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242Y1 -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자동트립 장치 - Google Patents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자동트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242Y1
KR860003242Y1 KR2019840009127U KR840009127U KR860003242Y1 KR 860003242 Y1 KR860003242 Y1 KR 860003242Y1 KR 2019840009127 U KR2019840009127 U KR 2019840009127U KR 840009127 U KR840009127 U KR 840009127U KR 860003242 Y1 KR860003242 Y1 KR 860003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leaf spring
contact
relay
tri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9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101U (ko
Inventor
지희철
Original Assignee
금성계전주식회사
최선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계전주식회사, 최선래 filed Critical 금성계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9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3242Y1/ko
Publication of KR860004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1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3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2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자동트립 장치
제1도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도면으로, 일부를 절개하여 그 내부를 보인 측면도.
제2도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주요 구성부품만을 상세히 보인 도면.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고안 트립장치의 구성과 작동 상태로 상세히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동형과부하계전기 2 : 외부전원의 입력측 접속단자
3 : 바이메탈 4 : 평판
5 : 도전성 코일 6 : 자동 조작기구
7 : 손잡이부 8 : 나사부
8' : 상단부분 9 : 돌출부
11 : 중간부 12 : 하단부
13 : 트립기구 15 : 스프링
16 : 보상판 17 : 레버
18 : 고정접점 19 : 출력단자
20 : 가동접점 21 : 연장부
22 : 제 1판스프링 24 : 제 2판스프링
25 : 스프링 26 : 수동조작기구
27 : 수직이동편 28 : 아암
29 : 접촉부 30 : 캠식 접점 스위치
31 : 자동 트립장치
본 고안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자동 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열효과에 의하여 동작하며, 실폰형과 바이메탈형으로 대별되는데, 여기서는 바이메탈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관한 것에대하여 기술된다.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바이메탈의 만곡에 의하여 접점을 개폐시키도록 온도 변화에 응동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과부하 통전시 바이메탈이 만곡 됨에 따라 접점을 개방하게 되며, 그후 정상 전원으로 복구된 상태에서 다시 계전기를 작동시키려할 때에는 그에 설치된 트립장치를 수동조작하여야 원래의 상태인 작동상태로 접점이 폐쇄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장치는 그의 정상작동을 하도록 접점을 수동조작으로 폐쇄시키거나 자동상태로 접점이 폐쇄되도록 나사로 밀어주는 형태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트립장치는 일일이 수동 조작을 하므로 번거러 웠을 뿐만 아니라, 트립장치가 자동상태로 되도록 나사를 정확한 위치로 조정하기 어렵고 작동 소자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접점을 파괴할 우려가 많았던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 트립장치에 대하여 캠식 접점스위치를 설치하므로 종래 장치에서의 결점을 해결하고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가 통전이후 개방되어 있는 접점을 자동적으로 폐쇄시켜 정상적인 작동을 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접점에 대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하면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외부에서 캠식 접점 스위치를 조정하므로 접점의 자동 개폐를 하도록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자동트립장치를 제공하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작동을 자동적으로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하므로 열동형 과부하의 본래 목적인 전력 설비의 안전성을 도모하면서 전력 설비의 비작동 상태를 자동적으로 작동 상태로 되게하여 시간과 노력을 절약 하도록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자동 트립장치는 종래 트립장치의 접점 구성 수동조작기구와 자동조작기구를 그대로 채용하고, 캠식 접점 스위치를 수동 조작기구의 하부위치에 설치하되, 접점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한 위치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점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자동적으로 폐쇄하도록 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고하면,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1)는 그 내부로 자동트립장치(31)가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제2도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1)의 주요 구성부품을 상세히 보인 도면이다.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1)는 외부전원의 접속단자(2)와 일치되게 그 내부로 열도전 코일을 감은 바이메탈(5)이 고정되어 있고, 바이메탈(3)의 하측에는 바이메탈(3)에 응동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평판(4)이 설치된다. 트립장치의 자동조작기구(6)가 손잡이부(6)와 나사부(8)로 구성되어 있으머, 그 하부로는 나사의 힘을 직접적으로 전달받는 상단부분(8'), 열동형 과부하에 계전기의 상부에 고정되는 돌출부(9), 중심부에는 장방형의 구멍이 천설되어 있는 중간부(11)와 상기 구멍이 연장되어 있고 수평으로 굴곡된 하단부(12)로 이루어진 트립기구(13)가 설치된다. 또한 트립 자동조작기구(6)는 일단을 동체에 고정시킨 스프링(15)의 타단부에 그의 중간부가 고정된 보상판(16)을 가지는데, 이 보상판(16)은 트립기구(13)의 하단부(12)구멍내로 삽입되어 보유지지 되면서 그 상단부가 이후 상세히 기술되는 레버(17)의 상부에 형성한 홈내로 삽입되고, 그 하단부는 평판(4)의 홈에 삽입되어 보유지지 된다.
