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019Y1 -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019Y1
KR200388019Y1 KR20-2005-0004434U KR20050004434U KR200388019Y1 KR 200388019 Y1 KR200388019 Y1 KR 200388019Y1 KR 20050004434 U KR20050004434 U KR 20050004434U KR 200388019 Y1 KR200388019 Y1 KR 200388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idge
girder
expansion join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김재학
김한종
이재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철도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철도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철도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5-0004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0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교량에 설치된 거더와 거더가 서로 연접하여 형성된 교량 거더 유간의 양측 거더 상부에 교량방호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가로질러 설치하여 철도교량의 신축을 흡수하며 교량상부인 철도도상에 발생되는 우수등을 배수로를 통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립식 교량 신축이음장치 설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립식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교량거더 유간의 양측에 마주보게 설치된 거더 상부의 일측단부에서 일정높이로 설치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복부에 앵커볼트를 설치하여 교량방호콘크리트내에 매입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 지지체의 상부에 형성된 홈 또는 상부 지지체를 감싸도록 하는 중앙부에 상부로 돌출되는 상부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출부의 양측에 연장형성된 날개부에 설치된 쐐기 또는 날개부가 설치된 상부 방수판을 상기 지지부의 상부 지지체에 삽입조립 설치한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인 것이다.
상기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를 철도교량에 설치하는 방법은 교각위에 마주보게 설치되어 형성된 교량거더 유간의 거더 상부에 지지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거푸집 내측면에 일정거리 높이에 지지부를 설치하면서 상기 지지부의 복부에 앵커볼트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거푸집과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홈내에 상부덮개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지지부가 설치된 높이까지 타설하며 상기 지지부에서 방호벽까지 일정한 하향기울기가 되도록 타설양생하도록 하고, 상기 하향으로 기울기가 되도록 타설한 콘크리트 표면에 배수로 방수공사를 한 다음 그 위에 지지부가 설치된 방향이 하향경사가 되도록 기울기방향을 설치하여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방호 콘크리트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거푸집과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덮개 거푸집과 지지거푸집을 함께 제거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 지지체에 상부 방수판을 조립설치하여 철도교량에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Fabricated expansion joint for bridge for rail road}
본 고안은 철도교량을 설치하기 위하여 교각 위에 거더를 연접하여 설치하여 형성된 교량거더 유간을 가로질러 설치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립식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교량거더 유간의 양측에 마주보게 설치된 거더 상부의 일측단부에서 일정높이로 설치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복부에 앵커볼트를 설치하여 교량방호콘크리트내에 매입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 지지체의 상부에 형성된 홈내에 상부 방수판의 양측날개부의 하부에 형성된 쐐기를 삽입하여 조립설치한 것이다.
상기 교량신축이음장치를 철도교량에 설치하는 과정은 상기 거더의 상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로 거더의 상부에 타설되는 교량방호 콘크리트를 거더와 거더의 유간을 경계로 설치하면서 교각위에 마주보게 설치되어 형성된 교량거더 유간의 양측에 설치된 거더측단부 상부에 지지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거푸집 내측면에 일정거리 높이에 지지부를 설치하면서 상기 지지부의 복부에 앵커부를 설치하면서 전단 지지너트가 설치된 앵커볼트를 교량 거더 유간의 외측에 설치하고, 상기 지지거푸집과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홈내에 상부덮개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지지부의 상부까지만 타설하되 상기 지지부에서 방호벽까지 일정한 하향기울기가 되도록 타설양생하도록 하고, 상기 하향으로 기울기가 되도록 타설한 콘크리트 표면에 배수로 방수를 한 다음 그 위에 지지부가 설치된 방향으로 하향경사가 되도록 기울기방향을 설치하여 상기 배수로 방수의 상부에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교량방호 콘크리트를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거푸집과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덮개 거푸집과 지지거푸집을 함께 제거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지지체에 상부 방수판의 양측에 연장설치된 날개부의 하부에 설치된 쐐기를 결합설치하는 과정을 거쳐 철도교량에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이다.
