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013Y1 -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 - Google Patents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013Y1
KR200390013Y1 KR20-2005-0011073U KR20050011073U KR200390013Y1 KR 200390013 Y1 KR200390013 Y1 KR 200390013Y1 KR 20050011073 U KR20050011073 U KR 20050011073U KR 200390013 Y1 KR200390013 Y1 KR 200390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sheet
chemical
fibers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기
Original Assignee
전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기 filed Critical 전인기
Priority to KR20-2005-0011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0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0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염섬유로서의 마(麻)섬유와 인조섬유(화학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테르섬유)를 결합하여 마섬유의 특유의 성질과 화학섬유의 특유한 성질을 갖춘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섬유시트는 천연섬유로서의 마섬유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솜형태의 화학섬유를 공급하여 니들펀칭방식으로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시트형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된 시트형상에 대해서는 시트권취롤에 권취하고나서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재단하여 시트재롤에 재차 권취하고, 그 시트재롤에 권취된 시트재를 함침조내에서 아크릴계 바인더약품에 의해 연질/경질로 가공하며, 상기 바인더약품처리된 시트재를 압착하여 건조시키고나서 프레스로울러에 의해 양면 평탄화처리를 실행하여 제조된다.
필요한 경우, 약품처리과정에서 경화제와 섬유 유연제, 발수제, 정전기방지제, 항균/살균제, 방향제가 선택적으로 혼입되도록 해도 된다.

Description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FABRIC SHEET COMBINED WITH LINEN FABRIC AND POLYESTER FABRIC}
본 고안은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섬유로서의 마(麻)섬유에 화학섬유(대표적으로 폴리에스테르(Polyester)섬유)를 결합하여 천연섬유(마섬유)의 성질(통기성/항온도성/항균성)과 화학섬유의 성질(부드러운 접촉감/인장력)이 혼재되는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는 천연섬유와 인조섬유(또는 화학섬유)로 대별되는 바, 그 중 천연섬유는 천연의 재료에서 얻어진 섬유로서 면(cotton)이라든지 마(flax, linen)가 식물성 천연섬유로서 대표적이고, 인조섬유는 화학합성 또는 재생에 의해 만들어진 섬유로서 폴리아미드(polyamide)라든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acryl),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의 합성섬유가 대표적이다.
그러한 천연섬유 또는 인조섬유는 의복의 제조에 널리 활용될 뿐만 아니라, 단독적으로 가방이라든지 신발, 벽지, 침대매트리스 등의 제조를 위한 부재(部材)로서 적용되거나 고무재/실리콘재나 지류(紙類) 또는 합성수지재 등과 병합적으로 널리 적용된다.
예컨대, 신발의 안창 또는 중창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무재상에 천연섬유로서의 면섬유 또는 인조섬유(화학섬유)를 접착하는 구조가 일반적으로, 고무재상에 천연섬유로서의 면섬유를 접착한 경우 면섬유는 인장력에서 불리한 반면 고무재상에 인조섬유를 접착한 경우에는 인장력의 면에서 다소 유리하기는 하지만 신발내에서의 통기성이라든지 습기조절성 및 항균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그 신발부재에 대해 통기성의 보장 및 습기조절/항균 탈취기능의 강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또, 침대매트리스의 경우 탄성체가 내재된 매트리스본체의 외면에는 천연섬유 또는 인조섬유가 특정한 문양을 갖고서 가공된 매트리스커버가 갖추어지게 되는 바, 그러한 매트리스커버에 대해서도 세균의 번식을 극력 억제하는 항균기능이라든지 통기성 및 탈취기능의 강화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다.
