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643Y1 -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 - Google Patents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643Y1
KR200389643Y1 KR20-2005-0011816U KR20050011816U KR200389643Y1 KR 200389643 Y1 KR200389643 Y1 KR 200389643Y1 KR 20050011816 U KR20050011816 U KR 20050011816U KR 200389643 Y1 KR200389643 Y1 KR 200389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cotton yarn
opening
sewing thread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풍열
Original Assignee
김풍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풍열 filed Critical 김풍열
Priority to KR20-2005-0011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6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6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Gloves with undivided covering for all four fingers, i.e. mitt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Abstract

이 고안은, 끝부분이 폐곡선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절단되어 있는 면사를 사용함으로써 목욕이나 청소시에 상대적으로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개구부를 통하여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면의 면사의 끝부분이 폐곡선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절단되어 있는 면사를 사용하는 장갑몸체와, 상기한 개구부를 제외한 장갑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됨으로써 장갑내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용 봉제사와, 상기한 장갑몸체의 중앙부위에 박음질되어 장갑내부의 공간을 2개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봉제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Gloves}
이 고안은 장갑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끝부분이 폐곡선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절단되어 있는 면사를 사용함으로써 목욕이나 청소시에 상대적으로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방한용, 작업용, 장식용, 표식용, 계급상징용 등과 같이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착용하게 되며, 목적에 따라 형태가 어느정도 구별된다.
종래의 작업용 장갑은 작업시에 손을 보호하기 위해서만 착용될 뿐, 장갑을 타올이나 걸레처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작업자체를 위해서 사용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시 손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올이나 걸레와 같이 작업도구로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용 장갑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04345(공고일자: 2003년 2월 15일)의 "다목적 작업용 장갑"에서 본 출원인에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다목적용 장갑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면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개구부(11)를 통하여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갑몸체(1)와, 상기한 개구부(11)를 제외한 장갑몸체(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됨으로써 장갑내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용 봉제사(2)와, 상기한 장갑몸체(1)의 중앙부위에 박음질되어 장갑내부의 공간을 2개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봉제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다목적용 장갑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개구부(11)를 통하여 손을 장갑몸체(1)의 내부에 있는 공간으로 집어 넣은 뒤에, 엄지 손가락을 분리용 봉제사(3)의 일측면에 위치시키고, 나머지 손가락들을 분리용 봉제사(3)의 타측면에 위치시킨 뒤에, 분리용 봉제사(3)를 손아귀에 감싸쥐듯이 잡게 되면 장갑의 착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장갑의 착용이 완료되면, 분리용 봉제사(3)는 장갑을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분리용 봉제사(3)의 상하 위치에서는 분리용 봉제사(3)의 좌측과 우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좌우로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한 후에 사용 목적에 따라 목욕이나 청소를 함으로써, 장갑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손이 다치거나 오염되지 않고 보호되도록 하며, 또한 장갑을 목욕타올이나 걸레와 같이 작업도구로서 사용할 수도 있게 되어 편리성이 증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다목적용 장갑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면사의 끝부분을 보면 2개의 실이 서로 맞붙어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목욕이나 청소시에 상대적으로 세척력이 저하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끝부분이 폐곡선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절단되어 있는 면사를 사용함으로써 목욕이나 청소시에 상대적으로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구성은,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개구부를 통하여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면의 면사의 끝부분이 폐곡선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절단되어 있는 면사를 사용하는 장갑몸체와, 상기한 개구부를 제외한 장갑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됨으로써 장갑내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용 봉제사와, 상기한 장갑몸체의 중앙부위에 박음질되어 장갑내부의 공간을 2개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봉제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2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의 구성은, 일면에 개구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개구부(41)를 통하여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면의 면사의 끝부분이 폐곡선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절단되어 있는 면사를 사용하는 장갑몸체(4)와, 상기한 개구부(41)를 제외한 장갑몸체(4)의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됨으로써 장갑내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용 봉제사(5)와, 상기한 장갑몸체(4)의 중앙부위에 박음질되어 장갑내부의 공간을 2개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봉제사(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장갑몸체(4)로서는 천연섬유나 화학섬유 등이 사용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개구부(41)를 통하여 손을 장갑몸체(4)의 내부에 있는 공간으로 집어 넣은 뒤에, 엄지 손가락을 분리용 봉제사(5)의 일측면에 위치시키고, 나머지 손가락들을 분리용 봉제사(5)의 타측면에 위치시킨 뒤에, 분리용 봉제사(5)를 손아귀에 감싸쥐듯이 잡게 되면 장갑의 착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장갑의 착용이 완료되면, 분리용 봉제사(5)는 장갑을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분리용 봉제사(5)의 상하 위치에서는 분리용 봉제사(5)의 좌측과 우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좌우로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한 후에 사용 목적에 따라 목욕이나 청소를 함으로써, 장갑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손이 다치거나 오염되지 않고 보호되도록 하며, 또한 장갑을 목욕타올이나 걸레와 같이 작업도구로서 사용할 수도 있게 되어 편리성이 증대된다.
한편, 천연섬유나 화학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장갑몸체(4)는 외부면의 면사의 끝부분이 폐곡선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절단되어 있어서, 면사가 한가닥씩 나와 서 있어서 부드러운 실오라기 털과 같이 또는 극세사와 같이, 목욕이나 청소시에 세척력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킨다.
상기한 면사는 4 ~5 mm의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끝부분이 다소 뾰족한 모양으로 각을 이루고 있는데, 즉 면사의 끝부분이 뭉치듯 함께 모여서 부드러운 솔로 솔질을 할때 처럼 피부 또는 물체에 밀착하여 부드럽게 문질러 줌으로써 피부 또는 물체에 묻어 있는 노폐물 및 이물질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고안은, 끝부분이 폐곡선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절단되어 있는 면사를 사용함으로써 목욕이나 청소시에 상대적으로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다목적용 장갑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4 : 장갑몸체 2, 5 : 밀봉용 봉제사
3, 6 : 분리용 봉제사 11, 41 : 개구부

