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515Y1 - 복합 테이블 - Google Patents

복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515Y1
KR200386515Y1 KR20-2005-0007567U KR20050007567U KR200386515Y1 KR 200386515 Y1 KR200386515 Y1 KR 200386515Y1 KR 20050007567 U KR20050007567 U KR 20050007567U KR 200386515 Y1 KR200386515 Y1 KR 200386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rame
upper frame
fitting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남
Original Assignee
김호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남 filed Critical 김호남
Priority to KR20-2005-0007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5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5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측으로 바퀴(102)가 결합된 하부 프레임(100)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부에 결합되는 제 1 지지판(104)과, 상기 제 1 지지판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 부재(106)와,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지지선반(108)과, 상기 하부 프레임(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150)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 2 지지판(110)과, 상기 제 2 지지판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가이드 부재(112)와,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선반(114)과, 상기 상부 프레임(150)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제 3 지지선반(116)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후면측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틀체(118)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틀체(118)는 인접하는 모서리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끼움봉부재(120)를 상기 상부 프레임(150)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공(124)에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 끼움봉부재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22)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26)을 관통하여 볼트(128)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사각틀체(118)가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복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테이블{A complex table}
본 고안은 사무기기 복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합기, 프린터, 주변 기기 등의 다양한 사무기기를 올려 놓고 사용하기 위한 사무기기 복합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팩스 등의 비교적 소형의 사무기기와 주변 기기 등의 비교적 대형의 사무기기를 함께 올려 놓고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사무기기용 테이블은, 소형 사무기기에 맞는 사이즈로 형성하면 대형의 사무기기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고 대형 사무기기에 맞는 사이즈로 형성하면 소형의 사무기기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다.
또한 주변 기기가 흩어져 사용되는 것으로 인한 업무의 불편, 많은 공간이 소요되는 단점 등 비용과 업무 능률에서의 비효율성을 유발하였다.
본 고안의 경우 테이블 최하단의 문서세단기용 선반으로서 슬라이드 선반을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선반을 앞으로 뽑아내고 사용하며, 그 위에 대형의 문서세단기 등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최하단의 문서 세단기용 선반에 올려 놓는 물체의 높이가 매우 높은 경우 이에 맞추어 공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공간을 조정가능하게 함으로써 문서세단기 등의 규격에 제한 없이 대형의 사무기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스테플러가 고정결합되어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중간 제 2 지지선반에는 라미네이팅 및 소모품 적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테이블 후면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틀체가 끼움에 의해 고정되는 다단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메모판 및 각종 보드를 필요에 따라 그 높이를 자유자재로 용이하게 조정가능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하측으로 바퀴(102)가 결합된 하부 프레임(100)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부에 결합되는 제 1 지지판(104)과, 상기 제 1 지지판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 부재(106)와,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지지선반(108)과, 상기 하부 프레임(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150)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 2 지지판(110)과, 상기 제 2 지지판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가이드 부재(112)와,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선반(114)과, 상기 상부 프레임(150)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제 3 지지선반(116)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후면측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틀체(118)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틀체(118)는 인접하는 모서리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끼움봉부재(120)를 상기 상부 프레임(150)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공(124)에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 끼움봉부재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22)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26)을 관통하여 볼트(128)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사각틀체(118)가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사무기기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에는 고정식 스테플러(160)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사각틀체(118)의 최상단에는 양측으로 끼움공(130)이 형성되어, ㄷ자형 틀체(132)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끼움부(134)를 상기 끼움공(130)에 끼워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상기 상부 프레임(100)의 하단에는 복수의 볼트공(154)가 형성된 복수의 수직끼움봉(1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150) 상단에는 복수의 볼트공(103)이 형성된 복수의 수직봉(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수직끼움봉(152)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직봉(101)에 끼워 볼트(156)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결합높이를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사시도 및 도 2의 분해 결합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무기기용 테이블은 강체로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100)과 상부 프레임(150)의 결합체에 복수의 사무기기 지지용 지지선반이 결합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100)의 하측으로는 위치 이동용 바퀴(102)가 결합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의 저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판(104)가 결합되어 있고 제 1 지지판의 양측 사이드에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 부재(106)이 결합되어 있다. 