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835Y1 -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조정링크 - Google Patents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조정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835Y1
KR200386835Y1 KR20-2005-0007608U KR20050007608U KR200386835Y1 KR 200386835 Y1 KR200386835 Y1 KR 200386835Y1 KR 20050007608 U KR20050007608 U KR 20050007608U KR 200386835 Y1 KR200386835 Y1 KR 200386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fine adjustment
adjustment screw
thermal overload
overload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재곤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7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8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1/00Electrothermal relays
    • H01H61/0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1/00Electrothermal relays
    • H01H61/02Electrothermal relays wherein the thermally-sensitive member is heated indirectly, e.g. resistively, inductively

Landscapes

  • Breaker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의 과부하에 따른 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보호 목적으로 사용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조정링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조정링크와 미세조정 스크류와의 강제압입에 따른 수직체결시에 생기는 각도변형 문제를 해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정링크는 상기 미세조정 스크류가 삽입되는 조정링크의 상단부에 삽입부가 체결부보다 직경이 큰 미세조정 스크류의 가이드 부분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조정링크{A Adjusting Link of Thermal Overload Relay}
본 고안은 모터의 과부하에 따른 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보호 목적으로 사용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조정링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조정링크와 미세조정 스크류와의 강제압입에 따른 수직체결시에 생기는 각도변형 문제를 해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는 전동기와 외부전원사이에 설치되어 정상전류상태에서는 외부전원을 전동기에 연결하여 주고 과전류가 흐를 때에는 외부전원을 차단시켜 전동기의 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기기로서, 바이메탈의 온도특성을 이용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보통 과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의 발열에 따라 기구적으로 작동하여 접점을 트립시키는 개폐기구부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조정 링크(11)에 수직으로 체결되는 미세조정 스크류(12)체결 구조로 인하여 미세조정 스크류 체결시 치수 불량으로 인한 헐거움 및 강제 압입시 각도 변형이 발생되어 조정링크(11)의 크렉에 의한 파손 및 조정다이얼(6) 접촉부의 마모와 또한 미세조정 스크류(12) 체결을 위한 지그(JIG) 작업시 수직을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으로 인하여 수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조정링크(11)의 미세조정스크류(12) 체결구조를 보완하여 스크류 강제 압입시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조정링크(11)에 미세조정 스크류의 원활한 수직 삽입을 위해 가이드 형상을 추가하고 미세조정 스크류의 길이를 조정하여 종래 기술의 스크류 강제 압입시 나타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서 미세조정 스크류 부분을 본 고안에 따른 캠 구조의 미세 조정 스크류부분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와 같다.
즉, 열선부에는 단자대(21)와 단자대(21)와 용접되는 주 바이메탈(2)이 있고 가열체(1)는 주 바이메탈(2)을 감고 있다. 이때 가열체(1)와 주 바이메탈(2)를 절연시켜 주기 위해 절연 튜브(20)가 사이에 위치해 있다. 주 바이메탈(2)을 휘감은 후에 가열체(1)의 끝단은 연결대(8)와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열선부를 구성하고 있다.
주 바이메탈(2)에 감긴 가열체(1)에 과전류가 통하면 가열체(1)의 발열에 의해 주 바이메탈(2)이 만곡하여 시프터(3)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시프터(3)의 이동에 의해 그 선단부가 온도 보상 바이메탈(5)의 자유단을 눌러서 온도 보상 바이메탈(5)과 연결된 석방 레버(7)를 조정 링크(11)의 원형 돌기(11a)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석방 레버(7)의 회전에 의해 석방 레버(7)가 반전 기구(13)의 중앙 부분을 반전하는 위치까지 누르면 반전 기구(13)의 좌측 부분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통상 폐쇄 고정 접점(18)과 통상 폐쇄 가동 접점(17)은 개로 하게 되고 개로 상태에 위치한 통상 개방 고정 접점(19)이 폐로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동작 전류를 변화시키고자 할 때에는 동작 전류의 변화에 수반하는 가열체(1)의 발열과 주 바이메탈(2)의 만곡량이 변하게 되므로 반전 위치를 바꿀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때 조정 다이얼(6)을 돌려 조정 다이얼(6)의 캠 곡선의 형상을 따라 이와 접촉하고 있는 미세 조정 스크류(12)로 고정되어 있는 조정 링크(11)는 조정다이얼의 회전방향에 따라 보조 케이스(4)의 원형 돌기(4a)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석방 레버(7)의 회전 중심점인 돌기(11a)의 위치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시프터의 돌기부(3a)와 온도보상 바이메탈(5)하단부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므로 동작전류가 바뀌게 된다.
한편, 미세조정 스크류는 조정링크의 회전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동작전류에 대해 계전기가 정확히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또한 반전 기구(13)의 위치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때에는 리셋 버튼(10)을 사용한다. 리셋 버튼(10)을 누르면 리셋 버튼(10)은 아래로 이동하여 리셋 버튼(10)이 통상 개방 고정 접점(19)을 아래로 밀어내고 반전 기구(13)의 좌측 부분이 아래로 힘을 받아 압축 스프링(15)과 반전 기구(13)의 힘의 반전이 일어나 반전 기구(13)는 다시 보조 홀더(16)와 함께 아래로 이동하여 보조 홀더(16)가 통상 폐쇄 가동 접점(17)을 아래로 누름으로써 통상 폐쇄 가동 접점(17)이 통상 폐쇄 고정 접점(18)과 접촉시켜 단자(14b)와 단자(14c)를 통전시킨다.
한편, 도 4는 종전의 조정링크를 나타낸 것으로 상단부의 미세조정 스크류와의 체결부분의 직경은 2.3mm 이며 길이 부분은 약 1.9mm로서 미세조정 스크류가 삽입시에 수직을 가이드하느 구조가 없이 스크류가 체결되므로 강제 압입시 각도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조정링크의 미세조정 스크류와의 체결부를 나타낸 것으로, 미세조정 스크류(12)의 길이가 종전의 1.9mm에서 약 2.4mm로 늘어났다 .
도 6은 상기 미세조정스크류가 삽입되는 조정링크의 체결부(11p)의 상세도로서 종전의 조정링크 길이부분(A)는 1.4mm이며 새로 추가된 계단 형태의 부분(B)의 길이는 약 1mm로서 전체로는 2.4mm가 된다.
또한, 미세조정 스크류(12)가 삽입되는 부분은 종전의 조정링크부분(C)의 직경은 약 2.3mm이며 추가된 계단 형태의 부분(D)의 직경은 약 2.4mm이다.
그리하여, 추가된 부분의 전체 세로 부분의 길이는 약 4mm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미세조정스크류가 조정링크에 삽입될 때 직경이 큰 B부분에 우선 미세조정 스크류를 걸쳐 수직을 유지한 다음 드라이버로 직경이 작은 C부분에 삽입함으로써 각도변형 없이 수직으로 삽입고정할 수가 있다.
이때, B부분에 미세조정 스크류의 탭부분이 걸쳐 조정링크에 미세조정 스크류가 고정될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조정링크에 가이드 부분을 추가하고 미세조정 스크류의 길이를 조정하여 조정다이얼과의 캠 구조에 따른 동작 기능은 유지하면서 종래 미세조정 스크류의 강제 압입시 발생할 수 있는 각도변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열동형 과부하계전기의 구성도
도 2는 조정링크에 수직으로 체결되는 종래의 미세조정스크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미세조정스크류 및 리셋버튼이 구성되어 있는 열동형 과부하계전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4 종래의 조정링크 및 미세조정 스크류와의 체결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정링크 및 미세조정 스크류와의 체결부 단면 및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11p 부분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열체 2:주 바이메탈 20: 절연튜브
3: 시프터 3a: 돌기부 4:보조케이스
4a:보조케이스의 원형돌기 6: 조정다이얼
7: 석방레버 8: 연결대
9:케이스 10:리셋버튼
11:조정링크 11a:조정링크의 원형돌기
13:반전기구 14b,14c: 단자
15:압축코일스프링 16:보조홀더
16a:보조홀더의 홈부분 16b:누름부
17:통상폐쇄가동접점 18:통상폐쇄고정접점
19:통상개방고정접점 11p: 조정링크와 미세조정스크류와 체결부
12:미세조정 스크류 5:온도보상바이메탈
21:단자대 23:판스프링

