서, 일측 경사 텅(T1) 옆의 제1 텅 안착공간(X1)에 짜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제2 연장면(136)은 제2 경사평행면(135)의 위쪽에서 마루판의 판몸체(110)쪽으로 연장되어서 일측 경사 텅(T1)을 삽입시킬 제2 텅 안착공간(X2)의 너비에 대응한 크기만큼 형성된다.
제2 연장면(136)도 역시 텅 상면(125)에 간섭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과 평행한 형상(z1)으로 형성되거나,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에 비해 기울어진 직선형상(z2, z3)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 쪽으로 복록하게 곡선형상(z4)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텅 여유경사면(137)은 기계적 결합에 따른 간섭을 방지하도록 제2 연장면(136)의 끝에서 마루판의 판몸체(110)쪽으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된 곳을 의미한다.
걸림돌기(138)는 텅 여유경사면(137)의 아래쪽에서 마루판의 외곽쪽으로 돌출되어 돌기안착홈(128)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결착형상부의 타측 부분에 해당한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e를 통해서 본 실시예의 결합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인접 마루판(Q, R)간의 연결 시공시에는 어느 한쪽이 시공된 상태의 제1 마루판(Q)이 되고, 이후 제1 마루판(Q)에 연결시킬 제2 마루판(R)이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때, 작업자는 제2 마루판(R)의 우 조인트부(130)를 제1 마루판(Q)의 좌 조인트부(120) 쪽으로 근접시킨다. 이후, 우 조인트부(130)의 슬라이딩면(133)의 하부가 좌 조인트부(120)의 경사기준면(122)의 상부에 접촉하도록 한다. 이런 경우 도 5b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우 조인트부(130)를 하향으로 가압(m)시켜 좌 조인트부(120)와 체결을 시작한다.
이런 경우, 슬라이딩면(133)이 경사기준면(122)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오기 때문에, 슬라이딩면(133)을 갖는 타측 경사 텅(T2)은 제1 텅 안착공간(X1)쪽으로 이동된다. 이런 경우 도 5c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우 조인트부(130)에서 결착형상부(P)의 타측 부분에 해당하는 걸림돌기(138)가 좌 조인트부(120)의 걸림턱(127)에 접촉될 때, 제1 텅 안착공간(X1)쪽으로 이동되던 타측 경사 텅(T2)은 정지된다. 이때, 타측 경사 텅(T2)의 일부분이 제1 텅 안착공간(X1)쪽에 삽착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력을 발휘하기 위해 기반이 될 수 있을 만큼, 타측 경사 텅(T2)과 일측 경사 텅(T1)의 일부분이 체결된 상태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계속해서 우 조인트부(130)를 하향으로 가압(m)시킬 경우, 탄성두께(Y2) 관련 제2 연장면(136) 위쪽 부위에서 휘어짐(n1)이 발생되어 탄성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걸림돌기(138)가 걸림턱(127)을 따라 이동하려는 상태가 된다. 이런 상태는 도 5d에 도시되어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가압(m)이 작용하고 있는 범위내에서 슬라이딩면(133)과 경사기준면(122)의 미끄러짐은 타측 경사 텅(T2)과 일측 경사 텅(T1)간 맞물려 짜마춰짐을 더욱 유도한다.
이와 동시에, 탄성력의 작용 하에서, 걸림돌기(138)는 슬라이딩하여 좌 조인트부(120)에서 결착형상부(P)의 일측 부분에 해당하는 돌기안착홈(128)에 삽입되기 때문에, 휘어졌던 제2 연장면(136) 위쪽 부위가 복귀(n2)되면서 도 5e와 같이 된 다.
도 5e를 참조하면, 이렇게 최종적으로 타측 경사 텅(T2)과 일측 경사 텅(T1)간 서로 경사지게 짜맞춰짐이 완료되어서, 인접 마루판(Q, R)에서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는 돌기안착홈(128) 및 걸림돌기(138)에 해당하는 결착형상부(P)에 의해 유지되고, 발휘 및 작용되었던 탄성력은 제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로서 인접 마루판(Q, R)간 연결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경사 텅(T1, T2)간 접촉면에 해당하는 제1 경사평행면(124)과 제2 경사평행면(135)이 서로 밀고 있는 역학적 관계에 의해 상하부로의 유동이 억제된다.
또한,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에서는 상하부로의 유동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어긋나려는 힘의 방향이 빗각 방향, 즉 사선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좌우로의 틈 벌어짐이나 유동이 발생하려 할 때, 텅 상면(125)과 제2 연장면(136)과 같은 부위의 접촉 면적(S)이 상대적으로 매우 넓고 또한 기밀하게 접촉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좌우로의 틈 벌어짐이나 유동이 억제되는 이점도 있게 된다.