제 1 가이드부재 내측으로는 가이드레일(10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제 1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 1 지지선반(108)이 결합된다. 제 1 지지선반은 필요에 따라 전면으로 뽑아낼 수도 있고 밀어 넣을 수도 있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지지선반에 올려 놓는 사무용 기기가 전후로 기다란 사이즈를 갖는 경우 예를 들면 대형의 문서 세단기 같은 경우에는 제 1 지지선반(108)을 전면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충분한 전후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하부 프레임(100)의 상단에는 상부 프레임(150)이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의 하단에는 제 2 지지판(110)이 결합되고 상기 제 2 지지판(110)의 양측 사이드로는 제 2 가이드부재(112)가 결합된다. 제 2 가이드부재의 내측으로는 가이드레일(113)이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제 2 가이드부재(112)에는 제 2 지지선반(11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제 2 지지선반을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한편, 상부 프레임(150)의 최상단에는 제 3 지지선반(116)이 결합되어 있고, 상부 프레임의 후면측에는 사각틀체(118)가 수직으로 결합 설치된다. 사각틀체(118)는 인접하는 모서리에 한 쌍의 끼움봉부재(120)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프레임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공(124)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구체적인 상세도면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즉, 끼움봉부재(120)를 끼움공(124)에 넣고 최대한 삽입하면 끼움공부재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22)과 프레임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26)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를 관통하여 볼트(128)를 결합시킴으로써, 사각틀체(118)가 상부 프레임(150)에 고정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각틀체는 메모판, 사무계획표 등의 필요로 하는 보드를 수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지지구조의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사각틀체의 높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간단히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즉, 상부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사각틀체(118)의 최상단에 양측으로 끼움공(130)이 형성되어 있어서, ㄷ자형 틀체(132)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끼움부(134)를 상기 끼움공(130)에 끼워 결합 가능하게 형성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ㄷ자형 틀체(132)를 추가적으로 사각틀체에 끼움 결합하여 전체 높이를 간단히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물론 ㄷ자형 틀체(132)의 최상단에도 양측으로 끼움공을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인 ㄷ자형 틀체의 결합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의 일측에는 고정식 스테플러(160)를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문서를 편리하게 철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다. 고정식 스테플러는 연결부재(162)를 사용하여 상부 프레임의 일측에 용접결합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결합된다.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은 상호간의 결합높이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결합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를 통해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100)의 하단에는 복수의 볼트공(154)가 형성된 복수의 수직끼움봉(152)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150) 상단에는 복수의 볼트공(103)이 형성된 복수의 수직봉(101)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끼움봉과 수직봉은 상호 미리 설정된 사이즈를 형성되어 있어서 끼움 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의 수직끼움봉(152)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직봉(101)에 끼워 볼트(156)로 체결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결합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 1 지지선반(108) 상에 놓여지는 사무기기가 큰 높이를 갖는 경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결합높이를 높게 조절함으로써 높이가 높은 사무기기도 충분히 수용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경우 테이블 최하단의 문서세단기용 선반으로서 슬라이드 선반을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선반을 앞으로 뽑아내고 그 위에 대형의 문서세단기, 주변 기기 등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형의 사무기기에 적응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최하단의 문서 세단기용 선반에 올려 놓는 물체의 높이가 매우 높은 경우 이에 맞추어 공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공간을 조정가능하게 함으로써 문서세단기 등의 대형의 사무기기에 적응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스테플러가 고정결합되어 있어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사무기기의 후면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틀체가 끼움에 의해 고정되는 다단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그 높이를 자유자재로 용이하게 조정가능하게 함으로써 테이블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메모판 등에 있어 사이즈에 구애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태로 사용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사시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분해 결합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부분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관한 설명>
100 : 하부 프레임 101 : 수직봉
102 : 바퀴 104 : 제 1 지지판
106 : 제 1 가이드 부재 108 : 제 1 지지선반
110 : 제 2 지지판 112 : 제 2 가이드 부재
114 : 제 2 지지선반 116 : 제 3 지지선반
118 : 사각틀체 120 : 끼움봉부재
122 : 볼트 결합공 126 : 볼트 결합공
150 : 하부 프레임 152 : 수직끼움봉
160 : 고정식 스테플러