본 고안은 교량 거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도궤도를 부설하는 철도교량의 교량거더 유간에 적용하기 위한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의 신축량의 흡수 및 교량 상부에 발생되는 우수등을 원활히 배수함과 동시에 상기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을 최소화하여 최대한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게 하면서 보수작업시에도 간편하게 보수를 할 수 있도록 각각의 부품을 간단히 조립하면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에는 교량을 설치하기 위하여 교각에 연접하여 각각 설치된 거더와의 유간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철도궤도를 부설하기 위하여 거더 상판에 또 다른 콘크리크층을 타설하도록 하므로서 상기 설치시 별도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신축이음장치에 유입되는 등의 문제점과 상기 신축장치가 외부의 온도등의 차이로 인하여 파손되어 교체하여야 하는 필요가 있을 경우 거더 상판에 타설된 별도의 콘크리트 층을 파쇄하여 작업공간을 만들은 후에 거더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를 제거하기 위하여 거더를 파쇄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에 거더의 유간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고 또 다시 별도의 콘크리트 층을 타설하도록 하는 작업이 매우번거로우면서 또 한 교량에서 작업이 이루어져 빈번하게 운행하는 철도에 의한 안전사고등의 위험성이 있는 매우 비경제적이면서 작업이 번거로우면서 보수에 소요되는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상존하여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교량을 이루고 있는 거더가 아닌 거더의 상판에 별도로 타설되는 교량방호 콘크리트에 설치하도록 하면서 교량거더 유간을 이루고 있는 양측의 거더의 상부에 타설되는 교량 방호 콘크리트에 지지부와 이들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상부 방수판의 양측에 연장설치된 날개부의 하부에 형성된 쐐기를 지지부의 상부에 간단히 삽입하면 설치가 완료되고 추후에 보수등의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삽입된 상부 방수판을 제거하고 다른 상부 방수판을 삽입하도록 하면 보수작업이 간단히 완료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설치 및 보수작업이 월등히 개선된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교량 거더의 상부에 궤도 콘크리트를 설치하는 궤도 콘크리트 철도교량에 적용하기 위한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립식 교량 신축이음장치(30)는 교량거더 유간(18)의 양측에 마주보게 설치된 거더(11) 상부의 일측단부에 일정높이로 설치된 지지부(50)와 상기 지지부의 복부(56)에 일측에 전단지지너트(62)가 설치된 앵커볼트(63)를 삽입설치하되 상기 전단지지너트(62)가 부착된 앵커볼트(63)는 교량방호콘크리트(15)내에 매입되어 상기 지지부(50)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50)의 상부 지지체(54)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51)에 상부 방수판(40)의 양측 날개부(42)의 하부에 형성된 쐐기(43)를 삽입하여 조립설치한 것이다.
상기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교각(12)위에 마주보게 거더(11)를 설치하여 형성된 교량거더 유간(18)의 양측에 설치된 거더(11) 상부에 지지거푸집(100)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거푸집(100) 내측면에 일정거리 높이에 지지부(50)를 설치하면서 상기 지지부(50)의 복부(56)에 앵커볼트(63)를 설치하면서 앵커볼트(63)의 일측부에 설치된 전단 지지너트(62)가 지지거푸집(100)의 내측에 설치하고,
상기 지지거푸집(100)과 지지부(50)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51)에 상부덮개 거푸집(90)을 설치하고, 상기 거더(11)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지지부(50)의 상부까지만 타설하면서 상기 지지부에서 방호벽까지 일정한 하향기울기가 되도록 타설양생하도록 하고,
상기 하향으로 기울기가 되도록 타설한 콘크리트 표면에 배수로 방수(21)를 하면서 지지부(50)가 설치된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방향(17)이 되도록 상기 배수로 방수(21)의 상부에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교량방호 콘크리트(15)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거푸집(100)과 지지부(5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덮개 거푸집(90)과 지지거푸집(100)을 함께 제거하고,
