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659Y1 - 반전기구 변형 방지 장치를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 - Google Patents

반전기구 변형 방지 장치를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659Y1
KR200392659Y1 KR20-2005-0013212U KR20050013212U KR200392659Y1 KR 200392659 Y1 KR200392659 Y1 KR 200392659Y1 KR 20050013212 U KR20050013212 U KR 20050013212U KR 200392659 Y1 KR200392659 Y1 KR 200392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lever
thermal overload
overload relay
case
sh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3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6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1/00Electrothermal relays
    • H01H61/0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1/00Electrothermal relays
    • H01H61/02Electrothermal relays wherein the thermally-sensitive member is heated indirectly, e.g. resistively, inductively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동형 과부하계전기의 반전기구가 동작시에 과부하 및 낙하충격에 의하여 석방레버가 반전기구의 중앙부분을 무리하게 눌러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상기 목적으로 본 고안의 구성은 가열체와 주 바이메탈 및 시프터가 내장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케이스와, 상기 보조케이스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정링크와, 상기 조정링크의 돌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프터와 연동하는 온도보상 바이메탈이 고정되어 시프터의 이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석방레버와, 상기 석방레버의 회전운동에 따라 반전하는 반전기구와, 상기 조정링크에 설치되어 조정링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조정다이얼 및 미세 조정 스크류를 포함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케이스에 구속부를 추가하여 상기 반전기구의 중앙부분이 상기 석방레버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눌림시 일정한도 이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전기구 변형 방지 장치를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Thermal Overload Relay with Reversing mechanism for Deformation Prevention Thereof}
본 고안은 열동형과부하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열동형 과부하계전기의 반전기구가 동작시에 과부하 및 낙하충격에 의하여 석방레버가 반전기구의 중앙부분을 무리하게 눌러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는 전동기와 외부전원사이에 설치되어 정상전류상태에서는 외부전원을 전동기에 연결하여 주고 과전류가 흐를 때에는 외부전원을 차단시켜 전동기의 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기기로서, 바이메탈의 온도특성을 이용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보통 과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의 발열에 따라 기구적으로 작동하여 접점을 트립시키는 개폐기구부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계전기의 단면을 나타내며, 도 2는 도 1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열동형 과부하계전기의 열선부에는 단자대(21)와 단자대(21)와 용접되는 주 바이메탈(2)이 있고 가열체(1)는 주 바이메탈(2)을 감고 있다. 이때 가열체(1)와 주 바이메탈(2)를 절연시켜 주기 위해 절연 튜브(20)가 사이에 위치해 있다. 주 바이메탈(2)을 휘감은 후에 가열체(1)의 끝단은 연결대(8)와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열선부를 구성하고 있다.
주 바이메탈(2)에 감긴 가열체(1)에 과전류가 통하면 가열체(1)의 발열에 의해 주 바이메탈(2)이 만곡하여 시프터(3)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시프터(3)의 이동에 의해 그 선단부가 온도 보상 바이메탈(5)의 자유단을 눌러서 온도 보상 바이메탈(5)과 연결된 석방 레버(7)를 조정 링크(11)의 원형 돌기(11a)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석방 레버(7)의 회전에 의해 석방 레버(7)가 반전 기구(13)의 중앙 부분을 반전하는 위치까지 누르면 반전 기구(13)의 좌측 부분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통상 폐쇄 고정 접점(18)과 통상 폐쇄 가동 접점(17)은 개로 하게 되고 개로 상태에 위치한 통상 개방 고정 접점(19)이 폐로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동작 전류를 변화시키고자 할 때에는 동작 전류의 변화에 수반하는 가열체(1)의 발열과 주 바이메탈(2)의 만곡량이 변하게 되므로 반전 위치를 바꿀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때 조정 다이얼(6)을 돌려 조정 다이얼(6)의 캠 곡선의 형상을 따라 이와 접촉하고 있는 미세 조정 스크류(12)로 고정되어 있는 조정 링크(11)는 조정다이얼의 회전방향에 따라 보조 케이스(4)의 원형 돌기(4a)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석방 레버(7)의 회전 중심점인 돌기(11a)의 위치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시프터의 돌기부(3a)와 온도보상 바이메탈(5)하단부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므로 동작전류가 바뀌게 된다.
한편, 미세조정 스크류는 조정링크의 회전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동작전류에 대해 계전기가 정확히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또한 반전 기구(13)의 위치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때에는 리셋 버튼(10)을 사용한다. 리셋 버튼(10)을 누르면 리셋 버튼(10)은 아래로 이동하여 리셋 버튼(10)이 통상 개방 고정 접점(19)을 아래로 밀어내고 반전 기구(13)의 좌측 부분이 아래로 힘을 받아 압축 스프링(15)과 반전 기구(13)의 힘의 반전이 일어나 반전 기구(13)는 다시 보조 홀더(16)와 함께 아래로 이동하여 보조 홀더(16)가 통상 폐쇄 가동 접점(17)을 아래로 누름으로써 통상 폐쇄 가동 접점(17)이 통상 폐쇄 고정 접점(18)과 접촉시켜 단자(14b)와 단자(14c)를 통전시킨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도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작동중에 낙하충격에 의하여 반전기구의 중앙부가 석방레버의 동작방향으로의 무리한 힘을 받아 반전기구의 중앙박판 센터부에서 수직방향으로 1.5mm이상 눌림시 영구변형을 일으켜 반전기구(13)의 위치를 원래위치로 복귀시키고자 리셋버튼(10)을 눌러도 반전기구(13)가 작동되지 않아 초기 세팅 상태로 설정할 수 없는 문제와 반전기구(13)의 변형으로 반전동작시 재현성이 없어 과전류트립 특성에 대한 초기 설정된 품질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실제 반전기구의 열동형 과부하계전기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a는 열동형 과부하계전기의 뒤면 보조케이스를 개방한 상태을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도 4a의 정면도로서 보조케이스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낙하충격시 석방레바가 무리하게 반전기구를 눌러 반전기구의 중앙부분에 석방레바 누룸 방향으로의 충격을 받게 되어 영구변형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구속부(8a)가 설치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의 보조케이스(8)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상기 구속부가 설치된 케이스의 사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동형 과부하계전기의 동작시에 석방 레버(7)는 조정 링크(11)의 원형 돌기(11a)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석방 레버(7)의 회전에 의해 석방 레버(7)가 반전 기구(13)의 중앙 부분을 반전하는 위치까지 누르면 반전 기구(13)의 좌측 부분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반전이 완료된 이후에도 반전기구(13)의 중앙박판 센터부를 석방레바가 계속해서 누룸으로서 수직방향 1.5mm위치를 지나면서부터는 반전기구 중앙부가 영구변형을 일으키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본 고안에서는 수직방향 1.1mm위치에 구속부(8a)을 추가하여 반전기구 중앙부가 더 이상 변형을 일으키는 위치까지 내려가는 것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반전기구 중앙부가 영구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보조카바(8)에 구속형상(8a)을 추가하여 낙하충격에 의해 석방레바(7)가 무리하게 반전기구(13)를 눌러 반전기구(13)가 영구변형되는 문제를 개선하여 반전기구(13)의 위치를 원래위치로 복귀시키는 리셋기능에 대한 품질개선과 반전기구(13)의 반복동작시 재현성을 확보하여 과전류 트립 특성을 초기설정 상태로 유지하는 품질개선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계전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제 반전기구가 설치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의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a는 열동형과부하계전기의 보조케이스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도 4a의 정면도 및 보조케이스의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의 반전기구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구속부가 설치된 보조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보조케이스의 사양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구속부가 설치되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열체 2:주 바이메탈 20: 절연튜브
3: 시프터 3a: 돌기부 4:보조케이스
4a:보조케이스의 원형돌기 6: 조정다이얼
7: 석방레버 8a: 구속부
9:케이스 10:리셋버튼
11:조정링크 11a:조정링크의 원형돌기
13:반전기구 14b,14c: 단자
15:압축코일스프링 16:보조홀더
16a:보조홀더의 홈부분 16b:누름부
17:통상폐쇄가동접점 18:통상폐쇄고정접점
19:통상개방고정접점 12:미세조정 스크류
5:온도보상바이메탈 21:단자대
23:판스프링 30: 석방레버 회전지지점

