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157Y1 - 사물함용 열쇠 - Google Patents

사물함용 열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157Y1
KR200386157Y1 KR20-2005-0007416U KR20050007416U KR200386157Y1 KR 200386157 Y1 KR200386157 Y1 KR 200386157Y1 KR 20050007416 U KR20050007416 U KR 20050007416U KR 200386157 Y1 KR200386157 Y1 KR 200386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hole
built
elastic band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효석
Original Assignee
서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효석 filed Critical 서효석
Priority to KR20-2005-0007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1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1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38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with means for attaching key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53Flexible straps
    • A44C5/0069Flexible straps exten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4Key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사물함용 열쇠는 탄성밴드(10)에 통공(22)이 구비된 열쇠삽입부(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열쇠삽입부(20)에 열쇠(12)를 삽입한 상태에서 열쇠삽입부(20)의 후면에서 통공(22) 및 열쇠통공(13)을 관통하도록 열쇠고정구(30)를 삽입한 후, 유도돌기(31)를 잡아당겨 머리부(34)와 열쇠압박부(32) 사이에 열쇠(12)를 위치시킴으로써, 탄성밴드(10)에 열쇠(12)를 손쉽고도 견고하게 고정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시구의 일측에 회동방식으로 열쇠를 수납할 수 있도록 열쇠내장표시구(50)를 구성함으로써, 열쇠의 분실을 방지하고 전체적인 크기를 간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물함용 열쇠{KEY FOR LOCKER ROOM}
본 고안은 사물함용 열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걸림편과, 열쇠삽입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탄성밴드와; 상기 탄성밴드의 걸림편에 번호 등의 식별표식을 갖는 표시구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사물함용 열쇠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에 열쇠삽입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열쇠삽입부에 열쇠를 삽입한 상태에서 열쇠고정구에 의해 삽입된 열쇠를 손쉽고도 견고하게 고정결합시킬 수 있는 사물함용 열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용 열쇠는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탄성성을 가진 탄성밴드로 제작되며, 상기 탄성밴드는 번호 등의 식별표식을 갖는 표시구의 양측에 걸림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탄성밴드의 일측에는 별도의 열쇠고정부가 결합되어 열쇠가 착탈가능하도록 삽입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사물함용 열쇠는 상기 열쇠고정부가 외측으로 결합되어 그 전체적인 크기가 과대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였으며, 그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탄성밴드로부터 열쇠가 이탈될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탄성밴드에 열쇠고정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열쇠고정부에 열쇠를 조립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야 하므로, 전체적인 조립공정에 시간적 낭비 및 경제적 낭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탄성밴드에 통공이 구비된 열쇠삽입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열쇠삽입부에 열쇠를 삽입한 상태에서 열쇠삽입부의 후면에서 통공 및 열쇠통공을 관통하도록 열쇠고정구를 삽입한 후, 유도돌기를 잡아당겨 머리부와 열쇠압박부 사이에 열쇠를 위치시킴으로써, 탄성밴드에 열쇠를 손쉽고도 견고하게 고정결합시킬 수 있는 사물함용 열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표시구의 일측에 회동방식으로 열쇠를 수납할 수 있도록 열쇠내장표시구를 구성함으로써, 열쇠의 분실을 방지하고 보다 간편한 사물함용 열쇠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걸림편과, 열쇠삽입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탄성밴드와; 상기 탄성밴드의 걸림편에 번호 등의 식별표식을 갖는 표시구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사물함용 열쇠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에 절개홈을 갖는 통공이 형성된 열쇠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열쇠삽입부에 삽입된 열쇠와 압박밀착결합되는 열쇠고정구로 구성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사물함용 열쇠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사물함용 열쇠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열쇠삽입부에 열쇠가 열쇠고정구에 의해 고정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로서 사물함용 열쇠를 구성하는 내장열쇠표시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내장열쇠표시구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내장열쇠표시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사물함용 열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11)과, 열쇠삽입부(20)를 일체로 포함하는 탄성밴드(10)와; 번호 등의 식별표식을 갖으며 상기 탄성밴드(10)의 걸림편(11)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표시구(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밴드(10)의 열쇠삽입부(20)는 삽입된 열쇠(12)가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유동방지편(21)과; 상기 유동방지편(21)에 열쇠(12)를 삽입후 후면에서 열쇠고정구(30)를 결합하기 위한 통공(22)과; 상기 통공(22)의 양측에 구비되어 열쇠고정구(30)의 일측이 통공(22)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절개홈(24)과; 상기 열쇠삽입부(20)의 후면에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여 통공(22)을 관통한 열쇠고정구(30)의 종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턱(23)이 일체로 포함된다.
