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099Y1 -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099Y1
KR200389099Y1 KR20-2005-0010742U KR20050010742U KR200389099Y1 KR 200389099 Y1 KR200389099 Y1 KR 200389099Y1 KR 20050010742 U KR20050010742 U KR 20050010742U KR 200389099 Y1 KR200389099 Y1 KR 200389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vehicle
simulation
input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훈
김대섭
Original Assignee
김대섭
최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섭, 최병훈 filed Critical 김대섭
Priority to KR20-2005-0010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0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0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4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the view from a vehicle being sim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장에 구축되는 무인운반차 시스템과 동일한 환경을 시뮬레이션 환경으로 제공하여 현장에 구축될 무인운반차 시스템이 현장에 정상적으로 운용될 지의 여부를 미리 테스트하여 그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가 무인운반차의 상태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구동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가 화면상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입력 및 출력부; 상기 사용자가 입력 및 출력부를 통해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을 입력하게 되는 경우 상기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적용시켜 무인운반차가 시뮬레이션 환경속에서 운행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가 상기 입력 및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된 알람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는 알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SIMULATION APPARATUS OF AUTOMATIC GUIDED VEHICLE SYSTEM}
본 고안은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 구축되는 무인운반차 시스템과 동일한 환경을 시뮬레이션 환경으로 제공하여 현장에 구축될 무인운반차 시스템이 현장에 정상적으로 운용될 지의 여부를 미리 테스트하여 그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인 운반차는, 소정의 주행 경로에 따라 화물을 자동 운반하는 차로서, 각 산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된다. 종래의 무인 운반차의 제어 방법은, 복잡한 위치 제어 알고리듬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된다.
즉, 일반적인 무인운반차 시스템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원격지에 있는 무인운반차의 배차상태를 결정하여 제어하고, 무인운반차 상호간에 충돌하지 않도록 주행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입선 및 이선처리를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100)과,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200)과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출력되는 무인운반차 주행을 위한 주행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 송신하고, 후술하는 현장 작업반(300)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인운반차 주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100)으로 송신하는 통신유니트(200)와, 상기 통신유니트(200)에 연결되어 상기 주행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 무선모뎀을 통해 상기 무인운반차(400)로 전송하여 무인운반차(400)가 상기 주행제어데이터에 따라 주행되도록 하고, 상기 무인운반차(400)로부터 무인운반차 주행관련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통신 유니트(200)로 전송하는 현장 제어반(400)과,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선(500)에 공급하는 유도전류 발생기(600)와 충전용 배터리(7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무인운반차(400)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장 제어반(300)으로부터 송신되는 주행제어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410)와, 상기 현장 제어반(300)과 상호 통신을 하면서 상기 현장 제어반(300)으로부터 주행제어데이터를 수신하고, 후술하는 제어부(43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무인운반차 주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현장 제어반(300)으로 전송하는 통신부(420)와, 통신부(42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제어데이터를 상기 저장부(410)에 저장시키는 한편, 상기 주행제어데이터에 응하여 무인운반차 구동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하며, 상기 무인운반차(400)가 주행중에 발생되는 주행관련데이터를 상기 통신부(420)를 통해 상기 현장 제어반(300)으로 송출되도록 무인운반차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430)와, 상기 제어부(430)의 구동제어신호에 응하여 무인운반차(400)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부(4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관리자가 현장에 있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무인운반차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관리화면을 제공한다.
관리자는 상기 관리 화면을 통해 소정 무인운반차의 주행 경로를 설정하고 주행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관리자는 현장에 둘이상의 무인운반차가 있을 경우 2대의 무인운반차가 충돌하지 않도록 주행경로, 주행속도, 입선 및 이선 처리 등을 설정한다.
그러면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상기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무인운반차 주행을 위한 주행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유니트(200)를 통해 현장 제어반(300)으로 전송한다.