또한, 빗각(
Figure 112008078019018-pat00008
)의 각도가 직각이 아니기 때문에, 제2 마루판(R)의 타측 경사 텅(T2)이 들어간 방향으로 나오지 않고서는 P1부위의 화살표 방향으로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어서, 결국 도면부호 P1부위의 화살표 방향의 솟아오름 현상은 억제된 다.
또한, 어떠한 이유(예 : 외력, 변형 등)에 의해 제2 마루판(R)의 타측 경사 텅(T2)이 들어간 반대쪽으로 빠지려고 할 때에도, 결착형상부(P)에 대한 작용 방향(P2)의 힘이 결착형상부(P)인 돌기안착홈(128) 및 걸림돌기(138)에서 잡히기 때문에, 결국 결착형상부(P) 체결 후에는 틈 벌어짐이나 솟아오름 등이 없게 된다.
또한,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로서 인접 마루판(Q, R)간 연결 조립이 완료된 후, 탄성력이 필요 없거나 제거되는 이유를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중력에 의해 제1 마루판(Q)의 일측 경사 텅(T1)은 중력 작용 방향(예 : 하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때, 수축팽창을 살펴보면, 먼저 수축시(예 : 건조)에는 제1 마루판(Q)의 일측 경사 텅(T1)과 제2 마루판(R)의 타측 경사 텅(T2)이 서로 잡아주기 때문에,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기 전까지 결착형상부(P)인 돌기안착홈(128) 및 걸림돌기(138)는 서로 밀어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팽창시(예 : 습윤)에는 들어온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밖으로 나가 단차가 생기려면, 들어온 빗각(
Figure 112008078019018-pat00009
)을 통해 다시 나와야하는데 이때는, 돌기안착홈(128) 및 걸림돌기(138)가 붙기 때문에 이탈이 어렵게 된다.
또한, 제1 브이커트부(121)와 제2 브이커트부(132)에 의해서, 경사기준면(122)의 상부에는 V자 형상의 브이커트부가 형성되어서 자연스러운 마루판 시공 형상을 갖게 된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e를 통해서, 본 발명의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응용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응용예들은 기본적으로 앞서 설명한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와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한 마루판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도면부호의 남용과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구성간 유사하거나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그 특징 있는 부위 및 형상을 위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마루판(Q)의 일측 경사 텅(T1)이 안착될 제2 마루판(R)의 제2 텅 안착공간(X2)은, 앞서 도 4를 통해 언급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탄성두께(Y3)를 갖도록 제2 텅 안착공간(X2)의 코너 부위가 확장되어 있기에, 더욱 효율적인 탄성력 발생 및 복귀가 유리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얇은 탄성두께(Y3)는 상기 조인트상면(131)과 상기 제2 연장면(136) 사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마루판 전체두께의 8% ~ 40%(예 : 마루판 전체두께가 8㎜일 때, 값 0.6㎜ ∼ 3.2㎜)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마루판(Q)의 일측 경사 텅(T1)의 텅 상면(125)과 제2 마루판(R)의 제2 연장면(136)간에 유격(Y4)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 조립 시공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1 브이커트부(121)와 제2 브이커트부(132)의 위치를 경사기준면(122)의 상부의 외측으로 편향이동시기 위해서, 슬라이딩면(133)의 상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탭부(139)를 더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d를 참조하면, 결착형상부(P)는 기존의 돌기안착홈 및 걸림돌기 쌍을 제거하는 대신에 마찰면(127a, 137a) 쌍을 이용하는 형식으로 제작되어 있다. 즉, 결착형상부(P)는 걸림턱(127)의 아래쪽 측면위치에 평활한 제1 마찰면(127a)을 형성하고, 제1 마찰면(127a)에 대응하여 기밀하게 접촉하도록 텅 여유경사면(137)의 아래쪽 측면위치에 평활한 제2 마찰면(137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e를 참조하면, 제1 마루판(Q)과 제2 마루판(R)에서는 브이커트의 형상대신 붙어 있는 것과 같은 형상을 연출하도록 맞대기부(121a, 132a)가 형성되도록 디자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인트상면(131)의 끝단에 일측의 맞대기부(132a)가 형성되거나, 또는 경사기준면(122)의 상부에 타측의 맞대기부(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마루 시공 후 표면에 틈이 거의 없는 상태가 되어 더욱 깔끔한 질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텅 앤드 홈 커플링 방식의 바닥패널을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텅 앤드 홈 커플링 방식을 이용한 다른 종래 기술의 세미-플로팅 마루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3에 도시된 마루판의 결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마루판간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응용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시예 110 : 판몸체