상기 지지부(50)의 상부 지지체(54)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51)에 상부 방수판(40)의 양측에 연장설치된 날개부(42)의 하부에 설치된 쐐기(43)를 삽입하는 과정을 거쳐 철도교량(10)에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30)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식교량신축이음장치가 철도교량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교량 거더(11)의 상부에 거더(11)를 보호하면서 레일(19)을 부설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교량 방호 콘크리트(15)를 거더(11)위에 일정한 두께로 설치하되 교량의 양측 폭단부에 형성된 방호벽(14)에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경사도를 갖는 기울기 방향(17)을 형성하고, 교각의 상부에 거더와 거더가 연접하여 설치된 교량 거더유간부(18)에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30)를 설치하여 교량상부에서 발생되는 우수등을 교량 거더 유간부(18)가 아닌 별도의 배수관을 통하여 배수되도록 하여 교량 거더 유간(18)에 각각 연접하여 설치된 거더의 하부에 설치된 교좌장치에 우수가 유입되어 교좌장치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교량의 신축을 흡수하고 교량에 차량이 운행하면서 발생되는 소음등을 감소시켜주고 신축이음장치의 보수가 용이하도록 설치 및 보수가 아주 간편한 조립식의 교량신축이음장치(30)이다.
상기 장치는 교량의 상부를 보호하는 교량방호 콘크리트 뿐만아니라 교량의 거더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바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가 철도교량에 설치된 것을 평면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거더 상부의 폭방향의 양측부에 방호벽(14)을 설치하고 그 안쪽으로 일정한 기울기 방향으로 타설된 교량방호 콘크리트(15)를 타설하고 그 위에 레일(19)을 설치한 궤도 콘크리트(20)를 타설하고 거더와 거더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교량거더 유간(18)이 형성된 부분에는 교량 상부에 발생된 우수등을 일정한 장소로 배수하기 위하여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30)를 교량의 폭방향으로 설치하여 우수를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하면서 교량의 신축을 흡수하도록 하고 소음의 크기를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햇빛 및 온도의 차이에 쉽게 열화되지 않고 소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연질의 네오플랜 스트립 실(Neoprene strip seal)로 이루어진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30)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의 상부 방수판과 지지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교량거더 유간(18)의 양측에 마주보게 설치된 거더(11) 상부의 일측단부에 일정높이로 설치된 지지부(50)와 상기 지지부(50)의 복부(56)에 일측에 전단지지너트(62)가 설치된 앵커볼트(63)를 삽입설치하되 상기 전단지지너트(62)가 부착된 앵커볼트(63)는 교량방호콘크리트(15)내에 매입되어 상기 지지부(50)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50)의 상부 지지체(54)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51)에 상부 방수판(40)의 양측 날개부(42)의 하부에 형성된 쐐기(43)를 삽입하여 조립설치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50)는 전체적으로 Y자형상이며 하부 지지체(55)는 거더의 일정한 높이에 설치된 교량방호 콘크리트(15)의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하부 지지체(55) 위에 폭이 하부 지지체(55)보다 좁은 복부(56)가 형성되되 복부(56)의 중앙에 통공을 형성하여 통공에 일측단에 전단지지너트(62)가 설치된 앵커볼트(63)를 관통설치하고 타측단에는 복부(56)를 사이에 두고 너트(61)로 고정설치되도록 하며, 복부(56) 위쪽에 양쪽으로 벌어진 가지부(53)를 형성하여 가지부(53)의 내측에 홈부(51)가 형성되도록 하되 가지부(53)의 상단부에는 홈부(51)내로 절곡된 절곡부(52)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부 방수판(40)은 중앙부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41)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연장되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날개부(42)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날개부(42)의 끝단부의 하부에 돌출부(44)가 다수개 형성된 쐐기(43)가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5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지지체(54)의 상부에 일정한 형태의 홈부(51)를 형성하되 홈부(51)를 형성하는 가지부(53)의 상부에 절곡부(52)가 홈부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쐐기(43)가 홈부(51)내에 삽입될 때 상기 절곡부(52)가 쐐기(43)에 형성된 돌출부(44)에 끼어져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되 홈부(51)내에 삽입될 때에는 위쪽이 넓고 아래가 좁은 삼각형의 형상으로 설치된 돌출부(44)가 좁은 아래쪽에서부터 넓은 위쪽으로 절곡부(52)가 접촉되면서 손쉽게 