현장 제어반(300)은 통신유니트(200)를 통해 주행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 내장된 무선모뎀을 통해 상기 무인운반차(400)로 전송한다.
무인운반차(400)는 통신부(410)를 통해 상기 주행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 제어부(420)로 출력하고, 제어부(420)는 상기 주행제어데이터를 저장부(440)에 저장시키는 한편, 상기 주행제어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인운반차 구동신호를 구동부(430)로 출력한다.
구동부(430)는 상기 구동신호에 응하여 무인운반차가 유도선(500)을 따라 이동하여 소정 물품을 소정 장소에 다른 장소로 운반하게 된다. 이때 유도선(500)는 유도전류 발생기(600)를 통해 발생된 유도전류가 흐르게 되고, 상기 무인운반차(400)는 상기 유도선(500)의 유도전류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무인운반차(400)의 제어부(420)는 무인운반차(400)가 주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주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통신부(410)를 통해 현장 제어반(300)으로 전송하고, 현장 제어반(300)은 통신유니트(200)를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통신유니트(200)를 통해 전송되는 주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DB에 등록시키는 한편, 상기 주행관련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인운반차(400)의 현재 주행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그리하여 2대 이상의 무인운반차(400)가 현장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상호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무인운반차 구동 시스템의 경우 현장에 미리 도입하기 전에 정상적으로 운용될지의 여부를 테스트해야 하는데, 현장에 무인운반차 구동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 그 테스트 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이상이 발생할 경우 문제점을 해결하기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현장에 구축되는 무인운반차 시스템과 동일한 환경을 시뮬레이션 환경으로 제공하여 현장에 구축될 무인운반차 시스템이 현장에 정상적으로 운용될 지의 여부를 미리 테스트하여 그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가 무인운반차의 상태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구동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가 화면상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입력 및 출력부; 상기 사용자가 입력 및 출력부를 통해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을 입력하게 되는 경우 상기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적용시켜 무인운반차가 시뮬레이션 환경속에서 운행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가 상기 입력 및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된 알람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는 알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10)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1)와, 사용자가 무인운반차의 상태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구동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가 화면상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입력 및 출력부(10)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 및 출력부(13)를 통해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을 입력하게 되는 경우 상기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을 상기 저장부(11)에 저장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적용시켜 무인운반차가 시뮬레이션 환경속에서 운행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가 상기 입력 및 출력부(13)를 통해 출력되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15)와, 상기 제어부(15)의 제어에 응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된 알람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는 알람부(17)로 구성된다.
그이외에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10)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칭부(12)와, 초기지령, S/LOCK, 속도A 등을 포함하는 각 기능이 동작되는 경우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발광하는 제2 발광부(18)와, 출발, 정지 등을 포함하는 각 기능이 동작되는 경우 발광하는 제1 발광부(16)와, 전진램프 및 후진램프로 이루어진 램프부(19)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무인운반차의 현재 상황을 입력 및 출력부(13)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제1 발광부(16), 제2 발광부(18) 및 램프부(19)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 및 출력부(13)를 통해 설정할 수 있는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은 운전시작, 운행동작, 운전종료, 전원인가, 수동조작 내지 입선처리 조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입력 및 출력부(13)를 통해 설정되는 구동조건에 응하여, 입선처리, 현재 위치 설정, 주행모드, 유도선 선택주행, 모드 변환 설정, 통신상태, 배터리 과방전 경보음, 주행유도선 및 마크 점검, 빔테스트, 이재신호 입출력, 차호표시 및 변경, 행선지 표시, 현재 BR 중 하나의 기능이 선택되어 시뮬레이션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는 시뮬레이션 운행되고 있는 무인운반차가 범퍼를 감지하거나, 비상정지 PB나, 마크판을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MOTOR-LOCK 되거나, 루트를 이탈한 경우 무인운반차의 속도를 "0"로 되고, 브레이트가 세트되는 동시에 급정지시키고, 사용자가 입력 및 