Claims (2)

  1. 가열체와 주 바이메탈 및 시프터가 내장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케이스와,
    상기 보조케이스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정링크와,
    상기 조정링크의 돌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프터와 연동하는 온도보상 바이메탈이 고정되어 시프터의 이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석방레버와,
    상기 석방레버의 회전운동에 따라 반전하는 반전기구와,
    상기 조정링크에 설치되어 조정링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조정다이얼 및 미세 조정 스크류를 포함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케이스에 구속부를 추가하여 상기 반전기구의 중앙부분이 상기 석방레버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눌림시 일정한도 이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동형 과부하계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케이스의 구속부는 상기 반전기구의 중앙부분이 중앙박판 센터부에서 1.1mm이상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과부하계전기.
KR20-2005-0013212U 2005-05-11 2005-05-11 반전기구 변형 방지 장치를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 KR200392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212U KR200392659Y1 (ko) 2005-05-11 2005-05-11 반전기구 변형 방지 장치를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212U KR200392659Y1 (ko) 2005-05-11 2005-05-11 반전기구 변형 방지 장치를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659Y1 true KR200392659Y1 (ko) 2005-08-17

Family

ID=4369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212U KR200392659Y1 (ko) 2005-05-11 2005-05-11 반전기구 변형 방지 장치를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6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075B1 (ko) * 2012-02-21 2018-04-02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캠휠을 구비하는 트립 디바이스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075B1 (ko) * 2012-02-21 2018-04-02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캠휠을 구비하는 트립 디바이스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13074B (zh) 线路保护开关
JP2001160346A (ja) 熱動形過負荷継電器
JP4706772B2 (ja) 熱動形過負荷継電器
KR200392659Y1 (ko) 반전기구 변형 방지 장치를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
KR200386836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WO2014080558A1 (ja) 熱動形過負荷継電器
JP4906881B2 (ja) 熱動形過負荷継電器
KR101052715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WO2003083887A1 (fr) Relais thermique de surintensite
KR100937234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200386835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조정링크
KR200411508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200218834Y1 (ko) 결상 보호용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시프터와 레버 구조
KR100400779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구조
KR200241479Y1 (ko) 열동형과부하계전기의조정다이얼장치
KR100359843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히터 어셈블리
KR200226336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장치
KR100268014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JPH0222921Y2 (ko)
JPS6339880Y2 (ko)
KR200386837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200224246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리셋장치
JP2002237249A (ja) 熱動形過負荷継電器
JP4722088B2 (ja) 熱動式過電流継電器
KR890005149Y1 (ko)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