홈부(51)로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날개부(42)의 하부에 형성된 쐐기(43)는 날개부(42)의 끝단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위치한 부분의 하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방수판(41)에 발생된 우수가 홈부(51)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 방수판(41)은 중앙부가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하고 양측에 연장되어 날개부(42)가 형성되도록 하여 교량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교량거더 유간부(18)에 설치되어 교량에 발생된 우수가 배수될 때 상기 상부 방수판(40)의 중앙부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상부 돌출부(41)에 의하여 우수가 양쪽으로 분리배수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교량의 전체길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구분하여 설치된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30)에 의하여 일정한 구간으로 구분되어 우수등이 분리배수되도록 하므로서 장마기간과 같은 시기에 일시에 많은 수량의 우수가 교량의 한쪽으로 집중적으로 몰려 고속으로 달리는 열차의 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면서 상부 방수판(40)의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의 상부 방수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부 방수판(40)은 중앙이 하향으로 굽어지게 하향돌출부(47)가 형성되도록 하여 하향으로 굽어진 부분이 자연스럽게 배수로(48)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수구 구멍(49)이 형성되어 배수구 구멍에 배수관(57)을 연결설치하여 우수가 배수되도록 하며, 그 양측에 연장되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날개부(42)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날개부(42)의 끝단부의 하부에 돌출부(44)가 다수개 형성된 쐐기(43)가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5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지지체(54)의 상부에 일정한 형태의 홈부(51)를 형성하되 홈부(51)를 형성하는 가지부(53)의 상부에 절곡부(52)가 홈부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쐐기(43)가 홈부(51)내에 삽입될 때 상기 절곡부(52)가 쐐기(43)에 형성된 돌출부(44)에 끼어져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되 홈부(51)내에 삽입될 때에는 위쪽이 넓고 아래가 좁은 삼각형의 형상으로 설치된 돌출부(44)가 좁은 아래쪽에서부터 넓은 위쪽으로 절곡부(52)가 접촉되면서 손쉽게 홈부(51)로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날개부(42)의 하부에 형성된 쐐기(43)는 날개부(42)의 끝단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위치한 부분의 하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방수판(41)에 발생된 우수가 홈부(51)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6(a)(b)(c)(d)(e)는 본 고안의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를 철도교량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교각(12)위에 마주보게 거더(11)를 설치하여 형성된 교량거더 유간(18)의 양측에 설치된 거더 상부에 지지거푸집(100)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거푸집(100) 내측면에 일정거리 높이에 지지부(50)를 설치하면서 상기 지지부(50)의 복부(56)에 앵커볼트(63)를 설치하면서 앵커볼트의 일측부에 설치된 전단 지지너트(62)가 지지거푸집(100)의 내측에 설치하고,
상기 지지거푸집(100)과 지지부(50)의 상부에 형성된 홈내에 상부덮개 거푸집(90)을 설치하고, 상기 거더(11)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지지부의 상부까지만 타설하면서 상기 지지부에서 방호벽(14)까지 일정한 하향기울기가 되도록 타설양생하도록 하고,
상기 하향으로 기울기가 되도록 타설한 콘크리트 표면에 배수로 방수(21)를 하면서 지지부(50)가 설치된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 경사가 되도록 상기 배수로 방수(21)의 상부에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교량방호 콘크리트(15)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거푸집(100)과 지지부(5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덮개 거푸집(90)과 지지거푸집(100)을 함께 제거하고,
상기 지지부(50)의 상부 지지체(54)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51)내에 상부 방수판(40)의 양측에 연장설치된 날개부(42)의 하부에 설치된 쐐기(43)를 삽입하는 과정을 거쳐 철도교량(10)에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30)이다.
