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940Y1 - 분합문용 바닥문틀 - Google Patents

분합문용 바닥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940Y1
KR200388940Y1 KR20-2005-0009878U KR20050009878U KR200388940Y1 KR 200388940 Y1 KR200388940 Y1 KR 200388940Y1 KR 20050009878 U KR20050009878 U KR 20050009878U KR 200388940 Y1 KR200388940 Y1 KR 200388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flooring material
flooring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식
Original Assignee
김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식 filed Critical 김명식
Priority to KR20-2005-0009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9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합문용 바닥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합문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닥문틀을 바닥재의 하측에서 끼움/설치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서 바닥재와 연결부위가 발생하지 않아 바닥문틀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고 바닥재와의 이색현상도 방지하여 미관을 향상할 수 있는 분합문용 바닥문틀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실내 공간을 구획하도록 미닫이 형태로 겹쳐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문짝(11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며 바닥재(105)의 사이에 설치되는 분합문용 바닥문틀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105)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의 상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일(1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합문용 바닥문틀{Bottom doorframe for Sliding door}
본 고안은 분합문용 바닥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합문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닥문틀을 바닥재의 하측에서 끼움/설치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서 바닥재와 연결부위가 발생하지 않아 바닥문틀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고 바닥재와의 이색현상도 방지하여 미관을 향상할 수 있는 분합문용 바닥문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의 경우 발코니 외측에 발코니 창을 설치하고,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는 분합문을 설치하여 거실과 발코니를 출입하도록 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발코니를 거실로 전용하여 거실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하고자 거실을 확장하는 세대가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거실과 주방의 사이에도 분합문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실내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분합문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분합문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분합문(1)은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설치된 문틀(10)에 다수의 문짝(2)이 미닫이 형태로 겹쳐지게 설치된다.
상기 분합문(1)은 총 6개의 문짝(2)으로 구성되어 문틀(1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그 양측으로 각각 3개씩 설치되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문짝(2)의 하단에는 문틀(10)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호차(3)가 설치되고, 상단에는 문짝(2)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문틀(10)과 요철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문짝(2)의 하단에 결합된 호차(3)가 직선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바닥문틀(11)에는 레일홈(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분합문(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닥문틀(11)은 바닥재(5)와 바닥재(5)의 사이에 별도로 분리 시공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서, 바닥재(5)와 바닥문틀(11)의 표면이 일치하지 않고 불규칙하게 되는데, 즉, 도 2에서와 같이 바닥재(5)와 바닥문틀(11)의 높낮이가 안맞는 곳에서는 턱이 생기게 되고 들뜨는 현상까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바닥재(5)와 바닥문틀(11) 간에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작업 여건상 동일색상 처리가 불가능하여 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바닥문틀의 구조를 바닥재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면에 돌출형성되어 바닥재에 끼움설치되는 레일로 구성함으로서, 바닥재가 베이스플레이트 전체를 누르는 구조로서 표면일치는 물론 바닥재와 연결부위가 발생하지 않아 바닥문틀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고 바닥재와의 이색현상도 방지하여 미관을 향상할 수 있는 분합문용 바닥문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내 공간을 구획하도록 미닫이 형태로 겹쳐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문짝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며 바닥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분합문용 바닥문틀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합문(100)은 거실과 발코니 또는 거실과 주방 사이에 문틀(120)을 설치하고 상기 문틀(120)에 다수의 문짝(110)을 미닫이 형태로 겹쳐지게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분합문(100)은 거실과 발코니 또는 거실과 주방을 구획하는 용도 외에도 다양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분합문(100)은 총 6개의 문짝(110)이 미닫이 형태로 겹쳐지게 구성되어 문틀(12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그 양측으로 각각 3개씩 설치되어 양측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문짝(11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문짝(110)은 문틀(12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문틀(120)은 바닥문틀(120a)에 복수개의 레일(12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단문틀(120b)에는 상기 레일(122)과 대응하는 돌출부(12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문틀(120)에 결합되는 다수의 문짝(110)은 하단에 상기 레일(122)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호차(112)가 결합되고 상단에는 상기 돌출부(125)에 삽입되어 문짝(110)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는 삽입홈(111)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특징부인 상기 문틀(120)의 바닥문틀(120a)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바닥문틀(120a)은 실내의 바닥에 시공된 바닥재(105)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의 상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일(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122)은 상기 바닥재(105)에 관통공(105a)을 형성하여 이 관통공(105a)에 삽입되도록 끼움/설치되며 그 상측면에는 함몰된 레일홈(1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홈(123)은 90°의 "V"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90°외에도 더욱 다양한 각도로 형성할 수 도 있고, 또한 "V"자 뿐만아니라 "U"자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일홈(123)이 "V"자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호차(112)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V"자 형태의 양 경사면이 호차(112)를 양쪽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호차(112)의 흔들림도 방지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직선 슬라이딩 운동을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22)의 높이는 상기 바닥재(105)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여 각 상측표면이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닥문틀(120a)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며, 알루미늄 외에도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바닥문틀(120a)은 베이스플레이트(121)의 상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레일(122)을 돌출 형성하여 구성하고, 이때 상기 바닥재(105)에는 상기 레일(122)의 위치에 대응하여 관통공(105a)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바닥문틀(120a)의 베이스플레이트(121)는 상기 바닥재(105)의 하측에 설치하고 상기 레일(122)은 바닥재(105)의 관통공(105a)에 끼움/설치하는 것으로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닥문틀(120a)은 상기 바닥재(105)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 전체를 누르고 있는 구조로서 표면일치는 물론 바닥재(105)와 연결부위가 발생하지 않아 바닥문틀(120a)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레일(122) 부분을 제외하고는 바닥문틀(120a) 전체를 바닥재(105)가 덮고 있으므로 이색현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상기 바닥문틀의 구조를 바닥재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면에 돌출형성되어 바닥재에 관통공에 끼움설치되는 레일로 구성함으로서, 표면일치 및 바닥재와 연결부위가 발생하지 않아 바닥문틀이 들뜨는 현상이 방지되고 바닥재와의 이색현상도 방지되어 미관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복합문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복합문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 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복합문 105: 바닥재
105a: 관통공 110: 문짝
111: 삽입홈 112: 호차
120: 문틀 120a: 바닥문틀
120b: 상단문틀 121: 베이스플레이트
122: 레일 123: 레일홈
125: 돌출부