Claims (4)

  1. 복합 테이블에 있어서,
    하측으로 바퀴(102)가 결합된 하부 프레임(100)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부에 결합되는 제 1 지지판(104)과,
    상기 제 1 지지판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 부재(106)와,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지지선반(108)과,
    상기 하부 프레임(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150)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 2 지지판(110)과,
    상기 제 2 지지판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가이드 부재(112)와,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선반(114)과,
    상기 상부 프레임(150)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제 3 지지선반(116)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후면측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틀체(118)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틀체(118)는 인접하는 모서리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끼움봉부재(120)를 상기 상부 프레임(150)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공(124)에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 끼움봉부재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22)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26)을 관통하여 볼트(128)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사각틀체(118)가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복합 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에는 고정식 스테플러(160)가 결합되어 있는
    복합 테이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사각틀체(118)의 최상단에는 양측으로 끼움공(130)이 형성되어,
    ㄷ자형 틀체(132)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끼움부(134)를 상기 끼움공(130)에 끼워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합 테이블.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00)의 하단에는 복수의 볼트공(154)가 형성된 복수의 수직끼움봉(1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150) 상단에는 복수의 볼트공(103)이 형성된 복수의 수직봉(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수직끼움봉(152)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직봉(101)에 끼워 볼트(156)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결합높이를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복합 테이블.
KR20-2005-0007567U 2005-03-21 2005-03-21 복합 테이블 KR200386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567U KR200386515Y1 (ko) 2005-03-21 2005-03-21 복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567U KR200386515Y1 (ko) 2005-03-21 2005-03-21 복합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515Y1 true KR200386515Y1 (ko) 2005-06-13

Family

ID=4368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567U KR200386515Y1 (ko) 2005-03-21 2005-03-21 복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5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15B1 (ko) 2006-07-27 2007-08-22 김호남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
KR102400889B1 (ko) * 2021-12-02 2022-05-20 신순이 다기능 수납함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15B1 (ko) 2006-07-27 2007-08-22 김호남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
KR102400889B1 (ko) * 2021-12-02 2022-05-20 신순이 다기능 수납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52694B (zh) 用于称重装置的防风罩
KR200386515Y1 (ko) 복합 테이블
WO2005087053A3 (fr) Structure de meuble pliable, en particulier lit escamotable
KR101519726B1 (ko) 소파 테이블 통합형 가구
JP2007306957A (ja) 組合せ家具
JP2003339450A (ja) デスク及びデスクシステム
KR100532681B1 (ko)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구조
KR101564873B1 (ko) 책상
JP3985429B2 (ja) 電子機器の載置装置
CN202738340U (zh) 插卡安装机构及电子设备
KR101267325B1 (ko) 파티션
JP5336121B2 (ja) ワゴン装置、およびこのワゴン装置とデスク装置との組合せ家具
KR200369710Y1 (ko)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
US8333443B1 (en) Compact computer station housing
CN211207952U (zh) 一种用于乐器的便携式支撑架
JP6397257B2 (ja) シート材切断装置
KR100702590B1 (ko) 사무기기용 다용도 테이블
CN219153127U (zh) 一种财政税务票据用打孔装置
US20020113531A1 (en) Computer desk
JP6418593B2 (ja) 補助板を備えた本棚付机
CN201314436Y (zh) 结合桌锯的可移动脚架
JP5148193B2 (ja) 上棚付き机
JP4285208B2 (ja) 収納家具
JP4323287B2 (ja) ボード掲示装置
JP7321508B2 (ja) 組み合わせデ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