상기 상부덮개 거푸집(90)을 설치하는 것은 상기 지지부가 거더에서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게 되어 이러한 높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지거푸집의 상부와 지지부의 상부가 상기 상부 덮개 거푸집에 의하여 지지되어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로 방수 및 교량방호 콘크리트(15)를 타설양생할 때 콘크리트 또는 기타의 물질이 상기 지지부의 홈부내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교량방호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더 상부에 일정한 두께로 교량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즉 방호벽측으로 향하는 기울기를 형성한 콘크리트 층을 먼저형성하고, 그 다음에 배수로 방수를 실시한 후에 그 위에 일정한 두게를 갖는 콘크리트 층을 이번에는 상기 콘크리트 층에 형성된 기울기 방향과 반대방향이 되도록 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방호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배수로 방수를 하는 것은 교량방호 콘크리트 표면에 발생된 우수등이 거더까지 누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배수로 방수층 위에 도 다른 콘크리트 층을 타설하도록 하는 것은 배수로 방수층을 보호하면서 교량 상부에 발생된 우수가 교량의 중앙부로 향하는 기울기 방향에따라 중앙으로 집수되어 배수되도록 교량방호 콘크리트표면에 일정한 기울기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지지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은 지지부를 일정한 높이로 설치하기 위함이면서 교량방호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교량거더 유간내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교량거더 유간에 설치된 지지거푸집을 제거하고 지지부 위에 상부 방수판을 설치할 때 상기 제거된 지지거푸집의 공간만큼 작업공간을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보수작업시 보수작업에 필요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은 교량상판을 보호하면서 철로를 부설하기 위한 교량방호 콘크리트 층에 설치하도록 하면서 교량거더 유간을 이루고 있는 양측의 거더의 상부에 타설되는 교량 방호 콘크리트에 지지부와 이들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상부 방수판의 양측에 연장설치된 날개부의 하부에 형성된 쐐기 또는 지지판을 지지부의 상부에 간단히 삽입하면 설치가 완료되고 추후에 보수등의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삽입된 상부 방수판을 제거하고 다른 상부 방수판을 삽입하도록 하면 보수작업이 간단히 완료되는 기술로서 종래기술인 자갈궤도용 신축이음장치에` 비하여 약 50%의 원가절가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기존의 기타 콘크리트 궤도용 신축이음장치에 의할 경우에 비하여 별도의 배수장치 불필요하며 네오플랜 스트립실로 이루어진 상부 방수판의 교체가 가능한 조립식으로 이루어진 신축이음장치로서 설치비 및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이면서 실용성이 뛰어난 장치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식교량신축이음장치가 철도교량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가 철도교량에 설치된 것을 평면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의 상부 방수판과 지지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의 상부 방수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a)(b)(c)(d)(e)는 본 고안의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를 철도교량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철도교량 11 : 거더
12 : 교각 13 : 교량 상판
14 : 방호벽 15 : 교량방호 콘크리트
16 : 교량방호 콘크리트 표면 17 : 기울기 방향
18 : 교량거더 유간 19 : 레일
20 : 궤도 콘크리트 21 : 배수로방수
30 : 교량신축이음장치
40 : 상부 방수판 41 : 상부 돌출부
42 : 날개부 43 : 쐐기
44 : 돌출부
46 : 하향절곡날개부 47 : 하향 돌출부
48 : 배수로 49 : 배수구멍
50 : 지지부 51 : 홈부
52 : 절곡부 53 : 가지부
54 : 상부 지지체 55 : 하부지지체
56 : 복부 57 : 배수관
60 : 앵커부 61 : 너트
62 : 전단지지너트 63 : 앵커볼트
90 : 상부 덮개거푸집 91 : 돌출부
100 : 지지거푸집 101 : 지지거푸집 홈부

Claims (5)

  1. 교량거더 유간(18)의 양측에 마주보게 설치된 거더(11) 상부의 일측단부에 일정높이로 설치된 지지부(50)와 상기 지지부의 복부(56)에 일측에 전단지지너트(62)가 설치된 앵커볼트(63)를 삽입설치하되 상기 전단지지너트(62)가 부착된 앵커볼트(63)는 교량방호콘크리트(15)내에 매입되어 상기 지지부(50)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50)의 상부 지지체(54)와 상부 방수판(40)이 상호 조립결합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전체적으로 Y자형상이며 하부 지지체(55) 위에 폭이 하부 지지체(55)보다 좁은 복부(56)가 형성되되 복부(56)의 중앙에 통공을 형성하여 통공에 일측단에 전단지지너트(62)가 설치된 앵커볼트(63)를 관통설치하고 복부(56) 위쪽에 양쪽으로 벌어진 가지부(53)를 형성하여 가지부(53)의 내측에 홈부(51)가 형성되도록 하되 가지부(53)의 상단부에는 홈부(51)내로 절곡된 