상기 유동방지편(21)은 탄성밴드(10)의 일측에 열쇠가 삽입가능한 공간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동방지편(21)에 삽입된 열쇠(12)는 좌·우로 일정이상 유동되지 않는다.
상기 통공(22)은 열쇠(12)의 머리부분에 형성된 열쇠통공(13)의 크기 정도로 형성되며, 양측에 절개홈(24)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22)보다 직경이 큰 열쇠고정구(30)의 열쇠압박부(32)가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공(22)에 대응하는 열쇠삽입부(20)의 후면에는 열쇠고정구(30)의 머리부(34)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로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열쇠고정구(30)는 통공(22) 및 열쇠통공(13)을 관통한 후, 상기 열쇠고정구의 머리부(34)가 걸림턱(23)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결합된다.
한편, 상기 열쇠고정구(30)는 열쇠삽입부의 통공(22) 및 열쇠통공(13)으로 열쇠고정구(30)를 인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돌기(31)와; 상기 통공(22) 및 열쇠통공(13)으로 인출된 후, 그 후면이 열쇠(12)에 압박밀착되어 열쇠(12)를 열쇠삽입부(20)에 고정결합시키는 열쇠압박부(32)와; 상기 통공(22) 및 열쇠통공(13)을 관통한 상태에서 그 내측면에 밀착하여 열쇠(12)의 유동을 방지하는 삽입돌기(33)와; 상기 열쇠삽입부의 걸림턱(23)에 결합되어 열쇠고정구(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머리부(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도돌기(31)는 열쇠고정구(30)가 통공(22) 및 열쇠통공(13)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활을 하게 되며, 열쇠(12)가 열쇠압박부(32)에 의해 열쇠삽입부(20)에 고정결합되면, 칼 등으로 절단하여 열쇠고정구(30)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열쇠압박부(32)는 사용자가 통공(22) 및 열쇠통공(13)을 관통한 유도돌기(31)를 전면으로 강하게 잡아당기면, 통공의 절개홈(24)이 벌어지면서 열쇠압박부(32)가 통공(22) 및 열쇠통공(13)을 통과하게 되고, 열쇠압박부(32)의 후면이 열쇠(12)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열쇠고정구(30)는 일정한 폭의 신축력을 갖도록 탄성밴드(10)와 마찬가지로 탄성재질의 사출물로 제작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례로서, 상기 열쇠압박부(32)는 통공(22)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점차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돌기(33)는 열쇠압박부(32)가 통공(22) 및 열쇠통공(13)을 관통한 상태에서 열쇠(12)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열쇠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활을 수행하게 되는데, 열쇠(12)와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유도돌기에 비해 그 직경이 다소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머리부(34)는 통공(22) 및 열쇠통공(13)을 관통한 열쇠고정구(30)가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열쇠삽입부의 걸림턱(23)에 안착되며, 유도돌기(31)를 잡아당기는 외부의 힘에 의해 절개홈(24)이 벌어지면서 머리부(34)가 통공(22)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표시구는 일측면에 내장열쇠(51)가 회동방식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열쇠내장표시구(50)를 구성하되, 상기 열쇠내장표시구(50)의 측면 내측에는 원구형의 볼(54)이 스프링(5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내장열쇠(51)는 볼(54)과 결합되어 회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회동홈(52)이 구비된다.
따라서, 일정 이상의 힘에 의해 내장열쇠(51)가 열쇠내장표시구(50)의 내측으로 수납 또는 외측으로 인출되며, 별도의 고정장치가 열쇠내장표시구(50) 및 내장열쇠통공(53)을 관통하여 결합턱(56)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내장열쇠(5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내장열쇠(51)가 열쇠내장표시구(50)에 수납되는 경우 내장열쇠(51)의 첫번째 회동홈(52)에 볼(53)이 안착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일정이상의 힘을 내장열쇠(51)의 측면으로 가하면, 내장열쇠(51)가 볼(54)을 가압하고, 다시 볼(54)에 밀착결합된 스프링(55)이 내측으로 수축함과 동시에 내장열쇠(51)가 측면으로 회동하여 두번째 회동홈(52)에 볼(54)이 안착되며 따라서, 내장열쇠(52)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내장열쇠표시구(50)를 사용하는 경우, 본 고안에 의한 탄성밴드(10)는 그대로 사용하되, 열쇠삽입부(20)에 별도의 추가 열쇠(12)를 결합시킬 필요성이 없게 된다.
상기 고정장치(57)는 리벳방식, 볼트너트방식 등 회동가능한 다양한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공지기술을 차용함으로써 손쉽게 구현이 가능하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사물함용 열쇠는 탄성밴드(10)에 통공(22)이 구비된 열쇠삽입부(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열쇠삽입부(20)에 열쇠(12)를 삽입한 상태에서 열쇠삽입부(20)의 후면에서 통공(22) 및 열쇠통공(13)을 관통하도록 열쇠고정구(30)를 삽입한 후, 유도돌기(31)를 잡아당겨 머리부(34)와 열쇠압박부(32) 사이에 열쇠(12)를 위치시킴으로써, 탄성밴드(10)에 열쇠(12)를 손쉽고도 견고하게 고정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시구의 일측에 회동방식으로 열쇠를 수납할 수 있도록 열쇠내장표시구(50)를 구성함으로써, 열쇠의 분실을 방지하고 전체적인 크기를 간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사물함용 열쇠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사물함용 열쇠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의 열쇠삽입부에 열쇠가 열쇠고정구에 의해 고정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로서 사물함용 열쇠를 구성하는 내장열쇠표시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내장열쇠표시구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도 4의 내장열쇠표시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탄성밴드 11: 걸림편
12: 열쇠 13: 열쇠통공
20: 열쇠삽입부 21: 유동방지편
22: 통공 23: 걸림턱
24: 절개홈
30: 열쇠고정구 31: 유도돌기
32: 걸림부 33: 삽입돌기
34: 머리부 40: 표시구
50: 열쇠내장표시구 51: 내장열쇠
52: 회동홈 54: 내장열쇠통공
54: 볼 55: 스프링
56: 결합턱 57: 고정장치