120, 130, 140, 150 : 조인트부 121 : 제1브이커트부
122 : 경사기준면 123 : 제1 연장면
124 : 경사평행면 125 : 텅 상면
126 : 텅 측면 127 : 걸림턱
128 : 돌기안착홈 129 : 조인트저면
131 : 조인트상면 132 : 제2브이커트부
133 : 제1슬라이딩면 134 : 텅 저면
135 : 제2슬라이딩면 136 : 제2 연장면
137 : 텅 여유경사면 138 : 걸림돌기
139 : 탭부 Q, R : 마루판
T1, T2 : 경사 텅 X1, X2 : 텅 안착공간

Claims (9)

  1. 마루판용 판재 형상의 판몸체(110)와, 인접 마루판(Q, R)간 연결을 위해서 상기 판몸체(110)의 평면 기준 상하 또는 좌우 양측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각각의 조인트부(120, 130, 140, 150)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부(120, 130, 140, 150)에는 적어도 경사 결합을 위한 일측 경사 텅(T1) 또는 타측 경사 텅(T2)이 상기 인접 마루판(Q, R)간 조립 시공시 서로 안쪽으로 꺾여있는 빗각(
    Figure 112009062436486-pat00010
    )을 갖는 경사기준면(122)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와 서로 경사지게 짜맞춰지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위해 서로 경사지게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부(120, 140)는,
    상기 판몸체(110)의 상면에 대응한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을 기준으로 하여 빗각(
    Figure 112009062436486-pat00029
    )을 갖는 경사기준면(122);
    상기 경사기준면(122)의 아래쪽에서 제1 텅 안착공간(X1)의 너비에 대응한 크기만큼 형성된 제1 연장면(123);
    상기 제1 연장면(123)의 끝에서 경사기준면(122)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을 기준으로 수직에 가깝도록 형성된 제1 경사평행면(124);
    상기 제1 경사평행면(124)의 위쪽에서 마루판의 외곽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 경사 텅(T1)의 너비에 대응한 크기만큼,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과 평행한 형상(z1)으로 형성되거나,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에 비해 기울어진 직선형상(z2, z3)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 쪽으로 복록하게 곡선형상(z4)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텅 상면(125);
    상기 텅 상면(125)으로부터 연직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장면(123)의 하부 위치까지 형성된 텅 측면(126);
    상기 텅 측면(126)의 저부 중에서 제1 연장면(123)과 제1 경사평행면(124)이 만나는 부위보다 아래쪽에 형성된 걸림턱(127);
    상기 걸림턱(127)의 측면에 함몰 형성된 돌기안착홈(128);
    상기 돌기안착홈(128)이 형성된 곳의 저면 끝단에서 상기 판몸체(110)의 저면까지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 조인트저면(129); 및
    상기 제1 경사평행면(124), 텅 상면(125), 텅 측면(126)에 의해 형성된 일측 경사 텅(T1);
    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130, 150)는,
    상기 판몸체(110)의 상면에 대응한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을 해당 조인트부의 너비에 대응한 크기만큼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조인트상면(131);
    상기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을 기준으로 경사기준면(122)의 빗각(
    Figure 112009062436486-pat00030
    )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딩면(133);
    상기 슬라이딩면(133)의 아래쪽에서 마루판의 판몸체(110)쪽으로 연장되어 타측 경사 텅(T2)의 너비에 대응한 크기만큼 형성된 텅 저면(134);
    상기 텅 저면(134)의 끝에서 슬라이딩면(133)에 대해 평행하거나,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을 기준으로 수직에 가깝거나, 제1 경사평행면(124)과 동일한 것 중 어느 하나의 각도에 대응하게 형성된 제2 경사평행면(135);
    상기 제2 경사평행면(135)의 위쪽에서 마루판의 판몸체(110)쪽으로 연장된 제2 연장면(136);
    상기 제2 연장면(136)의 끝에서 마루판의 판몸체(110)쪽으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된 텅 여유경사면(137);
    상기 텅 여유경사면(137)의 아래쪽에서 마루판의 외곽쪽으로 돌출되어 돌기안착홈(128)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걸림돌기(138); 및
    상기 슬라이딩면(133), 텅 저면(134), 제2 경사평행면(135)에 의해 형성되어 일측 경사 텅(T1) 옆의 제1 텅 안착공간(X1)에 짜맞춰지는 타측 경사 텅(T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120, 130, 140, 150)에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경사기준면(122)의 반대쪽 부위를 기준으로 돌기안착홈(128) 및 걸림돌기(138) 쌍 또는 마찰면(127a, 137a) 쌍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결착형상부(P)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판 상면 수평연장선(TH)을 기준으로 상기 판몸체(110)와 좌 조인트부(120)의 상부경계위치에는 제1 브이커트부(121)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각(