Claims (1)

  1.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개구부를 통하여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면의 면사의 끝부분이 폐곡선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절단되어 있는 면사를 사용하는 장갑몸체;
    상기한 개구부를 제외한 장갑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됨으로써 장갑내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용 봉제사;
    상기한 장갑몸체의 중앙부위에 박음질되어 장갑내부의 공간을 2개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봉제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
KR20-2005-0011816U 2005-04-27 2005-04-27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 KR200389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16U KR200389643Y1 (ko) 2005-04-27 2005-04-27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16U KR200389643Y1 (ko) 2005-04-27 2005-04-27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643Y1 true KR200389643Y1 (ko) 2005-07-14

Family

ID=4369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816U KR200389643Y1 (ko) 2005-04-27 2005-04-27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6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5768B2 (en) Absorbent glove
US20050268941A1 (en) Cylindrically configured cleaning cloth
US20030196290A1 (en) Fitted dusting-cleaning glove
KR200389643Y1 (ko) 면사의 끝이 절단된 구조를 갖는 다목적용 장갑
US20170215690A1 (en) Dish cleaning glove
US20040250333A1 (en) Multi-purpose dishwashing glove
JP2003052600A (ja) 洗車用手袋
KR200369385Y1 (ko) 헤어드라이어용 장갑형 면타월
CN201767106U (zh) 一种多功能防水清洗手套
KR200283180Y1 (ko) 수세미가 부착되어진 고무장갑
KR200304345Y1 (ko) 다목적 작업용 장갑
CN210493902U (zh) 一种大面积擦拭和局部擦拭均适用的搓澡巾
KR20110009767U (ko) 식기 세척용 장갑
CN209300322U (zh) 一种擦洗手套
JP2010110583A (ja) 手袋状洗浄器具
JP2006009189A (ja) 三叉手袋
JP3002769U (ja) 洗顔用具
JPH08158122A (ja) 手 袋
JP2000166841A (ja) 袋状清掃具
JP3197250U (ja) ペット用手袋型タオル
KR200289310Y1 (ko) 손가락 삽입형 크린징 타월
KR200361347Y1 (ko) 장갑형 손걸레
KR200424517Y1 (ko) 장갑형 클리너
CN2850330Y (zh) 一种工作手套
KR200401563Y1 (ko) 고무밴드 부착한 주머니 형 수세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