그 밖에도, 침구류로서의 베개커버라든지 건축자재로서의 바닥재 또는 타일, 벽지, 바닥에 펼쳐지는 카페트, 모자의 챙 등에 대해서도 점차 습도조절기능과 통기성, 탈취기능의 보강에 대해서도 주목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양호한 통기성과 항균/탈취 작용을 갖는 천연섬유로서의 마(麻)섬유와 부드러운 접촉감과 내구성(인장력)이 양호한 화학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테르(Polyester)섬유)를 적정한 방식(특히 니들펀칭(niddle punching)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마섬유의 통기성/항온도성/항균성의 특성과 화학섬유의 부드러움과 양호한 인장력이 갖추어진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천연섬유층으로서의 마섬유에 화학섬유로서의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솜형태로 공급하여 니들펀칭방식으로 펀칭하여 상기 마섬유층의 직조 조직내에 상기 폴리에스테르섬유가 침입하여 상기 마섬유층과 상기 폴리에스테르섬유층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어진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섬유층은 상기 마섬유층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10은 천연섬유(마섬유)권취롤에 권취되어 양호한 통기성과 항온도성 및 항균성을 갖는 천연섬유층으로서의 마섬유층을 나타내고, 20은 양호한 접촉감과 내구성을 갖는 화학섬유층(예컨대 폴리에스테르섬유층)을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마섬유층(10)과 상기 화학섬유층(20)은 상호 결합되어 일정한 길이로 시트권취롤(도시 생략)에 권취되고나서 필요한 용도(예컨대 중창재나 안창재 등의 신발부재, 벽지 등의 건축자재, 침대매트리스 등의 침구류, 가방심재 등의 생활용품재 등)에 맞도록 일정한 길이와 폭의 시트재로 재단되어 별도의 시트재롤에 권취된다.
여기서, 상기 마섬유층(10)과 화학섬유층(20)의 사이에는 보다 양호한 결합력과 통풍/조습기능 등의 보강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소정 두께로 중간층으로서 '천연재질의 솜'(도시는 생략)이 개재되어도 바람직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천연섬유와 인조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21에서는 천연섬유층(10)으로서의 마섬유를 직조함과 더불어 화학섬유층(20)을 형성하기 위한 예컨대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준비하고, 단계 22에서 상기 마섬유와 상기 화학섬유를 접착하기 위해 예컨대 니들펀칭머신(Niddle Punching Machine)에 의해 니들펀칭작업(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을 시행하여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섬유층(10)과 상기 화학섬유층(20)의 사이에는 중간층으로서 천연재질의 솜을 개재시켜 상호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킴과 더불어 통기성과 조습기능 등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상기 마섬유층(10) 또는 상기 화학섬유층(20)의 일면에 천연섬유(특히 면)의 솜을 공급하고나서 결합방식으로서 니들펀칭머신에 의해 니들펀칭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마섬유층(10) 또는 상기 화학섬유층(20)의 직조 조직내로 천연섬유성분의 솜이 침투하여 조직화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마섬유층(10)의 솜이 조직화된 일측면에 상기 화학섬유층(20)을 결합하거나 상기 화학섬유층(20)의 솜이 조직화된 일측면에 상기 마섬유층(10)을 결합하게 된다.
상기 마섬유층(10)과 상기 화학섬유층(20)이 상호 결합되고나면 단계 23에서 그 섬유시트를 소정의 시트권취롤(도시 생략)에 권취한 다음 그 섬유시트의 용도를 고려하여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재단하여 시트재로서 별개의 시트재롤(도시 생략)에 권취하게 된다.
상기 시트재롤에 권취된 시트재는 단계 24에서 함침조에 투입되어 바인더약품처리가 실행되는 바, 그 바인더약품의 주원료로서는 해당하는 섬유시트의 용도에 따라 선택되는 아크릴계 바인더, 즉 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반응형 및 자기가교형의 아크릴공중합에멀전이나, 스티렌(styrene)과 아크릴산 에스테르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에멀전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되거나 혼용된 형태가 적용된다.
즉, 상기 시트재롤에 권취된 시트재는 그 용도에 따라 연질(soft) 또는 경질(hard)화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예컨대 신발의 안창과 중창의 경우 연질가공 또는 경질가공이 필요하게 되고, 그러한 용도에 따른 연질/경질가공은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의 양으로 결정하거나 그 아크릴계 바인더의 성질로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에 대해서는 경화제라든지 섬유유연제, 발수제, 정전기방지제, 항균제/살균제, 방향제 등이 선택적으로 첨가되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함침조내에서 아크릴계 바인더에 함침된 상기 시트재는 단계 25에서 예컨대 압착프레스에 의한 압착이 실행되고, 그 압착된 시트재를 단계 26에서 대략 100∼200℃의 열풍으로 대략 2∼10분간 건조시키게 된다.