한편 계단형의 고정접점(18)은 그 상부가 열동형 계전기의 외부 전원의 출력단자(19)에 납땜등에 의하여 고정되고 그 하부는 레버(17)의 상측부가 좌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면서, 이후 기술되는 가동접점(20)과 접촉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버(17)는 그의 하단부에 구멍이 천설되어 있어 계전기 동체 하부에 일체로 형성한 돌기부에 레버의 구멍이 끼워맞춤되므로, 이 돌기부를 주축으로 회동되며, 또한 레버(17)의 중간부에는 도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연장하여 있는 연장부(21)가 있고 이 연장부(21)의 상부로는 이후 기술되는 판스프링의 걸림편이 형성된다. 가동 접점(20)을 가지고 있는 제1의 판스프링(22)은 그 하단부가 리벳등에 의하여 계전기(1)하단에 있는 출력단자(23)에 고정되며, 그의 중심부에는 장방형의 구멍이 천설된다. 그에 따라 제1판스프링(22)의 구멍폭보다 다소 작은 폭을 가진 제2의 판스프링(24)도 그의 하단부가 제1판스프링(22)의 하단 고정위치에 고정되면서 제1판스프링(22)의 구멍내에 있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25)은 제1의 판스프링(22)의 구멍내에 설치되도록 그의 상부가 제1판스프링(22)의 구멍 상부에 고정되고 그 하부가 제2판스프링(24) 상단에 고정된다.
수동조작기구(26)는 외부에서 압압가능한 수직 이동편(27)과 일측이 계전기의 상측에 고정되면서, 타측이 수직이동편(27)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면서 제1판스프링의 가동접점(20)을 이동시켜 고정접점(18)에 접촉되게 하는 접촉부(29)를 가진 아암(28)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트립장치(31)로서 구성시킨 캠식 접점스위치(30)는 수동조작 기구의 바로 아래에서 가동접점(20)과 일직선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여기서의 캠식 접점스위치(30)는 그의 회전축이 편심으로 된 편심축을 가진다. 그러므로 편심축이 도면에서 보아 좌측에 있을때는 캠식 접점 스위치가 가동접점(20)을 밀게되며, 편심축이 우측에 있게될 때는 가동접점(20)을 고정접점(18)으로 접촉되게 하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가 전력설비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시킨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1)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외부전원이 단자(2)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점을 폐쇄시켜, 즉 본 고안에서 처럼 가동 접점(20)을 고정접점(18)에 접촉시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1)가 정상 작동을 하는데 있어,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수동 조작기구(1)의 수직 이동편(27)을 눌러 아암(28)의 접촉부(29)가 가동접점(20)을 고정 접점(18)에 접촉 시키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전력설비 등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과전류가 도통될 경우 바이메탈(3)이 외부접속 단자에 접속시킨 열도전 코일에 의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만곡 되면서, 바이메탈(3)하측에 있는 평판(4)을 화살표 B 방향으로 만곡 되면서, 바이메탈(3)하측에 있는 평판(4)을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평판(4)은 그의 우측단의 요홈 내에서 보유지지 되고 있는 보상판(16)의 하단부를 화살표 B 방향으로 당기므로, 보상판(16)은 그의 중심부를 스프링(15)과 협조하여 지지하고 있는 트립기구(13)의 하단부(12)를 기점으로 보상판(16)의 상부가 레버(17)의 상단부를 화살표 A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그러므로 레버(17)에서 연장된 중간부(21)도 화살표 A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중간부(21)의 걸림편에 걸려 있는 제2판스프링(24)이 당겨지고, 그후 제2판스프링(24)의 상부에 고정한 스프링(25)은 그의 상부를 고정한 제1판스프링(22)에 대하여 제2판스프링(24)이 당겨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1판스프링을 화살표 B 방향으로 밀어 내게 된다. 결국 제1판스프링이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그에 고정시킨 가동접점(20)이 고정 접점(18)으로부터 이격되어 전원의 도전이 단락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1)는 제 3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자동트립 장치(31)에는 캠식접점스위치(30)가 설치되어 있고, 제3a도에 도시와 같이 캠식 접점 스위치(30)의 편심축이 좌측으로 있는 경우, 과부하시 가동 접점(20)이 고정접점(1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바이메탈(3)이 원위치로 돌아 오게되면 자동적으로 가동 접점(20)을 고정 접점(18)에 접촉시킨다.