출력부(13)를 통해 급정거한 무인운반차를 이선 시킬 수 있도록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는 배터리의 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낮아지면 무인운반차 운행 패턴을 완료한 후 대기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는 범퍼 감지 후 상기 감지된 범퍼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무인운반차가 자동으로 발진되어 운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무인운반차가 루트를 이탈할 경우 입력 및 출력부(13)를 통해 사용자가 발진 PB를 눌렀는지를 감시하고 있다가 발진 PB를 누른 경우 무인운반차가 재 운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는 무인운반차가 마크판을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 및 출력부(13)를 이용하여 전원을 오프시킨 후 다시 온시키고, 상기 무인운반차를 근접한 스테이션에서 입선처리한 후 운전개시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무인운반차가 재운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5)는 사용자가 입력 및 출력부(13)를 통해 최대 "9"스템까지 연속으로 무인운반차의 구동조건을 입력하여 무인운반차가 운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15)는 사용자가 입력 및 출력부(13)를 통해 스테이션 모드를 선택한 경우 스테이션 번호를 입력하면 무인운반차가 운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5)는 상기 입력 및 출력부(13)를 통해 설정된 무인운반차의 구동조건에 따라 무인운반차를 반복적으로 운행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15)는 시뮬레이션 운행되고 있는 무인운반차가 범퍼를 감지하거나, 비상정지 PB나, 마크판을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MOTOR-LOCK 되거나, 루트를 이탈한 경우 무인운반차의 속도를 "0"로 되고, 브레이트가 세트되는 동시에 급정지시키고, 사용자가 입력 및 출력부(13)를 통해 급정거한 무인운반차를 이선 시킬 수 있도록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한편 알람부(17)를 통해 알람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알람부(17)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신호가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시뮬레이션 장치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는 배터리의 전압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미리 설정 전압보다 낮아지면 무인운반차가 현재 운행하고 있는 패턴을 완료하게 되는 경우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는 범퍼가 감지되어 운행을 멈춘 무인운반차 전면에 놓여있던 범퍼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무인운반차가 자동으로 발진되어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무인운반차가 루트를 이탈할 경우 입력 및 출력부(13)를 통해 사용자가 발진 PB를 누르는 지를 감시하고 있다가, 발진 PB를 누르는 경우 무인운반차가 재 운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는 무인운반차가 마크판을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 및 출력부(13)를 이용하여 전원을 오프시킨 후 다시 온시키고, 상기 무인운반차를 근접한 스테이션에서 입선처리한 후 운전개시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무인운반차가 재 운행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기술된 시뮬레이션 장치(10)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서버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어, 시뮬레이션 과정 중 생성되는 시뮬레이션 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 또는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관리할 뿐만 아니라 분석하여 더 나은 무인운반차 구동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포함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고안은 시스템을 단순화 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통신 시스템의 표준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품 생산 원가를 절감시켜 경쟁력있는 회사로 거듭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납기를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A/S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시뮬레이션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 저장부 12 : 스위칭부
13 : 입력 및 출력부 15 : 제어부
16 : 제1 발광부 17 : 알람부
18 : 제2 발광부 19 : 램프

Claims (9)

  1.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가 무인운반차의 상태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구동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가 화면상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입력 및 출력부;
    상기 사용자가 입력 및 출력부를 통해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을 입력하게 되는 경우 상기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적용시켜 무인운반차가 시뮬레이션 환경속에서 운행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가 상기 입력 및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된 알람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는 알람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및 출력부를 통해 설정할 수 있는 무인운반차 구동조건은,