Claims (4)

  1. 걸림편과, 열쇠삽입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탄성밴드와; 상기 탄성밴드의 걸림편에 번호 등의 식별표식을 갖는 표시구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사물함용 열쇠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의 열쇠삽입부에는 삽입된 열쇠가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유동방지편과;
    상기 유동방지편에 열쇠를 삽입후 후면에서 열쇠고정구를 결합하기 위한 통공과;
    상기 통공의 양측에 구비되어 열쇠고정구의 일측이 통공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절개홈과;
    상기 열쇠삽입부의 후면에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여 통공을 관통한 열쇠고정구의 종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턱이 일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열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쇠고정구는 열쇠삽입부의 통공 및 열쇠통공으로 열쇠고정구를 인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돌기와;
    상기 통공 및 열쇠통공으로 인출된 후, 그 후면이 열쇠에 압박밀착되어 열쇠를 열쇠삽입부에 고정결합시키는 열쇠압박부와;
    상기 통공 및 열쇠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그 내측면에 밀착하여 열쇠의 유동을 방지하는 삽입돌기와;
    상기 열쇠삽입부의 걸림턱에 결합되어 열쇠고정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머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열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쇠압박부는 통공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점차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열쇠.
  4. 걸림편과, 열쇠삽입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탄성밴드와; 상기 탄성밴드의 걸림편에 번호 등의 식별표식을 갖는 표시구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사물함용 열쇠에 있어서,
    상기 표시구는 일측면에 내장열쇠가 회동방식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열쇠내장표시구를 구성하되,
    상기 열쇠내장표시구의 내측에는 원구형의 볼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내장열쇠는 볼과 결합되어 회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회동홈이 구비되어, 일정 이상의 힘에 의해 내장열쇠가 열쇠내장표시구의 내측으로 수납 또는 외측으로 인출되며, 별도의 고정장치가 열쇠내장표시구 및 내장열쇠통공을 관통하여 결합턱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내장열쇠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열쇠.
KR20-2005-0007416U 2005-03-18 2005-03-18 사물함용 열쇠 KR200386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416U KR200386157Y1 (ko) 2005-03-18 2005-03-18 사물함용 열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416U KR200386157Y1 (ko) 2005-03-18 2005-03-18 사물함용 열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157Y1 true KR200386157Y1 (ko) 2005-06-07

Family

ID=4368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416U KR200386157Y1 (ko) 2005-03-18 2005-03-18 사물함용 열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1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432B1 (ko) * 2015-06-30 2016-06-01 주식회사 서진안전 통기성을 확보한 각반
KR20160085463A (ko) * 2015-01-08 2016-07-18 김갑식 열쇠 착용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463A (ko) * 2015-01-08 2016-07-18 김갑식 열쇠 착용구
KR101706986B1 (ko) * 2015-01-08 2017-02-15 김갑식 열쇠 착용구
KR101626432B1 (ko) * 2015-06-30 2016-06-01 주식회사 서진안전 통기성을 확보한 각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16001T1 (de) Führungsdraht-drehmomentvorrichtung
CN109640848A (zh) 骨凿
KR200386157Y1 (ko) 사물함용 열쇠
KR101959350B1 (ko) 치과용 핸드피스
US6324762B1 (en) Combinable scriber knife
WO2004014457A3 (en) Needle protector
US8166845B2 (en) Theftproof clutch handle that is detached easily and quickly
JP2016055153A (ja) 靴型保持装置及び靴型保持装置用補助具
WO2001091644A1 (en) Laparoscopic applicator
KR200257415Y1 (ko) 혁대용 버클
US6276053B1 (en) Device for fixing and removing stud seats for boots
JP3216383U (ja) 刃物の鞘
JP4295542B2 (ja) 防犯サムターン
JP4323780B2 (ja) 防犯サムターン
US8710340B2 (en) String changing tool with a quick connector assembly and worm gear string cutter
KR200261693Y1 (ko) 훌라후프
CN214213601U (zh) 螺钉锁定装置及螺丝刀
KR100837664B1 (ko) 나사식 단추
PL1688213T3 (pl) Zespół obrotowy
TWI316895B (ko)
KR200441113Y1 (ko) 의료용 핑거 드라이버 홀더
KR200344562Y1 (ko) 도어용 잠금장치
JP2006239840A (ja) 工具ビットのホルダー構造
JP4113515B2 (ja) キーインタグホルダー
DE60009887D1 (en) Ha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