Claims (3)

  1. 실내 공간을 구획하도록 미닫이 형태로 겹쳐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문짝(11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며 바닥재(105)의 사이에 설치되는 분합문용 바닥문틀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105)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의 상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일(1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합문용 바닥문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22)은 상기 바닥재(105)에 관통공(105a)을 형성하여 이 관통공(105a)에 삽입/설치되며, 상측면에는 함몰된 레일홈(1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합문용 바닥문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123)은 "V"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합문용 바닥문틀.
KR20-2005-0009878U 2005-04-11 2005-04-11 분합문용 바닥문틀 KR200388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878U KR200388940Y1 (ko) 2005-04-11 2005-04-11 분합문용 바닥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878U KR200388940Y1 (ko) 2005-04-11 2005-04-11 분합문용 바닥문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940Y1 true KR200388940Y1 (ko) 2005-07-07

Family

ID=43690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878U KR200388940Y1 (ko) 2005-04-11 2005-04-11 분합문용 바닥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9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441208U (zh) 一体式内置隐形纱窗推拉门窗
KR101303277B1 (ko) 미닫이 창호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0388940Y1 (ko) 분합문용 바닥문틀
KR200422339Y1 (ko)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JP3153747U (ja) 引戸端面のクッション材取り付け部構造
CN106968554A (zh) 多扇无框节能提拉窗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JP5734716B2 (ja) 浴室建具
JP4908320B2 (ja) 面材支持構造および建具
KR101032732B1 (ko) 방범 창호프레임
KR200368145Y1 (ko) 분합문의 설치구조
JP5097509B2 (ja) 折畳戸のロック装置
KR20200137415A (ko) 창호용 틈새 방지구
JP6831212B2 (ja) 自動ドア
CN208330050U (zh) 一种推拉窗假中梃的上下封堵件
JP3628921B2 (ja) 引戸装置
JP2006070579A5 (ko)
JP3634821B2 (ja) スライドレール式上吊り引戸の吊設構造
KR200368144Y1 (ko) 분합문의 연결 가이드
KR20220052788A (ko) 미닫이도어용 바닥레일 구조
JP3220910U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連動構造
FI128008B (fi) Ikkunajärjestelmä
CN207194158U (zh) 一种箱式活动板房及其吊顶板
KR200163589Y1 (ko) 미닫이창의다중차단구조
KR20100108766A (ko) 창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