그 건조된 시트재는 단계 27에서 프레스로울로(도시 생략)에 의해 양면에 대한 평탄화작업이 이루어지고나서 단계 28에서 필요한 문양을 인쇄하고 필요한 형상(즉, 단위 롤 또는 시트)으로 재단하여 상품으로 포장되어 출하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르면 양호한 통기성과 항균성을 갖는 마섬유와 양호한 접촉감과 내구성을 갖는 화학섬유를 접착하여 상호 보완적인 섬유시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얻어진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는 신발의 안창이라든지 중창을 포함한 신발부재의 제조에 적절하게 적용가능함은 물론, 모자의 챙이나 벽지, 침구류에서 대표적인 침대매트리스커버나 베개커버, 건축용 바닥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부속품, 공간구획을 위한 칸막이용 보드, 신발부재로서의 월형재(月形材), 실내 또는 야외에서 사용가능한 매트 또는 방석, 가방의 제작에 필요한 심재(芯材) 등의 제조에도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와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천연섬유권취롤(도시 생략)에 권취된 천연섬유로서의 마섬유층(10)상에 화학섬유(대표적으로 폴리에스테르섬유)층(바람직하게는 솜형태이지만, 화학섬유의 원사 또는 조각도 적용 가능)(30)을 공급하게 된다(단계 41).
그리고나서, 상기 마섬유층(10)상에 공급된 화학섬유층(30)을 니들펀칭머신하면 그 니들펀칭머신의 니들(도 5b에서 "40a∼40n" 참조)이 상기 화학섬유층(30)을 상기 마섬유층(10)의 직조 조직내에 침입(도 5a의 30a)시킴으로써 도 6에 나타낸 상기 마섬유층(10)와 상기 화학섬유층(30)이 결합된 시트형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단계 42).
상기한 과정에 의해 상기 마섬유층(10)의 조직내에 상기 화학섬유층(30)이 일체로 결합된 섬유시트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 1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소정의 시트권취롤에 권취(단계 43)되고나서 그 섬유시트의 용도에 따라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시트재로 재단되어 별도의 시트재롤에 권취되고, 그 시트재롤에 권취된 시트재에 대해 후처리로서 함침조내에서 연질/경질화 바인더약품처리(단계 44) 및 압착프레스에 의한 압착(단계 45), 건조기에 의한 열풍건조(단계 46)가 실행된다.
여기서, 상기 단계 44에서의 바인더약품처리과정에서는 그 약품처리를 위한 예컨대 아크릴계 바인더에 경화제라든지 섬유유연제, 발수제, 정전기방지제, 항균제/살균제, 방향제 등이 선택적으로 첨가되는 일도 상정된다.
또, 그 건조된 섬유시트는 단계 47에서 프레스로울러에 의해 양면에 대한 평탄화작업이 이루어지고나서 단계 48에서 필요한 문양의 인쇄 및 필요한 형상(예컨대 단위 롤 또는 시트)으로의 재단이 이루어지고나서 상품으로 포장되어 출하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제조된 제 2실시예에 따른 섬유시트는 상기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섬유시트와 동일하게 양호한 통기성과 항균성을 갖는 마섬유의 특성과 양호한 접촉감과 내구성을 갖는 화학섬유의 특성을 갖는 섬유시트를 얻을 수 있게 되고, 그 섬유시트는 신발안창(도 8 참조)을 포함하는 신발부재라든지 모자의 챙이나 벽지, 침구류에서 대표적인 침대매트리스커버나 베개커버, 건축용 바닥재나 인테리어부속품, 공간구획을 위한 칸막이용 보드, 신발부재로서의 월형재, 실내 또는 야외에서 사용가능한 매트 또는 방석, 가방의 제작에 필요한 심재 등의 제조에 적용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으로, 상기 제 1 및 제 2실시예에서 마섬유에 화학섬유층이 결합된 시트형상이 시트권취롤에 권취되고나면 그 용도에 따라 일정한 길와 폭을 갖는 시트재로 재단이 먼저 실행되고나서 약품처리가 후속되는 순서로 설명되어 있지만, 시트권취롤에 권취된 시트형상에 대해 약품처리와 압착/건조/평탄화처리가 실행되고나서 그 섬유시트의 용도에 따라 시트재로서 재단이 이루어지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서는 마섬유의 일측면에 화학섬유층이 결합된 구조가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은 그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마섬유의 일측면에 화학섬유층이 결합되고나서 그 마섬유의 타측면에 대해서도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학섬유층이 결합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한 설명에서는 천연섬유로서의 마섬유에 화학섬유층이 결합되는 방식이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은 그러한 예로도 한정되지는 않고 화학섬유에 천연섬유층(특히 마섬유층)을 공급하여 그 화학섬유의 