제3b도의 도면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1)의 자동 트립장치(31)가 수동 조작 하도록 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의 캠식 접점 스위치(30)는 그의 편심축이 우측에 있게 되어 가동접점(20)이 고정접점(18)에서 이격되고 바이메탈(3)이 원위치로 복귀되어도 가동 접점(20)를 이격시킨 상태로 유지 되게 한다. 따라서 전력 설비에 전원을 재공급하기 위하여서는 가동 접점(20)이 다시 고정 접점(18)에 접촉되어야 하는데 본고안에서는 제3a도와 같이 캠식 접점 스위치 30의 편심축을 좌측에 있게 하도록 외부에서 나사로 캠식 접점 스위치를 돌리거나, 제3b도의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수동 조작기구(26)의 수직이동편(27)을 압압하므로, 아암(25)의 접촉부(29)가 가동 접점(20)을 고정 접점(18)에 접촉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시킨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수동 조작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캠식 접점 스위치(30)를 조정하므로 가동접점(20)이 고정접점(18)에 자동적으로 접촉되게 한다.

Claims (1)

  1. 바이메탈을 외부 전원의 접속 단자에 접속시키고, 평판을 바이메탈의 만곡에 따라 응동하도록 하면서 평판의 하단을 보유하게 하며, 자동 조작 기구를 손잡이부와 나사부로 구성시키면서 자동 조작 기구 아래에는 나사부의 힘을 직접 전달받는 상단 부분과, 계전기의 상부에 고정되는 돌출부와 중심부에는 장방형의 구멍을 천설한 중간부와 보상판의 중간을 보유 지지하는 하단부를 가진 트립기구가 설치되고, 레버를 보상판에 의하여 회동하도록 그 상부에 요홈을 형성하면서, 전원 출력단자로 구성시킨 외부 접속단자에는 고정접점을 설치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자동트립 장치에 있어서,
    레버의 중간부에 형성한 연장부(21)에는 걸림편을 형성하여, 외부)전원의 출력접속 단자(23)에 일측을 고정한 제2판스프링(24)이 그의 구멍내에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게 하고, 제2판스프링(24)과 동일한 위치에 하단이 고정된 제1판스프링(22)에는 장방형의 구멍을 천설하여 제2판스프링이 그와 함께동일 선상에 고정되게 하면서, 제2판스프링(24)의 상부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제1판스프링(22)의 구멍 상부에 고정되게 스프링(25)을 설치하는 동시에 그의 상부에는 가동 접점(20)을 갖게하고, 편심축을 가진 캠식접점스위치(30)를 수동 조작기구의 바로 아래에서 가동 접점(20)과 일직선상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한 자동 트립장치.
KR2019840009127U 1984-09-18 1984-09-18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자동트립 장치 KR860003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127U KR860003242Y1 (ko) 1984-09-18 1984-09-18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자동트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127U KR860003242Y1 (ko) 1984-09-18 1984-09-18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자동트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101U KR860004101U (ko) 1986-04-25
KR860003242Y1 true KR860003242Y1 (ko) 1986-11-14

Family

ID=7016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9127U KR860003242Y1 (ko) 1984-09-18 1984-09-18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자동트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32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101U (ko) 198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472955A (en) Excess current responsive switch
US2908786A (en) Overload relay switch with ambient temperature compensation
CN1031434C (zh) 断路开关
KR860003242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자동트립 장치
US3451016A (en) Pushbutton-actuated overload circuit breaker
GB765276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tomatic electric circuit breakers
US4642598A (en) Adjusting device for thermal overload relay
US4868529A (en) Circuit breaker armature latch with control leg
US3152232A (en) Circuit breaker having bimetal rigidly secured to cradle
US2352517A (en) Thermal circuit breaker
US2958749A (en) Electrical circuit breakers
US2126412A (en) Circuit breaker
EP0354191A2 (en) A door lock for a washing machine or drier
US2884499A (en) Contactor
US3324429A (en) Pushbutton-controlled overload circuit breaker
KR100400779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구조
KR0129937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이동판과 보상 바이메탈 사이의 간격 조절장치
US1893568A (en) Switch for electric heaters
JPS6339880Y2 (ko)
KR890001159Y1 (ko) 과부하 계전기의 결상 감지용 링크 기구
US3417358A (en) Ambient temperature compensated overload relay
US2866035A (en) Thermally operated electric switching mechanisms
JPH0222921Y2 (ko)
JPS5936826Y2 (ja) 回路しや断器
KR200345665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