절곡부(52)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방수판은 중앙부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41)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연장되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날개부(42)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날개부(42)의 끝단부의 하부에 돌출부(44)가 다수개 형성된 쐐기(43)가 형성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방수판은 중앙이 하향으로 굽어지게 하향돌출부(47)가 형성되도록 하고, 하향으로 굽어진 부분을 배수로(48)로 활용하며, 상기 배수로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수구 구멍(49)을 형성하여 배수구 구멍에 배수관(57)을 연결설치하여 우수가 배수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 방수판의 양측에 연장되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날개부(42)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날개부(42)의 끝단부의 하부에 돌출부(44)가 다수개 형성된 쐐기(43)가 형성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
  5. 삭제
KR20-2005-0004434U 2005-02-18 2005-02-18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 KR200388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434U KR200388019Y1 (ko) 2005-02-18 2005-02-18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434U KR200388019Y1 (ko) 2005-02-18 2005-02-18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621A Division KR100659374B1 (ko) 2005-02-18 2005-02-18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019Y1 true KR200388019Y1 (ko) 2005-06-30

Family

ID=4368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434U KR200388019Y1 (ko) 2005-02-18 2005-02-18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0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938B1 (ko) * 2020-04-29 2020-11-05 (주) 아이씨엔지니어링 철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938B1 (ko) * 2020-04-29 2020-11-05 (주) 아이씨엔지니어링 철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5148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lab trackway
JP7017880B2 (ja) 道路橋の防水排水構造
US4905896A (en) Railroad roadway for high speed rail-mounted vehicles
AU2016231474A1 (en) Rail Track Sleeper Support
JP6347088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
CA1302143C (en) Expansion joint assembly and method
KR100659374B1 (ko)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
KR200388019Y1 (ko) 철도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교량신축이음장치
KR101020414B1 (ko)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JP6810472B2 (ja) 橋梁用排水桝蓋の改修工法
KR20120003355U (ko)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
KR102321972B1 (ko)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HRP921414A2 (en) Surface gauge construction
JP4020918B2 (ja) 桁橋の架橋構造
JP2011021402A (ja) 簡易排水部材、簡易排水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45123Y1 (ko) 누수 방지를 위한 신축이음
KR102186237B1 (ko)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KR100729842B1 (ko)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및 구조
EP0444236A1 (en) Expansion joint between two adjacent elements of a road bridge
JPH09273116A (ja) 鋼道路橋の伸縮継手支持体、鋼道路橋の伸縮継手取付け部の構造及び鋼道路橋における伸縮継手の施工方法
JP3678952B2 (ja) 格子状床版を備えた橋梁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RU156213U1 (ru) Деформационный шов автодорожного моста
CN110350464B (zh) 一种在路基上布设电缆槽的方法
CN218147780U (zh) 一种道路桥梁伸缩装置密封防护结构
RU2043458C1 (ru) Мостовое сооружение, ограждение насыпи ездового полотна мостового сооружения, сопряжение мостового сооружения с насыпью подхода и арматурный каркас балки мостового сооруж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