    Figure 112009062436486-pat00012
    )은 각도 범위 60° ∼ 85°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상면(131)의 끝단에는 제1 브이커트부(121)와 합하여 영문 V자 형상을 형성하는 제2 브이커트부(132) 또는 맞대기부(13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상면(131)과 상기 제2 연장면(136) 사이에 해당하는 탄성두께(Y2, Y3)는 탄성 변형 후 복귀와 구조적 강도 유지를 위해 마루판 전체두께의 8% ~ 45%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면(133)의 상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탭부(139)를 더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KR1020080111788A 2008-11-11 2008-11-11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KR100947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788A KR100947849B1 (ko) 2008-11-11 2008-11-11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788A KR100947849B1 (ko) 2008-11-11 2008-11-11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849B1 true KR100947849B1 (ko) 2010-03-18

Family

ID=4218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788A KR100947849B1 (ko) 2008-11-11 2008-11-11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8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5274A (zh) * 2019-04-24 2019-06-28 刘文晓 一种板材、采用该板材的发热板及其制备工艺
JP2021050600A (ja) * 2014-12-08 2021-04-01 アイ4エフ・ライセンシング・エヌヴィI4F Licensing Nv パネル
JP2022505777A (ja) * 2018-10-26 2022-01-14 アイ4エフ・ライセンシング・エヌヴィ パネル、特に床パネルまたは壁パネル、およびパネル被覆材
EP4202151A1 (en) * 2014-02-26 2023-06-28 I4F Licensing Nv Panel interconnectable with similar panels for forming a cove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4713A1 (en) 1998-07-24 2000-01-26 Unilin Beheer B.V. Floor covering, floor panel for such covering and method for the realization of such floor panel
KR100566083B1 (ko) * 2003-08-07 2006-03-30 주식회사 한솔홈데코 조립식 바닥재
KR200419662Y1 (ko) * 2006-03-28 2006-06-23 오광석 조립식 바닥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4713A1 (en) 1998-07-24 2000-01-26 Unilin Beheer B.V. Floor covering, floor panel for such covering and method for the realization of such floor panel
KR100566083B1 (ko) * 2003-08-07 2006-03-30 주식회사 한솔홈데코 조립식 바닥재
KR200419662Y1 (ko) * 2006-03-28 2006-06-23 오광석 조립식 바닥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2151A1 (en) * 2014-02-26 2023-06-28 I4F Licensing Nv Panel interconnectable with similar panels for forming a covering
US11946261B2 (en) 2014-02-26 2024-04-02 I4F Licensing Nv Panel interconnectable with similar panels for forming a covering
JP2021050600A (ja) * 2014-12-08 2021-04-01 アイ4エフ・ライセンシング・エヌヴィI4F Licensing Nv パネル
JP7063978B2 (ja) 2014-12-08 2022-05-09 アイ4エフ・ライセンシング・エヌヴィ パネル
JP2022505777A (ja) * 2018-10-26 2022-01-14 アイ4エフ・ライセンシング・エヌヴィ パネル、特に床パネルまたは壁パネル、およびパネル被覆材
JP7434310B2 (ja) 2018-10-26 2024-02-20 アイ4エフ・ライセンシング・エヌヴィ パネル、特に床パネルまたは壁パネル、およびパネル被覆材
CN109945274A (zh) * 2019-04-24 2019-06-28 刘文晓 一种板材、采用该板材的发热板及其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5501B2 (en)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KR102067469B1 (ko) 플로어 패널들을 위한 기계적 잠금 시스템
KR101468444B1 (ko) 수직 폴딩을 구비하는 마루 패널들의 기계적인 잠금
JP4652411B2 (ja) 可撓性タングによるフロアパネルの機械的係止
EP2405073B1 (en) Flooring system comprising mechanically connectable floor panels
US8869485B2 (en) Mechanical locking of floor panels
KR20140053168A (ko) 바닥 패널용 기계식 로킹 시스템
KR100947849B1 (ko)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AU2006100114A4 (en) Interlocking Bo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