조직내에 천연섬유층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연섬유층과 화학섬유층이 결합된 섬유시트에 의하면 양호한 통기성과 항균/탈취 작용을 갖는 천연섬유로서의 마섬유와 부드러운 접촉감과 내구성이 양호한 화학섬유(폴리에스테르섬유)를 결합함으로써 마섬유의 특유한 통기성과 탈취/항균성과 화학섬유의 특유한 부드러운 접촉감과 내구성을 갖는 섬유시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천연섬유와 인조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와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가 신발부재의 제조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천연섬유층(마섬유층), 20,30: 화학섬유층(폴리에스테르섬유),
40a∼40n: 니들펀칭머신의 니들.

Claims (2)

  1. 천연섬유층으로서의 마섬유에 화학섬유로서의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솜형태로 공급하여 니들펀칭방식으로 펀칭하여 상기 마섬유층의 직조 조직내에 상기 폴리에스테르섬유가 침입하여 상기 마섬유층과 상기 폴리에스테르섬유층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섬유층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상기 폴리에스테르섬유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
KR20-2005-0011073U 2005-04-21 2005-04-21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 KR200390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073U KR200390013Y1 (ko) 2005-04-21 2005-04-21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073U KR200390013Y1 (ko) 2005-04-21 2005-04-21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975A Division KR20050044788A (ko) 2005-03-04 2005-04-21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013Y1 true KR200390013Y1 (ko) 2005-07-18

Family

ID=4369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073U KR200390013Y1 (ko) 2005-04-21 2005-04-21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0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673B1 (ko) 복합체 슈즈 밑창, 이로 구성된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29018B1 (ko) 섬유 복합체, 및 이로 구성된 배리어 유닛, 복합체 슈즈 밑창, 및 신발
KR101151483B1 (ko) 대마를 이용한 신발깔창 및 그 제조방법
CN110431001A (zh) 使用连续垫料形成的纤维结合工程化材料
CN110431000A (zh) 使用区域性垫料形成的纤维结合工程化材料
CN101457444A (zh) 一种无纺麻布夹层及其制造方法
KR20050044788A (ko)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와 그 제조방법
KR200390013Y1 (ko) 천연섬유와 화학섬유가 결합된 섬유시트
CN213370279U (zh) 透气防水鞋类制品
KR20020090938A (ko) 폐섬유로 제조되는 고강도 통기성 신발중창과 그 제조법
CN113043700A (zh) 一种防水透湿鞋面及其制备方法
CN115667611A (zh) 纤维基鞋内底及其制造方法
KR101412508B1 (ko) 편백나무를 함유하는 한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한지
KR100358258B1 (ko) 신발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JP2004049725A (ja) 生分解性靴中敷
KR200217485Y1 (ko) 코코넛을 이용한 신발 밑창
KR200218261Y1 (ko) 코코넛을 이용한 신발 깔창
CN218577152U (zh) 一种环保型真丝绸面料
JP2003024205A (ja) 敷 物
KR100212642B1 (ko) 초극세사 단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로 중첩된 복합중창의 제조방법
KR200214518Y1 (ko) 웰트처리가능한 신발용 중창
JPH05199928A (ja) クッション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32249A (ja) 畳及び畳床
JPH09224708A (ja) 絹素材を用いたインソ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353004A (ja) 履物用中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