    운전시작, 운행동작, 운전종료, 전원인가, 수동조작 내지 입선처리 조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및 출력부를 통해 설정되는 구동조건에 응하여, 입선처리, 현재 위치 설정, 주행모드, 유도선 선택주행, 모드 변환 설정, 통신상태, 배터리 과방전 경보음, 주행유도선 및 마크 점검, 빔테스트, 이재신호 입출력, 차호표시 및 변경, 행선지 표시, 현재 BR 중 하나의 기능이 선택되어 시뮬레이션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뮬레이션 운행되고 있는 무인운반차가 범퍼를 감지하거나, 비상정지 {B나, 마크판을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MOTOR-LOCK 되거나, 루트를 이탈한 경우 무인운반차의 속도를 "0"로 되고, 브레이트가 세트되는 동시에 급정지시키고, 사용자가 입력 및 출력부를 통해 급정거한 무인운반차를 이선 시킬 수 있도록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의 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낮아지면 무인운반차 운행 패턴을 완료한 후 대기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범퍼 감지 후 상기 감지된 범퍼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무인운반차가 자동으로 발진되어 운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운반차가 루트를 이탈할 경우 입력 및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발진 PB를 눌렀는지를 감시하고 있다가 발진 PB를 누른 경우 무인운반차가 재 운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인운반차가 마크판을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 및 출력부를 이용하여 전원을 오프시킨 후 다시 온시키고, 상기 무인운반차를 근접한 스테이션에서 입선처리한 후 운전개시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무인운반차가 재운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칭부와,
    각 기능이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발광하는 제1, 2 발광부와,
    전진램프 및 후진램프로 이루어진 램프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KR20-2005-0010742U 2005-04-19 2005-04-19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KR200389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742U KR200389099Y1 (ko) 2005-04-19 2005-04-19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742U KR200389099Y1 (ko) 2005-04-19 2005-04-19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158A Division KR20060110032A (ko) 2005-04-19 2005-04-19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099Y1 true KR200389099Y1 (ko) 2005-07-07

Family

ID=4369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742U KR200389099Y1 (ko) 2005-04-19 2005-04-19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0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721B1 (ko) 2019-12-05 2020-09-24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Amr 공간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ar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3741419A (zh) * 2021-07-26 2021-12-03 魏小兰 Agv作业辅助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721B1 (ko) 2019-12-05 2020-09-24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Amr 공간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ar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3741419A (zh) * 2021-07-26 2021-12-03 魏小兰 Agv作业辅助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81234B (zh) 作业机的远程操作装置
KR20150084984A (ko) 차재기, 차량 관리 시스템, 기록 매체, 및, 차량 관리 방법
WO2013142679A1 (en) Interfaces for setup of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and providing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diagnostic information to a user
KR20100074527A (ko) 시동 오프 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건설기계 원격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100930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machines
CN112947257A (zh) 一种无人驾驶矿车的远程控制装置及方法
KR200389099Y1 (ko)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CN115427279A (zh) 使用车辆控制器控制状态转变的系统和方法
CN112859835B (zh) 应用交管控制装置的交管方法
CN113703447A (zh) 无人驾驶方法及装置、系统、驾驶管理终端、存储介质
KR20060110032A (ko) 무인운반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KR101765940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 시스템
CN111107138A (zh) Vobc的数据下载方法、vobc、下载服务器、设备和介质
CN113246731B (zh) 一种整车下电故障处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US10586403B2 (en) Communication module and occupancy counter
CN202976705U (zh) 公交电子路牌智能控制系统
JP4342740B2 (ja) 電子連動システム
CN113485336B (zh) 一种适用于非公路矿用自卸车的无人驾驶域控制器
KR101248885B1 (ko) 차량의 암전류 절감을 위한 데이터 통합 저장 시스템
KR100213999B1 (ko) 설비제어장치
JP2019147506A (ja) 作業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CN116080553A (zh) 车辆上下电的远程控制方法、车载通讯设备和远程平台
JP2001084036A (ja) 移動車運行制御システムと位置検出方法と動作方法とローミング方法
KR100323073B1 (ko) 홈로리 차량의 원격 제어 방법
KR100349860B1 (ko) 차량용 전원 분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