Claims (3)

  1. 가열체와 주 바이메탈 및 시프터가 내장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케이스와,
    상기 보조케이스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정링크와,
    상기 조정링크의 돌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프터와 연동하는 온도보상 바이메탈이 고정되어 시프터의 이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석방레버와,
    상기 석방레버의 회전운동에 따라 반전하는 반전기구와,
    상기 조정링크에 설치되어 조정링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조정다이얼 및 미세 조정 스크류를 포함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조정링크는 상기 미세조정 스크류가 삽입되는 조정링크의 상단부에 삽입부가 체결부보다 직경이 큰 미세조정 스크류의 가이드 부분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정 스크류의 탭 부분이 상기 미세 조정 스크류의 가이드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링크의 상단부의 길이는 2.4mm인데, 1.4mm부분은 미세조정스크류의 본체가 1mm부분은 미세조정 스크류의 탭 부분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20-2005-0007608U 2005-03-21 2005-03-21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조정링크 KR200386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08U KR200386835Y1 (ko) 2005-03-21 2005-03-21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조정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08U KR200386835Y1 (ko) 2005-03-21 2005-03-21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조정링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835Y1 true KR200386835Y1 (ko) 2005-06-16

Family

ID=4368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608U KR200386835Y1 (ko) 2005-03-21 2005-03-21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조정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8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13074B (zh) 线路保护开关
JPS60131728A (ja) 遮断器
KR200386836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JP2001160346A (ja) 熱動形過負荷継電器
JPH069432Y2 (ja) 熱動式過電流継電器
KR200386835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조정링크
US20100245020A1 (en) Thermal overload relay
WO2014080558A1 (ja) 熱動形過負荷継電器
KR101052715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200392659Y1 (ko) 반전기구 변형 방지 장치를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
KR200386837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WO2003083887A1 (fr) Relais thermique de surintensite
US2352517A (en) Thermal circuit breaker
KR100359843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히터 어셈블리
KR100400779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구조
KR200241479Y1 (ko) 열동형과부하계전기의조정다이얼장치
US2088443A (en) Thermal switch
KR200218834Y1 (ko) 결상 보호용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시프터와 레버 구조
KR200345665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JPS6339880Y2 (ko)
KR200224246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리셋장치
KR200219343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시프터_
JP2002237249A (ja) 熱動形過負荷継電器
KR200219342Y1 (ko) 결상 보호형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860003242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자동트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